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32B1 -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 Google Patents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32B1
KR101938532B1 KR1020180111993A KR20180111993A KR101938532B1 KR 101938532 B1 KR101938532 B1 KR 101938532B1 KR 1020180111993 A KR1020180111993 A KR 1020180111993A KR 20180111993 A KR20180111993 A KR 20180111993A KR 101938532 B1 KR101938532 B1 KR 101938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ity
leg portion
elastic
bar
temp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찬 filed Critical 김성찬
Priority to KR102018011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32B1/ko
Priority to PCT/KR2019/012016 priority patent/WO20200601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이나 기타 나사결합 등 별도의 제반 구성에 의존하여 안경테와 다리부의 일체화를 유도하던 기존과 달리 비교적 간소한 구성만으로도 다리부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리부의 회동 내지 절첩 동작을 행함에 있어 적정 수준의 탄성력에 기인한 탄력적인 개폐가 허용됨에 따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리부의 펼침 전환 또는 접힘 전환이 보다 쉽고 간편 신속하게 구현됨으로써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10)와, 안경테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개재되는 다리부(20)와, 안경테와 다리부를 서로 결부시키고 안경테를 기점으로 다리부의 개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30)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의 수평 선회 움직임에 기인한 위치 가변으로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다리부의 일정 각도 충족 시 가압에 의한 휨성 유발로 탄력적인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허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glasses}
본 발명은 안경테와 다리부의 탄성 결합을 유도하는 일련의 경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나 기타 나사결합 등 별도의 제반 구성에 의존하여 안경테와 다리부의 일체화를 유도하던 기존과 달리 비교적 간소한 구성만으로도 다리부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리부의 회동 내지 절첩 동작을 행함에 있어 적정 수준의 탄성력에 기인한 탄력적인 개폐가 허용됨에 따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리부의 펼침 전환 또는 접힘 전환이 보다 쉽고 간편 신속하게 구현됨으로써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보관 및 휴대의 편의를 확보하기 위하여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때 절첩부는 대다수 안경다리와 안경테에 암수 장석을 각각 체결하여 볼트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힌지 혹은 경첩 방식으로 서로 일체화한다.
예컨대 일반적인 안경다리 경첩구조는 안경테 외측에 부착되는 연결대 단부 상하로 소정의 경첩편을 형성하고, 안경다리 단부에는 회동편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한 다음 경첩편과 회동편을 경첩핀으로 연결함으로써 안경다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절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첩구조(이하 '종래 경첩구조'라 함)는 안경테의 연결대에 경첩편이 용접 부착되는바, 용접 작업 시 야기되는 어려움은 물론 부착 위치에 대한 정밀성이 요구되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안경의 생산 능률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으며, 나아가 용접 부착 위치의 정밀성 요구로 인하여 숙련된 기능자를 필요로 하는 난제 또한 있었다.
그리고 종래 경첩구조는 연결대에 부착되는 경첩편이 파손되었을 경우 안경테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고, 이는 수요자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으로 귀결될 뿐 아니라 원자재 낭비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안경다리의 무수한 절첩으로 인해 경첩 부위에 마련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느슨해져 조임이 풀어지게 되는 등 크고 작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고자 안경의 경첩부에 용접을 배제한 상태로 소정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가령 등록특허공보 제0832795호 "안경"이 게재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렌즈테와 일체로 연결간을 형성하여 연결간의 상하에 결림홈을 구성하고, 걸림홈에 결합되는 상하 연결구 사이에 안경다리에 형성되는 연결편을 투입하여 상하 연결구와 연결편을 볼트로 결합하는 기술사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사상은 대상 볼트가 안경다리를 절첩하는 회동축을 겸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상하 연결구는 분리되어 연결간의 상하에서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의 절첩 시 볼트가 회동되어 그 조임이 풀어지게 되면 볼트에 의해 결합된 상하 연결구의 조임 상태 또한 느슨해져 해당 안경다리가 쉽게 흔들리거나 조립부의 분해를 야기하는 등 치명적인 폐단이 유발되고, 아울러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조립이 불편하고 유지 보수에 있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2795호 "안경"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589호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조립 호환성이 극대화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리부의 선회 움직임이 더욱 원활하고 정밀 정확하게 허용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부품 수를 극히 최소화함으로써 용접이나 기타 볼트 등에 의존하지 않고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안경(100)은 안경테(10)와, 안경테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개재되는 다리부(20)와, 안경테와 다리부를 서로 결부시키고 안경테를 기점으로 다리부의 개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30)로 구성하되,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의 수평 선회 움직임에 기인한 위치 가변으로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다리부의 일정 각도 충족 시 가압에 의한 휨성 유발로 탄력적인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에 따라 휨성 내지 탄성을 보유하는 탄성유도체(31); 안경테(10) 양측 단부에 고정 결속되는 지지구(32); 지지구와 탄성유도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는 커넥터(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탄성유도체(31)는 다리부(20)의 위치 가변 과정에서 지지구(32)에 의한 가압으로 일 방향으로 밀리거나 또는 원위치됨에 따라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탄력있게 반응하면서 다리부의 선회 움직임이 제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탄성유도체(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단부에 커넥터(33)와의 고정 결부를 위한 절곡편(a,b)이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 사이 공간에서 길이 방향 연장되고 커넥터 내부 공간에 인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구(32)와의 간섭으로 휨성 내지 탄성을 발휘하는 조작바(3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커넥터(33)는 지지구(32)의 인입을 허용하는 절개홈(33-4); 절개홈에 수용된 지지구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결합핀(33-6)이 삽입 개재될 수 있게 상하 천공되는 체결홀(33-5); 탄성유도체의 제1,2끼움바(31-1,31-2)와 조작바(31-3)의 개별 끼움을 위하여 3개소의 분리된 공간으로 내설되는 제1인입홀 내지 제3인입홀(33-1,33-2,3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1인입홀(33-1) 및 제3인입홀(33-3)은 각각 탄성유도체의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를 개별 구속하고, 위 제2인입홀(33-2)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를 개별 수용하되, 지지구(32)와 간섭되는 조작바의 측 방향 유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해당 내부 공간을 조작바에 비해 상하좌우 확장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절개홈(33-4)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가 내입된 제2인입홀(33-2)과 서로 내통되게 함으로써 다리부(20)의 선회 시 지지구(32) 단부에 의하여 조작바가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지지구(32)는 다리부(20)의 외측 꺾임 정도를 임의 제한할 수 있게 걸림단턱(32-1)이 더 형성되고, 위 걸림단턱(32-1)은 다리부의 외측 굴절 과정에서 커넥터(33) 단부를 수용하여 중첩 유지됨에 따라 굴절 각도의 확장이 방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용접이나 기타 체결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최소한의 부품만으로도 다리부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 및 취급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호환성은 물론 사용상 편의 내지 취급의 편의 등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경은 탄성유도체를 비롯한 커넥터, 지지구의 상호 조합에 의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다리부가 펼쳐지거나 또는 접히는 일련의 과정이 더욱 탄력있고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기존과 전혀 다른 타입으로 경첩구조를 구현하는바, 단순히 다리부를 펼치거나 접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탄성유도체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별도의 장치 내지 수단 없이도 탄력적으로 해당 다리부가 내외 양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스프링 힌지와 같은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다리부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등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조립 과정을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순차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에 의하여 다리부의 절첩 회동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순차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제반 구성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의 다리부 굴절이 제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10)와 다리부(20)의 탄성 결합을 유도하는 일련의 경첩구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용접이나 기타 나사결합 등 별도의 제반 구성에 의존하여 안경테와 다리부의 일체화를 유도하던 기존과 달리 비교적 간소한 구성만으로도 다리부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리부의 회동 내지 절첩 동작을 행함에 있어 적정 수준의 탄성력에 기인한 탄력적인 개폐가 허용됨에 따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리부의 펼침 전환 또는 접힘 전환이 보다 쉽고 간편 신속하게 구현됨으로써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과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안경(100)은 통상의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시각 미를 표출하면서 렌즈 고정을 유도하는 안경테(10)와, 안경테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개재되어 사용자 귀 부위에 거치 고정되는 다리부(20)와, 안경테와 다리부를 서로 결부시키고 안경테를 기점으로 다리부의 개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부(30)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첩부를 기존 대비 개선하여 제안하고 있으며,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의 수평 선회 움직임에 기인한 위치 가변으로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다리부의 일정 각도 충족 시 가압에 의한 휨성 유발로 탄력적인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경첩부(30)는 용접이나 기타 볼트 등의 수단으로 체결되지 않아 작업 공정이 극히 효율적일 뿐 아니라 제반 구성 또한 최소한의 부품만으로 간소화되므로 생산 단가가 저렴해지는 이득을 창출한다.
아울러 무수히 반복적인 사용에도 볼트 등이 헐거워지거나 느슨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다리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므로 조작의 편의성은 물론 위치 제어의 정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에 따라 휨성 내지 탄성을 보유하는 탄성유도체(31)와, 안경테(10) 양측 단부에 고정 결속되는 지지구(32)와, 지지구와 탄성유도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는 커넥터(33)로 구분 구성된다.
위 탄성유도체(31)는 도면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다리부(20)의 위치 가변 과정에서 지지구(32)에 의한 가압으로 일 방향으로 밀리거나 또는 원 위치됨에 따라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탄력있게 반응하면서 다리부의 선회 움직임이 제어되게 한다.
이러한 탄성유도체(31)의 구성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면, 위 탄성유도체(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단부에 커넥터(33)와의 고정 결부를 위한 절곡편(a,b)이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바(31-1) 및 제2끼움바(31-2)와,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 사이 공간에서 길이 방향 연장되고 커넥터 내부 공간에 인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구(32)와의 간섭으로 휨성 내지 탄성을 발휘하는 조작바(31-3)로 구분된다.
위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일 방향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커넥터(33)의 각 인입홀(33-1,33-3)로 끼움 개재되는바, 이로 인해 탄성유도체와 커넥터의 일체화가 유도된다.
또한,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의 각 단부에 형성한 절곡편으로 하여금 커넥터의 제1인입홀, 제3인입홀 내부에서 견고히 위치 구속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의 이격 거리에 비해 제1인입홀과 제3인입홀의 이격 거리를 확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억지 끼움에 의한 결속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가 제1인입홀과 제3인입홀의 선단에서 각각 끼움 개재되는 과정 시 자연스럽게 제1·3끼움바는 제1인입홀과 제3인입홀의 해당 측벽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제1인입홀과 제3인입홀 끝단에 형성한 내부 공간을 통해 각 절곡편이 정위치되어 커넥터 내부에서 탄성유도체의 위치가 견고히 고수될 수 있다.
위 조작바(31-3)는 지지구와 상호 작용하여 다리부의 탄력적인 선회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제반 구성으로, 자체 휨성은 물론 탄성에 의해 지지구(32)로부터 가압될 경우 해당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소기의 기능 발휘에 기여한다.
위 커넥터(33)는 전술한 것처럼 지지구(32)의 인입을 허용하는 절개홈(33-4)과, 절개홈에 수용된 지지구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결합핀(33-6)이 삽입 개재될 수 있게 상하 천공되는 체결홀(33-5)과, 탄성유도체의 제1,2끼움바(31-1,31-2)와 조작바(31-3)의 개별 끼움을 위하여 3개소의 분리된 공간으로 내설되는 제1인입홀 내지 제3인입홀(33-1,33-2,33-3)로 구분 구성된다.
이때 위 제1인입홀(33-1) 및 제3인입홀(33-3)은 각각 탄성유도체의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를 개별 구속하는 한편, 위 제2인입홀(33-2)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를 개별 수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작바의 보다 원활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 조작바가 삽입 개재되는 제2인입홀의 내부 공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지구(32)와 간섭되는 조작바의 측 방향 유동이 자유롭게 간섭없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해당 내부 공간을 조작바에 비해 상하좌우 확장되게 형성하여야 한다.
아울러 위 절개홈(33-4)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가 내입된 제2인입홀(33-2)과 서로 내통되게 함으로써 다리부(20)의 선회 시 지지구(32) 단부에 의하여 조작바가 가압되게 하여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제반 구성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의 다리부 굴절이 제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 지지구(32)는 다리부(20)의 외측 꺾임 정도를 임의 제한할 수 있게 걸림단턱(32-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바, 위 걸림단턱(32-1)은 다리부의 외측 굴절 과정에서 커넥터(33) 단부를 수용하여 중첩 유지됨에 따라 굴절 각도의 확장이 방지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다리부(20)의 과도한 외측 젖힘이 적극 방지되므로 사용상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용접이나 기타 체결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최소한의 부품만으로도 다리부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 및 취급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호환성은 물론 사용상 편의 내지 취급의 편의 등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경은 탄성유도체를 비롯한 커넥터, 지지구의 상호 조합에 의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다리부가 펼쳐지거나 또는 접히는 일련의 과정이 더욱 탄력있고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기존과 전혀 다른 타입으로 경첩구조를 구현하는바, 단순히 다리부를 펼치거나 접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탄성유도체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별도의 장치 내지 수단 없이도 탄력적으로 해당 다리부가 내외 양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스프링 힌지와 같은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다리부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등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0. 안경테
20. 다리부
30. 경첩부
31. 탄성유도체
32. 지지구
33. 커넥터
100. 안경

Claims (7)

  1. 안경테(10)와, 안경테의 양측 단부에서 수평 개재되는 다리부(20)와, 안경테와 다리부를 서로 결부시키고 안경테를 기점으로 다리부의 개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다리부(20)의 수평 선회 움직임에 기인한 위치 가변으로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가 결정됨으로써 다리부의 일정 각도 충족 시 가압에 의한 휨성 유발로 탄력적인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이 허용되는 경첩부(30)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위 경첩부(30)는 다리부(20)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어 측 방향에 대한 가압 여부에 따라 휨성 내지 탄성을 보유하는 탄성유도체(31)와, 안경테(10) 양측 단부에 고정 결속되는 지지구(32)와, 지지구와 탄성유도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는 커넥터(33)를 포함하되, 위 탄성유도체(31)는 다리부(20)의 위치 가변 과정에서 지지구(32)에 의한 가압으로 일 방향으로 밀리거나 또는 원위치됨에 따라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탄력있게 반응하면서 다리부의 선회 움직임이 제어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커넥터(33)는 지지구(32)의 인입을 허용하는 절개홈(33-4)과, 절개홈에 수용된 지지구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결합핀(33-6)이 삽입 개재될 수 있게 상하 천공되는 체결홀(33-5)과, 탄성유도체의 제1,2끼움바(31-1,31-2)와 조작바(31-3)의 개별 끼움을 위하여 3개소의 분리된 공간으로 내설되는 제1인입홀 내지 제3인입홀(33-1,33-2,33-3)을 포함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위 탄성유도체(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단부에 커넥터(33)와의 고정 결부를 위한 절곡편(a,b)이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
    제1끼움바와 제2끼움바 사이 공간에서 길이 방향 연장되고 커넥터 내부 공간에 인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구(32)와의 간섭으로 휨성 내지 탄성을 발휘하는 조작바(31-3);
    를 포함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위 제1인입홀(33-1) 및 제3인입홀(33-3)은 각각 탄성유도체의 제1끼움바(31-1)와 제2끼움바(31-2)를 개별 구속하고,
    위 제2인입홀(33-2)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를 개별 수용하되, 지지구(32)와 간섭되는 조작바의 측 방향 유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해당 내부 공간을 조작바에 비해 상하좌우 확장 형성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6. 제1항에 있어서,
    위 절개홈(33-4)은 탄성유도체의 조작바(31-3)가 내입된 제2인입홀(33-2)과 서로 내통되게 함으로써 다리부(20)의 선회 시 지지구(32) 단부에 의하여 조작바가 가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7. 제1항에 있어서,
    위 지지구(32)는 다리부(20)의 외측 꺾임 정도를 임의 제한할 수 있게 걸림단턱(32-1)이 더 형성되고,
    위 걸림단턱(32-1)은 다리부의 외측 굴절 과정에서 커넥터(33) 단부를 수용하여 중첩 유지됨에 따라 굴절 각도의 확장이 방지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KR1020180111993A 2018-09-19 2018-09-19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KR101938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93A KR101938532B1 (ko) 2018-09-19 2018-09-19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PCT/KR2019/012016 WO2020060166A1 (ko) 2018-09-19 2019-09-18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993A KR101938532B1 (ko) 2018-09-19 2018-09-19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532B1 true KR101938532B1 (ko) 2019-01-14

Family

ID=6502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993A KR101938532B1 (ko) 2018-09-19 2018-09-19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8532B1 (ko)
WO (1) WO2020060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66A1 (ko) * 2018-09-19 2020-03-26 김성찬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0073B2 (en) * 2003-03-20 2005-05-10 Liberty Sport, Inc. Impact resistant eyewear frame assembly having a split frame
EP1800177B1 (en) * 2004-09-15 2010-11-17 Eye- Biz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pectacle frame components and lenses
KR20110086212A (ko) * 2010-01-22 2011-07-28 (주)신화인터내셔날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KR101833891B1 (ko) * 2015-11-11 2018-03-02 신상호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1779287B1 (ko) * 2016-03-03 2017-09-18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938532B1 (ko) * 2018-09-19 2019-01-14 김성찬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66A1 (ko) * 2018-09-19 2020-03-26 김성찬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166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382Y1 (ko) 조립형 안경
CN101283306B (zh) 带可替换镜腿的眼镜
US10247959B2 (en) Articulated assembly
KR101390038B1 (ko) 안경다리 힌지 및 그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KR101938532B1 (ko) 절첩 회동에 의한 측부 탄성의 개입으로 다리부의 위치가 제어되는 안경
US20150029457A1 (en) Screw-less rim lock and hinge eyewea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EP3567418A1 (en) Hinge mechanism for spectacles
KR20150125186A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647798B1 (ko) 림락 결합장치
KR10141757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N109937375B (zh) 眼镜
RU2006105409A (ru) Углубленный шарнир для придания упругости дужкам очков
WO2014193202A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004619B1 (ko) 탈,착식 안경경첩
RU273278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петля-замок для оправы и дужек очков
RU2718128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петля-замок для оправы и дужек очков
KR102198448B1 (ko) 안경 프레임용 힌지
CN109313357A (zh) 可拆卸式眼镜框架
KR101531214B1 (ko) 안경다리 및 연결구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101855365B1 (ko) 안경테와 장석과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H09105888A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機構
KR20031388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10258884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