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81B1 -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581B1
KR101939581B1 KR1020160174991A KR20160174991A KR101939581B1 KR 101939581 B1 KR101939581 B1 KR 101939581B1 KR 1020160174991 A KR1020160174991 A KR 1020160174991A KR 20160174991 A KR20160174991 A KR 20160174991A KR 101939581 B1 KR101939581 B1 KR 10193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operation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1878A (en
Inventor
은선덕
김형식
구도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7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581B1/en
Publication of KR2018007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보행 재활 훈련이 가능한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방법은, 운전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발 디딤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구동 모터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인가하여 발 디딤부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this end, the control method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operation mode, detecting a position and a velocity of a center of pressure (COP) of both passenger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detector provided in the foot step, (PWM)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driving mode, and the stepping portion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trajectory And assisting the occupant in walking by movement.

Description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보행 재활 로봇은 하지 마비나 근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환자의 재활 치료에 사용되는 로봇이다.Generally, a gait rehabilitation robot is a robot used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hose behavior is uncomfortable due to lower limbs or muscle weakness.

고령화로 인해 뇌졸중으로 인한 중추 신경계 질환의 대표 질환의 환자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환자에게서 빈번히 발생하는 하지의 운동 능력 저하로 인해 환자가 서기, 걷기, 이동 등 일상생활의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해진 환자의 재활 치료를 위한 보행 재활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추세이다.Patients with major diseases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caused by stroke due to aging are rapidly increasing. It may be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perform various daily activities such as climbing, walking, and moving due to the lowered exercise capacity of the lower limb frequently occurring in such pati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gait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patients who have inconvenient behavior is ongoing.

도 1은 종래의 보행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gait exercise device.

종래의 보행 운동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고 대칭되게 상기 지지판(30)에서 기립되어 구비된 좌우측 프레임(10, 20)과, 상지의 힘이 전달되는 손잡이(100)와, 손잡이(100) 하부에 결합된 손잡이 레버(200)의 말단과 좌우측 프레임(10, 20)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제1 손잡이 링크(300)와, 제1 손잡이 링크(3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지의 힘을 전후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2 손잡이 링크(400)와, 좌우측 프레임(10, 20)의 좌우 제2 세로바(12, 22)에 연결되는 하중 링크(500)와, 하중 링크(50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보행궤적이 구현되도록 제1 궤적 링크와 제2 궤적 링크로 구성된 궤적링크(600)와, 제1 궤적 링크와 연결되고 발의 누름으로 하지의 힘이 전달되는 발 디딤부와, 그리고 제2 손잡이 링크(400)의 말단 및 제2 궤적 링크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지 운동과 하지 운동이 계속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링크(7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보행 궤적의 구현으로 상체와 하체의 힘을 서로 보상하여 균형감 있는 보행 훈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es left and right frames 10 and 20 provided in a standing position in parallel with and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a support plate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handle link 300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handle lever 2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00 and the left and right frames 10 and 20, The second handle link 400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econd vertical bars 12 and 22 of the right and left frames 10 and 20. The second handle link 400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handle link 300 to transmit the force of the upper lim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landing link 600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ad link 500 and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ocus link and a second locus link so that a gait locus is realized; And an end of the second handle link (400) and a second locus ring Is connected between the rotation as to the upper limb movement includes a rotary link 700 to ensure that movement is performed continuously repeated. Therefore, by providing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force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walking trajectory, thereby enabling a balanced walking training.

하지만, 종래의 보행 운동 기구는, 장애인이 직접 자신의 신체 능력으로 보행 재활 훈련을 하는 수동 타입이므로, 중증의 뇌졸중 장애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명의 치료사를 필요로 한다. 즉, 중증의 뇌졸중 장애인의 경우 마비 측의 신체를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보행 재활 훈련을 하는 데 있어 여러 명의 치료사가 필요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lking exercise apparatus is a manual type in which a person with disabilities directly performs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based on his / her physical ability, so that a severely stroke disabled person needs several therapists for use. In other words, severe stroke patients have a significantly lower ability to control the paralyzed body, so several therapists are needed to practice walking rehabilitation.

또한, 중증의 뇌졸중 장애인의 경우, 보행 재활 시 반장슬(무릎의 과도한 펴짐 현상)이 발생해 무릎 관절에 부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료사의 물리력으로 반장슬을 제어해야 함으로 인해 연속적인 보행 재활 훈련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evere stroke patient, when the gait rehabilitation is performed, a half knee (excessive knee extension) occurs and the knee joint is injured. In order to prevent the injury, There is a limit to continuous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465호(등록일: 2016년 09월 26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61465 (registered on September 26, 20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으로 보행 재활 훈련이 가능한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반장슬을 억제시킬 수 있는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suppressing the half length without the help of a therapi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미리 정해진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발 디딤부를 포함하는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방법은, 운전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 발 디딤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 디딤부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gait rehabilitation robot including a foot stepping part mov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ait locus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a driv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n operation mode, Detecting a walking intention of a passeng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position and a speed of a pressure center point (COP) of both passenger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a step of applying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o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mode to assist the occupant in walking by moving the stepping part along a walking trajectory.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제1 모드이면, 상기 구동 모터에 미리 정해진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할 수 있다.If the input operation mode is the first mode, a PWM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can be constantly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제2 모드이면, 탑승자 양 발의 COP의 위치 및 속도를 기초로 구해지는 탑승자의 발목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구동 모터에 상기 계산된 발목 토크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alculate an ankle torque of a passenger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COPs of both passengers when the input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and to output the PWM signal having a duty ratio proportional to the calculated ankle torque to the drive motor Can be applied.

상기 방법은,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동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using the loads of both the passengers,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assisting the occupant when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The automatic stop condition can be satisfied if the load difference between the feet of the occupan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은,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미리 정해진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발 디딤부, 운전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발 디딤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 디딤부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stepping part mov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alking path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a driving motor, an input part receiving an operation mode, and a pressure detecting part provided in the foot stepp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walking intention of a passenger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a position and a speed of a center of pressure (COP) of both passengers of the occupant when the occupant intends to walk,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to the motor to move the stepp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walking trajectory to assist the occupant in walk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제1 모드이면, 상기 구동 모터에 미리 정해진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PWM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to the driving motor, if the input driving mode is the first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제2 모드이면, 탑승자 양 발의 COP의 위치 및 속도를 기초로 구해지는 탑승자의 발목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구동 모터에 상기 계산된 발목 토크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ankle torque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OP of both the passengers when the input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and calculates a duty ratio proportional to the calculated ankle torque The PWM signal can be appli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동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the loads of both the passengers and stop the operation of assisting the occupant when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검출하고, 보행 의도에 맞추어 보행 훈련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intention of the occupant can be detected, and the walking training can be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intention.

또한 운전 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수 등을 제어할 수 있어, 뇌졸중 장애인들의 보행 재활에 있어 환자와 치료사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힘들지 않게 자동으로 보행 재활을 할 수 있고, 환자중심의 재활 훈련으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ke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o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nd reliably perform the walking rehabilitation for both the patient and the therapist in the walking rehabilitation of the stroke disabled persons, So that the immersion feeling can be enhanced.

또한, 탑승자의 보행 의도에 맞추어 보행 재활 로봇을 자동 정지시킴으로써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r the like from occurring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occupant to walk.

도 1은 종래의 보행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보행 궤도 레일 등을 제거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링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구동 모터, 동력 전달부, 그리고 링크 유닛이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보행 재활 로봇에 반장슬 억제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반장슬 억제부에 의해 반장슬이 억제된 상태를 하나의 보행 사이클을 통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하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하퇴 고정부의 하퇴 파지부가 위치 조절되는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발 디딤부에 장착된 압력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발의 토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자동 정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gait exercise device.
2 is a schematic view of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of Fig. 2 with the gait track rail remove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unit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the drive moto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link unit i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2;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nti-restraining unit is mounted 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5;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lf slack is suppressed by a half slack suppressing unit in one walking cycle.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rear portion fixing portion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3.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ower grip portion of the lower fixed portion of FIG. 8 is adjusted.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unit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3;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detecting portion mounted on the stepping por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torque of a passenger 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stop operation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보행 궤도 레일 등을 제거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링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의 보행 재활 로봇에서 구동 모터, 동력 전달부, 그리고 링크 유닛이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otor, a power transmitting unit, and a link unit i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2.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unit among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0)를 포함하는 보행 재활 로봇으로, 프레임부(110)와, 링크 유닛(130)과, 그리고 구동 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2 to 5,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unit 110, a link unit 110, (130), and a drive motor (140). Hereinafter,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프레임부(110)는, 본 발명의 보행 재활 로봇(1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받침부(111)와 이의 양측에 각각 수직되게 놓이는 수직 받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관 및 안전을 위해, 수직 받침부(112) 및 이에 구비되는 링크 유닛(130) 등은 커버 부재(미도시)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나아가, 발 디딤부(10)가 보행 궤적을 그리는 동안 발 디딤부(10)가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궤도 레일(120)이 수평 받침부(111)에 더 구비될 수 있다.2 and 3, the frame unit 110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unit 111 and a pair of horizontal support units 111, which are vert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 unit 111, And may include a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2. Further, although not shown, for the sake of appearance and safety,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2 and the link unit 130 and the like included therein may be covered by a cover member (not shown). 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the walking track rail 1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111 so that the foot standing portion 10 can touch or drop while the foot standing portion 10 draws the walking trajectory. .

링크 유닛(130)은, 발 디딤부(10)에 보행 궤적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0)와 프레임부(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nk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walking trajectory to the foot step portion 1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oot step portion 10 and the frame portion 110 as shown in FIGS. .

예를 들어, 링크 유닛(1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31), 제2 링크 부재(132), 제3 링크 부재(133), 그리고 제4 링크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131)는 구동 모터(140)의 동력을 제일 먼저 전달 받는 구성요소로 제1 링크 부재(131)의 일단은 제1 힌지(H1)를 통해 수직 받침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132)는 그 중심 부분에 벤딩부(132a)를 가지는 절곡된 형상을 하며 제2 링크 부재(132)의 일단은 제2 힌지(H2)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3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 링크 부재(133)의 일단은 제3 힌지(H3)를 통해 제2 링크 부재(13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3 링크 부재(133)의 타단은 발 디딤부(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링크 부재(134)의 일단은 제4 힌지(H4)를 통해 제2 링크 부재(132)의 벤딩부(132a)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4 링크 부재(134)의 타단은 제5 힌지(H5)를 통해 수직 받침부(11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4 힌지(H4)를 원호를 그리며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4 힌지(H4)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힌지(H4)가 제4 링크 부재(134)에 의해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되는 동안 절곡된 형상의 제2 링크 부재(132) 또한 이동되면서 제2 링크 부재(132)의 타단에 제3 힌지(H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3 링크 부재(133) 및 발 디딤부(10)에 보행 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3 to 5, the link unit 130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131, a second link member 132, a third link member 133, Member 134 as shown in FIG. The first link member 131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140 first and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31 is rotatable to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12 through the first hinge H1 . The second link member 132 has a bending shape having a bending portion 132a at its central por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31 via the second hinge H2.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ne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133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through the third hinge H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133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p portion 10 . One end of the fourth link member 13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ending portion 132a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through the fourth hinge H4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member 134 is provided on the fifth The fourth hinge H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112 through the hinge H5 so as to move the fourth hinge H4 in a circular arc and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fourth hinge H4. The second link member 132 having the bent shape is also moved while the fourth hinge H4 is being moved by the fourth link member 134 while drawing an arc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132 is mov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32 The third link member 133 and the foot step portion 10 provided to be rotatable by the three hinges H3 can provide a walking trajectory (refer to FIG. 7).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0)가 제일 아래에 위치될 때, 제4 및 제5 힌지(H4)(H5)는, 수평 받침부(111)에 수직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아래에서 위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제2 힌지(H2)와 제1 힌지(H1)는 가상의 수직선(VL) 뒤(탑승자를 기준으로 뒤)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H2)는 제1 힌지(H1) 보다 높고 제5 힌지(H5)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부재(132)는 벤딩부(132a)에서 둔각(θ)을 이루며 절곡될 수 있다.4, the fourth and fifth hinges H4 and H5 are arranged so that the virtual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hinge H2 and the first hinge H1 may be spaced apart behind the imaginary vertical line VL (behind the occupant) Can be sequentially positioned. Also,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hinge H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hinge H1 and lower than the fifth hinge H5. Also,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link member 132 may be bent at an obtuse angle? In the bending portion 132a.

구동 모터(140)는, 링크 유닛(13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40)는 수평 받침부(111)에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동력 전달부(150)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31)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drive motor 140 is a component for automatically driving the link unit 13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rame unit 110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driving motor 140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portion 1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31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50, .

예를 들어, 동력 전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driving shaft)(151), 제1 풀리-벨트(first pulley-belt)(152), 그리고 제2 풀리-벨트(second pulley-belt)(15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151)은 수평 받침부(11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1 풀리-벨트(152)는 구동 모터(140)의 동력을 구동축(15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풀리-벨트(153)는 구동축(151)의 동력을 제1 링크 부재(13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풀리-벨트(152)(153)는 오른발이 놓이는 발 디딤부와 왼발이 놓이는 발 디딤부 간의 정확한 시간 차를 주기 위해 2개의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와 이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150 may include a driving shaft 151, a first pulley-belt 152, and a second pulley- and a second pulley-belt 153. The drive shaft 15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1 and the first pulley-belt 152 may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140 to the drive shaft 151, The second pulley-belt 153 may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e shaft 151 to the first link member 131. 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pulley-belts 152 and 153 are provided with two timing pulleys for giving an accurat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ootstep where the right foot lies and the footstep where the left foot is placed, and a timing belt and a timing belt.

따라서, 이러한 기술구성이 제공되므로, 구동 모터(140)의 구동으로 링크 유닛(130)이 발 디딤부(10)에 보행 궤적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자동으로 보행 재활 훈련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운전 모드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 모터(140)의 회전수 등을 제어할 수 있어, 뇌졸중 장애인들의 보행 재활에 있어 환자와 치료사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힘들지 않게 자동으로 보행 재활을 할 수 있고, 환자중심의 재활 훈련으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since this technical arrangement is provided, the link unit 130 can continuously provide the walking trajectory to the foot step portion 10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140, so that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particular,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40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mode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atient and the therapist can both reliably and effortlessly perform gait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training based on the patient can enhance the immersion feeling.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장슬 억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lf-turn inhibition unit 160, as shown in FIGS. 3, 6, and 7.

도 6은 도 5의 보행 재활 로봇에 반장슬 억제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반장슬 억제부에 의해 반장슬이 억제된 상태를 하나의 보행 사이클을 통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restraining unit is mounted 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of FIG. 5,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 to be.

반장슬 억제부(160)는, 편 마비로 인한 무릎 펴짐 현상을 방지하여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6 and 7, the half-slack suppressing unit 160 includes a link unit 130 (see FIG. 3, FIG. 6, and FIG. 7) for minimiz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joint by preventing knee- .

예를 들어, 반장슬 억제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161)와 반장슬 억제봉(162)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61)는 제4 링크 부재(134)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반장슬 억제봉(162)은 높이 조절 부재(161)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무릎 관절이 접히도록 높이 조절 부재(161)에서 탑승자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바닥을 디디는 순간 반장슬 억제봉(162)이 탑승자의 무릎 관절의 뒷 부분을 가압하게 되므로, 하나의 보행 사이클(1 Gait Cycle)이 이루어지는 동안, 탑승자의 무릎의 펴짐 현상을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반장슬(무릎의 과도한 펴짐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어, 환자중심의 연속적인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half length restraining portion 160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mber 161 and a half length restraining bar 162, as shown in FIG.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1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link member 134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hile the half length restraining rod 162 is provided 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knee joint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member 161 to the passenger sid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as the foot moves to the floor, the half-length restraining bar 162 presses the rear portion of the knee joint of the passenger, so that during one walk cycle (one Gait Cycle) The spread of the knee can be prevented. Ultimately, without the help of a therapist,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knee (excessive knee extension), which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patient-centered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장슬 억제봉(162)은 수평 실린더(163)를 통해 높이 조절 부재(161)에 전후(탑승자를 기준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반장슬 억제봉(162)에 의해 무릎 관절 측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수평 실린더(163)와 반장슬 억제봉(162)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의 충격 흡수 부재(16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반장슬 억제봉(162)은 수평 실린더(163)에 수직되게 놓일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6, the half-length restraining rod 16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forward and rearward relative to the occupant)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1 through the horizontal cylinder 163, An impact absorbing member 164 such as a coil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cylinder 163 and the half length restraining bar 162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joint by the restraining rod 162, The half-span restraining bar 162 may be plac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cylinder 163.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부재(161)는 제4 링크 부재(134)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홈(165)에 끼워지되 마그네틱(16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조장이 필요 없어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6,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1 is fitted in the height adjusting groove 165 formed in the fourth link member 134,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61 by a magnet 166.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or bolt separate bolts, so detachment can be facilitat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퇴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ckward fixing part 170, as shown in FIGS. 3, 8 and 9.

도 8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하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8의 하퇴 고정부의 하퇴 파지부가 위치 조절되는 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fixing part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of FIG. 3,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ition of the lower grip part of the lower fixing part of FIG.

하퇴 고정부(170)는, 탑승자의 하퇴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유닛(130)에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ing and fixing unit 170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occupant, and may be provided in the link unit 130, as shown in Figs. 3, 8, and 9.

예를 들어, 하퇴 고정부(1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위치 조절부(171)와 하퇴 파지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위치 조절부(171)는 하퇴 파지부(17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될 수 있고, 하퇴 파지부(172)는 탑승자의 하퇴부를 파지하는 구성요소로 상하 위치 조절부(171)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재활 시 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환자의 하퇴부의 외회전과 내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환자중심의 연속적인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ower fixing part 170 may include a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part 171 and a lowered grip part 172.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1 may be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a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ower gripper 172 and the lower gripper 172 may grip the lower portion of the occupan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can be adjusted by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1 as an ele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lower leg of the patient without the help of a therapist in the case of gait rehabilitation,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effect of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based on the patient.

여기서, 상하 위치 조절부(17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실린더(171a)와 위치 조절 피스톤(171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71a)의 하단부는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될 수 있고, 위치 조절 피스톤(171b)은 수직 실린더(171a)에 삽입되어 수직 실린더(171a)에 상하 이동되고 좌우 회전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에 하퇴 파지부(172)가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하퇴 파지부(172)의 높이를 조절하여 하퇴 파지부(172)를 탑승자의 하퇴부에 맞출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vertical position adjusting unit 171 may include a vertical cylinder 171a and a position adjusting piston 171b.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ylinder 171a may be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and the position adjusting piston 171b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cylinder 171a and moved up and down by the vertical cylinder 171a And the lower grip portion 172 may be placed on the upper end thereof.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lower gripper 172 can be adjusted to fit the lower gripper 172 to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나아가, 수직 실린더(171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위치 조절부(173)에 의해 제3 링크 부재(133)에 전후(탑승자를 기준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 위치 조절부(17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되는 전후 안내 레일(173a)과 수직 실린더(171a)에 구비되며 전후 안내 레일(173a)을 따라 이동되는 전후 이동 부재(17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퇴 파지부(172)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여 하퇴 파지부(172)를 전후 위치로 치우쳐진 탑승자의 하퇴부에 맞출 수 있다.8 and 9, the vertical cylinder 171a is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occupant) 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3 . 9,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er 173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173a and the vertical cylinders 171a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and includes front and rear guide rails 173a Backward moving member 173b which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s 173a and 173b. Therefore, the back and forth position of the lower gripper 172 can be adjusted to fit the lower gripper 172 to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bias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나아가, 전후 안내 레일(173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위치 조절부(174)에 의해 제3 링크 부재(133)에 좌우(탑승자를 기준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 위치 조절부(17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 부재(133)에 구비되는 좌우 안내 레일(174a)과 전후 안내 레일(173a)에 구비되며 좌우 안내 레일(174a)을 따라 이동되는 좌우 이동 부재(17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퇴 파지부(172)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하퇴 파지부(172)를 좌우 위치로 치우쳐진 탑승자의 하퇴부에 맞출 수 있다.9,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173a can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 of the third link member 133 by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ing portions 174 . 9,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er 174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rails 174a and the front and rear guide rails 173a provided on the third link member 133, and the left and right guide rails 173a, And a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74b which is mov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members 174a and 174a.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lower gripper 172 can be adjusted to align the lower gripper 172 with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biased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81)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81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as shown in FIG.

도 10은 도 3의 보행 재활 로봇 중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put unit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shown in Fig. 3;

입력부(181)는 프레임부(110)에 구비되며 운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운전 모드에 따라 구동 모터(140)가 제어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구동 모터(140)의 회전수 등을 제어할 수 있어, 뇌졸중 장애인들의 보행 재활에 있어 환자와 치료사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힘들지 않게 자동으로 보행 재활을 할 수 있고, 환자중심의 재활 훈련으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81 may be provided in the frame unit 110 and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and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perated by a program set to control the drive motor 140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motor 140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gait rehabilitation automatically and reliably for both the patient and therapist in the walking rehabilitation of the stroke disabled person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center can enhance the immersion feeling.

나아가, 도 11은 발 디딤부에 장착된 압력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디딤부(10)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족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압력 검출부(183)에서 검출된 족압의 변화에 따라 구동 모터(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짝다리를 짚는 등으로 오른발과 왼발 사이의 족압의 차이가 참조치(예를 들어, 30N) 이상으로 발생되면 구동 모터(140)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환자중심의 안전한 재활 훈련이 가능할 수 있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ssure detecting part mounted on the stepping part.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detecting unit 183 provided in the foot stepping unit 10 for detecting a change in foot pressure of a passenger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control on / off of the drive motor 140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foot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on unit 183. [ Thus, patient-centered safe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in a manner that stops the drive motor 140 when the difference in foot pressure between the right foot and the left foot is greater than a reference measure (e.g., 30 N) It can be possibl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받침부(111)에 구비되되 탑승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거울(1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거울(184)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보행 재활의 몰입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2,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irror 184 provided on the horizontal receiving unit 111 and provided in front of the occupant can do. Therefore, the patient can see his or her appearance through the mirror 184, and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can be further enhanced.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84)에는 탑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84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거울을 통해 훈련 시간, 이동 거리, 보행 속도, 심박수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어, 보행 재활의 몰입감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mirror 184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184a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occupant. Therefore, the patient can se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training time, the moving distance, the walking speed, and the heart rate through the mirror, and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먼저 탑승자가 보행 재활 로봇(100)에 탑승할 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 디딤부(10)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온(ON) 시킬 수 있다(S1210). 이를 위해 보행 재활 로봇(100)은 발 디딤부(10)를 고정시키거나 링크 유닛(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12, in order to prevent the occupant from falling down when boarding the rehabilitation robot 100, it is possible to turn on the brake function for keeping the stepping portion 10 in a stopped state (see S1210). To this end,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may include a brake unit (not shown) for fixing the wresting unit 10 or for fixing the link unit 130.

보행 재활 로봇(100)의 브레이크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양 발을 발 디딤부(10)에 올려놓고 기립 자세를 취하면, 제어부는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측정된 양 발의 COP를 기준점으로 정하고, 이후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거나, 발목 토크를 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발 디딤부(10)의 중심점을 기준점으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occupant lifts both feet on the stepping portion 10 and takes a standing posture while the braking function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is 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ressure point of the both feet (COP) Can be measured. The COP measured in this state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to determine the walking intention of the occupant, or to obtain the ankle torqu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enter point of the stepping portion 10 as a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한편 탑승자가 보행 재활 로봇(100)에 탑승한 이후에, 탑승자 또는 훈련 보조자가 입력부(181)를 통해 운전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S1220). 단계(S1220)에서 운전 모드는 탑승자의 양 발목에 일정한 토크를 보조해주는 일정 보조 모드(Constant Assist Mode)와 탑승자의 보행 의도에 따라 보조해주는 토크를 변화시키는 가변 보조 모드(Variable Assist Mode)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occupant boarded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the occupant or the training assistant can input the operation mode through the input unit 181 (S1220). In operation S1220,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constant assist mode for assisting a constant torque on both ankles of a passenger and a variable assist mode for changing a torque to assist the drive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walking .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운전 모드와 함께 보조해주는 토크의 세기를 미리 정해진 레벨(level)을 선택 받는 게인(gain) 설정 받을 수 있다(S1230). 여기서 레벨은 높음(high), 보통(medium), 낮음(Low)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3가지 단계 이외에 더 많은 단계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높음과 낮음으로만 구분하거나, 아예 레벨을 구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gain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level may be set as the torque intensity assisting with the operation mode (S1230). Here, the level can be set as high, medium, low, or the lik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into more steps in addition to the three steps,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classified as high or low, or not at all.

다음으로 보행 재활 로봇(100)의 제어부는 탑승자 또는 훈련 보조자가 입력부(181)를 통해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S1240-Y), 브레이크 기능을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250). 한편 동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1240-N), 보행 재활 로봇(100)의 제어부는 브레이크 기능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탑승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can turn off the brake function (S1250) when the occupant or the training assistant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81 (S1240-Y).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command is not input (S1240-N), the control unit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can keep the brake function kept 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being injured.

이후 보행 재활 로봇(100)의 제어부는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S1260). 단계(S1260)에서 제어부는 발 디딤부(10)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183)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of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may sense the intention of the occupant to walk (S1260). In step S126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velocity of the pressure center of pressure (COP) of both passengers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detecting unit 183 provided in the foot stepping unit 10. [ The intention of walking can be grasped.

가령 좌측 발과 우측 발의 COP의 위치가 양 발의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멀어지는 속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보행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발 디딤부(10)에 관성 센서를 부착하여 발 디딤부(10)의 속도를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COP position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i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int of both feet, Or the inertia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foot step portion 10 to obtain the speed of the foot portion 10, and the walking intention of the passenger can be grasped based on the velocity.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S1260-Y), 제어부는 구동 모터(140)에 PWM 신호를 인가하여 발 디딤부(10)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S1270). 단계(S1270)에서 제어부는 구동 모터(140)에 인가되는 PWM 신호를 단계(S1220)에서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If the intention of the occupant is detected (S1260-Y), the control unit may assist the occupant in walking by moving the stepping unit 10 along the walking trajectory by applying the PWM signal to the driving motor 140 (S1270) . In step S1270,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WM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14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put in step S1220.

운전 모드가 일정 보조 모드(Constant Assist Mode)인 경우, 제어부는 구동 모터(140)에 미리 정해진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함으로써, 탑승자의 양 발목에 일정한 세기의 토크를 보조할 수 있다. 단계(S1230)에서 설정된 게인(gain)에 대응하는 토크가 인가되도록 PWM 듀티비는 정해질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constant assist mode, the control unit can apply a PWM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to the drive motor 140 constantly to assist torque of a certain intensity on both ankles of the occupant . The PWM duty ratio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torque corresponding to the gain set in step S1230 is applied.

한편 운전 모드가 가변 보조 모드(Variable Assist Mode)인 경우, 제어부는 탑승자 양 발의 COP의 위치 및 속도를 기초로 구해지는 탑승자의 발목 토크를 계산하고, 구동 모터(140)에 앞서 계산된 발목 토크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가령 탑승자의 발목 토크의 세기가 커지면 탑승자가 더 강하게 보행 훈련을 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PWM 듀티비를 높게 가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발목에 더 강한 토크가 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탑승자의 발목 토크의 세기가 작아지면 탑승자가 현재보다 약하게 보행 훈련을 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PWM 듀티비를 낮게 가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발목에 현재보다 약한 토크가 보조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variable assist mod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nkle torque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OP of both the passengers, and calculates the ankle torque It is possible to apply a PWM signal having a duty ratio proportional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trength of the ankle torque of the occupant is increa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ntends to perform the gait training more strongly, and the PWM duty ratio is varied so that the stronger torque is assisted to the ankle of the occupa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ngth of the ankle torque of the occupant is decrea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going to perform the gait training less weakly than the current occupant, and the PWM duty ratio is varied to lower the ankle of the occupant.

한편 실시예에 따라 COP에 의한 보행 의도를 파악하지 않고, 탑승자 또는 훈련 보조자가 보행 재활 로봇(100)에 구비된 동작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S1240-Y), 브레이크 오프 단계(S1250) 이후에 바로 단계(S1270)를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occupant or the training assistant presses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provided 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100 (S1240-Y) without understanding the walking intention by the CO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1240-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step S1270 immediately after the off step S125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발의 토크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torque of a passenger 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서 점(PR)은 앞서 설명한 기준점이고 점(PCOP)은 COP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COP에서 측정되는 하중, 즉 수직력(Force)을 양 점(Pr, Pcop) 사이의 거리와 곱하면 발목 토크를 구할 수 있다.In FIG. 13, the point P R is the previously described reference point and the point P COP is the COP. Then, the ankle torque can b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load measured at the COP, that is, the normal for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Pr and Pcop.

[수식 1][Equation 1]

Figure 112016125302813-pat00001
Figure 112016125302813-pat00001

여기서 τ는 탑승자 발목 토크이다.Where τ is the occupant's ankle torque.

D는 기준점과 COP 사이의 거리이다.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COP.

Force는 COP에서 구해지는 수직력이다.Force is the normal force obtained from COP.

수식 1을 이용하여 좌측 발목 토크(τL )와 우측 발목 토크(τR)를 계산한 후, 아래 수식 2에 적용하여 PWM OUTPUT을 계산할 수 있다. PWM OUTPUT은 좌측 발목 토크와 우측 발목 토크가 변화되면 함께 변화될 수 있다.After calculating the left ankle torque? L and the right ankle torque? R using Equation 1, the PWM OUTPUT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Equation 2 below. The PWM OUTPUT can be changed together if the left ankle torque and the right ankle torque are changed.

[수식 2] [Equation 2]

PWM OUTPUT = Kτ×(τRL)PWM OUTPUT = K ? X (? R +? L )

여기서 PWM OUTPUT은 구동 모터(140)에 인가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이다.Here, the PWM OUTPUT is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140.

Kτ는 단계(S1230)에서 선택된 게인 레벨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상수이다.K? Is a constant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gain level selected in step S1230.

τR은 탑승자 우측 발목의 토크 세기이다.and τ R is the torque intensity of the right ankle of the passenger.

τL은 탑승자 좌측 발목의 토크 세기이다.τ L is the torque intensity of the left ankle of the passenger.

가변 보조 모드에서, 제어부는 수식 2에서 계산된 PWM OUTPUT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도록 PWM 신호를 가변시키면서 구동 모터(140)에 인가할 수 있다.In the variable auxiliary mode,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PWM signal to the driving motor 140 so as to have a duty ratio corresponding to the PWM OUTPUT calculated in Equation (2).

다시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단계(S1270)를 수행하다가 입력부(181)를 통해 탑승자 또는 훈련 보조자로부터 동작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S1280-Y), 다시 구동 모터(140)에 PWM 신호 인가를 중단하여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기능을 다시 온(ON) 시킬 수 있다(S1210).12, when the operation stop command is inputted from the passenger or the training assistant through the input unit 181 in operation S1270 (S1280-Y), the controller performs the PWM signal application to the drive motor 140 again And the brake function can be turned on again (S121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자동 정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stop operation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단계(S1270)를 수행하면서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10, S142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먼저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 차이가 기준 이상인지 판단한다(S1410). 양 발의 하중 차이가 30N 이상이면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그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탑승자의 몸무게나 연령, 성별 등에 따라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the loads of both the passengers while performing the step S1270 (S1410 and S142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load difference between both feet of the occupa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1410). If the load difference of both feet is 30N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but the referenc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criteria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ccupant's weight, age, sex, and the like.

다음으로 양 발의 하중 차이가 기준 이상이면(S1410-Y), 제어부는 양 발의 하중 차이가 기준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한다(S1420).Next, if the load difference between the two fe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1410-Y),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the load difference between both feet is maintained above the reference (S1420).

양 발의 하중 차이가 기준 이상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1420-Y), 제어부는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 재활 로봇(100)이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S1430).When the load difference between both feet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S1420-Y),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and automatically stops the operation in which the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0 assists the occupant walking (S1430).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브레이크 기능을 오프시킴으로써, 탑승자가 보행 재활 로봇(100)에서 내려올 때 발 디딤부(10)가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S1440).Finally,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brake function so that the stepping unit 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when the occupant descends from the walking and rehabilitation robot 100 (S14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발 디딤부 100: 보행 재활 로봇
110: 프레임부 111: 수평 받침부
112: 수직 받침부 120: 보행 궤도 레일
130: 링크 유닛 131: 제1 링크 부재
132: 제2 링크 부재 132a: 벤딩부
133: 제3 링크 부재 134: 제4 링크 부재
140: 구동 모터 150: 동력 전달부
151: 구동축 152: 제1 풀리-벨트
153: 제2 풀리-벨트 160: 반장슬 억제부
161: 높이 조절 부재 162: 반장슬 억제봉
163: 수평 실린더 164: 충격 흡수 부재
165: 높이 조절홈 166: 마그네틱
170: 하퇴 고정부 171: 상하 위치 조절부
171a: 수직 실린더 171b: 위치 조절 피스톤
172: 하퇴 파지부 173: 전후 위치 조절부
173a: 전후 안내 레일 173b: 전후 이동 부재
174: 좌우 위치 조절부 174a: 좌우 안내 레일
174b: 좌우 이동 부재 181: 입력부
182: 제어부 183: 압력 검출부
184: 거울 184a: 디스플레이부
H1: 제1 힌지 H2: 제2 힌지
H3: 제3 힌지 H4: 제4 힌지
H5: 제5 힌지 VL: 가상의 수직선
10: Footstep 100: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10: frame part 111: horizontal support part
112: vertical support portion 120: walking track rail
130: link unit 131: first link member
132: second link member 132a:
133: third link member 134: fourth link member
140: drive motor 150: power transmission part
151: drive shaft 152: first pulley-belt
153: second pulley-belt 160:
161: height adjusting member 162: half length restraining bar
163: Horizontal cylinder 164: Impact absorbing member
165: height adjustment groove 166: magnetic
170: lowering fixing portion 171: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1a: Vertical cylinder 171b: Positioning piston
172: lowered gripping portion 173: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3a: Front / rear guide rail 173b:
174: a left-right position adjusting portion 174a: a left-right guide rail
174b: a left-right moving member 181:
182: control unit 183: pressure detection unit
184: mirror 184a:
H1: first hinge H2: second hinge
H3: Third hinge H4: Fourth hinge
H5: fifth hinge VL: virtual vertical line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미리 정해진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발 디딤부,
운전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발 디딤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부를 통해 측정된 탑승자 양 발의 압력 중심점(Center of Pressure)(COP)의 위치를 기초로 탑승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탑승자의 보행 의도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 디딤부를 보행 궤적에 따라 움직이게 하여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가변 보조 모드이면, 탑승자 양 발의 COP의 위치 및 양 발의 COP에서 구해지는 수직력을 기초로 탑승자의 좌측 발목 토크 및 우측 발목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좌측 발목 토크 및 상기 우측 발목 토크의 합에 비례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에 인가하고,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을 이용하여 자동 정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탑승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동작을 정지시키며,
상기 탑승자의 양 발의 하중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자동 정지 조건이 만족되는 보행 재활 로봇.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otor, a footstep mov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alking trajector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operation mode, and
(COP) of both passenger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foot stepping portion, and when the intention of the occupant to walk is detected,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to control the walker to follow the walking trajectory to assist the occupant in walking
Lt; / RTI >
Wherein,
Calculates the left ankle torque and the right ankle torque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P of both the passengers and the COP of both hands when the input operation mode is the variable auxiliary mode and calculates the left ankle torque and the right ankle torqu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the load of both the passengers of the occupant, and if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Stop operation,
Wherein the automatic stop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load difference between both feet of the occupan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제 6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운전 모드가 일정 보조 모드이면, 상기 구동 모터에 미리 정해진 듀티비를 가지는 PWM 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하는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nd a PWM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is constantly applied to the drive motor when the input operation mode is the constant auxiliary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74991A 2016-12-20 2016-12-20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39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91A KR101939581B1 (en) 2016-12-20 2016-12-20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91A KR101939581B1 (en) 2016-12-20 2016-12-20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78A KR20180071878A (en) 2018-06-28
KR101939581B1 true KR101939581B1 (en) 2019-01-23

Family

ID=6278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991A KR101939581B1 (en) 2016-12-20 2016-12-20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5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241A (en) 2019-02-28 2020-09-07 한국기계연구원 Moving platfo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60759A1 (en) * 2019-09-27 2021-04-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hybrid gait rehabilitation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46866A1 (en) * 2018-11-10 2020-05-14 Embrace Orthopaedics, Inc. Garment for stabilizing a human anatomical joint
CN113749912B (en) * 2021-08-30 2023-12-29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Knee joint and hip joint power-assisted walking and anti-drop lower limb recover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752B1 (en) * 2006-09-14 2008-02-11 이광덕 Restoration movement apparatus
JP2014147636A (en) 2013-02-04 2014-08-21 Toyota Motor Corp Evaluation apparatus, evaluation method thereof, and walking assi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555A (en)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robot
KR101661465B1 (en) 2015-05-14 2016-10-10 대한민국 Apparatus of upper and lower for gait trai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752B1 (en) * 2006-09-14 2008-02-11 이광덕 Restoration movement apparatus
JP2014147636A (en) 2013-02-04 2014-08-21 Toyota Motor Corp Evaluation apparatus, evaluation method thereof, and walking assist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241A (en) 2019-02-28 2020-09-07 한국기계연구원 Moving platfo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2988B1 (en) * 2019-02-28 2021-07-05 한국기계연구원 Moving platfo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60759A1 (en) * 2019-09-27 2021-04-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hybrid gait rehabilitation robot
KR20210037769A (en) * 2019-09-27 2021-04-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ing system and method of a hybrid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KR102241922B1 (en) * 2019-09-27 2021-04-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iving system and method of a hybrid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78A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81B1 (en) Gait rehabilitati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7178B1 (en)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34268B1 (en) Gait rehabilitation robot
KR101384988B1 (en) System and method of robotic gait training
KR101869968B1 (en)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with lower body exoskeleton
US8083695B2 (en) Walk assistance device
KR101358943B1 (en) Pelvis support device for gait rehabilitation robot
KR101602728B1 (en) Legs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movable gait training and stationary gait training
Bortole et al. A robotic exoskeleton for overground gait rehabilitation
JP2018521719A (en) Seated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KR100795195B1 (en) A rehabilitation machine
ITBO20110506A1 (en) GINNICA MACHINE AND METHOD TO PERFORM A GYMNASTIC EXERCISE.
CN112370305B (en) Exoskeleton robot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CA2608259A1 (en) Hip assist walker
JP2002126019A (en) Leg training device
JP3584663B2 (en) Walking training device
WO2018133050A1 (en) Electric walking aid for multimode walking train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1037908A (en) Walking trainer
KR100459629B1 (en)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101736272B1 (en) Wheelchair having power-assisted device for rehabilitation motion
JP2011172604A (en) Joint motion range training device
KR102203170B1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101673166B1 (en) Walking aid apparatus for Gait disturbance
KR102436820B1 (en) Walker for leg rehabilitation
JP2016106955A (en) Bending motion assist device, bending motion assis method, and bending motion assis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