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01B1 -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01B1
KR101940201B1 KR1020177024256A KR20177024256A KR101940201B1 KR 101940201 B1 KR101940201 B1 KR 101940201B1 KR 1020177024256 A KR1020177024256 A KR 1020177024256A KR 20177024256 A KR20177024256 A KR 20177024256A KR 101940201 B1 KR101940201 B1 KR 10194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rider
side airbag
lin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9639A (en
Inventor
유토 고바야시
유타카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10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1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8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어깨 보호부와 가슴 보호부를 포함하고, 어깨 보호부로 어깨부를 보호하면서 충돌 상태에 따라 필요에 의해 팔부를 튀어오르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들어올리는 가슴 보호부로 가슴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사이드 에어백(1)이 좌석(2)에 설치되고 또한 비팽창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 해당 사이드 에어백의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외형 형상은, 어깨 보호부(X)에서 어깨 보호부(Y)에 이르는 중간에, 구부러짐이 변화하는 변곡 부위(C)를 가짐과 동시에, 변곡 부위에서 상방을 향하는 윗변 라인(U)과 변곡 부위에서 하방을 향하는 아랫변 라인(L)을 포함하고, 변곡 부위는 승차인(P)의 상완부(A)를 해당 상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하로 나뉘는 중심선(F)에 대하여, 어깨 보호부의 전방 또는 중심선보다도 상방에 위치되고, 아랫변 라인은 중심선에 대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교차되고, 승차인의 상완부의 하단부 위치(Au)에서 중심선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킨다.Provided is a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protect the shoulder portion with a shoulder protector and a chest protector, and can protect the chest protector with a gentle lifting portion without raising the arm portion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collision state do. When the side airbags 1 are installed on the seat 2 and are spread flat in the unexpanded state,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s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is formed in the shoulder- And a lower side line (L) directed downward from the curved portion and having an upward curved line portion (U) upwardly directed from the curved portion and having a curved portion (C) The bent portion is positioned above the front or center line of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P, A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enter line at the lower end position Au of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어깨 보호부와 가슴 보호부를 포함하고, 어깨 보호부로 어깨부를 보호하면서 충돌 형태에 따라 적절히 가슴부를 보호 가능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 shoulder protector and a chest protector, and protects the shoulder part with a shoulder protector while protecting the chest par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type of impact.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중에는 어깨부나 상완부(Brachial)에 대한 대응을 고려한 기술이 여러모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에서는, 에어백은 후부측에 배치되고, 전개 팽창 시에 팽창용 가스의 상류측이 되는 기부(基部)와 기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본체부는 전개 팽창 시, 승차인의 어깨부 부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기부를 교차부위로 하여 기부에서 양갈래상(Bifurcate)으로 연장하고, 승차인의 가슴부와 머리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하,상 팽창부를 구비한다. 기부 내부에는 차량 내측면과 차량 외측면을 연결하는 띠상의 테더(Tether)가 배치 및 설치된다. 테더 윗변측의 상측 유로의 최소 개구 면적은 테더 아랫변측의 하측 유로의 최소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Among the side airbags for automobiles, there are many known techniques for taking measures against shoulder or brachial. In the 'airbag of th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the airbag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and includes a base portion which is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xpansion gas and a main body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when expanding and expanding.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recessed rear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cinity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during the inflated and expanded state and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to the bifurcate with the base portion intersecting, And a lower and an upper expansion part arranged on the side of the head part. A tether on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and a side of the vehicle outer surface are disposed and installed inside the base. The minimum opening area of the upper flow path on the upper side of the tether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minimum opening area of the lower flow path on the lower side of the tether.

특허문헌 2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접힌 에어백이 시트백의 차량 외측 측면에 전개 팽창 가능하게 수납된다. 에어백은 전개 팽창 시의 팽창용 가스 상류측이 되는 기부와 전개 팽창 시의 기부 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본체부는 전개 팽창 시의 기부 전방에 배치되는 하(下) 팽창부와 하 팽창부 상부와 연통하는 상(上) 팽창부를 구비한다. 에어백은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에서 상 팽창부를 하 팽창부 내에 접어넣고, 기부 상방 위치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접는 선을 만들어, 윗변측에서 기부 측으로 접근하도록 차량 내측으로 감는 내측 롤 접기로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승차인의 팔이 시트백 좌우 방향의 테두리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도 차량 외측을 향한 위치 엇갈림 을 통하여 에어백을 극력 승차인의 팔에 간섭시키지 않고 전개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2, the side airbag device is deployed so that the folded airbag is deployed on the vehicle outer side of the seatback. The airbag has a base portion that becomes the upstream side of the expansion gas at the time of inflating and expanding and a main body portion that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at the inflating and expanding. The body portion has a lower expanding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at the time of inflating and expanding and an upper expand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expanding portion. The airbag is folded and folded into an inner roll folded inwardly of the vehicle so as to approach the base side from the upper side by making a radial fold line about the base upper position while the airbag is flatly expanded have. In Patent Document 2, even if the arm of the rider is disposed near the rim of the seat back, the airbag can be deployed and expand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rm of the riding rider through the positional shift toward the vehicle exterior.

특허문헌 3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이 어깨 구속부보다 차량 전방측에서 승차인의 옆구리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승차인의 상완부가 얹히는 암 서포트 테두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이 전개 완료하여 승차인의 상완부가 에어백에 닿았을 때, 승차인의 상완부는 에어백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 암 서포트 테두리에 얹힌다. 그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차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승차인의 상완부와 가슴부의 랩 양을 저감할 수 있고, 승차인의 상완부가 승차인의 가슴부와 에어백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3, the airbag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ide of the rider's front side of the shoulder restricting portion than the shoulder restraining portion, and has an arm support frame on which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is placed. Therefore, when the airbag is deployed and the upper arm of the rider touches the airbag, the upper arm of the rider slides up along the airbag and is put on the arm support rim.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amount of lap between the upper arm and the chest of the rider can be reduced when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arm of the rider from interposing between the chest of the rider and the airbag.

특허문헌 4의 ‘사이드 에어백’은 좌석 측부에서 승차인과 도어 트림 사이에 전개 팽창하는 사이드 에어백으로서, 차량 상하 방향에서 승차인의 허리부부터 옆구리에 걸쳐 팽창 전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해당 사이드 에어백은 그 상부에서 승차인의 상완의 하측을 따르도록 차량 후방에서 차량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The side airbag of Patent Document 4 is a side airbag deployed and inflated between the rider and the door trim on the side of the seat and is formed to expand and deploy from the waist portion to the side of the rider in the vehicl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rm of the rider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특허문헌 5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어깨보다 아래의 동체를 보호하는 에어백에 의해 승차인과 차량 측벽 사이에서 승차인을 보호한다. 에어백은 대향하는 기포(基布)를 접합하여 형성된 팽창부와 입체 형상부를 가진다. 대향하는 기포는 각 주변부(周緣部)의 일부에서 서로 겹쳐진 위치에 형성되고, 팽창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접합된 한 쌍의 노치부를 가진다. 입체 형상부는 팽창부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접합된 한 쌍의 노치부에 의해 팽창부의 두께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특허문헌 5에서는 에어백이 동체의 측방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전개 중의 에어백이 승차인의 상완을 튀어오르게 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다.Th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5 protects the passenger's vehicle between the passenger's side and the vehicle's side wall by the airbag protecting the lower body below the shoulder. The airbag has an expanding portion and a three-dimensional portion formed by joining opposite base cloths. Opposing bubbles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in a part of each peripheral edge portion and have a pair of notched portions joined in a state of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portion is locat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and is formed three-dimensional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by a pair of notched portions joined. In Patent Document 5, since the airbag is deployed laterally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bag during deployment from causing the upper arm of the rider to jump.

특허문헌 6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측면 충돌 시에 좌석에 앉은 승차인과 문 사이의 공간에 전개되는 에어백과 에어백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에어백은 적어도 인플레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스가 공급되어 승차인의 어깨부 측방으로 전개하는 제1 챔버와, 제1 챔버에 공급된 가스가 공급되어 승차인의 상완부 하방으로 전개하는 제2 챔버와, 제2 챔버의 하방에 설치되어 제2 챔버에 공급된 가스가 공급되어 전개하는 제3 챔버로 구획되어 있다.Th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6 is a side airbag device having an airbag deployed in a space between a rider and a driver sitting on a seat at the time of a vehicle side collision and an inflator for supplying gas to the airbag, A second chamber which is supplied with gas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and deploys below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and a second chamber which is installed below the second chamber; And the third chamber is supplied with the gas supplied to the second chamber and is deployed.

특허문헌 7의 ‘사이드 에어백’은 팽창으로 기인하여 팔부가 가슴부를 누르는 것을 억제하면서 가슴부로 향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이드 에어백은, 전개한 상태에서 승차인의 팔부와 대향하는 팔 대향부는 오목한 형상임과 동시에 팔부를 승차인의 가슴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까지 밀어올린다.The side airbag of Patent Document 7 provides a side airbag capable of sufficiently absorbing an impact directed toward the chest while suppressing pressing of the arm portion due to expansion due to expansion, And the arms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concave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arms are pushed up to a position not overlapping the rider's chest.

특허문헌 8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먼저 사이드 에어백의 메인 백부가 승차인의 상완부의 차량 후방 측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의 어깨부, 가슴부 및 허리부와 사이드 도어 사이에 개재함과 동시에, 전개하지 않은 서브 백부가 상완부의 후면과 대향한다. 이 서브 백부는 메인 백부의 팽창 전개 완료 후의 내압 상승에 따라 에어백의 봉제부가 파단함으로써 팽창 전개하여 상완부를 밀어올린다. 이때 에어백으로부터의 힘이 상완골을 개재하여 가슴부(늑골)에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의 내압을 승차인의 늑골 내성에 의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side airbag device of Patent Document 8, in the side airbag device, the main back portion of the side airbag first inflates and deploy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i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ccupant, and the rear side airbag is deployed between the shoulder por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terposition, the unsealed sub-back part faces the back of the upper arm. The sub back part is expanded by expanding and expanding the sewing part of the airbag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ack part is increased after completion of expansion and expansion, thereby pushing up the upper arm part. At this time, since the force from the airba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chest (frame) through the humeru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can be set based on the riding resistance of the rider.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1-11406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14060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1-17146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71468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제2010-132072호 공보Patent Document 3: JP-A-2010-132072 특허문헌 4: 일본특허공개 제2013-147119호 공보Patent Document 4: JP-A-2013-147119 특허문헌 5: 일본특허공개 제2013-216211호 공보Patent Document 5: JP-A-2013-216211 특허문헌 6: 일본특허공개 제2014-88073호 공보Patent Document 6: JP-A-2014-88073 특허문헌 7: 일본특허공개 재공표 제2011-087026호 공보Patent Document 7: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87026 특허문헌 8: 일본특허공개 제2013-154786호 공보Patent Document 8: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154786

차체 문 등, 차체 측부에 대한 충돌이 있을 때에는 차체 측부가 파이는 등 변형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도어 트림 등이 차체 내부에 진입해온다. 이때 사이드 에어백이 승차인의 측방에서 전개 팽창하여 승차인 보호 기능을 발휘하는데, 상기 특허문헌 몇몇에 서술되어 있는 것처럼, 승차인의 팔부가 가슴부와 팽창한 사이드 에어백 사이에 끼여, 그 때문에 팔부가 가슴부를 눌려 가슴부가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승차인의 팔부를 들어올리는 구성의 각종 사이드 에어백이 제안되고 있다.When there is a collision against the vehicle body side such as the body of a vehicle door, the vehicle body side portion deforms due to pitting and the door trim or the like enters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the side airbag deploys and expands on the side of the rider to exhibit the ride-in protection function. As described in some of the patent documents, the arm portion of the rider is sandwiched between the chest portion and the inflated side airbag, There is a fear that the chest may be pushed to injure the chest. In order to avoid such a situation, various side airbags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rm portion of the rider is lifted are proposed.

그러나 팔부를 들어올릴 필요 없는 충돌 상황이어도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에 의해 팔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는 것은 도리어 승차인 부상값을 높이게 될 우려가 있었다. 다시 말해 완부를 튀어오르지 않도록 하여 사이드 에어백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었다.However, even in a collision situation in which the arm portion is not required to be lifted, the arm portion can be lifted due to completion of the deployment and expansion of the side airbag, which may increase the flying height of the rider. In other words, it has been sometimes desirable to protect the arm with a side airbag so as not to bounce.

또한 승차인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고, 필요에 따라 팔부가 튀어오르는 것에 의한 가슴부 보호와 어깨부 보호를 양립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드 에어백의 고안이 요망되고 있다.It is also important to protec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and it is desired to devise a side airbag capable of protecting both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chest portion by raising the arm portion if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어깨 보호부와 가슴 보호부를 포함하고, 어깨 보호부로 어깨부를 보호하면서 충돌 상황에 따라 필요에 의해 팔부가 튀어오르는 일 없이 부드럽게 들어올리는 가슴 보호부로 가슴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st protection unit which includes a shoulder protector and a chest protector and protects the shoulder while protecting the should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ide airbag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the chest portion.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좌석에 설치되고, 해당 좌석에 정상적으로 앉은 승차인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어깨 보호부와 해당 어깨 보호부 하방에서 해당 승차인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가슴 보호부를 적어도 가지고, 인플레이터 가스에 의해 해당 좌석과 해당 좌석 측방 차체 부재 사이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전개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이 상기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아 해당 사이드 에어백의,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외형 형상은 상기 어깨 보호부부터 상기 가슴 보호부에 이르는 중간에 굴곡이 변하는 변곡 부위를 가짐과 동시에, 해당 변곡 부위에서 상방으로 향하는 윗변 라인과 해당 변곡 부위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아랫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변곡 부위는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승차인의 상완부를 해당 상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하로 나뉘는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어깨 보호부의 전방 또는 해당 중심선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아랫변 라인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교차되며, 상기 승차인의 상기 상완부의 하단부 위치에서 해당 중심선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a shoulder protecting portion for protecting a shoulder portion of a rider who is normally seated in the seat and a chest protecting portion for protecting the rider's bottom portion from below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And a side airbag deployed and inflated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seat and the seat side vehicle body member by the inflator gas, wherein the side airbag is installed in the seat and is not inflated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when view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has an inflection part whose bending is changed in the middle from the shoulder protection part to the chest protection part , And the upwardly directed And a lower side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rresponding inflection point, wherein the inflection poin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as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wer side line intersects the upper sid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i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line at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전개 팽창 완료 상태에서 변위가 발생한 상기 차체 부재로 압박되어 변형을 발생하고, 해당 변형에 의해 적어도 상기 변곡 부위에서 상기 아랫변 라인에 걸치는 상기 가슴 보호부에 상향 변위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랫변 라인은 상기 변곡 부위 근방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airbags are deformed by being pushed by the body member in which the displacement has occurred in the fully expanded and inflated state and the upward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chest protection part extending at least at the inflection part to the lower side line by the deformation Do. And the lower side line may include a downwardly inclined portion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 the vicinity of the bent portion.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승차인을 상정하여 실험용 더미 인형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실험용 더미 인형의 사이즈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곡 부위는 상기 어깨 보호부의 하단부 부근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윗변 라인에는 상기 변곡 부위에 도달하는 제1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고, 상기 아랫변 라인에는 상기 변곡 부위에 도달하는 제2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ide airbag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perimental dummy doll on the assumption that the rider is the experimental dummy doll. And the bent portion is set near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Preferably, the upper side line includes at least a first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and the lower side line includes at least a second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외형 형상은 해당 사이드 에어백을 형성하는 봉제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제 라인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 볼록상으로 나타나는 능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is preferably formed by a sewing line forming the side airbag. The sewing line is preferably a ridge line which appears convex when the side airbag complete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상기 사이드 에어백 내부에는 이너백이 설치되고, 해당 이너백은 전개 팽창 시에 주요 부분이 상기 좌석 내부에 위치하도록 차체 전후 방향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백 내부에 인플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inner bag is provided in the side airbag and the inflator is arranged rear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a main part of the inner bag is located inside the seat when the inflator is inflated and the inflator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bag.

상기 이너백은 상기 승차인이 비정상 위치에 있을 때 내부에 충만되는 인플레이터 가스의 흐름을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형성되는 벤트 홀로 지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백은 차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서, 또한 하방을 향하여 차체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bag directs a flow of the inflator gas filled inside when the rider is in an abnormal position to a vent hole formed in the side airbag.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bag is formed in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n a shape extend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어깨 보호부와 가슴 보호부를 포함하고, 어깨 보호부로 어깨부를 보호하면서 충돌 형태에 따라 필요에 의해, 팔부(상완부)를 튀어오르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들어올리는 가슴 보호부로 가슴부를 보호할 수 있다.The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ulder protector and a chest protector, and protects the shoulder part with a shoulder protector, while gently lifting the arm part (upper arm part) You can protect your chest.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호적한 일 실시형태로서, 사이드 에어백이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의 문이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차체의 문이 변위된 경우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변형예로서, 사이드 에어백이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이너백을 구비한 경우의 이너백 내부 및 사이드 에어백 내부 압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a vehicle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a vehicle body when a side airbag is deployed flat on a seat without being inflated.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body does not cause the displacement, as seen from the front to 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unfolded and expanded state.
Fig. 3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ed and deflated state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1 is indicated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body is displaced, as viewed from the front to 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unfolded and expanded state.
Fig. 5 is a side view of a vehicle body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de airbag is deployed flat on a seat without being inflated.
6 is a graph showing the temporal change of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bag and the pressure of the side air bag when the inner bag shown in Fig. 5 is provided.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호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소상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사이드 에어백이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는 차체의 문이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은 경우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차체의 문이 변위된 경우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팽창 완료 상태를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airbag deployed on a seat and flatly deployed in a non-inflated state,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Fig. 2 is a side view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1 when the side airbag is fully deployed and inflated. Fig. 3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ide airbag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body is displaced, as viewed from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unfolded and expanded state of the side airbag.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에어백(1)을 구비한다. 사이드 에어백(1)은 종래 주지한 바와 같이, 차체 내부에 설치되는 좌석(2)에 수납하여 설치되고, 인플레이터 가스에 의해, 좌석(2)과 좌석 측방의 차체 부재(3), 예를 들어 문 사이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전개 팽창되어 문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에 대하여 승차인(P)을 보호한다. 인플레이터 가스는 좌석(2)에 설치 고정되고, 사이드 에어백(1)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4)에서 분출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ide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de airbag 1. The side airbag 1 is installed in the seat 2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body and is fixed to the seat 2 and the body member 3 on the side of the seat by the inflator gas, So as to protect the rider P against the impact input from the door side. The inflator gas is fixed to the seat 2 and is ejected from the inflator 4 accommodated in the side airbag 1.

사이드 에어백(1)은 그 외형 형태의 설계에 의해, 좌석(2)에 정상적으로 착좌한 승차인(P)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어깨 보호부(X)(도 중, ○를 분포시킨 범위로 나타냄)와 어깨 보호부(X) 하방에서 승차인(P)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가슴 보호부(Y)(도 중, 도트(.)를 분포시킨 범위로 나타냄)를 적어도 가지는 외에, 가슴 보호부(Y) 아래에 허리부 및 그 주변을 보호하는 허리 보호부(Z) 등을 구비한다.The side airbag 1 has a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indicated by a circle in the figure) for protecti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P who normally seated on the seat 2, And a chest protection portion Y (shown in a range in which a dot (.) Is distributed in the figure) for protecting the chest portion of the rider P from below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In addition to having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And a waist protector Z for protecting the waist and the periphery thereof.

사이드 에어백(1)은 또한 종래 주지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한 기포의 주변이 서로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주머니상으로 형성되고, 접는 등에 의한 수납 상태에서 내부에 인플레이터 가스가 충만됨으로써 전개 팽창된다.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side airbags 1 are formed by folding the peripheries of mutually opposing bubbles together by sewing or the like, and are deployed and expanded as the inflator gas is filled in the folded state.

이하에 설명하는 사이드 에어백(1)의 상세한 규정은 승차인(P)을 상정하는 실험용 더미 인형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실험용 더미 인형의 치수에 따라 설계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실험용 더미 인형으로서는 예를 들어,「Hybrid-III50th, Hybrid-III5th, Hybrid-III95th LM, BioRID-II, RID-2, SID, EuroSID-1, SID-IIs, ES-2, ES-2re, P-series, CRABI, Hy3Y0, Q3, Hy6yo, 3Y0, Pedestrian, FAA, WorldSID50th」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1)은 이들 실험용 더미 인형에 한해 규정되어 설계된 것이 아니라 모든 실형용 더미 인형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 실험용 더미 인형 각각의 치수에 따라 규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승차인(P)과 실험용 더미 인형은 동일한 의미이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de airbag 1 to be described below is applied to the case of designing an experimental dummy doll assuming a boarding passenger P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s of the experimental dummy doll. As the experimental dummy puppets, for example, "Hybrid-III50th, Hybrid-III5th, Hybrid-III95th LM, BioRID-II, RID-2, SID, EuroSID-1, SID-IIs, ES- series, CRABI, Hy3Y0, Q3, Hy6yo, 3Y0, Pedestrian, FAA, WorldSID50th "are known. However, the side airba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designed to be limited to these experimental dummy dolls but can be designed individually for each of the practical dummy dolls, and is spec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each of these experimental dummy dolls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ider (P) and the experimental dummy doll have the same meaning.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을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외형 형태는 사이드 에어백(1)을 좌석(2)에 설치 고정하고, 또한 인플레이터 가스를 충만시키는 일 없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했을 때의 하기 위치 관계로 규정된다. 따라서 사이드 에어백(1)이 인플레이터 가스에 의해 전개 팽창을 완료한 상태에 따른 위치 관계와는 상이하다.As shown in Fig. 1,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a state in which the side airbag 1 is fixed to the seat 2 and the inflator gas is not filled, And is defined by the following positional relationship when flatly deployed. Therefore, the side airbag 1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inflator gas completes the deployment expansion.

(1) 차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평평하게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1)의 외형 형상에는 변곡 부위(C)와 윗변 라인(U)과 아랫변 라인(L)이 포함된다. 윗변 라인(U)은 어깨 보호부(X)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에 위치된다. 아랫변 라인(L)은 가슴 보호부(Y)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윗변 라인(U)은 어깨 보호부(X)에 속하고 아랫변 라인(L)은 가슴 보호부(Y)에 속한다.  (1)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which is flatly deploy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the inflection portion C, 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lower side line L. The upper side line U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The lower side line L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est protection part Y. The upper side line U belongs to the shoulder protection part X and the lower side line L belongs to the chest protection part Y. [

이들 윗변 라인(U) 및 아랫변 라인(L)은 변곡 부위(C) 근방에서, 곡선상이어도 되고 직선상이어도 된다. 어깨 보호부(X)에서 가슴 보호부(Y)에 이르는 중간, 다시 말해 윗변 라인(U)의 하단과 아랫변 라인(L)의 상단이 이어진 위치에 변곡 부위(C)가 위치한다.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lower side line L may be in a curved line or in a straight line in the vicinity of the curved portion C. The curved portion C is positioned at a middle position from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to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line L are connected.

변곡 부위(C)란, 구부러짐(직선상인 경우에는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이 서로 상이한 윗변 라인(U)과 아랫변 라인(L)이, 구부러짐이 상이한(직선상인 경우에는 경사가 상이함) 상태로 연결되고, 구부러짐(경사)이 극단적으로 변화하여 연속되는 부분을 말한다. 윗변 라인(U)은 변곡 부위(C)에서 어깨 보호부(X)의 앞 테두리로서 상방을 향하고, 아랫변 라인(L)은 변곡 부위(C)에서 가슴 보호부(Y)의 앞 테두리로서 하방을 향한다.The curved portion C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lower side line L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bending (inclin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ase of a straight li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of being bent , And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bending (inclination) is changed by extreme change. The upper side line U is directed upward as the front edge of the shoulder protection part X at the inflection part C and the lower side line L is lowered as the front edge of the chest protection part Y at the inflection part C, .

(2) 승차인(P)의 상완부(A)에 대해서는, 변곡 부위(C)는 다음과 같은 위치된다. 상완부(A)란 어깨 관절부터 팔꿈치 관절까지의 팔 부분을 뜻하고, 그 길이 방향이란 어깨 관절부터 팔꿈치 관절로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완부(A)에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해당 상완부(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선(F)이 상정되고, 이 중심선(F)을 기준으로 상완부(A)가 상향면 측(As)과 하향면 측(At)으로 분리된다.  (2) For the upper arm (A) of the rider (P), the bent portion (C) is positioned as follows. The upper arm (A) refers to the arm portion from the shoulder joint to the elbow join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from the shoulder joint to the elbow joint. It is assumed that a center line F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A is assumed on the upper arm portion A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upper arm portion A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s and the lower surface side At.

차량 전후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변곡 부위(C)는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어깨 보호부(X)의 전방, 또한 중심선(F)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변곡 부위(C)는 어깨 보호부(X)로 보호되는 승차인(P)의 어깨부보다도 전방이며, 승차인(P)의 상완부(A)의 상향면 측(As)에 대하여, 차체의 차폭 방향 측방과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The bent portion C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located forward of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and above the center line F when view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inflection portion C is located forward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P to be protected by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s of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3) 승차인(P)의 상완부(A)에 대하여, 아랫변 라인(L)은 다음과 같이 위치한다. 아랫변 라인(L)은 중심선(F)에 대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교차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아랫변 라인(L)은 승차인(P)의 상완부(A)의 상향면 측(As)에서 하향면 측(At)으로 경과하도록 하고, 상완부(A)에 대하여 차체의 차폭 방향 측방과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아랫변 라인(L)은 승차인(P)의 상완부(A)의 하단부 위치(팔꿈치 관절 위치)(Au)인, 중심선(F)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아랫변 라인(L)은, 팔꿈치 관절 위치에서는 상완부(A) 아래로 잠복 가능하게 위치된다. (3) With respect to the upper arm (A) of the rider (P), the lower side line (L) is positioned as follows. The lower line L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 from above. Therefore, the lower side line L passes from the upper face side As to the lower face side At of the upper arm part A of the rider P, . The lower side line L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enter line F which is the lower end position (elbow joint position) Au of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lower line L is latently located below the upper arm (A) at the elbow joint position.

변곡 부위(C)는 어깨 보호부(X)에 의한 어깨 보호 작용과, 후술하는 가슴 보호부(Y)의 상향 변위에 따른 상완부(A)를 들어올리는 거동이 상호 방해하지 않도록, 어깨 보호부(X)의 하단부 부근에 설정된다. The shoulder protector (X) prevents the shoulder protector (X) from flexing and the shoulder protector (X) so that the upward movement of the chest protector (Y) X).

본 실시형태에서는 윗변 라인(U)에는 변곡 부위(C)에 도달하는 제1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고, 아랫변 라인(L)에는 변곡 부위(C)에 도달하는 제2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며, 이것에 의해 변곡 부위(C)가 구부러지는 변화, 곡률 반경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변곡 부위(C) 주변에 따른 원활한 팽창 형태가 확보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ide line U includes at least a first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C, and the lower side line L includes at least the second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C,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portion C changes. As a result, a smooth expansion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curved portion C is secured.

사이드 에어백(1)을 차폭 방향에서 본 외형 형태로서, 아랫변 라인(L)과 연결된 차체의 상하 방향 하방이나 차체의 전후 방향 후방은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되고, 윗변 라인(U)과 연결된 차체의 상하 방향 상방에는 적어도 승차인(P)의 어깨부 및 그 주변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어깨 보호부(X)가 형성된다. 어깨 보호부(X)의 상단은 승차인(P)의 턱 하방부터 어깨부 상단까지 사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airbags 1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such that the side airbags 1 are viewed from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line L or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appropriately formed, At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P and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are formed in a shape expa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should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is set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rider P and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portion.

일례로 실험용 더미 인형(WorldSID50th) 부위로 설명하면, 변곡 부위(C)는 어깨 리브(5)와 어퍼 가슴 리브(6) 사이로서, 어퍼 가슴 리브(6)의 차체 전후 방향 전단보다도 차체 후방 측에 위치되고, 아랫변 라인(L)은 어깨 리브(5)와 어퍼 가슴 리브(6) 사이에서, 상완부(A)의 하단부 위치(Au)에서 중심선(F) 아래와 해당 하단부 위치(Au)의 하방 부근 사이까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inflection part C is located between the shoulder rib 5 and the upper breast rib 6, and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breast rib 6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And the lower side line L is located between the shoulder rib 5 and the upper breast rib 6 under the center line F from the lower end position Au of the upper arm portion A and below the lower end position Au Is set to a value between.

아랫변 라인(L)의 상세한 설명에는 변곡 부위(C) 근방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볼록상으로서, 상완부(A)를 따라 하향 경사부(7)를 포함한다. 하향 경사부(7)는 상완부(A)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시에 상완부(A)의 하단부 위치(팔꿈치 관절 위치)(Au)에서 상완부(A) 아래로 잠복 가능해지고, 아랫변 라인(L)의 잠복 거동을 원활하게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ower side line L includes a downwardly inclined portion 7 along the upper arm portion A as a convex shape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 the vicinity of the inflection portion (C). Since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7 is provided along the upper arm portion A, it can be latched under the upper arm portion A from the lower end position (elbow joint position) Au of the upper arm portion A when the side airbag 1 is deployed And smoothes the latent behavior of the bottom line (L).

사이드 에어백(1)은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을 좌석(2)에 설치한 상태로 팽창하지 않고 또한 접기 전 상태인 해당 사이드 에어백(1)이 점하는 위치에 대하여,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가스의 충만에 따라 전개 팽창하고, 약간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 측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다음 사이드 에어백(1)은 문 등의 차체 부재(3)에 발생하는 변위로 전체가 상방으로 밀려올라간다. 그러므로 상기 (1) ~ (3)의 규정에서는 사이드 에어백(1)을 좌석(2)에 설치한 상태로 팽창하지 않고 또한 접히기 전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로 해당 사이드 에어백(1)이 점하는 위치에 대하여, 사이드 에어백(1)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The side airbag 1 does not inflate in a state where the side airbag 1 is installed on the seat 2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 As shown by the chain double-dashed line, tends to expand and inflate in accordance with the fullness of the inflator gas, and to move slightly forward and backward of the vehicle body. Then, the side airbags 1 are pushed upward by the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vehicle body member 3 such as a door.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1) to (3), the side airbag 1 is not inflated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seat 2, The shape of the side airbag 1 is set.

이와 같이 설정되는 전개하지 않은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1)의 외주 형상에 의해, 상술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1)의 외형 형상이 상기 규정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described above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by the outer shape of the unfolded side airbag 1 set as described above.

사이드 에어백(1)의 외형 형상은 사이드 에어백(1)을 형성하는 봉제 라인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특단의 구조를 첨가하는 일 없이,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1)의 외형 형상이 상기 규정을 만족시키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is formed by a sewing line forming the side airbag 1. Thus,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without adding any particular structure.

사이드 에어백(1)은 두께 방향(차체의 차폭 방향)으로 압압되면, 납작하게 눌린 변형이 발생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가 발생한 문 등의 차체 부재(3)가 차체의 차폭 방향으로 차체 내부를 향하여 진입하면, 사이드 에어백(1)은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와 승차인(P) 사이가 압박되고, 해당 사이드 에어백(1)에는 차체의 상하 방향 상방으로 밀려올라가면서(도 3 중, 화살표 D1 참조) 납작하게 눌리는 변형이 발생한다. When the side airbags 1 ar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flat pressed deformation occurs. As shown in Fig. 4, when the vehicle body member 3, such as the door where the displacement occurs, enters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side airbag 1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3, P is pressed against the side airbag 1 and the side airbag 1 is push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ee arrow D1 in FIG.

이 변형에 의해 적어도 변곡 부위(C)부터 아랫변 라인(L)에 걸치는 가슴 보호부(Y)에 상향 변위가 발생한다(도 3 중, 화살표 D2 참조). This deformation causes an upward displacement in at least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extending from the inflection portion C to the lower side line L (see arrow D2 in Fig. 3).

사이드 에어백(1)의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상술한 외형 형상은 봉제 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봉제 라인은 사이드 에어백(1)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 사이드 에어백(1)의 주변을 따라 바깥을 향해 볼록상으로 나타나는 능선(8)을 형성한다. 즉 봉제 라인이,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팽창 완료시에 볼록상으로 나타나는 능선(8)이다.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1 in front of and behind the front body is formed by a sewing line and the sewing lin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ide airbag 1 when the side airbag 1 complete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Thereby forming a ridge line 8 which is convex outward. That is, the sewing line is a ridgeline 8 which appears convex when the side airbag 1 is inflated.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1)은 차량 충돌 시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가스에 의해 승차인(P)의 측방으로 승차인(P)과 문 등의 차체 부재(3) 사이에 전개 팽창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ide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2, the side airbag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arranged between the rider P and the vehicle body 3 such as the door, laterally of the rider P by the inflator gas, It can expand and expand.

사이드 에어백(1)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의 차체 내부에의 진입이 얕을 경우에는 사이드 에어백(1)을 납작하게 누르는 압박이 사이드 에어백(1)에 더해지지 않는다. When the side airbags 1 are inflated and the vehicle body such as a door trim or the like enters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side airbags 1 are inflated, the side airbags 1 are pressed against the side airbag 1 Not added.

사이드 에어백(1)에, 압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슴 보호부(Y)의 아랫변 라인(L)은 승차인(P)의 상완부(A) 아래로 근소하게 잠복하고, 사이드 에어백(1)의 가슴 보호부(Y)는 그 일부가 승차인(P)의 상완부(A)를 하방에서 지지하거나 혹은 근소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변곡 부위(C)보다도 상방의 윗변 라인(U)을 포함하는 어깨 보호부(X)는 승차인(P)의 어깨부를 측방(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덮어 보호할 수 있다. The lower side line L of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is slightly latent below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and the side airbag 1 is slightly latched under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when the side airbag 1 is not deformed by compression, A part of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of the airbag 1 can support or slightly lift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occupant P from below.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including the upper side line U upper than the inflection portion C can cover and protec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P from the sid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한편으로, 사이드 에어백(1)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가 차체 내부에 깊이 진입했을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을 납작하게 누르는 압박이 사이드 에어백(1)에 가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body member 3 such as a door trim deeply enters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side airbag 1 complete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ide airbag 1 A flat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airbag 1.

사이드 에어백(1)은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로 압박되어 변형되면, 차체의 상하 방향 상방으로 밀려올라가게 되고(화살표 D1 참조), 변형 부위(C)부터 아랫변 라인(L)에 걸치는 가슴 보호부(Y)에 상향 변위가 발생한다(화살표 D2 참조). 아랫변 라인(L)은 상향 변위에 의해 승차인(P)의 상완부(A) 아래로 잠복할 뿐만 아니라 상완부(A)를 상방으로 순간적으로 튀어오르게 하는 일 없이 승차인(P)의 어깨부 높이 위치 정도까지 밀려올리고, 게다가 부드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들어올리는 동작에서는 아랫변 라인(L)의 하향 경사부(7)에 의해 상완부(A)를 튀어오르게 하는 일 없이 해당 아랫변 라인(L)의 잠복 거동이 원활하게 되고, 원활하고 확실하게 상완부(A)를 밀어올릴 수 있다. When the side airbag 1 is pushed and deformed by the vehicle body member 3 such as a door trim or the like, the side airbag 1 is push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ee arrow D1) An upward displacement occurs in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see arrow D2). The lower side line L not only lie under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by the upward displacement but also prevent the lower side of the shoulder portion P of the rider P from suddenly bouncing upward It can be pushed up to the position, and can be lifted smoothly. In the lifting operation,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7 of the lower side line L does not cause the upper arm portion A to bounce, and the latched behavior of the lower side line L becomes smooth, (A) can be pushed up.

상완부(A)가 튀어올라가면 전개 팽창 중인 사이드 에어백(1)이 차체 부재(3)에 눌리면서 승차인(P)의 가슴부 측면에 직접 닿아 해당 가슴부에 대미지가 가해질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이 상완부(A)의 부드럽게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승차인(P)의 상완부(A)가 가슴부에 눌려지게 되는 일이 없어지고, 또한 사이드 에어백(1)이 닿는 일도 없어지며, 가슴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변곡 부위(C)보다도 상방의 윗변 라인(U)을 포함하는 어깨 보호부(X)는 도어 트림 등의 차량 부재(3)의 진입이 얕은 경우와 동일하게, 승차인(P)의 어깨부를 측방(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덮어 보호할 수 있다. The side airbag 1 being inflated and deployed pushes against the body member 3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chest of the rider P so that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chest portion is increased,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is not pressed against the chest portion by the gentle lifting operation of the side airbag 1 and the side airbag 1 is not touched,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X including the upper side line U upper than the inflection portion C is formed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P is sideways as in the case where the entry of the vehicle member 3 such as a door trim is shallow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의 차체 내방으로의 진입이 많고, 상완부(A)를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한 충돌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1)이 눌려 변형량이 많은 것을 이용하여, 적어도 변곡 부위(C)부터 아랫변 라인(L)에 걸치는 가슴 보호부(Y)에 발생하는 상향 변위에 의해, 아랫변 라인(L)에 의해 바람직하게 승차인(P)의 상완부(A)를 밀려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 트림 등의 차체 부재(3)의 차체 내방으로의 진입이 적고, 상완부(A)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는 충돌 형태에서는 아랫변 라인(L)이 승차인(P)의 상완부(A) 아래 주변에 배치 가능하다고 하는 위치 관계를, 사이드 에어백(1)에 대하여 규정하고, 덧붙여 윗변 라인(U)을 어깨 보호부(X)로 승차인(P)의 어깨부를 상시 보호 가능하도록 사이드 에어백(1)에 규정하며, 또한 변곡 부위(C)에 의해 윗변 라인(U)과 아랫변 라인(L)을 사이에 두도록 하고, 윗변 라인(U) 측의 어깨 보호부(X) 및 아랫변 라인(L) 측의 가슴 보호부(Y)의 승차인 보호 작용이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하며, 충돌 상태에 따라 필요에 따른 상완부(A)를 들어올림으로써 가슴부 보호와 어깨 보호부(X)에 의한 어깨부 보호를 양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ul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airbags 1 are provided in the collision type in which the body member 3 such as a door trim enters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upper arm portion A is lifted. The upper side line L is preferably used by the upper side line L due to the upward displacement generated in at least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Y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C to the lower side line L, It is possible to push up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upper arm portion P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side line A from being tilted in the collision type in which the body member 3, The side airbag 1 is provided with a positional relation that the rear wheel side L can be disposed around the upper arm portion A of the rider P with respect to the side airbag 1 while the upper side line U is straddled by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Can protect the shoulder part of phosphorus (P) at all times 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lower side line L are placed between the upper side line U and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on the side of the upper side line U,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rider of the lower side line L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arm portion A is lifted according to the collision state so that the protection of the chest portion and the shoulder portion X ) Can be compatible with the shoulder portion.

사이드 에어백(1)은 전개 팽창 완료 상태에서 변위가 발생한 문 등의 차체 부재(3)로 압박되어 변형이 발생하고, 적어도 변곡 부위(C)부터 아랫변 라인(L)에 걸치는 가슴 보호부(Y)에 상향 변위가 발생하므로, 차체 부재(3)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1)의 압박 상태에 의해, 상완부(A)를 들어올리는지 아닌지 여부를 제어하고, 불필요하게 상완부(A)가 튀어오르게 하지 않고 필요한 충돌 상태에서만 상완부(A)를 들어올릴 수 있다. The side airbag 1 is pressed by the vehicle body 3 such as a door where a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fully expanded and inflated state and deformed so that at least the chest protection part Y extending from the inflection part C to the lower side line L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upper arm portion A is lifted by the pressing state of the side airbag 1 by the body member 3 so that the upper arm portion A is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bounced The upper arm (A) can be lifted only in a necessary collision state.

아랫변 라인(L)은 변곡 부위(C) 근방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부(7)를 포함하므로, 상완부(A) 아래로 잠복 가능한 아랫변 라인(L)의 잠복 거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lower side line L includes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7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 the vicinity of the curved portion C, the latent behavior of the lower side line L capable of being latched down below the upper arm portion A is smooth .

사이드 에어백(1)은 승차인을 상정하는 실험용 더미 인형을 대상으로 하고, 해당 실험용 더미 인형의 치수에 따라 설계되므로, 모든 실험용 더미 인형 각각의 외형 치수에 따라서, 상기 (1) ~ (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이드 에어백(1)을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험용 더미 인형 중, WorldSID50th에 적합하도록 하면 보다 많은 정황에 대하여, 적절히 승차인 구속 성능을 얻을 수 있다. The side airbags 1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s of the experimental dummy dolls assuming the rider and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external dimensions of each of the experimental dummy dolls, The side airbags 1 that satisfy the conditions can be manufactured. Preferably, among the experimental dummy dolls, if it is adapted to the WorldSID 50th, restraint performance can be appropriately obtained for more circumstance.

변곡 부위(C)는 어깨 보호부(X)의 하단부 부근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어깨 보호부(X)에 의한 어깨부 보호 작용과 가슴 보호부(Y)의 상향 변위에 따른 상완부(A)를 들어올리는 거동이 상호 방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is provided with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X and the upper arm portion A due to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chest protecting portion Y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fering with the raising behavior.

윗변 라인(U)에는 변곡 부위(C)에 도달하는 제1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고, 아랫변 라인(L)에는 변곡 부위(C)에 도달하는 제2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변곡 부위(C)가 구부러지는 변화, 곡률 반경의 변화로 이어지고, 변곡 부위(C) 주변에 따른 원활한 팽창 형태를 확보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side line U includes at least the first curve reaching the curved portion C and the lower side line L includes at least the second curve reaching the curved portion C, And the curvature radius,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mooth inflation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curved portion C.

사이드 에어백(1)의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외형 형상은 팽창하지 않은 상태의 접기 전 상태로 설계된다. 사이드 에어백(1)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는 봉제 라인에 의해 볼록상으로 나타나는 능선(8)으로 외형 형상이 규정된다.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s 1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is designed to be in a state before inflated and in a non-inflated state. When the side airbag 1 completes the unfolding and expansion, the outline shape is defined by the ridgeline 8 appearing convexly by the sewing line.

능선(8)은 사이드 에어백(1)을 형성하는 봉제 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개 팽창 완료 후의 형상도 어느 정도 예측되므로 사이드 에어백(1)의 적확한 설계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ridgeline 8 is formed by the sewing line forming the side airbag 1 and the shape after completion of the expansion and expansion in the state of not being inflated is also predicted to some ext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design and manufacture the side airbag 1 accurately .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내부에 이너백(9)이 설치된다. 도 5는 사이드 에어백이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은 이너백을 구비했을 경우의 이너백 내부 및 사이드 에어백 내부 압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5 and 6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vehicular 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inner bag 9 is provided inside the side airbag.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ide airbag when the side airbag is deployed flat on the seat and in a non-inflated state, Fig. 6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hen view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temporal change of the internal pressure. Fig.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백(9)은 사이드 에어백(1)을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과 후방으로 나눈 경우에, 많은 부분이 후방측의 좌석(2) 내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의 전후 방향 후방에 배치하고, 사이드 에어백(1) 내부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1)을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side airbag 1 is divided in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the inner bag 9 is positioned such that a large part of the side airbag 1 is located inside the seat 2 on the rear side, And is installed in the side airbag 1. As a result, the side airbag 1 can be deployed more safely and stably.

이너백(9)도 사이드 에어백(1)과 동일하게, 대향하는 기포의 주변이 서로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주머니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인플레이터 가스가 충만됨으로써 전개 팽창된다. 인플레이터(4)는 이너백(9) 내부에 설치된다. Like the side airbag 1, the inner bag 9 is formed by folding the periphery of the opposing bubbles together by sewing or the like, and is expanded and expanded as the inflator gas is filled in the inner bag 9. The inflator (4)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bag (9).

이너백(9)에는 내압이 높아지면 개방되고, 이너백(9) 내부와 사이드 에어백(1) 내부를 연통하는 벤트 밸브(10)가 설치되며, 이너백(9)에 도입된 인플레이터 가스가 시간 지연으로 사이드 에어백(1)에 도입된다. 따라서 이너백(9)은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팽창 완료에 선행하여 전개 팽창이 완료된다. A vent valve 10 is provided in the inner bag 9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bag 9 and the inside of the side air bag 1. The inflator gas introduced into the inner bag 9 is supplied to the inner bag 9 at a time And is introduced into the side airbag 1 with a delay. Thus, the inner bag 9 completes the unfolding expansion prior to the completion of the deployment and expansion of the side airbag 1.

이너백(9)을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백 내부에서는 순간적으로 높은 이너백 내압(Q1)이 발생하고, 그 후 이너백 내압(Q1)이 점차 하강하는 한편, 사이드 에어백(1) 내부에서는 이너백 내압(Q1)보다도 낮은 사이드 에어백 내압(Q2)이 얻어진다. By providing the inner bag 9,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inner bag inner pressure Q1 is momentarily increased in the inner bag, the inner bag inner pressure Q1 is gradually lowered thereafter, The side airbag internal pressure Q2, which is lower than the inner bag inner pressure Q1, is obtained in the airbag 1.

따라서 이너백(9)의 배치 방식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시에 제대로 정상적으로 착좌하지 않은 승차인(P)에 대하여 발생하는 가해성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이너백(9)의 채용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1) 자체의 전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by virtue of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bags 9,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lfunction occurring with respect to the rider P who is not normally seated properly when the side airbag 1 is deployed. Further, the adoption of the inner bag 9 can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side airbag 1 itself.

본 변형예에서는, 이너백(9)은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팽창 시에 해당 이너백(9)의 주요 부분이 좌석 내부에 위치된다. 도시예에서는, 이너백(9)은 차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서, 또한 하방을 향하여 차체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으로 밀려나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상적으로 착좌하고 있지 않은 승차인(P)에 대한 가해성을 저감하고, 또한 좌석(2)에 착좌하고 있는 승차인(P)의 허리부 주변부터 가슴부 주변을 순간적이고 또한 적정한 내압으로 이너백(9)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inner bag 9 is positioned inside the seat when the side airbag 1 is inflated and expand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nner bag 9 has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wide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downward,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Are pushed forwar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malfunctioning of the rider P who is not seated normally and to prevent the rider P from sitting around the rider's seat 2 sitting on the seat 2 instantaneously and at an appropriate internal pressure It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bag 9.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백(9)의 벤트 밸브(10)는 승차인(P)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 내부에 충만되는 인플레이터 가스의 흐름을 사이드 에어백(1)에 형성되는 벤트 홀(11)에 지향(指向)시키도록 형성된다. 벤트 홀(11)은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팽창 완료 후에 인플레이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5, when the occupant P is in an abnormal position, the vent valve 10 of the inner bag 9 inflows the flow of the inflator gas filled in the ventilator 10 into the vent hole 10 formed in the side airbag 1, (Directing) the light to the light source 11. The vent hole 11 is provided to release the inflator gas after completion of the inflation and expansion of the side airbag 1.

벤트 밸브(10)로부터의 인플레이터 가스의 흐름을 벤트 홀(11)에 지향시킴으로써, 단적으로는 벤트 밸브(10)를 벤트 홀(11)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등, 이너백(9)에서 벤트 밸브(10)를 개재하여, 사이드 에어백(1)으로 유입하는 인플레이터 가스를 벤트 홀(11)에서 즉시 직접 방출 가능하고, 사이드 에어백(1)의 전개 팽창력을 약하게 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승차인(P)에 대하여 사이드 에어백(1)의 구속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The vent valve 10 may be disposed so as to face the vent hole 11 by directing the flow of the inflator gas from the vent valve 10 to the vent hole 11. In this case, The inflator gas flowing into the side airbag 1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directly from the vent hole 11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he front airbag 10 and the side airbag 1 and the deployment inflating force of the side airbag 1 can be weakened, It is possible to avoid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side airbags 1 is excessively applied to the side airbag P.

사이드 에어백(1) 내부에 이너백(9)을 내장한 변형예라고 해도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vehicle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even in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inner bag 9 is incorporated in the side airbag 1.

이상으로 서술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기타 실시형태예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및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소상한 부품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 명세서 중에 이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vehicle side airbag apparatus i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and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iz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small-size imag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unless otherwise stated.

1 사이드 에어백
2 좌석
3 차체 부재
4 인플레이터
7 하향 경사부
8 능선
9 이너백
11 벤트 홀
A 승차인의 상완부
Au 상완부의 하단부 위치
C 변곡 부위
D2 상향 변위
F 중심선
L 아랫변 라인
P 승차인
U 윗변 라인
X 어깨 보호부
Y 가슴 보호부
1 side airbag
2 seats
3 body member
4 Inflators
7 Downward slope part
8 ridges
9 Inner Bags
11 vent hole
A rider's upper arm
Lower end of Au upper arm
C flexion area
D2 upward displacement
F centerline
L bottom line
P rider
U upper line
X shoulder protection
Y Chest Protector

Claims (11)

좌석에 설치되어, 해당 좌석에 정상적으로 착좌한 승차인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어깨 보호부와, 해당 어깨 보호부 하방에서 해당 승차인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가슴 보호부를 적어도 가지고, 인플레이터 가스에 의해 해당 좌석과 해당 좌석 측방의 차체 부재 사이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전개 팽창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이 상기 좌석에 설치되고 또한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평평하게 전개되었을 때,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아 해당 사이드 에어백의,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에 있어서의 외형 형상은 상기 어깨 보호부부터 상기 가슴 보호부에 이르는 중간에, 구부러짐이 연속하여 변화하여 원활한 팽창상태를 확보하는 변곡 부위를 가짐과 동시에, 해당 변곡 부위에서 상방을 향하는 윗변 라인과 해당 변곡 부위에서 하방을 향하는 아랫변 라인을 포함하고,
차체의 폭방향에서 보아, 상기 승차인의 상완부에 그 상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하로 나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완부가 상향면 측과 하향면 측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변곡 부위는, 차체의 차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어깨 보호부의 전방 및 해당 중심선보다도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상완부의 상기 상향면 측에, 차체의 폭방향으로부터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아랫변 라인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교차되고, 상기 상완부의 상기 상향면 측으로부터 상기 하향면 측으로 경과하도록 하고, 상기 상완부에 차체의 폭방향의 측방으로부터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승차인의 상기 상완부의 하단부 위치인 팔꿈치 관절 위치에서 해당 중심선보다도 하측이며 상기 승차인의 팔꿈치 관절 위치보다 차체의 전후 방향 후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팽창 전개시에, 상기 아랫변 라인이 상기 승차인의 팔꿈치 관절 위치에서는 상기 상완부의 아래로 잠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At least a shoulder prot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at for protecti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rider who normally seated in the seat and a chest protecting portion for protecting the rider's chest portion below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And a side airbag deployed and inflated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vehicle body members on the side of the seat,
When the side airbags are deployed flat on the seat and are not inflated,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s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n upper side line extending upward from the bent portion and a lower side line directed downward from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bent portion has a bent portion that continuously changes in flexion to secure a smooth expansion state,
The upper arm por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face side and a lower face side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tha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rm portion and divides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rider as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bent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and above the center line of the shoulder prot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s view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face side of the upper arm portion from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lower side line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to extend from the upper face side of the upper arm portion to the lower face side and adjacent to the upper arm portion from th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body, The lower end of the upper arm of the rider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enter line at the elbow joint position and is positioned behind the elbow joint position of the rid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side airbag is configured to be able to latently beneath the upper arm portion at an elbow joint position of the rider when the inflated and deployed inflated lower airbag is deplo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전개 팽창 완료 상태에서 변위를 발생시킨 상기 차체 부재로 압박되어 변형을 발생시키고, 해당 변형에 의해 적어도 상기 변곡 부위에서 상기 아랫변 라인에 걸치는 상기 가슴 보호부에 상향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airbags are pressed by the body member that caused the displacement in the fully expanded and inflated state to cause deformation, and the upward deformation occurs at least in the chest prot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to the lower side line by the deformation Side airbag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변 라인은 상기 변곡 부위 근방에서 차체의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side line includes a downwardly inclined portion towar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 the vicinity of the bent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승차인을 상정하는 실험용 더미 인형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실험용 더미 인형의 치수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ide airbags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s of the experimental dummy doll for the experimental dummy doll assuming the ri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 부위는 상기 어깨 보호부의 하단부 부근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inflection portion is set near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protection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윗변 라인에는 상기 변곡 부위에 도달하는 제1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고, 상기 아랫변 라인에는 상기 변곡 부위에 도달하는 제2 곡선이 적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side line includes at least a first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and the lower side line includes at least a second curve that reaches the curved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기 외형 형상은 해당 사이드 에어백을 형성하는 봉제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uter shape of the side airbag is formed by a sewing line forming the side airba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라인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 팽창을 완료했을 때, 볼록상으로 나타나는 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wing line is a ridge appearing convexly when the side airbag completes the expansion and expans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 내부에는 이너백이 설치되고,
해당 이너백은 전개 팽창 시에 주요 부분이 상기 좌석 내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의 전후 방향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백 내부에 인플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inner bag is provided inside the side airbag,
The inner bag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such that a main portion of the inner bag is located inside the seat when inflated and expanded,
And an inflator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ba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은 상기 승차인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 내부에 충만되는 인플레이터 가스의 흐름을,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형성되는 벤트 홀에 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bag directs a flow of inflator gas filled in the inflator gas to a vent hole formed in the side airbag when the rider is in an abnormal 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백은 차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이고, 또한 하방을 향하여 차체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bag is elong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formed to have a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KR1020177024256A 2015-03-30 2016-02-10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9402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343 2015-03-30
JPJP-P-2015-069343 2015-03-30
PCT/JP2016/053917 WO2016158022A1 (en) 2015-03-30 2016-02-10 Side air bag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639A KR20170109639A (en) 2017-09-29
KR101940201B1 true KR101940201B1 (en) 2019-01-18

Family

ID=5700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256A KR101940201B1 (en) 2015-03-30 2016-02-10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5703B2 (en)
EP (1) EP3279040B1 (en)
JP (1) JP6438116B2 (en)
KR (1) KR101940201B1 (en)
CN (1) CN107428304B (en)
WO (1) WO201615802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38B2 (en) 2019-12-04 2022-07-19 Hyundai Motor Company Seat-mounted airba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0493B2 (en) * 2016-10-03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device
CN109318851B (en) * 2018-12-07 2024-02-06 上海临港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Seat side airbag
EP3922517A4 (en) * 2019-02-09 2022-12-14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7059225B2 (en) * 2019-05-23 2022-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DE102020103242A1 (en) 2020-02-09 2021-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impact cushion device of a motor vehicle
JP7263648B2 (en) * 2020-03-06 2023-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CN114604195B (en) * 2020-12-09 2023-07-28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Seat side airbag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62A (en) 2002-12-19 2004-07-15 Takata Corp Side air bag
JP2013154786A (en) 2012-01-30 2013-08-15 Toyot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2013252773A (en) * 2012-06-06 2013-12-19 Toyot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2014502580A (en) * 2011-01-18 2014-02-03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eat bolster roo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819A (en) * 1980-04-07 1981-11-07 Nisshin Steel Co Ltd Hot rolling method of continuously cast ingot of single-phase ferritic stainless steel
JP3456754B2 (en) * 1994-06-14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How to deploy vehicle airbags
DE19647611A1 (en) * 1996-11-18 1998-05-20 Opel Adam Ag Airbag module, especially for protecting vehicle passenger against side impact
JP3695256B2 (en) 1999-10-18 2005-09-14 豊田合成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airbag
JP2001171468A (en) 1999-12-13 2001-06-26 Toyoda Gosei Co Ltd Side air bag device
JP2008007019A (en) * 2006-06-30 2008-01-17 Mazd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JP2010132072A (en) 2008-12-03 2010-06-17 Toyot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2010155540A (en) * 2008-12-26 2010-07-15 Toyota Motor Corp Vehicular occupant crash protector
JP4892572B2 (en) * 2009-02-12 2012-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102009014302B4 (en) * 2009-03-25 2010-11-2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JP5534708B2 (en) * 2009-04-22 2014-07-02 マツダ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folding the bag portion
JP5415222B2 (en) 2009-10-14 2014-02-1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In-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45595B2 (en) 2010-01-12 2014-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Side airbag
JP5885514B2 (en) 2012-01-18 2016-03-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Side airbag
KR101585096B1 (en) * 2012-03-14 2016-01-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Side airbag module for vehicle
JP2013216211A (en) 2012-04-09 2013-10-24 Ashimori Industry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5918621B2 (en) * 2012-05-09 2016-05-18 芦森工業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EP2860070B1 (en) * 2012-06-06 2017-03-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692190B2 (en) * 2012-09-04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JP5994570B2 (en) 2012-10-29 2016-09-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CN105517852B (en) * 2013-11-21 2018-0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Side air bag device for vehicle
WO2016013279A1 (en) * 2014-07-22 2016-01-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Side air-bag device
JP6149840B2 (en) * 2014-10-21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Far-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s
WO2016152245A1 (en) * 2015-03-23 2016-09-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Air bag device
KR101756015B1 (en) * 2016-04-21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de airbag for vehicle
KR102096535B1 (en) * 2016-05-20 2020-04-02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Side airbag device
JP6332527B2 (en) * 2017-05-31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62A (en) 2002-12-19 2004-07-15 Takata Corp Side air bag
JP2014502580A (en) * 2011-01-18 2014-02-03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eat bolster room
JP2013154786A (en) 2012-01-30 2013-08-15 Toyot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2013252773A (en) * 2012-06-06 2013-12-19 Toyota Motor Corp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38B2 (en) 2019-12-04 2022-07-19 Hyundai Motor Company Seat-mounted airba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5032A1 (en) 2018-09-20
US10625703B2 (en) 2020-04-21
CN107428304A (en) 2017-12-01
EP3279040B1 (en) 2023-11-01
JP6438116B2 (en) 2018-12-12
WO2016158022A1 (en) 2016-10-06
CN107428304B (en) 2019-10-25
JPWO2016158022A1 (en) 2018-02-08
EP3279040A1 (en) 2018-02-07
KR20170109639A (en) 2017-09-29
EP3279040A4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201B1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2614143B1 (en) Frontal airbag for vehicle and airbag deployment system using same
CN107848483B (en) Driver and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8403358B2 (en) Internal airbag device
EP1832475B1 (en) Side air bag device for vehicle
US7350811B2 (en) Side airbag apparatus
KR101241156B1 (en) Knee air-bag for a vehicle
CN105313831B (en) Airbag apparatus
KR102614144B1 (en) Airbag for table of vehicles
JP2017537025A (en) Airbag module
CN107499275A (en) Vehicle airbag installations
JP5655797B2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US11752966B2 (en) Side airbag device
KR20160035344A (en) Airbag of Vehicle
KR20200003413A (en) Side airbag device
EP2756999A1 (en) Passenger-side airbag, passenger-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JP2003226218A (en) Vehicular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19172029A (en) Air bag device for vehicle
CN109562732A (en) Seat assembly for vehicles for motor vehicles
CN116323332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WO2020174892A1 (en) Airbag device
JP6551255B2 (en) Knee airbag device
JP6281160B2 (en) Side airbag
JP2009286358A (en) Vehicular airbag device
KR100654679B1 (en) Air bag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