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40B1 - Pallet rack - Google Patents

Pallet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40B1
KR101941540B1 KR1020180154076A KR20180154076A KR101941540B1 KR 101941540 B1 KR101941540 B1 KR 101941540B1 KR 1020180154076 A KR1020180154076 A KR 1020180154076A KR 20180154076 A KR20180154076 A KR 20180154076A KR 101941540 B1 KR101941540 B1 KR 10194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upling
pallet
load
beam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형산
Original Assignee
정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산 filed Critical 정형산
Priority to KR102018015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3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hook and slot or keyhole-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rack includes: a plurality of post part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to be separated interactive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ad beam parts located between post parts, arranged to be separated interactivel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mbined with the post part; a tie beam part supported on the load beam part, arranged to be separated interactively, and connected to a pallet; and a load impact adsorbing part installed on the load beam part, supporting the tie beam part elastically, and absorbing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art at the time of loading the pallet.

Description

파렛트 랙{Pallet rack}Pallet rack

본 발명은, 파렛트 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렛트의 적재과정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파렛트 랙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rack that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impact applied during the pallet loading process.

일반적으로 물류창고 또는 물류 적재창고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음료, 의류, 가전, 잡화,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이다.Generally, a warehouse or logistics warehouse is a storage warehouse for temporarily storing or storing all items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various foods and beverages, clothes, household appliances, miscellaneous goods and industrial goods, which are mass produced in a factory or a production site.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창고 내 보관재고의 제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하 및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는 바, 대량생산된 물품의 보다 신속한 입출하와 더불어 물류 적재 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대량의 물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recent years, we are moving away from the management of simple logistics, creating new businesses such as efficient inventory manag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from warehousing inventory in logistics warehouses. As a result, And is being designed and constructed to store a large amount of logistics through mor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ogistics space.

이러한 물류창고의 설계 및 운용은, 일반적으로 일정규격의 파렛트가 출납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갖는 파렛트 랙을 각각의 통로구간으로 분할하여 수직하게 다단으로 설계하며, 통로구간을 통하여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을 통하여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렛트를 파렛트 랙에 보관함으로써 1실 1파렛트 방식으로 운용한다.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uch a warehouse, a pallet rack having a width and a height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a pallet of a predetermined size is generally divided into respective passage sections and vertically designed to be multi-tiered, and a forklift or a forklift The pallet is stored in a pallet rack in a state where the pallets are loaded through the pallet.

또한, 적재된 상태의 물품을 출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을 통하여 물류가 적재된 상태의 파레트를 지면 또는 운반용 차량으로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an article in a stacked state is to be shipped, a pallet in a state in which the goods are loaded through a forklift, a forklift or the like is moved to a ground or a transportation vehicle.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 랙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기둥 역할을 하는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배치되며 일정 높이의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포스트에 결합되는 다수의 로드 빔과, 로드 빔에 결합되는 타이 빔을 구비한다.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serving as posts, a plurality of load beams arranged between the posts and horizont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coupled to the posts, And a tie beam coupled to the load beam.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 랙에서 포스트는 수직 골격의 역할을 수행하며, 포스트에 결합되는 로드 빔은 수평 골격의 역할을 수행하고, 로드 빔에 결합되는 타이 빔은 로드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osts serve as vertical skeletons, the load beams coupled to the posts serve as horizontal skeletons, and the tie beams coupled to the load beams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load beams .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 랙은,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로드 빔이 지지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고, 수납을 간편하게 하여 물류관리를 편리하게 한다.Such a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support and store a larger amount of articles by efficiently using a narrow space by support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s are loaded by the load beam, .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파렛트 랙은, 물품을 적재된 파렛트를 파렛트 랙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로드 빔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로드 빔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load beam is broken by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into the pallet rack.

즉,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이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로드 빔에 내려놓은 과정에서 작동 부주의에 의해 파렛트를 로드 빔에 급작스럽게 내려놓을 수 있고, 이러한 급작스러운 충격에 의해 로드 빔이 파손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urse of lower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such as a forklift or a forklift, on the load beam, the pallet can be abruptly lowered to the load beam due to inadvertent operation, and the load beam may be damaged by such abrupt impact.

로드 빔의 파손은 파렛트 랙 전체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파렛트 랙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로드 빔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렛트 랙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llet rack capable of preventing the load beam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into the pallet rack because the damage of the load beam can cause collapse of the pallet rack as a who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0936호(2009.02.02.)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0936 (Feb.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파렛트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llet rack in which the pallet rack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impact applied in the course of loading pallets on which the pallets are stack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부; 상기 포스트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드 빔부; 상기 로드 빔부에 지지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파렛트에 접촉되는 타이 빔부; 및 상기 로드 빔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 빔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파렛트의 적재 시 상기 로드 빔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재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파렛트 랙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st parts supported on a paper, A plurality of rod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post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d beams being coupled to the posts; A tie beam part supported on the load beam part and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tacting the pallet; And a load shock absorber provided at the load beam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tie beam portion to absorb shock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ortion when the pallet is stacked.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로드 빔부가 연결되며, 상기 로드 빔부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 바아부; 및 상기 전면 바아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빔부가 끼움 결합되는 측면 바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t portion may include a front bar abut portion to which the rod beam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rod beam portion is hooked to the hook portion; And a side bar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bar portion and to which the load beam portion is fitted.

상기 로드 빔부는, 상기 포스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부에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부; 및 상기 포스트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타이 빔부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beam portion includes a po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ost portion and coupled to the post portion; And a support rod portion connected to the post coupl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tie beam portion.

상기 지지 로드부에는, 제1 상측 단부와, 상기 제1 상측 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상측 단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ro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upper end portion and a second upper end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upper end portion.

상기 적재 충격 흡수부는, 상기 지지 로드부에 마련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상기 제2 상측 단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지지 로드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이동 블록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충격 흡수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shock absorber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rod portion, a part of which passes through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portion, part; And an impact absorbing elastic body that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and connected to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and elastically presses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는, 상기 타이 빔부가 삽입되는 빔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타이 빔부의 측벽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 지지 아암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된 하부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block includes an upper body portion forming a beam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ie beam portion is inserted and having a pair of side wall support arms connected to side walls of the tie beam portion; And a lower body part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art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slidably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상기 하부 몸체부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 몸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탄성체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단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seat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toward the upper body portion and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elastic body for shock absorption is inserted.

상기 지지 로드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탄성체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단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ro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seating recess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and into which a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for absorbing shock is inserted.

상기 포스트 결합부는, 상기 전면 바아부에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부;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 바아부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바아부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측면 바아부에 형성된 끼움공을 관통하여 측면 바아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s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ront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bar portion; A hook portion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plate portion and penetrates through a hook coupling hole formed in the front bar coupling portion and is hooked to the front bar coupling portion; A side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And a f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ide plat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ide bar portion through the fitting hole formed in the side bar portion.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가로 몸체부; 및 상기 가로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And a vertical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ateral body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late portion.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는 결합용 몸체부; 상기 결합용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결합용 몸체부에 상기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는 결합용 샤프트; 및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용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용 샤프트를 상기 측면 바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body coupled to the side plate portion; A coupl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upling body and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the coupl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And a pressing elastic body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the pressing elastic body pressing the coupling shaft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ba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 빔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파렛트의 적재 시 로드 빔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재 충격 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가 파렛트 랙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로드 빔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load impact absorbing portion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tie beam portion and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ortion when the pallet is stacked. Therefore,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pallet loaded with the article onto the pallet r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an additio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스트부와 포스트 결합부의 결합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로드 지지부와 타이 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서 파렛트가 적재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도 2의 끼움 결합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손잡이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allet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ngagement of the post portion and the post-engagement portion of FIG. 1;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d support portion and the tie beam portion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is loaded in Fig. 5. Fig.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of Fig. 2.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 tab of Fig. 7 is moved upwar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including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es, " or " having ", means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스트부와 포스트 결합부의 결합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1의 로드 지지부와 타이 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서 파렛트가 적재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는 도 2의 끼움 결합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손잡이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allet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post portion and a post joining portion of FIG. 1,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d supporting portion and the tie beam portion of Fig. 1,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a pallet loaded i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 tab of FIG. 7 is moved upward.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부(110)와, 포스트부(110)들 사이에 위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포스트부(11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드 빔부(120)와, 로드 빔부(120)에 지지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파렛트에 접촉되는 타이 빔부(150)와, 로드 빔부(120)에 마련되며 타이 빔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파렛트의 적재 시 로드 빔부(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재 충격 흡수부(160)를 포함한다.1 to 8, 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ost parts 110 supported on the grou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rod beams 12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posts 110, a tie beam 150 supported by the rod beams 12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 contact with the pallets, And a load shock absorber 160 provided on the rod beam part 12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tie beam part 150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art 120 when the pallet is loaded.

본 실시예의 파렛트 랙은, 물류창고 또는 물류 적재창고에 설치되며, 물품이 쌓인 파렛트를 지지하여 물품을 보관하는 선반 기능을 수행한다.The pallet rack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warehouse or a warehouse, and carries out a shelf function for support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s are stack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110)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포스트부(110)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post portions 110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stures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hese post portions 110 are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and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포스트부(11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빔부(120)가 연결되며 로드 빔부(120)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 바아부(111)와, 전면 바아부(111)에 연결되며 로드 빔부(120)가 끼움 결합되는 측면 바아부(115)를 포함한다. 2, the post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bar portion 111 to which the rod beam portion 120 is connected and to which the rod beam portion 120 is hooked, a front bar portion 111 And a side bar 115 coupled to the load beam unit 120.

전면 바아부(111)는 길이 긴 바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전면 바아부(111)에는 로드 빔부(120)의 후술할 전면 플레이트부(122)가 연결된다. 또한, 전면 바아부(111)에는 후술할 후크부(123)가 관통하는 후크 결합공(FH)이 소정이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면 바아부(111)에는 로드 빔부(120)의 후술할 포스트 결합부(121)가 후크 결합된다. The front barrel 111 is provided in a long bar shape. A front plate portion 122 of the load beam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front bar portion 111. A hook engagement hole (FH) through which a hook portion (123)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barrel (111). The post coupling portion 121 of the load beam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ooked to the front barrel 111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러한 전면 바아부(111)에는 포스트부(11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절곡부(119)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바아부(111)에는 포스트부(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절곡부(119)가 마련됨으로써, 포스트부(110)가 로드 빔부(1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ront barrel 111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119 for enhancing the rigidity of the post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barrel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bent portion 119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post portion 110, so that the post portion 110 can firmly support the rod beam portion 120 have.

측면 바아부(115)는 전면 바아부(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 바아부(115)에는 로드 빔부(120)의 후술할 측면 플레이트부(124)가 연결된다. 또한, 측면 바아부(115)에는 로드 빔부(120)의 후술할 결합용 샤프트(125c)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SH)이 소정이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 바아부(115)에는 로드 빔부(120)의 후술할 포스트 결합부(121)가 끼움결합된다. The side barb 115 is connected to the front barb 111. A side plate portion 124 of the load beam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side bar portion 115. In addition, a fitting hole (SH) to which a coupling shaft (125c) of a rod beam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bar portion (1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 coupling part 121 of the load beam pa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to the side bar 115.

한편, 로드 빔부(120)는 포스트부(110)들 사이에 위치되고 다수개로 마련되어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로드 빔부(120)는 포스트부(110)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ad beam part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t parts 11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ad beam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post portion 110.

본 실시예에서 로드 빔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110)에 연결되며 포스트부(110)에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부(121)와, 포스트 결합부(121)에 연결되며 타이 빔부(150)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부(126)를 포함한다.1 to 4, the load beam unit 120 includes a post joining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post portion 110 and coupled to the post portion 110, And a support rod portion 126 connected to the tie beam portion 150 and supporting the tie beam portion 150.

포스트 결합부(121)는, 포스트부(110)에 연결되어 포스트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포스트 결합부(121)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바아부(111)에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부(122)와,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마련되며 전면 바아부(111)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FH)을 관통하여 전면 바아부(111)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123)와,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는 측면 플레이트부(124)와, 측면 플레이트부(124)에 마련되며 측면 바아에 형성된 끼움공(SH)을 관통하여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결합부(125)를 포함한다. The post joining portion 121 is connected to the post portion 110 and is coupled to the post portion 110. 2, the post coupling portion 121 includes a front plate portion 122 connected to the front bar portion 111, a front bar portion 111 provided on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 hook portion 123 hooked to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through a hook coupling hole FH formed in the side plate portion 124, a side plate portion 124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nd a fitting part 125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bar 115 through the fitting hole SH formed in the side bar.

전면 플레이트부(1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전면 바아부(111)에 밀착된다. The front plate portion 122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후크부(123)는 도 2의 전면 플레이트부(122)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후크부(123)는 전면 바아부(111)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FH)을 관통하여 전면 바아부(111)에 후크 결합된다. The hook portion 123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portion 122 of FIG. The hook portion 123 is hooked to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through the hook coupling hole FH formed in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

본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123)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는 가로 몸체부(123a)와, 가로 몸체부(123a)에 연결되며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로 몸체부(123b)를 포함한다. 3, the hook portion 123 includes a horizontal body portion 123a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 horizontal body portion 123b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ody portion 123a, And a vertical body portion 123b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body portion 122.

이러한 후크부(123)의 후크 결합을 간단히 설명하면, 후크부(123)가 후크 결합공(FH)을 관통한 뒤에 포스트 결합부(121)가 아래쪽으로 약간 하강함으로써 후크 결합된다. 즉, 후크부(123)가 후크 결합공(FH)을 관통한 후 포스트 결합부(121)의 하강에 의해, 세로 몸체부(123b)와 전면 플레이트부(122)가 전면 바아부(111)에 표면에 밀착되고 후크 결합공(FH)의 하부 측벽에 가로 몸체부(123a)가 지지됨으로써 포스트 결합부(121)가 전면 바아부(111)에 견고하게 후크결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hook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123 is made such that the hook portion 123 penetrates the hook engagement hole FH and then the post engagement portion 121 is slightly lowered to be hooked. That is, after the hook portion 123 passes through the hook engagement hole FH, the vertical body portion 123b and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re engaged with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by the descent of the post- And the horizontal body portion 123a is supported on the lower side wall of the hook engagement hole FH so that the post engagement portion 121 is securely hooked to the front barrel 111.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은, 포스트부(110)에 후크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부(121)를 구비하는 로드 빔부(120)를 포함함으로써, 포스트부(110)와 로드 빔부(120)의 결합작업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rod beam portion 120 having the post joining portion 121 hooked to the post portion 1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ost portion 110 and the rod beam portion 120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combine.

측면 플레이트부(124)는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부(124)는 전면 플레이트부(122)에서 대략 90도 절곡되어 배치된다. The side plate portion 124 is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22. The side plate portion 124 is bent at approximately 90 degrees from the front plate portion 122.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부(124)는 끼움 결합부(125)가 지지되는 체결 플랜지(124a)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플랜지(124a)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체결 플랜지(124a)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부(125)가 체결되는 나사공(미도시)이 마련된다.The side plate portion 124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flange 124a on which the fitting portion 125 is supported.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flange 124a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astening flange 124a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not shown)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125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끼움 결합부(125)는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끼움 결합부(125)는, 도 2와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플랜지(124a)에 결합되는 결합용 몸체부(125a)와, 결합용 몸체부(125a)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25b)을 관통하고 결합용 몸체부(125a)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끼움공(SH)을 관통하는 결합용 샤프트(125c)와, 관통공(125b)의 내벽에 지지되고 결합용 샤프트(125c)에 연결되며 결합용 샤프트(125c)를 측면 바아부(115)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용 탄성체(125d)와, 결합용 샤프트(125c)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25e)를 포함한다. The fitting portion 125 is fitted to the side bar 115. 2 and 7 and 8, the fitting engagement portion 125 includes a coupling body portion 125a coupled to the coupling flange 124a and a coupling body portion 125b coupled to the coupling body portion 125a, A coupling shaft 125c which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25b formed in the through hole 125b and is mov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125a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SH and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5b A pressing elastic body 125d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25c and presses the coupling shaft 125c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bar 115 and a handle 125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shaft 125c, .

결합용 몸체부(125a)는 체결 플랜지(124a)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용 몸체부(125a)의 내부에는 관통공(125b)이 형성된다. The engaging body portion 125a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flange 124a. A through hole 125b is formed in the coupling body 125a.

결합용 샤프트(125c)는 결합용 몸체부(125a)의 관통공(125b)을 관통하며 결합용 몸체부(125a)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용 샤프트(125c)의 하단부 영역은 끼움공(SH)을 관통하여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된다. The coupling shaft 125c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5b of the coupling body 125a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125a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upling body 125a. The lower end region of the coupling shaft 125c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SH) and is fitted to the side bar portion (115).

가압용 탄성체(125d)는 관통공(125b)의 내벽에 지지되고 결합용 샤프트(125c)에 연결된다. 이러한 가압용 탄성체(125d)는 결합용 샤프트(125c)를 측면 바아부(11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한다.The pressing elastic body 125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5b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25c. The pressing elastic member 125d elastically biases the coupling shaft 125c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bar 115. [

본 실시예에서 가압용 탄성체(125d)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관통공(125b)의 내벽에 지지되고 하단부가 결합용 샤프트(125c)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elastic body 125d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whos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5b and whos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coupling shaft 125c, as shown in detail in FIG.

이러한 가압용 탄성체(125d)는 결합용 샤프트(125c)의 하단부 영역을 결합용 몸체부(125a)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가압용 탄성체(125d)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용 샤프트(125c)의 하단부 영역이 끼움공(SH)을 관통하여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된다.The pressing elastic body 125d elastically presses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ngaging shaft 125c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gaging body portion 125a. Therefore, the lower end region of the coupling shaft 125c passes through the fitting hole SH and is fitted to the side bar portion 11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elastic body 125d.

결합용 샤프트(125c)의 끼움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25e)를 당긴다. 손잡이부(125e)가 당겨지면 결합용 샤프트(125c)가 끼움공(SH)에서 빠져나옴으로써 결합용 샤프트(125c)와 측면 바아부(115)의 끼움 결합이 해제된다. When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fitting engagement of the coupling shaft 125c, the user pulls the handle 125e. When the handle 125e is pulled out, the engaging shaft 125c comes out of the fitting hole SH, so that the fitting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shaft 125c and the side barrel 115 is releas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은,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125)를 구비하는 포스트 결합부(121)를 포함함으로써, 포스트부(110)와 로드 빔부(120)의 결합작업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post engagement portion 121 having the engagement portion 125 to be engaged with the side bar portion 115,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of assembling the body 120 is simpl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부(125)는, 단지 손잡이부(125e)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끼움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당긴 손잡이부(125e)를 놓으면 결합용 샤프트(125c)가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하여 끼움공(SH)을 관통함으로써, 작동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The fitting part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lease the fitting engagement only by pulling the knob part 125e and when the pulling knob part 125e is placed, So that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peration is facilitated by passing through the fitting hole SH.

참고로, 측면 바아부(115)의 끼움공(SH)은 포스트 결합부(121)가 전면 바아부(111)에 후크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용 샤프트(125c)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insertion hole SH of the side bar support portion 115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shaft 125c in a state where the post engagement portion 121 is hooked to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

한편, 지지 로드부(126)는 포스트 결합부(1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지 로드부(126)는 타이 빔부(15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로드부(126)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바아 형상으로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s connected to the post joining portion 121. The support rod portion 126 supports the tie beam portion 150.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s provided in a bar shape as shown in Figs. 1, 2 and 4.

이러한 지지 로드부(126)의 상단부는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로드부(126)에는 제1 상측 단부(127)와, 제1 상측 단부(12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상측 단부(128)가 마련된다.4,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end portion 127 and a first upper end portion 127. The first upper end portion 127, the first upper end portion 127, A second upper end 128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지지 로드부(126)에는 제2 상측 단부(128)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적재 충격 흡수부(160)의 후술할 상하이동 블록부(16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G)이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G)은 타이 빔부(1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support rod portion 126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G which is recessed at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28 and into which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of the load shock absorber 160, do. These guide grooves G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ie beam portions 15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지지 로드부(126)에는 가이드 홈(G)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적재 충격 흡수부(160)의 후술할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단 안착홈(DH)이 마련이 마련된다. The lower end seating groove DH is formed i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so as to be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and into which a lower end portion of a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of the load shock absorber 160, This arrangement is provided.

한편, 타이 빔부(150)는 지지 로드부(126)에 지지되며 파렛트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빔부(150)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타이 빔부(150)는 바아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 빔부(150)는 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이 빔부(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tie beam part 1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part 126 and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the tie beam parts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ie beam part 150 is provided in a bar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e beam part 15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ie beam part 15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한편, 적재 충격 흡수부(160)는 타이 빔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파렛트의 적재과정에서 로드 빔부(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적재 충격 흡수부(160)는 지지 로드부(126)에 마련된다. The load shock absorber 160 elastically supports the tie beam part 150 to absorb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art 120 during the loading of the pallet. The load shock absorber 160 is provided o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

본 실시예에서 적재 충격 흡수부(160)는,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로드부(126)에 마련된 가이드 홈(G)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제2 상측 단부(128)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지지 로드부(12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이동 블록부(161)와, 가이드 홈(G)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하이동 블록부(161)에 연결되며 상하이동 블록부(16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를 포함한다.4 to 6, the load shock absorber 1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G provided i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and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28, A vertical movement block portion 16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groove G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relative to the support rod portion 126, And an elastic member 168 for shock-absorbing elastically pressing the up-and-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상하이동 블록부(161)는 지지 로드부(126)에 마련된 가이드 홈(G)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하이동 블록부(161)는 지지 로드부(12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이동 블록부(161)의 상부는 제2 상측 단부(128)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The vertical movement block portion 161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G provided i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The vertical movement block portion 16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ly moving block portion 16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28.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 블록부(161)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빔부(150)가 삽입되는 빔 삽입홈(164)을 형성하며 타이 빔부(150)의 측벽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 지지 아암(163)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162)와, 상부 몸체부(162)에 연결되며 가이드 홈(G)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167)가 마련된 하부 몸체부(166)를 포함한다.5, the vertical moving block unit 1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beam insertion groove 164 into which the tie beam part 150 is inserted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tie beam part 150 A lower body portion 162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wall support arms 163 and a guide projection 167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ortion 162 and slidably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G, And includes a body portion 166.

상부 몸체부(162)는 타이 빔부(150)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부 몸체부(162)에는 타이 빔부(150)가 삽입되는 빔 삽입홈(164)이 마련된다. 빔 삽입홈(164)에 삽입된 타이 빔부(150)는 빔 삽입홈(164)의 바닥면과 측벽 지지 아암(163)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 지지 아암(163)은 타이 빔부(150)의 양측 측벽을 지지하여 타이 빔부(150)가 도 5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The upper body portion 162 supports the tie beam portion 150. The upper body portion 162 is provided with a beam insertion groove 164 into which the tie beam portion 150 is inserted. The tie beam part 150 inserted into the beam insertion groove 164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m insertion groove 164 and the side wall support arm 163. In this embodiment, the side wall support arms 163 support both side walls of the tie beam part 150 to restrict movement of the tie beam part 15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Fig.

이러한 측벽 지지 아암(163)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측 단부(128)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The side wall support arm 163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28 as shown in detail in FIG.

하부 몸체부(166)는 상부 몸체부(162)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 몸체부(166)에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G)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167)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The lower body portion 166 is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ortion 162. As shown in detail in FIG. 5, a guide protrusion 167 slidably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G is protruded from the lower body portion 16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 블록부(161)에는 가이드 홈(G)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167)가 마련됨으로써, 상하이동 블록부(161)가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The vertical movement block 161 is provided with the guide protrusion 167 which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G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block 161 can be stably As shown in Fig.

또한 하부 몸체부(166)에는, 하부 몸체부(166)의 하부면에서 상부 몸체부(162)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단 안착홈(UH)이 마련된다.An upper seating recess UH is formed in the lower body portion 166 so as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162 from the lower 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166 and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impact absorbing elastic body 168 is inserted .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는 가이드 홈(G)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하이동 블록부(161)에 연결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는 상하이동 블록부(16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The elastic member 168 for shock absorption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ly moving block portion 161. The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resiliently presses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In this embodiment, the impact absorbing elastic body 168 is provided by a coil spring.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상단부는 상단 안착홈(UH)에 삽입되고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하단부는 하단 안착홈(DH)에 삽입됨으로써,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그에 따라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가 안정적으로 상하이동 블록부(161)를 상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5,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mounting groove UH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mounting groove DH, The movement of the flexible elastic body 16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stricted so that the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can elastically press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tably.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의 동작을 파렛트가 파렛트 랙에 적재되는 과정을 위주로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ocusing on the process of loading the pallet into the pallet rack.

파렛트 랙에 파렛트가 적재되기 전에 타이 빔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충격 흡수부(160)의 상하이동 블록부(161)에 지지되어 있다.Before the pallet is loaded on the pallet rack, the tie beam part 150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moving block part 161 of the load shock absorber 160 as shown in FIG.

이때,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빔부(150)의 상단부는 지지 로드부(126)의 제1 상측 단부(127)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포크 리프트(미도시) 또는 지게차(미도시) 등이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의 적재를 위해 하강 시 타이 빔부(150)가 파렛트의 하부면에 먼저 접촉된다.4, the upper end of the tie beam part 150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upper end 127 of the support rod part 126.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tie beam part 150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allet when the pallet is lowered for loading a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such as a forklift (not shown) or a forklift (not shown).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의 운전자의 작동 미숙 등에 의해 파렛트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타이 빔부(150)에 큰 충격을 인가되더라도, 상하이동 블록부(16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가 타이 빔부(150)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타이 빔부(150)에 인가되는 충격이 로드 빔부(12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한다. Absorbing elastic body 168 elastically supporting the up-and-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even when a large impact is applied to the tie-beam portion 150 during the pallet descending due to the inactivity of the driver of the forklift or the forklift The impact applied to the tie beam part 150 is absorbed to prevent the impact applied to the tie beam part 15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rod beam part 120. [

이후, 파렛트의 하강이 계속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이 지지 로드부(126)의 제1 상측 단부(127)에 접촉되어 파렛트가 로드 빔부(120)에 지지되고, 파렛트가 최종적으로 파렛트 랙에 적재된다.6, the lower edge region of the pall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end 127 of the support rod portion 126 so that the pallet is supported by the rod beam portion 120, Is finally loaded in the pallet rack.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랙은, 타이 빔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의 적재과정에서 로드 빔부(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재 충격 흡수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를 파렛트 랙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로드 빔부(120)가 충격에 의한 파손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llet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ad shock absorber 16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tie beam part 150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art 120 during the loading of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 beam part 120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in the course of loading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loaded into the pallet rack.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by way of example or example, It is not.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

110: 포스트부 111: 전면 바아부
115: 측면 바아부 119: 절곡부
120: 로드 빔부 121: 포스트 결합부
122: 전면 플레이트부 123: 후크부
123a: 가로 몸체부 123b: 세로 몸체부
124: 측면 플레이트부 124a: 체결 플랜지
125: 끼움 결합부 125a: 결합용 몸체부
125b: 관통공 125c: 결합용 샤프트
125d: 가압용 탄성체 125e: 손잡이부
126: 지지 로드부 127: 제1 상측 단부
128: 제2 상측 단부 150: 타이 빔부
160: 적재 충격 흡수부 161: 상하이동 블록부
162: 상부 몸체부 163: 측벽 지지 아암
164: 빔 삽입홈 166: 하부 몸체부
167: 가이드 돌기 168: 충격 흡수용 탄성체
FH: 후크 결합공 SH: 끼움공
UH: 상단 안착홈 DH: 하단 안착홈
G: 가이드 홈
110: post part 111: front bar abut
115: side bar abut 119:
120: rod beam part 121:
122: front plate portion 123: hook portion
123a: a horizontal body portion 123b: a vertical body portion
124: side plate portion 124a: fastening flange
125: engaging portion 125a: engaging body
125b: Through hole 125c: Coupling shaft
125d: elastic body for pressing 125e:
126: support rod part 127: first upper end
128: second upper end 150:
160: Stacking shock absorber 161: Upper and lower moving block part
162: upper body portion 163: side wall support arm
164: Beam insertion groove 166: Lower body part
167: guide projection 168: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FH: Hook coupling ball SH: Fitting ball
UH: upper seating groove DH: lower seating groove
G: Guide groove

Claims (3)

지면에 지지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부(110);
상기 포스트부(110)들 사이에 위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부(11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드 빔부(120);
상기 로드 빔부(120)에 지지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파렛트에 접촉되는 타이 빔부(150); 및
상기 로드 빔부(120)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 빔부(1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파렛트의 적재 시 상기 로드 빔부(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재 충격 흡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부(110)는,
상기 로드 빔부(120)가 연결되며, 상기 로드 빔부(120)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 바아부(111); 및
상기 전면 바아부(111)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빔부(120)가 끼움 결합되는 측면 바아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 빔부(120)는,
상기 포스트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부(110)에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부(121); 및
상기 포스트 결합부(121)에 연결되며, 상기 타이 빔부(150)를 지지하는 지지 로드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로드부(126)에는,
제1 상측 단부(127)와, 상기 제1 상측 단부(127)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상측 단부(128)가 마련되며,
상기 적재 충격 흡수부(160)는,
상기 지지 로드부(126)에 마련된 가이드 홈(G)에 삽입되고 일부분이 상기 제2 상측 단부(128)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지지 로드부(126)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이동 블록부(161); 및
상기 가이드 홈(G)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161)에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16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 블록부(161)는,
상기 타이 빔부(150)가 삽입되는 빔 삽입홈(164)을 형성하며 상기 타이 빔부(150)의 측벽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 지지 아암(163)이 마련된 상부 몸체부(162); 및
상기 상부 몸체부(162)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홈(G)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돌기(167)가 마련된 하부 몸체부(166)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결합부(121)는,
상기 전면 바아부(111)에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부(122);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 바아부(111)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FH)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 바아부(111)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123);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는 측면 플레이트부(124);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4)에 마련되며, 상기 측면 바아부(115)에 형성된 끼움공(SH)을 관통하여 측면 바아부(115)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결합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123)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는 가로 몸체부(123a); 및
상기 가로 몸체부(123a)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부(12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세로 몸체부(123b)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 결합부(125)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4)에 결합되는 결합용 몸체부(125a);
상기 결합용 몸체부(125a)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25b)을 관통하고 상기 결합용 몸체부(125a)에 상기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끼움공(SH)을 관통하는 결합용 샤프트(125c); 및
상기 관통공(125b)의 내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용 샤프트(125c)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용 샤프트(125c)를 상기 측면 바아부(115)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용 탄성체(125d)를 포함하는 파렛트 랙.
A plurality of post portions (110) supported on the ground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rod beams 120 positioned between the posts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posts 110;
A tie beam part 150 supported on the load beam part 12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tacting the pallet; And
And a load shock absorber 160 provided on the load beam part 12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tie beam part 150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load beam part 120 when the pallet is loaded ,
The post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barrel 111 to which the rod beam part 120 is connected and to which the rod beam part 120 is hooked; And
And a side bar portion 115 connected to the front bar portion 111 and to which the rod beam portion 120 is fitted,
The load beam unit 120 includes:
A post coupling part 121 connected to the post part 110 and coupled to the post part 110; And
And a support rod part (126) connected to the post coupling part (121) and supporting the tie beam part (150)
I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A first upper end 127 and a second upper end 128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upper end 127,
The load shock absorber (160)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G provided in the support rod portion 126 and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28 and is movable relative to the support rod portion 126 in a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movement block unit 161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block unit 161; And
And an impact absorbing elastic body 168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and connected to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and elastically presses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portion 161,
The up-and-down moving block unit 161,
An upper body portion 162 forming a beam insertion groove 164 into which the tie beam portion 150 is inserted and having a pair of side wall support arms 163 connected to side walls of the tie beam portion 150; And
And a lower body portion 166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ortion 162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167 slidably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G,
The post-engagement portion (121)
A front plate part 122 connected to the front barrel 111;
A hook portion 123 provided on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nd penetrating through a hook coupling hole FH formed in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and hooked to the front barrel portion 111;
A side plate portion 124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nd
And a fitting portion 125 provided on the side plate portion 124 and penetrating through a fitting hole formed in the side bar portion 115 and fitted into the side bar portion 115,
The hook portion (123)
A horizontal body portion 123a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portion 122; And
And a vertical body portion 123b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ody portion 123a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late portion 122,
The fitting portion (125)
A coupling body portion 125a coupled to the side plate portion 124;
A coupl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5b formed in the coupling body 125a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body 125a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upling body 125a, 125c); And
And a pressing elastic body 125d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5b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25c and pressing the coupling shaft 125c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bar portion 115 Pallet r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166)에는, 상기 하부 몸체부(166)의 하부면에서 상기 상부 몸체부(162)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단 안착홈(UH)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 로드부(126)에는 상기 가이드 홈(G)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탄성체(168)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단 안착홈(DH)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body portion 166 is formed with an upper end seating groove 167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166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162 a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body 168 for shock absorption UH)
And a lower end seating groove (DH)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to receive the lower end of the shock absorbing elastic body (168) is provided on the support rod part (126) .
삭제delete
KR1020180154076A 2018-12-04 2018-12-04 Pallet rack KR101941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76A KR101941540B1 (en) 2018-12-04 2018-12-04 Pallet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076A KR101941540B1 (en) 2018-12-04 2018-12-04 Pallet 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540B1 true KR101941540B1 (en) 2019-01-23

Family

ID=6528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076A KR101941540B1 (en) 2018-12-04 2018-12-04 Pallet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4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047B1 (en) * 2023-04-11 2023-10-13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allet rack
KR102598218B1 (en) * 2022-11-17 2023-11-03 주식회사 설택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KR102665793B1 (en) * 2023-12-29 2024-05-13 (주)빌딩닥터엔지니어링 Structure for preventing chain collapse of industrial rack structures
KR102673784B1 (en) * 2023-05-11 2024-06-10 한현구 Material storage ra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36U (en) 2007-07-25 2009-02-02 주식회사 한국랙스 . A Structure Pallet
KR101115753B1 (en) * 2011-08-16 2012-03-06 윤상근 Structure of high stack rack
KR101252527B1 (en) * 2011-12-30 2013-04-12 정다영 Shock absorbers of cable tray for earthquake-proof
KR101374786B1 (en) * 2013-04-26 2014-03-17 주식회사 한국랙스 Logistics warehouse for rack structure
KR101585715B1 (en) * 2013-10-21 2016-01-15 주식회사 포스코 Fixing bolt for connecting chan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36U (en) 2007-07-25 2009-02-02 주식회사 한국랙스 . A Structure Pallet
KR101115753B1 (en) * 2011-08-16 2012-03-06 윤상근 Structure of high stack rack
KR101252527B1 (en) * 2011-12-30 2013-04-12 정다영 Shock absorbers of cable tray for earthquake-proof
KR101374786B1 (en) * 2013-04-26 2014-03-17 주식회사 한국랙스 Logistics warehouse for rack structure
KR101585715B1 (en) * 2013-10-21 2016-01-15 주식회사 포스코 Fixing bolt for connecting chan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18B1 (en) * 2022-11-17 2023-11-03 주식회사 설택 Bracket for Load Beam Combination of Pallet-Rack
KR102589047B1 (en) * 2023-04-11 2023-10-13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allet rack
KR102673784B1 (en) * 2023-05-11 2024-06-10 한현구 Material storage rack
KR102665793B1 (en) * 2023-12-29 2024-05-13 (주)빌딩닥터엔지니어링 Structure for preventing chain collapse of industrial rack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40B1 (en) Pallet rack
US20140102339A1 (en) Pallet
KR20120114264A (en) Pallet rack, pallet rack unit, and container provided with pallet racks
KR200464149Y1 (en) Pallet loading rack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KR101334141B1 (en) Rack coupling damper system for vibration control of lightweight-framed storage racking structure
KR101890411B1 (en) Pallet support frame for pallet rack
KR20200016022A (en) A fastening frame for pallet rack connection
KR200452851Y1 (en) Multi-floor Rack unit
KR100776531B1 (en) Pallet lack road empty combination bracket and his manufacturing method
KR200496670Y1 (en) Assembling rack for use in warehouse
CN213706590U (en) Transportation rack for columnar materials
JP6603735B2 (en) Rack and storage system with pallet function
JP3112499U (en) Assembly container and assembly container unit
KR101010705B1 (en) Box type pallet assembly
JP6074983B2 (en) Fall prevention member and storage shelf
KR101416703B1 (en) Storage racking system with down-aisle vibration damping function
JP3242970U (en) nesting rack
KR101571536B1 (en) Container
CN220663238U (en) Pressure-bearing mechanism for plastic tray
CN219097284U (en) Tray structure
CN218878314U (en) Storage shelf for silica gel foaming board
CN216569086U (en) Steel laminate for goods shelf
CN215399970U (en) Plastic tray
CN213893343U (en) Turnover case for commodity circulation with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