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87B1 -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87B1
KR101939187B1 KR1020170059170A KR20170059170A KR101939187B1 KR 101939187 B1 KR101939187 B1 KR 101939187B1 KR 1020170059170 A KR1020170059170 A KR 1020170059170A KR 20170059170 A KR20170059170 A KR 20170059170A KR 101939187 B1 KR101939187 B1 KR 10193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vehicle
password
pay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508A (ko
Inventor
임한성
Original Assignee
임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성 filed Critical 임한성
Priority to KR102017005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 간의 연계를 통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는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저장되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되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대응된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 후 상기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어부와,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결제기관 서버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Payment server based on vehicle number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 간의 연계를 통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결제 중 해당 차량과 관련된 결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정보들이 차계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제수단으로 휴대 및 사용상 편의성 등에 의하여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사용이 활성화된 지 오래이다.
최근에는 인터넷망 등 각종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그 거래대금의 결제도 온라인상에서 바로 처리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거래대금을 결제하는 방식으로는 신용카드 결제방식 또는 휴대폰 결제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별 사업자들은 각 신용카드사에 대한 결제 승인 업무를 대행해 주는 지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고객들에게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결제 서비스는 비대면 방식이라는 특성상 사용자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는 절차, 사용자가 해당 결제정보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절차 등이 필요하다.
특히, 신용카드 결제를 위해서는 신용카드 번호, 유효기간, CVV코드 등 해당 신용카드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한 신용카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결제시마다 신용카드 정보를 매번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고, 신용카드 정보를 암기하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해당 신용카드를 현재 소지하고 있지 않다면 결제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인증서와 같은 특수 소프트웨어나 데이터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면 사용자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해서, 최근 정부의 간편 결제 활성화 정책에 따라 PG(Payment Gateway) 사의 카드 정보 저장 허용, 사전 인증 단계의 최소화 등 온라인 결제 시장의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최근의 간편 결제 활성화 경향에 따라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01442호(2009.06.08.공고), “자동차 번호를 이용한 무선결제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549호(2017.03.23.공개),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가맹점의 단말기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 간의 연계를 통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결제 중 해당 차량과 관련된 결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정보들이 차계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는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저장되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되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대응된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 후 상기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어부와,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결제기관 서버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의 상기 결제수단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상기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차량과 관련된 결제 정보들은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되어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전송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말기에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해당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은,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된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수신 시 수신된 차량번호, 패스워드와 저장된 상기 차량번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 후 상기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중계 서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하는 결제 요청 단말기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유효성 검증 후 해당 결제 요청의 승인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결제기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및 키오스크 타입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전송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 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 요청하여 해당되는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은,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 탑재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따라 기저장된 차량번호들 및 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기관 서버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유효성 검증 후 해당 결제 요청의 승인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기관 서버를 통해 승인되는 결제정보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및 상기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 탑재되는 단계는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 간의 연계를 통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 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해당 차량과 관련된 결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이를 해당 사용자가 차계부로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차계부를 사용해야 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에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 정보의 저장되는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단말기의 일 예를 통해 사용자 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단말기의 다른 예를 통해 사용자 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에서 추가되는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차량번호들 및 이러한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결제수단 정보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은행 등 금융기관의 계좌정보, 전자화폐, 신용카드의 포인트 정보, 체크카드의 포인트 정보 등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 및 그 관련 정보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되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 정보가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 정보의 저장되는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차량번호들 및 이러한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140)이 저장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40)은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되게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40)이 탑재된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등록한 복수의 결제수단 중 이번 결제에 사용할 결제수단을 실시간으로 선택하여 해당 선택 신호 및 정보를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10)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차량명의자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저장되되, 이러한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40)에는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차량명의자 기준의 그룹 내 차량번호의 결제수단을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전환 요청할 수 있게 하는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전송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제어부(120)의 설명에서 더 기재키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 일반 결제정보 DB(112), 인증정보 DB(113), 로그정보 DB(114)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정보 DB(115)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는 주유 비용, 주차비, 세차 비용, 교통 범칙금 및 차량 용품 구매 비용 등 차량과 관련된 결제정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제어부(120)에 대한 설명에서 관련 구성으로써 더 설명키로 한다.
일반 결제정보 DB(112)는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에 저장되는 결제정보 이외의 나머지 결제정보들을 저장한다.
인증정보 DB(113)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를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등록하는 단말기들의 인증용 정보 및 결제기관 서버의 인증용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정보 DB(113)에는 이 밖에도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그 외에도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및 그 단말기에 대한 인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로그정보 DB(114)는 결제를 요청하는 단말기,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140)이 탑재되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의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대한 로그 인/아웃 정보들이 저장된다. 로그정보 DB(114)에는 이 밖에도 결제기관 서버의 로그 인/아웃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정보 DB(115)는 어플리케이션(140) 및 어플리케이션(140)의 다운로드 현황 및 업데이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2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140)이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그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되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수신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110)에 기저정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수신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와 동일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부(110)로부터 검색 후 이렇게 검색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와 대응된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부(110)로부터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미도시)에 상술한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되는 결제요청 정보에는 데이터베이스부(110)에 등록된 복수의 결제수단 중 사용자를 통한 선택 신호 및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 신호 및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 및 정보를 토대로 이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10)로부터 검출하여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차량과 관련된 결제 정보들이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되어 저장 및 관리되게 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10)에는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를 포함하여 이러한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에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만이 구분되어 저장된다. 이때, 제어부(120)에서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를 식별하는 방식은 오프라인 판매장 내지 온라인 판매장 등 각 판매장에서 차량 관련의 결제가 이루어질 시 소정의 식별정보를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어부(120)에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유, 주차, 통행료 등 차량 관련의 결제임을 나타내는 기설정된 텍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는 사용자들에게 차계부의 자동 작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즉,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통해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친 다음 사용자 자신의 차량 관련 결제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통해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자신의 차량 관련 결제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차량 관련 결제정보들을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140)이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그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단말기에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해당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의 유효성 검증 후 해당 단말기에서 전환 요청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비교적 많은 수의 결제수단이 대응될 경우, 만약에 있을 패스워드의 해킹 등 정보 유출 상황의 발생 시 해당되는 많은 수의 결제수단이 불법 사용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이러한 이유로 해당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다양한 결제수단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려는 의도이다.
또한, 다수의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가 경제적 여건상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에서 착안된 것이다.
통신부(130)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술한 단말기 및 결제기관 서버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차량번호 및 이와 매칭되어 등록되는 결제수단 정보 간의 연계를 통해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원클릭 결제 방식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결제 중 해당 차량과 관련된 결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으므로,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정보들이 차계부의 기능을 가질 수 있어, 해당 사용자들은 별도의 차계부를 작성하는 번거로움 없이 필요 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에 접속 후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111)를 차계부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은 결제 중계 서버(101), 결제 요청 단말기(200) 및 결제기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제 중계 서버(101)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와 동일 구성이며, 따라서 결제 중계 서버(101)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를 참조하면 될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결제 중계 서버(101)의 주요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는 동시에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100)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결제 중계 서버(101)는 차량번호들 및 이러한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140)이 저장되고, 차량번호들 및 이러한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결제 중계 서버(101)는 어플리케이션(140)이 탑재되어 실행된 단말기, 다시 말해 후술될 결제 요청 단말기(200)로부터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수신 시 수신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저장된 차량번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결제 중계 서버(101)는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저장한다.
결제 요청 단말기(200)는 결제 중계 서버(101)의 어플리케이션(140)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결제 중계 서버(101)에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결제 요청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140)을 실행 후 사용자 자신의 입력 조작을 통해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 그리고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제 요청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1), 키오스크 타입 단말기(202: 이하 “키오스크 단말기”라 함) 및 PC(203)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단말기의 일 예를 통해 사용자 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요청 단말기의 다른 예를 통해 사용자 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는 결제 요청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써, (a)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어플리케이션(140)을 실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고, (b)는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 화면(201a)에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c)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가 유효한 정보로써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정확하게 전송됨에 따라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는 화면, 다시 말해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201b)이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디스플레이 화면(201a)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201b)을 통해 결제요청 품목 등을 최종 선택한 후 해당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4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201)를 통해 상품 구매를 하거나 송금 등을 할 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 기반의 원클릭 방식 결제을 이용하는 사례에 주로 해당될 것이다.
또한, 도 5는 결제 요청 단말기가 키오스크 단말기(202)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써, (a)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202)의 어플리케이션(140)을 실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고, (b)는 어플리케이션(140)의 실행을 기반으로 키오스크 단말기(202)의 디스플레이 화면(202a)에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c)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가 유효한 정보로써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정확하게 전송됨에 따라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는 화면, 다시 말해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202b)이 키오스크 단말기(202)의 디스플레이 화면(202a)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202b)을 통해 결제요청 품목 등을 최종 선택한 후 해당 결제요청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101)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5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기(201)를 통해 주유 비용 결제, 주차비 결제, 통행료 결제 등을 할 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 기반의 원클릭 방식 결제를 이용하는 사례에 주로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요 작용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의 주요 작용과 유사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차량번호들 및 이러한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된다.
단계(S120)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차량번호들 및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 탑재된다.
단계(S130)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된다.
단계(S140)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따라 기저장된 차량번호들 및 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S150)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S160)에서, 상기 결제기관 서버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단계(S170)에서, 상기 결제기관 서버는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의 포함된 정보들이 유효한 정보일 경우 해당 결제 요청을 승인하며, 이와 달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의 포함된 정보들이 유효하지 않은 정보일 경우 해당 결제 요청을 거절한다.
단계(S180)에서, 상기 결제기관 서버를 통해 승인되는 결제요청 정보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S110) 및 단계(S120)은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에서 추가되는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의 추가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단계(S110)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결제 중계 서버에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은 아래의 단계 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S210)에서,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결제 중계 서버에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S220)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 요청한다.
단계(S230)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101 : 결제 중계 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부 111 :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
112 : 일반 결제정보 DB 113 : 인증정보 DB
114 : 로그정보 DB 115 : 어플리케이션 관리정보 DB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어플리케이션 200 : 결제 요청 단말기
201 : 이동통신 단말기 201a : 디스플레이 화면
201b :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 202 : 키오스크 단말기
202a : 디스플레이 화면 202b : 결제요청 정보 전송화면
203 : PC 300 : 결제 기관 서버

Claims (10)

  1.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저장되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되는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대응된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 후 상기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결제기관 서버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차량과 관련된 결제 정보들이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로써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되어 저장 및 관리되어 차계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의 정보들은 인증 과정을 거친 상기 단말기에 다운로드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되, 다수의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하거나 하나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다수의 결제수단이 대응되는 경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단말기에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부터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의 상기 결제수단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상기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전송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말기에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해당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5.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된 단말기로부터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의 수신 시 수신된 차량번호, 패스워드와 저장된 상기 차량번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전송 후 상기 결제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되는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중계 서버;
    상기 결제 중계 서버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송하는 결제 요청 단말기;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유효성 검증 후 해당 결제 요청의 승인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결제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차량 관련의 결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 차량과 관련된 결제 정보들이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로써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되어 저장 및 관리되어 차계부로 기능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차량 관련 결제정보 DB의 정보들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인증 과정을 거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다운로드 가능하고,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되, 다수의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하거나 하나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다수의 결제수단이 대응되는 경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단말기에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부터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 및 키오스크 타입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전송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 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 요청하여 해당되는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시스템.
  8.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 탑재되는 단계;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차량번호, 패스워드 및 결제요청 정보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따라 기저장된 차량번호들 및 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기관 서버에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유효성 검증 후 해당 결제 요청의 승인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기관 서버를 통해 승인되는 결제정보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차량과 관련된 결제 정보들을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하여 저장하고, 인증 과정을 거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차량 관련 결제 정보를 다른 결제 정보들과 구분하여 제공하고,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번호 및 패스워드에 따라 기저장된 차량번호들 및 그 패스워드를 토대로 해당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검출된 결제수단 정보의 해당 결제기관 서버에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의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자 선택 신호와 대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검출하되, 다수의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수단을 보유하거나 하나의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다수의 결제수단이 대응되는 경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단말기에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부터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별 대응되는 패스워드 기반의 결제 서비스 진행을 매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 탑재되는 단계는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들 및 상기 차량번호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워드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 중계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에는, 동일한 차량명의자 소유의 차량번호들이 상기 차량명의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그룹 형태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저장되되, 그룹 내 차량번호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제수단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며, 그룹 내 차량번호의 해당 결제수단을 필요 시 그룹 내 다른 차량번호와 대응된 결제수단으로 1회성 내지 설정 가능한 범위로 전환하기 위한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과정이 포함되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기반으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요청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수단 전환용 패스워드 및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려는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 방법.
KR1020170059170A 2017-05-12 2017-05-12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70A KR101939187B1 (ko) 2017-05-12 2017-05-12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70A KR101939187B1 (ko) 2017-05-12 2017-05-12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08A KR20180124508A (ko) 2018-11-21
KR101939187B1 true KR101939187B1 (ko) 2019-04-11

Family

ID=6460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170A KR101939187B1 (ko) 2017-05-12 2017-05-12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24B1 (ko) 2019-07-03 2020-05-28 라종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이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량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26728A (ko)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번호에 기반을 둔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112B1 (ko) 2021-03-29 2021-10-2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데이터 암호화 처리 및 인증을 통한 자동화된 원격 지불을 위한 차량내에서의 원격 지불 방법 및 원격 지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42B1 (ko) 2002-03-20 2009-06-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자동차 번호를 이용한 무선결제 방법
KR20040054022A (ko) * 2002-12-16 2004-06-25 (주)아이디어 오케이 차량번호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3916A (ko) * 2011-03-22 2011-04-0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고유id를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KR101436296B1 (ko) * 2012-03-19 2014-09-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 결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72324B1 (ko) * 2015-03-31 2016-11-04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사용자의 간편한 복합 결제를 지원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2549A (ko) 2015-09-15 2017-03-23 박경수 차량번호와 연동하여 주문 처리하는 가맹점의 단말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24B1 (ko) 2019-07-03 2020-05-28 라종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이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량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26728A (ko)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번호에 기반을 둔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112B1 (ko) 2021-03-29 2021-10-2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데이터 암호화 처리 및 인증을 통한 자동화된 원격 지불을 위한 차량내에서의 원격 지불 방법 및 원격 지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08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9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pre-authentication
US11024104B2 (en) Vehicle-based identification and access
CN110100258B (zh) 用于处理来自用户车辆的数据消息的系统和方法
US9858574B2 (en) Verification methods for fraud prevention in money transfer receive transactions
RU242791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окращения времени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ри бесконтактной транзакции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US100682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rokered authentication express seller links
US20130110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mobile payments
US20120245985A1 (en)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ocessing payment and data
US201800531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authorization response
US201201795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50058220A1 (en) Payment pre-authorization
CN103975352A (zh) 可安全充值的电子钱包
JP2015518614A (ja) データ及びアイデンティティの検証及び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22754A (ko) 결제장치 및 방법
WO20131281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ayment transaction
JP6412648B2 (ja) 発行者の代理としてのオンラインカード保有者認証サービスの提供
US11210623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purchase delivery
US20150371202A1 (en) Credit card self-paying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101939187B1 (ko) 차량번호 기반의 결제용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74312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wo-step payment transaction authorizations
JP2019504429A (ja) モバイル端末eSEに基づくクレジット決済方法及び装置
KR20110124462A (ko) 결제자의 사전 승인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 결제 시스템 및 무선 단말 결제 방법
US2019027917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ed bill payment
KR101648506B1 (ko) 복합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