KR101941627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627B1
KR101941627B1 KR1020120073475A KR20120073475A KR101941627B1 KR 101941627 B1 KR101941627 B1 KR 101941627B1 KR 1020120073475 A KR1020120073475 A KR 1020120073475A KR 20120073475 A KR20120073475 A KR 20120073475A KR 101941627 B1 KR101941627 B1 KR 10194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s
station module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471A (ko
Inventor
고현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6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모든 무선통신부를 연결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여러 기지국모듈에 무선통신부들을 분배 연결하여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자동 스위칭하여 동작함으로써,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셀영역을 변경하여 셀 간섭의 문제점 및 서비스 용량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BASE STATION AND CELL COVERAGE CHAN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셀을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단일 셀 구성 시 발생하는 서비스 용량 감소를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펨토셀(Femto Cell)이란 초소형, 저전력의 가정, 사무실용 옥내 기지국을 의미하며,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하는 소형 기지국으로서 음성 및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펨토셀의 장점으로는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측면에서 셀 커버리지 증가,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비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한 무선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펨토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무선 데이터의 80% 이상이 빌딩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빌딩에 펨토셀을 설치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하게 되면, 고객 입장에서는 근거리에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사업자 입장에서는 옥외 Macro 망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펨토셀의 활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헌데, 이러한 펨토셀을 빌딩, 특히 한 층에 하나 이상의 펨토셀이 설치되는 중대형 빌딩에 설치하는 경우, 동일한 층 내에 설치되는 펨토셀 간의 간섭으로 인해 주파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접한 펨토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복수개의 셀을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단일 셀 구성 시 발생하는 서비스 용량 감소를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무선통신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지국모듈;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어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일셀모드와 상기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모두 연결된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상기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상기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특정 기지국모듈에 일대일 연결하고, 상기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상기 특정 기지국모듈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상기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부터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무선통신부 및 복수의 기지국모듈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어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셀모드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모드제어단계는, 상기 단일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모두 연결된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특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상기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특정 기지국모듈에 일대일 연결하고, 상기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상기 특정 기지국모듈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모드제어단계는, 상기 다수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되는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부터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우선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의하면, 트래픽량이 적은 상황인 경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모든 무선통신부를 연결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더불어 핸드오버 구간까지 줄이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트래픽량이 많은 상황인 경우 여러 기지국모듈에 무선통신부들을 분배 연결하여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서비스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의하면,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자동 스위칭하여 동작함으로써,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셀영역을 변경하여 셀 간섭의 문제점 및 서비스 용량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의한 단일셀모드 및 다수셀모드 시 셀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복수의 기지국모듈(10),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어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를 기지국장치(10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단일셀모드 및 다수셀모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펨토셀, 피코셀과 같은 소형 셀을 구축하는 소형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사용자 혹은 설치 관리자에 의해서 건물, 가정, 지하철과 같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 backhaul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되어, 자신이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영역 내의 접속된 단말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Femto-RRH(Remote Radio Head)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펨토셀을 동일한 층 내에 설치하는 경우 펨토셀 간의 간섭으로 인해 주파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Femto-RRH는, 동일한 하나의 셀(DU)으로부터 RU만 확장하여 단일 층을 서비스 방식이다.
즉, 여러 개의 RU(Remote Unit)를 동일 층 내의 여러 곳에 설치하고 이처럼 설치한 여러 개의 RU(Remote Unit)를 하나의 DU(Digital Unit)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DU가 지원할 수 있는 셀영역 즉 커버리지를 넓이는 방식이다.
헌데, 이러한 기존의 Femto-RRH는, 하나의 동일 셀영역을 넓이는 개념이기 때문에 셀 간섭 문제는 해결할 수는 있으나, 하나의 DU가 갖는 서비스 용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넓어진 동일 셀영역의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용량 한계의 또다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셀 간섭 문제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단일셀모드로 동작하고 서비스 용량 한계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다수셀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100)를 제안하고자 한다.
다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를 설명하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는, 접속되는 단말로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통신부1,2,3,4,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무선통신부(20)에 포함되는 각 무선통신부1,2,3,4,5는,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D/A 변환한 후 업-컨버팅 처리 및 증폭 처리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역으로 처리하여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모듈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는, ADC(Analog Digital convertor), 트랜시버, 증폭기,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무선통신부1,2,3,4,5는, RU(Remote Unit)에 대응될 수 있으며 RF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무선통신부1,2,3,4,5는, 건물의 동일 층 내 여러 곳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은,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모듈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모듈1,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포함되는 각 기지국모듈1,2,3은, backhaul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되어, 자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자신의 셀영역에서 접속된 단말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지국모듈1,2,3은 DU(Digital Unit)에 대응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에 포함된 RF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저대역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모듈1,2,3은 동일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무선통신부1,2,3,4,5 및 각 기지국모듈1,2,3 사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UTP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부(30)는, 각 무선통신부1,2,3,4,5 및 각 기지국모듈1,2,3 사이에 위치하여, 전술의 단일셀모드 및 다수셀모드 사이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한다.
이러한, 스위칭부(30)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이 설치되는 위치(장소)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어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0)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일셀모드와 상기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판단되는 상황에 따라서, 셀 간섭 문제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단일셀모드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고, 서비스 용량 한계가 중요한 상황에서는 다수셀모드로 동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초기 동작 시 단일셀모드로 동작한다.
즉,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만 연결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하여, 기지국모듈1에 의한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21), 무선통신부2(22), 무선통신부3(23), 무선통신부(24) 및 무선통신부(25) 모두가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단일의 셀영역(1)을 형성하게 된다.
제어부(40)는, 단일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준값이란, 특정 기준트래픽량 및 특정 기준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는, 단일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단일셀모드로 동작하는 중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Traffic Rate)을 감시한다. 이에, 제어부(40)는,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는,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40)는, 단일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의 접속단말수가 특정 기준접속단말수 이상이고, 접속단말수가 특정 기준접속단말수 이상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단일셀모드에서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할 때,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에 일대일 연결하고, 상기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상기 특정 기지국모듈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 또는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다.
이때, 복수의 무선통신부(20)의 각 무선통신부1,2,3,4,5가 자신의 부하율을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모듈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별도 bit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40)는 각 무선통신부1,2,3,4,5의 부하율을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율은, 무선통신부 내부의 증폭기 온도 및 ADC 부하율을 기초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면,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일대일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3,4,5)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2,3)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3,4,5) 각각을 나머지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2,3) 중 하나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무선통신부 측에서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고 하나의 기지국모듈 측에서는 여러 무선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부하율이 상당힌 크다고 판단되는 무선통신부1에 대해서는 하나의 기지국모듈1을 일대일로 선점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무선통신부1에 접속된 단말들에 대하여 기지국모듈1의 충분한 서비스 용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단일셀모드에서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할 때,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기 때문에 상호 유사한 부하율로 인정할 수 있는 부하율들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 예컨대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을 확인한다.
이에 제어부(40)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에 대해서는,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부하율이 유사한 무선통신부들에 대해서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집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어부(40)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개수로 나눈 결과값을 계산하고,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을 상기 계산한 결과값에 따른 개수 씩 복수의 기지국모듈(10) 각각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2,4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경우라고 하면,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 3을 기지국모듈1,2,3의 개수 3으로 나눈 결과값 1을 계산하고, 기지국모듈1,2,3 각각에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를 상기 계산한 결과값 1에 따라 1 개씩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2,4,5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경우라고 하면,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 4를 기지국모듈1,2,3의 개수 3으로 나눈 결과값 약 1.2 를 계산하고, 기지국모듈1,2,3 각각에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 중 3개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계산한 결과값 1(소수점 버림)에 따라 1 개씩 분배 연결하고 남은 1개의 무선통신부를 기지국모듈1,2,3 중 하나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술의 실시예와 같이 부하율이 상당힌 크다고 판단되는 무선통신부1에 대해서는 하나의 기지국모듈1을 일대일로 선점하여 연결시키고, 무선통신부1,2,4,5가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경우라고 하면,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 결과,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 4를 연결 가능한 기지국모듈2,3의 개수 2로 나눈 결과값 2를 계산하고, 연결 가능한 기지국모듈2,3 각각에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를 상기 계산한 결과값 2에 따라 2 개씩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21)은 선점하여 일대일 연결된 기지국모듈1에 의한 셀영역을, 2개의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22) 및 무선통신부3(23))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2)에 연결되어 하나의 셀 영역을, 2개의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4(24) 및 무선통신부5(25))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3)에 연결되어 하나의 셀 영역을 형성하게 되어, 기지국장치(100)는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는, 다수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값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0)는, 다수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이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다수셀모드로 동작하는 중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Traffic Rate)을 감시한다. 이에, 제어부(40)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다시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40)는, 다수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접속단말수가 기준접속단말수 이하이고, 더 나아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접속단말수가 기준접속단말수 이하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수셀모드에서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할 때,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부터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또는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인 상태로 특정 기준시간이상 유지되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다.
이에 제어부(40)는,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면,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3,4)를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아닌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5) 역시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되면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무선통신부1,2,3,4,5를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모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는,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아닌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5)에 대해서는 특정 한도시간이 경과하면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무선통신부1,2,3,4,5를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모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어부(40)는, 기지국모듈1,2,3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기지국모듈1,2,3 중 하나에 포함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따르면, 트래픽량이 적은 상황인 경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모든 무선통신부를 연결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더불어 핸드오버 구간까지 줄이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트래픽량이 많은 상황인 경우 여러 기지국모듈에 무선통신부들을 분배 연결하여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서비스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따르면,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자동 스위칭하여 동작함으로써,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셀영역을 변경하여 셀 간섭의 문제점 및 서비스 용량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기지국장치가 동작되면(S1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단일셀모드로 동작한다(S2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만 연결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하여, 기지국모듈1에 의한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단일셀모드로 동작하는 중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모두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Traffic Rate)을 감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S30),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기지국모듈1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다(S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 결과,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가 존재하면(S50), 해당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일대일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S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3,4,5)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을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2,3)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S70~S100).
물론, 전술의 S40단계에서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 존재하지 않는다면, S70~S100단계의 나머지 무선통신부는 모든 무선통신부1,2,3,4,5를 의미하며 나머지 기지국모듈은 모든 기지국모듈1,2,3을 의미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통신부1과 기지국모듈1이 일대일로 연결된 경우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 S70~S10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기 때문에 상호 유사한 부하율로 인정할 수 있는 부하율들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 결과,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 예컨대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를 연결 가능한 2 이상의 기지국모듈의 개수로 나눈 결과값을 계산하고(S80),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을 상기 계산한 결과값에 따른 개수 씩 연결 가능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S90).
예를 들어, S70단계의 확인 결과,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2,3,4,5들이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의 개수 4를 연결 가능한 기지국모듈2,3의 개수 2로 나눈 결과값 2를 계산하고, 연결 가능한 기지국모듈2,3 각각에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1,2,4,5를 상기 계산한 결과값 2에 따라 2 개씩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21)은 선점하여 일대일 연결된 기지국모듈1에 의한 셀영역을, 2개의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22) 및 무선통신부3(23))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2)에 연결되어 하나의 셀 영역을, 2개의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4(24) 및 무선통신부5(25))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3)에 연결되어 하나의 셀 영역을 형성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S70단계에서 유사한 부하율을 갖는 무선통신부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2,3,4,5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특정 기지국모듈1을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2,3에 분배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무선통신부 측에서는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고 하나의 기지국모듈 측에서는 여러 무선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100).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다수셀모드에서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S110단계를 통해 도 3의 단계로 연결하도록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다수셀모드에서,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복수의 기지국모듈(10)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다수셀모드로 동작하는 중 복수의 무선통신부(20)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예컨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Traffic Rate)을 감시한다(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상이면 현재의 다수셀모드를 유지하고(S130),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를 다시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모듈(10)의 트래픽량이 특정 기준트래픽량 이하이면 복수의 무선통신부(20)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한다(S1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2,3,4)부터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S150).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아닌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5) 역시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되면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무선통신부1,2,3,4,5를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모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가 아닌 나머지 무선통신부(예 : 무선통신부1,5)에 대해서는 특정 한도시간이 경과하면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연결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무선통신부1,2,3,4,5를 하나의 기지국모듈(예 : 기지국모듈1)에 모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기지국장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단일셀모드로 동작 중 전술의 S30를 수행하여 지속적으로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확인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따르면, 트래픽량이 적은 상황인 경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모든 무선통신부를 연결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더불어 핸드오버 구간까지 줄이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트래픽량이 많은 상황인 경우 여러 기지국모듈에 무선통신부들을 분배 연결하여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서비스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따르면,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 및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로 자동 스위칭하여 동작함으로써, 트래픽량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셀영역을 변경하여 셀 간섭의 문제점 및 서비스 용량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에 따르면, 트래픽량이 적은 상황인 경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모든 무선통신부를 연결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더불어 핸드오버 구간까지 줄이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고, 트래픽량이 많은 상황인 경우 여러 기지국모듈에 무선통신부들을 분배 연결하여 다수의 셀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서비스 용량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 장치
10 : 복수의 기지국모듈 20 : 복수의 무선통신부
30 : 스위칭부 40 : 제어부

Claims (13)

  1. 셀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기지국장치로서,
    복수의 무선통신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지국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도록 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도록 하여 2 이상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적어도 일부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일셀모드와 상기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모두 연결된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상기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상기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특정 기지국모듈에 일대일 연결하고, 상기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상기 특정 기지국모듈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의 상기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상기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부터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으로서,
    복수의 무선통신부 및 복수의 기지국모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만 연결되도록 하여 단일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단일셀모드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되도록 하여 2 이상의 셀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셀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하는 셀모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모드제어단계는,
    상기 단일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모두 연결된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상기 다수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상인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특정 기지국모듈에 일대일 연결하고, 상기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나머지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중 상기 특정 기지국모듈 이외의 나머지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부하율을 갖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에 대해서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 각각에 연결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가 가장 유사하게 되도록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2 이상의 기지국모듈에 분배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모드제어단계는,
    상기 다수셀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가 연결된 2 이상의 기지국모듈의 트래픽관련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되는 트래픽량 및 접속단말수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를 상기 복수의 기지국모듈 중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연결하여 단일셀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어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부 각각에 대한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기준부하율 이하인 무선통신부부터 상기 하나의 기지국모듈에 우선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KR1020120073475A 2012-07-05 2012-07-0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KR10194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75A KR101941627B1 (ko) 2012-07-05 2012-07-0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75A KR101941627B1 (ko) 2012-07-05 2012-07-0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71A KR20140006471A (ko) 2014-01-16
KR101941627B1 true KR101941627B1 (ko) 2019-01-24

Family

ID=5014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475A KR101941627B1 (ko) 2012-07-05 2012-07-0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6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814B1 (ko) * 2010-06-15 2017-02-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셀과 연계하여 펨토 셀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전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펨토 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3778B1 (ko) * 2010-06-15 2016-09-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계위 네트워크 기반 자원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71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67B1 (ko) 최적화된 망접속 구조를 갖는 통신 시스템
JP5496428B2 (ja) マクロセルとフェムトセルの混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干渉抑制方法
CN101873674B (zh) 移动装置、基站、后端网络装置及用于移动装置的方法
US20110312359A1 (en) Energy Savings For Multi-Point Transmission Wireless Network
WO2012063834A1 (ja)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2053240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低電力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70359763A1 (en) Method for resisting small base station uplink signal interference of indoor das system based on antenna selection
JP2010538576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エネルギー節約方法
KR20110057905A (ko)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비스 가능한 가능한 소형 기지국 및 그 운영 방법
US20150341839A1 (en) Hub apparatus of heterogeneous network and method of offloading the same
JP200722821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負荷制御方式
US10425872B2 (en) Network switching method, system, and network side device
KR101704814B1 (ko) 이동통신 셀과 연계하여 펨토 셀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전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펨토 셀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554816A (zh) 一种异构网络下基于d2d通信机制的负载均衡方法
KR10194162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셀영역 변경 방법
CN104754706A (zh) 一种多网融合供电方法和网络
CN1901730B (zh) 移动通信容量调度方法
JP6792267B2 (ja) 無線基地局制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制御装置
US9585092B2 (en) Disconnection of resources of a radio access network with a low network load
KR101773517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505B1 (ko) 유기적 토폴로지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182061B1 (ko) 단말의 상황에 따라 통신 중계 시스템의 셀 사이즈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Nguyen et al. Uplink channel allocation scheme and qos management mechanism for cognitive cellular-femtocell networks
KR20140129522A (ko)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CN117221963A (zh) 小区切换下的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