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137B1 -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137B1
KR101940137B1 KR1020180122886A KR20180122886A KR101940137B1 KR 101940137 B1 KR101940137 B1 KR 101940137B1 KR 1020180122886 A KR1020180122886 A KR 1020180122886A KR 20180122886 A KR20180122886 A KR 20180122886A KR 101940137 B1 KR101940137 B1 KR 10194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requirement
vehicle
production spec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2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인터페이스부;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제작 사양표와 상기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이용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제작 사양표의 PEL(Product Equipment List) 코드를 ECD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전장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소요 현황표를 옵션 리스트로 변환한 후, 상기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며, 상기 소요 현황표는 상기 제작 사양표에서 추출된 파트 넘버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되며, 상기 검증부는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APPARATUS FOR VERIFYING WIR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1대분의 어셈블리 파트 번호 및 회로 매칭성 검증을 통하여 설계 품질을 향상시키고 리워크 비용을 감소시키는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공장에서 조립되어 완성된 이후에는 그 출시 이전에 정상 동작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 절차가 수행된다. 특히, 완성 차량에 대한 테스트 항목 중에서 전장품에 들어가는 각종 회로 부품의 테스트가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세심하고 정확한 정보 입력 및 검증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완성 차량의 전장품에 대한 회로 검증 방법은, 우선 회로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접수하고, 검증을 위한 입력 자료의 가공을 수행한 다음, 작성된 입력 자료의 정합성 검증을 거친 이후, 회로 사양의 검증 및 검증 보고서의 분석을 수행한다.
전술한 과정 중, 검증을 위한 입력 자료의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접수된 기초 자료, 즉 설계요청서, 회로도, 아이템, 커넥터 리스트, 및 강제사양 정보 등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기로 입력하고, 검증 툴로 코딩하기 위한 입력 템플릿(Input Templete)을 각각 표준화하여 작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1대분에 대한 어셈블리 검증 시스템이 없고, 사용자가 용도차 품번을 수기로 검증하여 검증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7386호(2012.07.1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 1대분의 용도차에 대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비교 및 검증하고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에 따라 전체 아이템의 회로를 구성하여 회로 미연결 및 오결선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인터페이스부;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제작 사양표와 상기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이용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제작 사양표의 PEL(Product Equipment List) 코드를 ECD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전장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소요 현황표를 옵션 리스트로 변환한 후, 상기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며, 상기 소요 현황표는 상기 제작 사양표에서 추출된 파트 넘버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되며, 상기 검증부는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차량 1대분의 용도차에 대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비교 및 검증하고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에 따라 전체 아이템의 회로를 구성하여 회로 미연결 및 오결선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차량 1대분의 어셈블리 단위로 회로를 검증하여 용도차 1대당 회로 미연결 부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불용 회로 부위를 검출하여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파트 넘버 구성이 정확하더라도 인라인 간 회로 옵션 구성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사양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요 현황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화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D 레퍼런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요 현황표를 각 호차별 OPT 리스트로 변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OPT와 소요 현황표의 OPT 리스트를 1:1 비교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T 검증 완료 후 아이템별 파트 넘버로 각 호차별 회로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연결 후 미연결된 회로를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사양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요 현황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화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D 레퍼런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요 현황표를 각 호차별 OPT 리스트로 변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OPT와 소요 현황표의 OPT 리스트를 1:1 비교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T 검증 완료 후 아이템별 파트 넘버로 각 호차별 회로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연결 후 미연결된 회로를 검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인터페이스부(10) 및 검증부(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는 검증을 위한 각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후술할 검증부(30)로 전달하고, 검증부(30)로부터 검증 결과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로부터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Part Number;P/NO)를 입력받고, 이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검증부(30)에 입력한다.
여기서, 와이어 리스트는 차량의 회로 설계시의 회로 도면을 액셀로 변환한 정보이며, 이 와이어 리스트에는 옵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파트 넘버는 사양표를 리스트로 모은 정보이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는 검증부(30)의 품번 검증 결과, 예를 들어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 경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생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는 검증부(30)의 회로 검증 결과, 예를 들어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연결 여부를 출력한다. 이 경우,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연결 여부를 검증하는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검증부(30)는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입력된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업로드한다. 이어, 검증부(30)는 업로드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를 이용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고, 그 검증 결과를 인터페이스부(10)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를 이용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도를 검증한 후 그 검증 결과를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출력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검증부(30)는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와이어 리스트 및 파트 넘버를 입력받는다.
이어 검증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제작사양표 및 소요 현황표를 업로드한다. 여기서, 제작 사양표는 PEL(Product Equipment List) 코드로 구성되며, 소요 현황표는 파트 넘버로 구성된다.
제작 사양표 및 소요 현황표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에서 추출된 파트 넘버 리스트를 기초로 소요 현황표를 사전에 생성하고, 생성된 소요 현황표를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한다.
검증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로부터 제작 사양표 및 소요 현황표를 업로드함에 따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ECD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전장코드로 변환한다.
ECD 레퍼런스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대해 PEL 코드와 전장 옵션을 포함한다.
즉, 검증부(30)는 ECD 레퍼런스에 포함된 PEL 코드와 전장 옵션을 이용하여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환한다.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환함에 따라, 검증부(30)는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각 호차별로 옵션 리스트로 변환한다. 이 옵션 리스트에는 와이어 리스트가 포함된다.
도 6 에는, 차량 예를 들어 YB에 설치될 수 있는 아이템, 예를 들어 BATT(+)_KAPPA_1.0, ENG_GND, FLOOR 각각의 파트 넘버가 91850-H8040, 91860_H8140, 91500-H8620 등으로 변환된 것이 도시되었다.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옵션 리스트로 변환함에 따라, 검증부(3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의 옵션 리스트를 1:1 비교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다.
이 경우,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는데, 그 검증 결과를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가 서로 상이할 경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 중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상이한 것들만 인터페이스부(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옵션 적용 유무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후,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이용하여 호차별로 회로를 구성한다.
이어, 검증부(30)는 아이템별 파트 넘버들 토대로 구성된 회로를 인라인 커넥터로 연결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증한다.
이때, 검증부(30)는 차량 1대분의 회로 내에서,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 간의 연결 관계를 검증하는 데,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연결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아이템별 파트 넘버들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미연결 또는 오결선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아이템으로 도어와 클러스터가 포함되고 이들 도어와 클러스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할 경우, 도어의 회로(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가 클러스터의 회로(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가 서로 연결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증부(30)는 해당 도어의 회로(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가 클러스터의 회로(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가 미연결되었음을 확인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차량 1대분의 전체 회로 결선 정보를 바탕으로 #C01 호차와 #C02 호차는 인라인 커넥터가 미연결되고, #02 호차와 #C03 호차는 회로 오결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방법을 도 10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먼저 인터페이스부(10)가 사용자로부터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입력(S10)받고, 이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검증부(30)에 입력한다.
이어, 검증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업로드한다(S20).
소요 현황표는 제작 사양표에서 추출된 파트 넘버 리스트를 기초로 사전에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증부(30)는 데이터베이스부(20)로부터 제작 사양표 및 소요 현황표를 업로드함에 따라, ECD 레퍼런스에 포함된 PEL 코드와 전장 옵션을 이용하여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환한다(S30).
제작 사양표의 PEL 코드를 전장 코드로 변환함에 따라, 검증부(30)는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각 호차별로 옵션 리스트로 변환한다(S40).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옵션 리스트로 변환함에 따라,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의 옵션 리스트를 1:1 비교(S50)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다.
이 경우,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는데, 그 검증 결과를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증부(30)는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가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 중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상이한 것들만 인터페이스부(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옵션 적용 유무를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증부(30)는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이용하여 호차별로 회로를 구성한다(S60).
이어, 검증부(30)는 아이템별 파트 넘버들 토대로 구성된 회로를 인라인 커넥터로 연결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증한다.
이때, 검증부(30)는 차량 1대분의 회로 내에서,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 간의 연결 관계를 검증하는 데, 아이템별 파트 넘버를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연결 여부를 검출(S70)함으로써, 아이템별 파트 넘버들 토대로 구성된 회로의 미연결 또는 오결선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차량 1대분의 용도차에 대한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비교 및 검증하고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에 따라 전체 아이템의 회로를 구성하여 회로 미연결 및 오결선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1대분의 어셈블리 단위로 회로를 검증하여 용도차 1대당 회로 미연결 부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불용 회로 부위를 검출하여 제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는 파트 넘버 구성이 정확하더라도 인라인 간 회로 옵션 구성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인터페이스부
20: 데이터베이스부
30: 검증부

Claims (1)

  1. 인터페이스부;
    제작 사양표와 소요 현황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와이어 리스트와 파트 넘버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제작 사양표와 상기 소요 현황표의 파트 넘버를 이용하여 차량 1대분의 회로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 1대분의 회로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제작 사양표의 PEL(Product Equipment List) 코드를 ECD 레퍼런스를 이용하여 전장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소요 현황표를 옵션 리스트로 변환한 후, 상기 제작 사양표의 와이어링 옵션 리스트와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하며,
    상기 소요 현황표는 상기 제작 사양표에서 추출된 파트 넘버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되며,
    상기 검증부는 상기 소요 현황표에 의해 변환된 옵션 리스트를 검증한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KR1020180122886A 2018-10-16 2018-10-16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KR10194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86A KR101940137B1 (ko) 2018-10-16 2018-10-16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86A KR101940137B1 (ko) 2018-10-16 2018-10-16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591A Division KR101913403B1 (ko) 2017-08-08 2017-08-08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137B1 true KR101940137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86A KR101940137B1 (ko) 2018-10-16 2018-10-16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11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라인 커넥터 검증 시스템
KR20050039348A (ko) * 2003-10-24 2005-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을 고려한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및 회로경로검증방법
KR100838802B1 (ko) * 2007-09-12 2008-06-17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방법
KR101479074B1 (ko) * 2013-07-05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정보 검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11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라인 커넥터 검증 시스템
KR20050039348A (ko) * 2003-10-24 2005-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을 고려한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및 회로경로검증방법
KR100838802B1 (ko) * 2007-09-12 2008-06-17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방법
KR101479074B1 (ko) * 2013-07-05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정보 검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45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vehicle specification
KR101940137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CN105738720A (zh) 一种电子产品测试方法、设备和系统
KR20170042976A (ko)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913403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US20210019242A1 (en) Method, A Diagnosing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agnosing A Fieldbus Type Network
KR20190016469A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KR20190016470A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KR20190016468A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KR101330143B1 (ko) Can 게이트웨이 자동 테스트 방법
CN205898948U (zh) 连接线线序检测装置
US10345355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distributed wire harness test units using wire under test
CN209949113U (zh) 一种涉及射频信号的功能测试系统
KR101950270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84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81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85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83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86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9917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95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94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93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75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0274B1 (ko) 차량의 와이어링 검증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