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285B1 -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285B1
KR101939285B1 KR1020180103400A KR20180103400A KR101939285B1 KR 101939285 B1 KR101939285 B1 KR 101939285B1 KR 1020180103400 A KR1020180103400 A KR 1020180103400A KR 20180103400 A KR20180103400 A KR 20180103400A KR 101939285 B1 KR101939285 B1 KR 10193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ight emitting
disposed
wrist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엘티프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프로(주) filed Critical 엘티프로(주)
Priority to KR102018010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보호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상기 하부 커버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작동 기판; 상기 작동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자석;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체에 접촉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중앙 부분의 너비가 상기 중앙 부분에 인접한 양 측 부분의 너비보다 작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이 손목 보호 패드 상에 놓을 때, 패드부가 손목을 일정 부분 감쌀 수 있도록 땅콩 형상으로, 중심의 형상이 외측 형상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손목이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WRIST PROTECTING PAD USING NEAR INFRARED RAY}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이용한 손목 보호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책상에서 컴퓨터 등을 이용할 때,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키보드나 마우스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이나 손목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터널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터널증후군은 손목 부위에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고 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일종의 관(터널)이 있는데, 손으로 들어가는 신경(정중신경)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인 수근관(손목터널)에 눌려 신경이 압박됨에 따라 손저림이나 감각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러한 터널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보호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손목보호대는, 손목의 위치를 높이고, 다소 푹신한 소재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종래의 손목보호대는, 손목의 꺾이는 것만 방지하는 기능만 있을 뿐, 실제 손목에 발생된 통증을 완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6489호 (2005.01.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손목에 터널증후군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발생된 손목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손목 보호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상기 하부 커버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작동 기판; 상기 작동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자석;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체에 접촉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중앙 부분의 너비가 상기 중앙 부분에 인접한 양 측 부분의 너비보다 작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기판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적색광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 및 상기 작동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기판 및 제어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기판은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의 구동 여부 및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패드부 측으로 방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와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기 위한 광 확산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확산패드에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는 하나 이상의 광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기판은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기 위한 제1 열선 및 제2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이 손목 보호 패드 상에 놓을 때, 패드부가 손목을 일정 부분 감쌀 수 있도록 땅콩 형상으로, 중심의 형상이 외측 형상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손목이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근적외선을 지속적으로 손목에 조사할 수 있어, 근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장시간 마우스 사용 시 손목이 틀어지는 것으로 인해 염좌가 발생하거나 두꺼워진 인대가 정중 신경을 눌러 나타나는 통증과 같이, 손목에 발생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의 작동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의 작동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의 작동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100)는, 하부 커버(110), 상부 커버(120), 작동 기판(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3), 패드부(150), 제어 기판(160) 및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하부 커버(110)는 상부 커버(120)와 결합되며, 손목 보호 패드(100)의 최 하부에 배치되고, 작동 기판(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3), 패드부(150), 제어기판 및 배터리(170)를 지지한다.
상부 커버(120)는 하부 커버(110)를 덮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개방된 일면은 상부 커버(120)가 하부 커버(110)와 결합됨에 따라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에 작동 기판(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3), 제어 기판(160) 및 배터리(17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2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부(164)가 배치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조작부(162)가 배치되기 위한 조작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커버(120)와 하부 커버(110)는 서로 볼트 등의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20)의 상부에는 다수의 발광홀(122)이 형성된다. 다수의 발광홀(122)은 후술할 작동 기판(130)에 배치된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가 배치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동 기판(130)은 제어 기판(1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어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 기판(130)에는 제어 기판(160)을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발광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들은 표시 발광부(132),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기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이 양 끝단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발광부(13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포 패드에 전원이 온-오프(on-off)상태를 표시하고, 배터리(170)의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발광부(132)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두 개의 LED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발광부(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62)가 배치된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근적외선 발광부(134)는 약 760nm 내지 1500nm의 중심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하며, 본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적외선은 인체의 피부에 가작 깊은 위치까지 투과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적외선을 이용하면,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있다. 해당 논문에서,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오피오이드 또는 항경련제를 사용해 증상을 관리하는데, 부작용 우려가 있고 효과도 제한적인 문제가 있으며, 오피오이드의 경우에는 중독 위험도 있다.
이탈리아 로마 소재의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의 연구진은 뇌 시경인자가 작용하는 세포막 수용체(TrkB)를 발현하는 감각 신경세포의 특정 아집단(subpopulation)이 불균형한 통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신경에 영향을 주기 위해 연구진은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빛에 민감한 화학물질을 설계해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마우스의 피부에 주입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일단 빛에 민감한 화학물질이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근적외선과 함께 파열하고, 이로 인해 신경 종말이 피부 표면에서 오그라뜨려져 감각이 둔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신경 종말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다음, 마우스의 통증 반응이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근적외선은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약물과 함께 치유할 때, 암세포를 파괴하는 기능이 있고, 정상 세포의 성장을 150% 내지 200%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피부 근육, 신경, 힘줄, 연골, 뼈, 치과 및 치주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으며, 뇌종향 치료에 도움이 되고, 골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또한, 세포에 대한 ATP(adenosine triphosphate) 에너지 원 증가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질환 및 상처 치료에 효과적이며, 신경 재생을 촉진하고, 근육의 피로를 개선하는 기능이 있다.
그 외에도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파킨슨 병의 치유에 도움이 되며, 눈, 심장 뇌질환을 개선하고, 당뇨병을 개선하며, 맹안 쥐의 시력을 회복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노화 및 태양으로부터 손상된 피부 개선, 만성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SADs(seasonal affective disorder)로 고통받은 사람들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20개가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기판(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분포될 수 있다.
적색광 발광부(136)는, 근적외선 발광부(134)와 함께 배치되고, 근적외선 발광부(1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1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적색광 발광부(136)는 적색광을 외부로 방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손목 보포 패드가 구동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적외선 발광부(134)가 발광되더라도 사용자에게는 근적외선의 발광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색광 발광부(136)가 발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목 보호 패드(100)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근적외선 발광부(134)와 적색광 발광부(136)는 작동 기판(130)의 중심에 치우쳐 배치되는데, 작동 기판(130)의 양측으로 갈수록 배치되는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의 수는 감소할 수 있다.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은 작동 기판(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기판(130)의 양 끝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의 사이에 근적외선 발광부 및 적색광 발광부(1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은 가각 원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동일한 극성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자석(141)은 상부에 N극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자석(143)은 상부에 S극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자석(141)과 제2 자석(143)은 N극에서 S극을 향해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이 패드부(150)에 배치되면 제1 자석(141)과 제2 자석(143)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150)는 상부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패드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실리콘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패드부(150)는 표면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눌려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150)는 실리콘 등의 재질을 가짐에 따라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드부(150)를 눌러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150)는 상부에 다수의 광 가이드 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홀(152)은 작동 기판(130)에 배치된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홀(152)은 작동 기판(130)에 배치된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에서 발출된 광을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부(150)의 하부면은 상부 커버(120)에 형성된 발광홀(122)들을 통해 상부 커버(120)의 상면보다 돌출된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와 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광 가이드 홀(152)을 통해 패드부(150)의 상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어 기판(160)은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며, 배터리(17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기판(160)은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구동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160)에 조작부(1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충전부(16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162)는, 본 실시예에서, 터치 버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부 커버(12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62)는 손목 보호 패드(1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근적외선 발광부 및 적외선 발광부의 발광 여부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전부(164)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170)에 충전하기 위해 배치되고, USB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USB C-type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164)는 상부 커버(120)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제어 기판(160)의 측면에 배치되고, 충전부(164)를 통해 공급된 전력이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제어 기판(160),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70)는, 충방전할 수 있는 이차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상부 커버(120)의 상면에 압력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사용자가 손목 보호 패드(100)에 손목을 올리면, 손목의 무게에 의해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 기판(16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부(162)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압력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손목 보호 패드(100)의 전원을 온(on)하여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손목 보호 패드(100)의 구동은 일정 시간(예컨대, 30분) 동안 구동된 다음, 그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한 번 구동된 다음, 일정 시간(예컨대, 1시간) 동안은 재구동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재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100)는, 하부 커버(110), 상부 커버(120), 작동 기판(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3), 패드부(150), 제어 기판(160), 배터리(170) 및 광 확산패드(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120)의 상부에 광 확산패드(180) 및 패드부(150)가 차례로 배치된다.
광 확산패드(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평면 형상이 땅콩 형상과 같이, 중앙 부분이 양 끝단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에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가지는 위치에 자장홀(18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20)에는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이 하부에 결합되도록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이 결합되는 위치가 일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데, 상부 커버(120)에 형성된 돌출된 부분이 광 확산패드(180)의 자장홀(18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 커버(120)에 형성된 돌출 부분이 자장홀(182)에 삽입됨에 따라 광 확산패드(180)는 상부 커버(12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확산패드(180)의 자장홀(182) 사이에 다수의 광 확산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184)는,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에서 방출된 광을 받아 넓은 지향각이 형성되도록 광을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광 확산부(184)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 확산패드(180)는 광 확산부(184)와 함께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패드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패드(180)의 상부에 배치되며, 광 확산패드(180)에서 확산된 광이 최대한 외부로 방출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150)는 패드부(150)를 통해 광 확산패드(180) 및 상부 커버(120)의 일부의 형상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때,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에서 방출된 광은 광 확산부(184)를 통해 확산된 상태로 패드부(1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목에 전체적으로 근적외선 및 적색광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150)에는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을 가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패드부(150)에도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의 작동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100)는, 하부 커버(110), 상부 커버(120), 작동 기판(130), 제1 자석(141), 제2 자석(143), 패드부(150), 제어 기판(160) 및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작동 기판(130)에는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이 배치된다.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은 제어 기판(16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한다. 이렇게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에서 발산된 열은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141) 및 제2 자석(143)이 배치되는 작동 기판(13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은 손목 보호 패드(100)가 구동됨에 따라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작부(162)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여러 모드 중 하나 이상의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조작부(162)를 한 번 터치 하여 손목 보호 패드(100)가 온(on)될 때, 근적외선 발광부(134) 및 적색광 발광부(136)만 구동되고, 사용자가 조작부(162)를 다시 터치할 때,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도 같이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손목 보호 패드(100)가 온(on)될 때, 근적외선 발광부(134), 적색광 발광부(136),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이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모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손목 보호 패드(100)에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이 추가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 패드(100)에도 제1 열선(138) 및 제2 열선(139)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손목 보호 패드
110: 하부 커버
120: 상부 커버 122: 발광홀
124: 조작홀
130: 작동 기판 132: 표시 발광부
134: 근적외선 발광부 136: 적색광 발광부
138: 제1 열선 139: 제2 열선
141: 제1 자석 143: 제2 자석
150: 패드부 152: 광 가이드 홀
160: 제어 기판 162: 조작부
164: 충전부
170: 배터리
180: 광 확산패드 182: 자장홀
184: 광 확산부

Claims (9)

  1.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상기 하부 커버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작동 기판;
    상기 작동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자석;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인체에 접촉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패드부; 및
    상기 작동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중앙 부분의 너비가 상기 중앙 부분에 인접한 양 측 부분의 너비보다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는 압력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가 작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는 일정 시간 동안 구동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다시 재구동되도록 제어되는 손목 보호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판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적색광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손목 보호 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기판 및 제어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손목 보호 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판은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의 구동 여부 및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손목 보호 패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된 손목 보호 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패드부 측으로 방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홀이 형성된 손목 보호 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와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기 위한 광 확산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손목 보호 패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패드에는 상기 근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하는 하나 이상의 광 확산부가 형성된 손목 보호 패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판은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기 위한 제1 열선 및 제2 열선을 더 포함하는 손목 보호 패드.
KR1020180103400A 2018-08-31 2018-08-31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KR10193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00A KR101939285B1 (ko) 2018-08-31 2018-08-31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00A KR101939285B1 (ko) 2018-08-31 2018-08-31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285B1 true KR101939285B1 (ko) 2019-01-16

Family

ID=6528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00A KR101939285B1 (ko) 2018-08-31 2018-08-31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275A (ko) 2020-12-01 2022-06-09 주식회사 지하이스 원적외선 및 근적외선 방사 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89B1 (ko) 2001-08-21 2005-01-15 김현정 손목 보호대
KR20050123020A (ko) * 2004-06-24 2005-12-29 공상혁 컴퓨터용 마우스 패드
KR20140025152A (ko) * 2012-08-21 2014-03-04 주식회사 피치텍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
KR20160012664A (ko) * 2014-07-25 2016-02-03 김보성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101824106B1 (ko) * 2017-01-03 2018-01-31 이동국 손목 보호형 마우스
KR101870747B1 (ko) * 2018-04-10 2018-06-26 엘티프로(주) 다이어트 복부 벨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89B1 (ko) 2001-08-21 2005-01-15 김현정 손목 보호대
KR20050123020A (ko) * 2004-06-24 2005-12-29 공상혁 컴퓨터용 마우스 패드
KR20140025152A (ko) * 2012-08-21 2014-03-04 주식회사 피치텍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
KR20160012664A (ko) * 2014-07-25 2016-02-03 김보성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101824106B1 (ko) * 2017-01-03 2018-01-31 이동국 손목 보호형 마우스
KR101870747B1 (ko) * 2018-04-10 2018-06-26 엘티프로(주) 다이어트 복부 벨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275A (ko) 2020-12-01 2022-06-09 주식회사 지하이스 원적외선 및 근적외선 방사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1011B1 (en) System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US6510346B2 (en) Therapeutic infrared energy wrist cover
CN1832779B (zh) 使用激光器和led的脱发治疗装置
KR101846795B1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
EP3655095B1 (en) System for directing light into a patient's eye
KR20120062696A (ko) 향상된 의료 장치
KR101939285B1 (ko) 근적외선 손목 보호 패드
CA2647341C (en) Probe
TWM300116U (en) Laser wrinkle removing device
KR20170140672A (ko) 광에 의해 활성이 강화되는 진통 패치
KR200489550Y1 (ko) 바디 슬리밍과 토닝이 가능한 다용도 벨트
KR102097047B1 (ko)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CA3130786A1 (en) Body-wearable apparatus for treating pain by principle of complex photo-biochemical actions
KR20160049097A (ko) 저출력광선치료기용 일회용 광선전극
KR20190044480A (ko) 광 시술 패치 셋트
CN106474629B (zh) 一种光疗设备
KR100500795B1 (ko) 치료용 밴드
KR102225680B1 (ko) 세포 활성화와 혈류 개선 작용의 다파장 레이저 광 시술 패치
KR102092375B1 (ko) 저출력 레이저 조합 미세전류 통증 치료기
KR200383467Y1 (ko)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US6755820B1 (en) Laser probe for medical treatment
KR20200055656A (ko) 경두개 근적외선 광 테라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1344B1 (ko) Led 목주름 개선장치
WO2005065777A1 (fr) Dispositif de phototherapie, del utilisee dans celui-ci et methode de traitement de l'acne
EP4371607A1 (en) Male genital-worn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