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636B1 -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636B1
KR101938636B1 KR1020180031030A KR20180031030A KR101938636B1 KR 101938636 B1 KR101938636 B1 KR 101938636B1 KR 1020180031030 A KR1020180031030 A KR 1020180031030A KR 20180031030 A KR20180031030 A KR 20180031030A KR 101938636 B1 KR101938636 B1 KR 10193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unting plate
door
hand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박준형
이경중
전영욱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17/2092Means responsive to tampering or attack providing additional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2003/0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the spindle by means of tilt-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15Electric alarm locks triggered by movement of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95Actuation of a lock triggering an alarm system, e.g. an alarm system of a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핸들 조립체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보어홀이 구비되는 문짝에 설치되고, 상기 보어홀의 외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1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보어홀의 내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2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외부손잡이;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손잡이;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연결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속에 위치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스핀들;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를 사이에 둔 상기 외부손잡이와 상기 제1 파이프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손잡이 또는 내부손잡이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상태,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제1 파이프에서 해제시키는 제2 상태 및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되는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짝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외부손잡이를 당겨 내부로 강제 출입을 시도하는 힘과, 내부에서 내부손잡이를 당겨 이를 저지하는 힘이 대립하는 경우, 내부에서 단순한 조작으로 외부손잡이를 탈락시켜 침입을 방지할 수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손잡이가 탈락함과 동시에 연결된 알람수단(경보음 발생 등)이 연동되어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DOOR-HANDLE ASSEMBLY THAT CAN BE PULLED OUT OF THE DOOR}
본 발명은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조작 또는 제어되는 도어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핸들(door-handle)은 문의 손잡이를 뜻하는 말로, 문 바깥쪽의 손잡이와 문 안쪽의 손잡이를 통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42771호는 '침입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시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모티스의 잠금을 해제하고, 일측면에 잠금홀이 형성된 피니언; 피니언의 잠금홀로 인출입하도록 동작하는 잠금편과, 잠금편의 위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출 모드 시, 잠금홀에 걸림 결합되도록 잠금편의 인입이 유지되어, 손잡이에 의한 피니언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손잡이 자체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침입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침입 방지수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나선형 안내부재와, 하우징에 축결합되는 축부, 축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나선형 안내부재에 접촉하는 구동부, 축부 타측으로 연결되어 잠금편에 결합되는 작동부로 이루어져, 나선형 안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부가 나선형 안내부재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 변위되어, 축부를 축으로 작동부가 스윙 동작되면서 잠금편을 인출입시키는 링커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외출 모드 상태에서 불법적인 방법으로 실내측 손잡이를 통해 침입 시도가 있더라도 손잡이 자체가 작동하지 않아 도어의 개방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강제 침입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도어핸들을 기능을 갖춘채,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강제로 침입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42771호 (등록일: 2017.05.26)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2848호 (등록일: 2014.10.1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86261호 (등록일: 2011.11.17)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강제 침입을 막을 수 있는,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기계적인 조작으로 오작동의 염려가 없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외부를 관통하는 보어홀이 구비되는 문짝에 설치되고, 상기 보어홀의 외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1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보어홀의 내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2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외부손잡이;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손잡이;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연결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속에 위치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스핀들;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를 사이에 둔 상기 외부손잡이와 상기 제1 파이프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손잡이 또는 내부손잡이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상태,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제1 파이프에서 해제시키는 제2 상태 및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되는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손잡이는 문짝에 접하되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를 감싸 마련되는 제1 로즈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손잡이는 문짝에 접하되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를 감싸 마련되는 제2 로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는 탄성있고 길게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로즈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의 한 지점에 마련되는 걸림홀에 껴지되 절곡되어 자유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외주면 밖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손잡이와 상기 제1 파이프가 단단하게 고정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핀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에 가까운 끝단에서 내부로 홈으로 마련되는 제1 작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에 절곡되어 껴진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 작동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파이프 안에 있다가, 상기 제2 상태로 가변되면 상기 제1 작동홈의 내벽이 상기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홀에 걸려있던 상기 걸림부가 이탈되고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파이프의 고정 연결을 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손잡이에는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탈락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핀들의 상기 내부손잡이 쪽 끝단과 상기 제1 탈락버튼의 상기 제1 스핀들 쪽 끝단 중 어느 하나에는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의 맞춤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춤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맞춤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탈락버튼을 누른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스핀들이 함께 움직이게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손잡이가 구비된 문짝의 같은 면에 상기 내부손잡이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알람수단; 상기 알람수단은,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음이 발생하는 알람부,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전원부, 맞닿아 있는 상기 알람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서 임시 차폐시키는 판 형상의 차단막 및 상기 외부손잡이의 탈락에 의해 상기 차단막이 연동되게 연결되는 줄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막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제3 상태로 가변되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알람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서 이탈하여 경보음이 울리게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가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자력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력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력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외부를 관통하는 보어홀이 구비되는 문짝에 설치되고, 상기 보어홀의 외부를 커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센터가 관통된 제3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보어홀의 내부를 커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센터를 관통하여 고정설치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는 제4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 외부로 연결되는 외부손잡이; 상기 제4 마운팅플레이트에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손잡이;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맞닿아 있되, 상기 외부손잡이에서 연장설치되어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를 통과하는 제3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손잡이는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탈락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탈락버튼 내측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스핀들의 자유단에는 홈으로 마련되는 제2 작동홈을 포함하며,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3 파이프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3 파이프와 상기 제4 파이프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 근접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3 파이프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3 파이프 또는 상기 제4 파이프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손잡이 또는 내부손잡이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상태, 상기 제2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이 연동되어 제2 프레임을 상기 제3 파이프 및 제4 파이프에서 해제시키는 제2 상태 및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되는 제3 상태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짝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외부손잡이를 당겨 내부로 강제 출입을 시도하는 힘과 내부에서 내부손잡이를 당겨 이를 저지하는 힘이 대립하는 경우, 내부에서 제1 탈락버튼을 눌러서 돌리고, 제1 스핀들이 함께 회전하여 걸림부를 가압하면 제1 로즈와 제1 파이프의 결합이 해제되어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외부손잡이가 빠져 침입자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는 힘을 저지할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손잡이가 탈락함과 동시에 연결된 알람수단(경보음 발생 등)이 연동되어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핸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도어핸들 조립체의 제1 스핀들 부분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핸들 조립체(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어핸들 조립체(1)의 제1 스핀들(500)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1에 표시된 방향(상, 하, 외, 내, 전, 후)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문을 기준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자가 있는 바깥쪽을 '외부'라 하고 이를 저지하려는 자가 있는 문의 안쪽을 '내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는, 외부손잡이(100), 내부손잡이(200), 제1 로즈(110), 제2 로즈(210),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 제1 파이프(120), 제2 파이프(220), 고정부재(300), 제1 스핀들(500) 및 제1 탈락버튼(2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손잡이(100)는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유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 모양의 레버(lev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모양이 둥근 노브(knob)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손잡이(1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문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1st mounting-plate)는 문짝(2)의 보어홀(3)(bore-hole)을 커버가능하게 구비되되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문짝(2)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자석결합 및/또는 요철결합 등의 단단한 고정을 위한 어떠한 결합이든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마련되어 보어홀(3) 안에서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와 제1 파이프(120) 및 제2 파이프(220)에 의해 대칭하여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의 센터(C)에는 제1 파이프(120)의 일단이 나사결합되어 고정설치 되고 제1 파이프(120)의 타단은 제2 파이프(220)의 일단과 억지결합되거나 나사결합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와 제1 파이프(1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파이프(220)의 일단은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의 센터(C)에는 문짝(2)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제1 파이프(120)와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와 제2 파이프(2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120)와 제2 파이프(2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2nd mounting-plate)는 문짝(2)의 보어홀(3)을 커버가능하게 구비되되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문짝(2)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자석결합 및/또는 요철결합 등의 단단한 고정을 위한 어떠한 결합이든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마련되어 보어홀(3) 안에서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와 제1 파이프(120) 및 제2 파이프(220)에 의해 대칭하여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 제1 파이프(120),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 및 제2 파이프(220)의 결합된 모양을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은 알파벳 대문자 에이치(H)의 형상을 띠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는 보어홀(3) 안에서 구성들이 유격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손잡이(100)는 제1 로즈(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 로즈(110)(1st rose)는 일반적인 도어 로즈(door-rose)의 형태와 기능을 갖고 문짝(2)에 접하되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를 감싸 마련된다.
고정부재(300)는 탄성있게 이루어지며, 일단이 제1 로즈(110)에 결합되는 결합부(301), 타단이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의 어느 한 점에 마련되는 관통홀(312)을 통과하는 관통부(302) 및 제1 파이프(120) 외주면의 한 지점에 마련되는 걸림홀(313)에 껴지되 절곡되어 타단(자유단)이 상기 제1 파이프(120) 외주면 밖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외부손잡이(100)와 제1 파이프(120)를 단단하게 고정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정부재(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의 센터(C)를 중심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고정부재(300)가 두 개가 설치된다면 (어느 하나에 힘이 집중되지 않도록) 공평한 힘의 분배를 받기 위해 센터(C)를 중심으로 180°간격으로 설치되거나, 고정부재(300)가 세 개가 설치된다면 공평한 힘의 분배를 위해 센터(C)를 중심으로 120°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외부손잡이(10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단단하게 고정'의 의미는 일반적인 문의 기능인 문의 개폐 시, 제1 로즈(110)와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의 이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뜻한다.
고정부재(300)는 판형스프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즈(110)와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보조적인 수단으로, 제1 로즈(110)와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가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제1 자력부(M1)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자력부(M1)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력부(M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자력부(M1)와 제2 자력부(M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제1 자력부(M1)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2 자력부(M2)는 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312)은 제1 파이프(120)의 외주면의 한 지점에 관통되어 마련되고, 고정부재(300)의 설치개수 및 직경에 따라 관통홀(312)은 다양한 개수 및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 스핀들(500)(1st spindle)은 파이프 형태로 제1 작동홈(510), 제1 작동날개(520) 및 맞춤홈(5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스핀들(500)은 지나치게 짧지 않고 연결된 제1 파이프(120) 및 제2 파이프(220) 내부에 맞닿아 있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정한 길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연결된 제1 파이프(120) 및 제2 파이프(220)'를 '연결파이프(P)'라고 지칭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핀들(500)은 원통형으로 표현됐지만(도1 참조) 제1 스핀들(500)의 외주면과 연결파이프(P)의 내주면과의 1)내부마찰을 줄이고, 2)제1 스핀들(500)이 연결파이프(P)의 내주면과 나란히 설치되어 유격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치하기 위하여, 관통부(302)와 제1 작동홈(510) 간의 간섭작용이 일어나는 부분과 그 반대 방향의 끝단, 즉 제1 스핀들(500)의 양단을 제외하고는 연결파이프(P)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 아령 모양)
제1 작동홈(510)은 외부에 가까운 끝단에서 내부로 홈이 마련되고, 이 제1 작동홈(510)에 의해 제1 스핀들(500)이 연결파이프(P) 내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걸림부(303)와의 간섭여부가 결정된다.
내부손잡이(200)는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유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 모양의 레버(lev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모양이 둥근 노브(knob)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손잡이(2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문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홀(H1) 및 제1 탈락버튼(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내부손잡이(200)는 제2 로즈(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2 로즈(210)(2nd rose)는 일반적인 도어 로즈의 형태와 기능을 갖고 문짝(2)에 접하되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를 감싸 마련된다.
외부손잡이(100) 및 내부손잡이(200)는 가볍고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제1 탈락버튼(201)은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1 홀(H1)에 의해 내부손잡이(200)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멈춤돌기(202), 제1 코일스프링(204) 및 맞춤돌기(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 '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손잡이(200)의 내측이 아닌 문을 기준으로 문의 안쪽을 의미한다.
제1 탈락버튼(201) 내측에 설치된 제1 코일스프링(204)은 제1 탈락버튼(201)이 항시 내부손잡이(200)에서 내부로 돌출되도록 반발력을 작용시키며, 멈춤돌기(202)는 제1 탈락버튼(201)이 제1 코일스프링(204)의 탄성에 의해 내부손잡이(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1 탈락버튼(201)은 제1 코일스프링(204)에 의해 문의 내부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멈춤돌기(202)가 내부손잡이(200)의 제1 홀(H1)에 걸림으로 일정구간에서만 내부손잡이(200) 내측에서 왕복 및 회전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1 탈락버튼(201)의 제1 스핀들(500) 쪽 끝단에는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의 맞춤돌기(203)가 형성되고 제1 스핀들(500)의 내부손잡이(200) 쪽 끝단에는 맞춤돌기(203)가 대응 삽입되는 맞춤홈(501)이 형성되어 제1 탈락버튼(201)을 누른 상태로 회전할 때 맞춤돌기(203)가 맞춤홈(501)에 인입되어 제1 스핀들(50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의 예로 십(十)자 모양을 예로 들 수 있다. 결국 맞춤돌기(203)와 맞춤홈(501)이 대응 인입되어야 제1 스핀들(500)을 회전시킬 수 있게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1 스핀들(500)의 내부손잡이(200) 쪽 끝단에는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의 맞춤돌기(203)가 형성되고 제1 탈락버튼(201)의 제1 스핀들(500) 쪽 끝단에는 맞춤돌기(203)가 대응 삽입되는 맞춤홈(501)이 형성될 수 있다.
맞춤돌기(203)와 맞춤홈(501)은 마찰에 의해 방향성이 어그러지지 않도록 금속재료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료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알람수단(A)은 내부손잡이(200)가 구비된 문짝(2)과 같은 면에 내부손잡이(20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알람부(A1), 전원부(A2), 연결부(A3) 및 차단막(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 안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알람부(A1)는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강력한 고출력 경보음(110dB이상)이 울리면 순간 당황한 침입자의 강제 침입 시도를 차단시킬 수 있고 또한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전원부(A2)는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것으로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람부(A1)와 맞닿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A2)는 코인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차단막(F)은 맞닿아 있는 알람부(A1)와 전원부(A2) 사이에서 전기적 에너지의 흐름을 임시 차폐시키는 얇은 막으로, 알람부(A1)와 전원부(A2)를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는 구성이다.
연결부(A3)는 외부손잡이(100)의 탈락에 의해 차단막(F)이 연동되게 연결되는 줄 형상으로, 외부손잡이(100)가 탈락하면 차단막(F)에 연결된 연결부(A3)가 당겨지면서(장력) 차단막(F)이 알람부(A1)와 전원부(A2) 사이에서 이탈되어 알람부(A1)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연결부(A3)의 일단은 차단막(F)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부재(300)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람부(A1)는 전류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손잡이(100)까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침입자의 손잡이 파지를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류의 최소한의 크기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가 제1 스핀들(5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손잡이(100) 또는 내부손잡이(200)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제1 상태'라고 하고, 제1 스핀들(500)의 움직임에 의해서 고정부재(300)를 제1 파이프(120)에서 해제시키는 상태를 '제2 상태'라고 하며, 외부 인력에 의해 외부손잡이(100)가 탈락되는 상태를 '제3 상태'라고 한다.
도 3a는 도 2a의 A-A 횡단면을 나타내고(제1 상태), 도 3b는 도 2b의 B-B 횡단면을 나타내며(제2 상태), 도 3c는 도 2c의 C-C 횡단면을 나타낸다(제3 상태).
제1 상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걸림부(303)가 제1 스핀들(500)의 제1 작동홈(510)에서 간섭을 받지 아니한다. 간섭이 생기지 않아 제1 로즈(110) 및 제1 파이프(120)의 고정결합이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손잡이(100)가 빠지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제1 탈락버튼(201)이 눌리지 않은 상태이며 제1 스핀들(500)도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다. (도 3a 참조)
제2 상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걸림부(302)는 간섭이 발생하여 제1 스핀들(500)의 제1 작동홈내벽(511)에 의해 가압되고 걸림부(302)는 걸림홀(313) 안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는 내부에서 제1 탈락버튼(201)을 누르고 맞춤홈(501)에 맞춤돌기(203)를 인입시켜 제1 스핀들(500)을 회전한 상태이다. (도 3b 참조)
제3 상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에 의한 결합력이 해제됨에 따라 외부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외부손잡이(100)가 빠지는 상태이다. (도 3c 참조)
외부로 잡아당기는 힘과 내부로 잡아당기는 힘이 대립중에 있고, 힘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재(300)의 결합력+자력부의 인력 > 침입자가 당기는 최대 힘 > 문 개폐시 필요한 힘, 즉, 고정부재(300)에 의한 제1 로즈(110) 및 제1 파이프(120)의 결합력과 자력부의 인력이 합해진 힘은 침입자가 당기는 최대 힘보다 커서 외부손잡이(100)가 분리되지 않는다.
고정부재(300)에 의한 결합력이 해제되면, 침입자가 당기는 최대 힘 > 자력부의 인력, 즉, 자력부의 인력보다는 침입자가 당기는 힘이 커서 손잡이가 빠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에 의하면, 문짝(2)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외부손잡이(100)를 당겨 내부로 강제 출입을 시도하는 힘과, 내부에서 내부손잡이(200)를 당겨 이를 저지하는 힘이 대립하는 경우, 내부에서 단순한 기계적 조작으로 외부손잡이(100)를 탈락시켜 침입자의 손잡이 파지를 저지하여 침입자가 문을 잡아 당기는 힘을 제거할 수 있고, 외부손잡이(100)가 탈락함과 동시에 연결된 알람수단(A)(경보음 발생 등)이 연동되어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는, 외부손잡이(100), 내부손잡이(200), 제1 로즈(110), 제2 로즈(210), 제1 마운팅플레이트(MP1), 제2 마운팅플레이트(MP2), 제1 파이프(120), 제2 파이프(220), 고정부재(300), 제1 스핀들(500) 및 제1 탈락버튼(2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 형태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고정부재(300)의 형태 및 재질을 달리하여 결합부(301)-결합홈(311), 관통부(302)-관통홀(312) 및 관통부(302)-걸림홀(3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에 의하면, 문짝(2)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외부손잡이(100)를 당겨 내부로 강제 출입을 시도하는 힘과, 내부에서 내부손잡이(200)를 당겨 이를 저지하는 힘이 대립하는 경우, 내부에서 단순한 기계적 조작으로 외부손잡이(100)를 탈락시켜 침입자의 손잡이 파지를 저지하여 침입자가 문을 잡아 당기는 힘을 제거할 수 있고, 외부손잡이(100)가 탈락함과 동시에 연결된 알람수단(A)(경보음 발생 등)이 연동되어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는, 외부손잡이(100'), 내부손잡이(200'),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 제4 마운팅플레이트(MP4), 제3 파이프(320), 제4 파이프(420), 고정수단(D), 제2 스핀들(600) 및 제2 탈락버튼(4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손잡이(100')는 일반적인 문손잡이의 기능을 유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기 모양의 레버(lev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모양이 둥근 노브(knob)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손잡이(1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문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3rd mounting-plate)는 문짝(2)의 보어홀(3)(bore-hole)을 커버 가능하게 구비되되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문짝(2)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자석결합 및/또는 요철결합 등의 단단한 고정을 위한 어떠한 결합이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4 마운팅플레이트(MP4)(4th mounting-plate)도 문짝(2)의 보어홀(3)(bore-hole)을 커버 가능하게 구비되되 보어홀(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문짝(2)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 될 수도 있고, 자석결합 및/또는 요철결합 등의 단단한 고정을 위한 어떠한 결합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제3 파이프(320)는 제4 파이프(420)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되, 외부손잡이(100')에서 연장설치되어 (문짝(2)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의 센터(C)를 통과하여 설치된다.
제4 파이프(420)는 제4 마운팅플레이트(MP4)의 센터(C)를 통과하여 문짝(2)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4 파이프(420) 및 제4 마운팅플레이트(MP4)는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내부손잡이(200')는 외부손잡이(100')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탈락버튼(401)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스핀들(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은 문 안쪽의 내부가 아닌 구성요소의 안쪽을 의미한다.
제2 탈락버튼(401)은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제2 홀(H2)에 의해 내부손잡이(200')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코일스프링(404), 장홈(405), 장봉(406), 이동홈(407), 이동봉(408)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 참조)
고정수단(D)은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3 파이프(3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3 파이프(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P1), 제1 프레임(P1)으로부터 겹쳐진 제3 파이프(320)와 제4 파이프(420)의 어느 한 지점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 프레임(P2) 및 제1 프레임(P1)으로부터 제2 프레임(P2)보다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에 근접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3 파이프(320)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제2 스핀들(600)의 움직임에 의해 제3 파이프(320)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제3 프레임(P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수단(D)은 제3 마운팅플레이트(MP3)의 센터(C)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고정수단(D)이 두 개가 설치된다면 (어느 하나에 힘이 집중되지 않도록) 공평한 힘의 분배를 받기 위해 센터(C)를 중심으로 180°간격으로 설치되거나, 고정수단(D)이 세 개가 설치된다면 공평한 힘의 분배를 위해 센터(C)를 중심으로 120°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외부손잡이(10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삼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가 제2 스핀들(60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상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탈락버튼(401)이 눌리지 않고 제3 프레임(P3)이 제2 작동홈(610)에서 간섭받지 않은 상태이며, 애초에 제3 프레임(P3)이 제2 작동홈(610) 구역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탈락버튼(401)이 눌리면 제2 스핀들(600)과 제2 탈락버튼(401)이 일체로 움직여서 제2 작동홈(610) 구역에 제3 프레임(P3)이 들어는 오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2 상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탈락버튼(401)을 누른 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손잡이(200')의 파지부(G)를 돌려 제2 탈락버튼과 일체형으로 마련된 제2 스핀들(600)이 함께 돌아가는 상태이다.
제2 탈락버튼(401)을 누른 채, 내부손잡이(200')의 파지부(G)를 돌리면 제2 스핀들(600)이 제4 파이프(420)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2 작동홈내벽(611)이 제3 프레임(P3)을 가압하고, 제3 프레임(P3)을 제3 파이프(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3 프레임(P3)이 움직이는 길이보다 제1 프레임(P1)에 연결된 제2 프레임(P2)의 움직이는 길이가 삼각법에 따라 더 길어, 제3 파이프(320) 및 제4 파이프(420)에 삽입되어 있던 제2 프레임(P2)의 끝단이 보어홀(3)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
제2 프레임(P2)의 끝단은 제3 파이프(320) 및 제4 파이프(420)에 단단히 고정되기 위하여 강도, 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5c 참조)
제3 상태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D)에 의해 외부손잡이(100')가 문짝(2)에 고정되는 결합력이 해제되었으므로 외부의 인력에 의해 외부손잡이(100')가 빠지는 상태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알람부(A1)는 탈락되는 외부손잡이(100')와 연동돼 구동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핸들 조립체(1)에 의하면, 문짝(2)을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외부손잡이(100')를 당겨 내부로 강제 출입을 시도하는 힘과, 내부에서 내부손잡이(200')를 당겨 이를 저지하는 힘이 대립하는 경우, 내부에서 단순한 기계적 조작으로 외부손잡이(100')를 탈락시켜 침입자의 손잡이 파지를 저지하여 침입자가 문을 잡아 당기는 힘을 제거할 수 있고, 외부손잡이(100')가 탈락함과 동시에 연결된 알람수단(A)(경보음 발생 등)이 연동되어 주위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전술한 예와 달리, 문짝(2)을 기준으로 1)외부와 내부에 손잡이가 달리고, 2)외부손잡이(100, 100')와 내부손잡이(200, 200')가 문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3)서로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서만 문이 열리는 메카니즘을 가진 모든 문손잡이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령 유리문이나 자동차문 등에 구성의 크기를 달리하여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도어핸들 조립체 2: 문짝
3: 보어홀
100: 외부손잡이 100': 외부손잡이
110: 제1 로즈 120: 제1 파이프
200: 내부손잡이 200': 내부손잡이
201: 제1 탈락버튼 202: 멈춤돌기
203: 맞춤돌기 204: 제1 코일스프링
210: 제2 로즈 220: 제2 파이프
300: 고정부재 301: 결합부
302: 관통부 303: 걸림부
311: 결합홈 312: 관통홀
313: 걸림홀 314: 연결홀
315: 연결통로 320: 제3 파이프
401: 제2 탈락버튼 402: 제2 멈춤돌기
404: 제2 코일스프링 405: 장홈
406: 장봉 407: 이동홈
408: 이동봉 409: 확대부
420: 제4 파이프 500: 제1 스핀들
501: 맞춤홈 510: 제1 작동홈
511: 제1 작동홈내벽 520: 제1 작동날개
600: 제2 스핀들 610: 제2 작동홈
611: 제2 작동홈내벽 620: 제2 작동날개
A: 알람수단 A1: 알람부
A2: 전원부 A3: 연결부
C: 센터 D: 고정수단
F: 차단막 H1: 제1 홀
H2: 제2 홀 M1: 제1 자력부
M2: 제2 자력부 MP1: 제1 마운팅플레이트
MP2: 제2 마운팅플레이트 MP3: 제3 마운팅플레이트
MP4: 제4 마운팅플레이트 P1: 제1 프레임
P2: 제2 프레임 P3: 제3 프레임
R1: 제1 회전축 R2: 제2 회전축
R3: 제3 회전축 s: 나사
s': 나사구멍 G: 파지부

Claims (7)

  1. 내외부를 관통하는 보어홀이 구비되는 문짝에 설치되고,
    상기 보어홀의 외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1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보어홀의 내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2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외부손잡이;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손잡이;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에서 문짝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연결된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 속에 위치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스핀들;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를 사이에 둔 상기 외부손잡이와 상기 제1 파이프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손잡이 또는 내부손잡이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상태, 상기 제1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제1 파이프에서 해제시키는 제2 상태 및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되는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손잡이는 문짝에 접하되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를 감싸 마련되는 제1 로즈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손잡이는 문짝에 접하되 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를 감싸 마련되는 제2 로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는 탄성있고 길게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로즈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의 한 지점에 마련되는 걸림홀에 껴지되 절곡되어 자유단이 상기 제1 파이프 외주면 밖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손잡이와 상기 제1 파이프가 단단하게 고정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핀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외부에 가까운 끝단에서 내부로 홈으로 마련되는 제1 작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에 절곡되어 껴진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 작동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파이프 안에 있다가, 상기 제2 상태로 가변되면 상기 제1 작동홈의 내벽이 상기 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홀에 걸려있던 상기 걸림부가 이탈되고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파이프의 고정 연결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손잡이에는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탈락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핀들의 상기 내부손잡이 쪽 끝단과 상기 제1 탈락버튼의 상기 제1 스핀들 쪽 끝단 중 어느 하나에는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의 맞춤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춤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맞춤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탈락버튼을 누른 상태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스핀들이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손잡이가 구비된 문짝의 같은 면에 상기 내부손잡이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알람수단;
    상기 알람수단은,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음이 발생하는 알람부,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전원부, 맞닿아 있는 상기 알람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서 임시 차폐시키는 판 형상의 차단막 및 상기 외부손잡이의 탈락에 의해 상기 차단막이 연동되게 연결되는 줄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막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제3 상태로 가변되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알람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서 이탈하여 경보음이 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로즈와 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가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자력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력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7. 내외부를 관통하는 보어홀이 구비되는 문짝에 설치되고,
    상기 보어홀의 외부를 커버하고 센터가 관통된 제3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보어홀의 내부를 커버하고 센터를 관통하여 고정설치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는 제4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외부손잡이;
    상기 제4 마운팅플레이트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내부손잡이;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맞닿아 있되, 상기 외부손잡이에서 연장설치되어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의 센터를 통과하는 제3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손잡이는 내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른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탈락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탈락버튼 내측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스핀들의 자유단에는 홈으로 마련되는 제2 작동홈을 포함하며,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3 파이프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3 파이프와 상기 제4 파이프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제3 마운팅플레이트에 근접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3 파이프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3 파이프 또는 상기 제4 파이프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손잡이 또는 내부손잡이를 파지한 채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상태, 상기 제2 스핀들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이 연동되어 제2 프레임을 상기 제3 파이프 및 제4 파이프에서 해제시키는 제2 상태 및 외부 인력에 의해 상기 외부손잡이가 빠지게 되는 제3 상태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180031030A 2018-03-16 2018-03-16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KR10193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30A KR101938636B1 (ko) 2018-03-16 2018-03-16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30A KR101938636B1 (ko) 2018-03-16 2018-03-16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636B1 true KR101938636B1 (ko) 2019-01-15

Family

ID=6503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30A KR101938636B1 (ko) 2018-03-16 2018-03-16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530B1 (ko) * 2019-08-26 2020-10-05 정선효 샤프트 분리형 도어 안전 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89Y1 (ko) 2004-09-13 2004-12-16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의 핸들 강제조작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89Y1 (ko) 2004-09-13 2004-12-16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의 핸들 강제조작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530B1 (ko) * 2019-08-26 2020-10-05 정선효 샤프트 분리형 도어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747B2 (en) Swing bolt lock
EP2313581B1 (en) Electronic lock box with mechanism immobilizer features
US20060049645A1 (en) Magneto-mechanical locking device
EP1746229A2 (en) Lock device
US20070180871A1 (en) Storage lock
KR101938636B1 (ko) 손잡이가 빠질 수 있는 도어핸들 조립체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15708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KR20080014839A (ko) 로터 고정 요소에 의한 록
KR102217482B1 (ko)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JP6831952B2 (ja) 建具用錠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114557B1 (ko) 디지털 도어록
JP2982004B2 (ja) 開閉弁のケーブルロック装置
KR101030373B1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KR101871990B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미닫이문 잠금장치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JP2007162230A (ja) 扉の錠前用キー
KR10217965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EP2329087B1 (en) Door handle
US20220356735A1 (en) A locking system used in accessory and jewellery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KR100450580B1 (ko) 출입문용 키박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