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15B1 -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15B1
KR101938515B1 KR1020180031835A KR20180031835A KR101938515B1 KR 101938515 B1 KR101938515 B1 KR 101938515B1 KR 1020180031835 A KR1020180031835 A KR 1020180031835A KR 20180031835 A KR20180031835 A KR 20180031835A KR 101938515 B1 KR101938515 B1 KR 10193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monomer
display device
portable display
fil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0977A (en
KR101938515B9 (en
Inventor
박찬현
윤인수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주)화이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914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8740B1/en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트스톤 filed Critical (주)화이트스톤
Priority to KR102018003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1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9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15B1/en
Publication of KR1019385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15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6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to produce glass through wet route
    • C03C1/008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to produce glass through wet route for the production of films o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이 개시된다.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구비한다.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display area is disclosed.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has a protective film member having a plana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lat display region and a curv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display region, and an adhesive layer for adhering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to the display reg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Description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의 부착방법{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 device for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SURFACE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이의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ppli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display area, an apparatus for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using the same.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화면터치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므로, 이들 장치의 표시 영역이 찍힘, 눌림, 스크래치 등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높다.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휴대용 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보호필름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높은 경도를 갖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우수한 강화 글라스 보호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type display such as a smart phon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touch of a screen of a user, so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display area of these devices may be damaged by being struck, pressed, or scratched. In order to protect the portable display device from such damage, various protective films have been applied. In recent years, reinforced glass protective films having high hardness and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mpact have been widely used.

한편, 최근 모바일기기의 외형이 변화되면서,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가지는 휴대용 표시장치 등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종래 평면 표시영역만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필름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강화 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곡면에 따라 성형하여 제조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하고자 하더라도, 제조 공정상의 한계에 의해 휴대용 표시장치 자체의 곡률도 각 제품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보호 필름의 곡률 역시 각 제품마다 달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곡면 보호 필름을 상기 휴대용 곡면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portable display devices having a curved display area as well as a flat display area have been put on the market in recent years a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mobile device has changed. There is a limitation that a protective film appli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only a conventional flat display area can not be appli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a curved surface area as it is. For example, even if the reinforcement protective film is manufactured by molding the reinforced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applying the reinforced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e curvatur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tself is different not only depending on each product, The curvature of the film is also different for each product, so that the curved surface protective film can not be applied to the portable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in the conventional method.

따라서,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한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pplicable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area.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구비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되도록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구비하고, 평면 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영역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area to be appli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display area, and a flat area as well as a curved area can be stably attached to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display A protective film for a curved co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for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 보호필름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ttaching the cover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은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평면 영역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at display area and the curved display area. Wherein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has a curved surface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display area and including a flat area corresponding to the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lat area, And a flowable adhesive composition is spread betwee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then cured to form an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an adhesive layer adhering to the display are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about 1 to 500 c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mprise an ultraviolet (UV) polymerizable oligome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olig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dified acrylic oligomer, a polyester oligomer, an epoxy oligomer, a urethane oligomer, a polyether oligomer, a polyacrylic oligomer and a silicone acrylate oligomer,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composed of a benzoin ether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 a-hydroxy ketone compound, a phenyl glyoxylate compound, and an acrylic phosphine oxide (acyl phosphine oxide) compou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및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diluent, wherein the dilu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onomers, methylmethacrylate monomers, ethylmethacrylate monomers, n-butyl methacrylate N-butylmethacrylate monomer, iso-butylmethacrylate monomer, t-butylmethacrylate monomer, vinylchloride monomer, vinyl acetate monomer, acrylonitrile monomer, Acrylate monomer, acrylonitrile monomer, 2-ethylhexylmethacrylate monomer, laurylmethacrylate monomer, methylacrylate monomer, ethylylacrylate monomer, n-butyl acrylate, N-butylacrylate monomer, iso-butylacrylate monomer, 2-ethylhexylacrylate, ate monomer, an ethylene monomer, and an octadecylmethacrylate monomer; Or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butylaminoethyl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glycidylmethacrylate, 2-hydroxyethyl 2-hydroxypropyl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acrylamide, and N-methylol acrylamide (N-hydroxyethyl acrylate) methylolacrylamide). < / RTI >

일 실시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약 50 내지 80 wt%이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약 14 내지 49 wt%이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5 wt%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curable oligomer is about 50 to 80 wt%, the content of the diluent is about 14 to 49 wt%,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bout 0.5 to 5 wt %. ≪ / RTI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돌출부들은 도트(dot) 패턴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패턴들 또는 격자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은 약 0.1 내지 10 ㎛의 표면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region and the curved region; A base film comprising a polymer film cover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adhering them. The adhesive layer may adhere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an adhesion improving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including protrusions and grooves positioned therebetween. 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s may include dot patterns, linear pattern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r a lattice pattern.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on which the adhesion-enhancing pattern is formed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Ra) of about 0.1 to 10 mu 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기재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및 PPE(Polypenylene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10 내지 50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layer and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FA (Perfluoroalkoxy),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 Polyether etherketone (PES), Polyphenylene sulfide (PES),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olyamide imide (PAI), Polyether sulfone (PES), Polyvinylidene fluoride (PVF) (PEI), PC (Polycarbonate), and PPE (Polyphenylene ether). In one embodiment,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may have a width of 10 to 500 mu 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을 구비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area and the curved area, and the adhesive layer may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rea. In this case, an adhesion improving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protrusions and grooves positioned therebetwee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중 가장 자리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필름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킬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region and the curved region; A base film including a polymer film disposed below the protective film layer to expose an edge reg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adhering them. The adhesive layer may adhere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노출된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formed along the edge region of the exposed protective film layer and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은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를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적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적하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상에 보호필름 부재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osing an application plate on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one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to a center portion thereof;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rough the injection hole; Load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o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hereby diff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twe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n ultraviolet (UV) polymerizable oligome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diluent, and may have a viscosity of about 1 to 500 c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로딩 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loaded,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diffused and flowed to the entire region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rough capillary action by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 부재와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유동성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켜 점착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므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중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곡면 영역의 곡률이 서로 다르더라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터치 감도 저하나 표시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유동성 점착 조성물의 셀프레벨링(Self Leveling) 효과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영역 중 가장자리 부근에 공기층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부착강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able adhesive composition is diffused and flowed between a protective film member and a portable display device to form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adher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by curing,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area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ntire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s a result, there is no problem of lowering the touch sensitivity caused by the air layer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r degrad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Since the air layer is not formed near the edge of the area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due to the self leveling effect of the liquid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 중 상기 점착 조성물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수/발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에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by forming an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orming a water repellent / oiling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composition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in the process, so that the protective film member can be stab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필름 부재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 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도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5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case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case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ating member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Quot; an ", " an ", " a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1000)은 평면 표시영역뿐만 아니라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10),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전체 표시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1A and 1B,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rtable display device 10 including a curved surface display area as well as a flat display area, for example, a smart phone So that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can be prot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100)은 보호필름 부재(110) 및 점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an adhesive layer 120.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부(F) 및 상기 평면 영역부(F)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곡면 영역부(C1, 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평면 영역부(F)와 곡면 영역부(C1, C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region C1 and C2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planar region F and having a substantially flat planar region F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lanar region F, can do. The planar area F and the curved area C1, C2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평면 영역부(F)는 한 쌍의 마주보는 장변들 및 이들 장변을 연결하는 한쌍의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중 평면 표시영역 상부에 배치되어 이를 보호할 수 있다. The planar area F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air of opposed long sides and a pair of short sides connecting the long sides and is disposed above the fla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can protect it.

상기 곡면 영역부(C1, C2)는 상기 평면 영역부(F)의 장변들 각각으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곡면 영역부(C1) 및 제2 곡면 영역부(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 영역부(C1)와 상기 제2 곡면 영역부(C2) 각각은 상기 평면 영역부(F)와의 경계에서 불연속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변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중 상기 평면 표시영역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곡면 표시영역들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The curved surface regions C1 and C2 extend from each of the long sides of the planar region F to have a constant width and have a first curved surface which is convex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reg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 And may include a region C1 and a second curved region C2. Each of the first curved area area C1 and the second curved area area C2 may have a curvature continuously changing so as not to form a discontinuity at the boundary with the flat area area F, 10, respectively, on the curved surface display area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display area.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120)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평면 표시영역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평면 영역(F)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곡면 표시영역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C1, C2)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또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된다는 것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부착된 다른 필름 또는 코팅막(미도시)에 부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adhesive layer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at is, the adhesive layer 120 is formed not only between the flat display reg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 planar region F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Can also be located between the curved regions C1 and C2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or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by the adhesive layer 120, (Not shown)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s well as wh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s defined as including the case.

상기 점착층(120)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의 일부 영역만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사이의 영역 중 상기 점착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감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층과 상기 점착층(120)의 광학특성 차이로 인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를 보는 사용자 측면에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점착층(120)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므로, 상기와 같은 터치 감도의 저하나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layer 120 attaches only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 air layer is formed in an area where the adhesive layer 120 is not formed to reduce the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the touch of the user and the air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The display characteristic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may be deteriorated in terms of the user viewing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due to the difference in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using the adhesive layer 120, Deteri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20)은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 상에 도포한 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부에 로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게 하고, 이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 중합 또는 열 중합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flowable adhesive composition on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n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spread the adhesive composi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by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n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have. In one examp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ured by photopolymerization or thermal polymerization.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 상의 한계로 인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 및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은 개별 제품마다 허용 마진 안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되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 반경과 이에 적용되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게 된다. 그 결과, 유동성이 없는 점착 필름 등의 공지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 부재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할 수 없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표시영역 사이에는 의도하지 않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have different values within the allowable margin for each individual product,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pplied theret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wh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by using a known adhesive member such as an adhesive film having no fluidity, The entire surface area can not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an unintended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유동성을 갖는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키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앞에서 설명한 사용자 터치에 대한 감도 및 표시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점착층(120)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이들 사이의 간격 차이를 보상하도록 그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fluidity as described above is sprea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n hardened to cure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ensitivity and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ouch described above . That is, even if the gap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s not constan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vary to compensate for the gap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whol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약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1 cps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너무 약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영역을 넘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로 퍼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가 5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유동성이 낮아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자중만으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하부면 전체 영역으로 퍼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점착 조성물의 점도는 약 10 내지 25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viscosity of about 1 to 500 cps. When the visco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ess than 1 cps, the surface ten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too weak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asses the area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f the visco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more than 500 cps, the flow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ow, so that only the self-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may cause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here is a problem that it does not spread to the whole area. In one embodiment,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about 10 to 250 cp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mprise an ultraviolet (UV) polymerizable oligome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olig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dified acrylic oligomer, a polyester oligomer, an epoxy oligomer, a urethane oligomer, a polyether oligomer, a polyacrylic oligomer, a silicon acrylate oligomer, Is one selected from a benzoin ether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 a-hydroxy ketone compound, a phenyl glyoxylate compound, an acrylic phosphine oxide compound, and the like Or more.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희석제는 점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후 상기 점착층(120)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diluent. Such a diluent can control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120 after curing. The dilu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onomer, methylmethacrylate monomer, ethylmethacrylate monomer, n-butylmethacrylate monomer, iso-butylmethacrylate monomer, But are not limited to, monomers, t-butylmethacrylate monomers, vinylchloride monomers, vinyl acetate monomers, acrylonitrile monomers, 2-ethylhexylmethacrylate, Butylacrylate monomer, laurylmethacrylate monomer, methylacrylate monomer, ethylylacrylate monomer, n-butylacrylate monomer, iso-butylacrylate monomer, , 2-ethylhexylacrylate monomer, ethylene monomer, octadecylmethacrylate, acrylate monomer, and the like, or may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 -Hydroxyprop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butylaminoethyl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glycidyl 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glycidylmethacrylate, 2-hydroxyethylacrylate, 2-hydroxypropyl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acrylamide, , N-methylolacrylamide, and the like.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증감제, 착색제, 증점제, 중합 금지제 등의 첨가제들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photosensitizer, a colorant, a thickener, and a polymerization inhibit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 조성물이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상기 희석제, 상기 광중합 개시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약 50 내지 80 wt%일 수 있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약 14 내지 49 wt%일 수 있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5 wt%일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약 0.5 내지 1 wt%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polymer composition comprises the ultraviolet-curable oligomer, the diluent,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additive,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curable oligomer may be about 50 to 80 wt%, and the content of the diluent May be about 14 to 49 wt%,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bout 0.5 to 5 wt%, and the additive may be about 0.5 to 1 wt%.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에 대해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A)는 보호필름층 (111A), 기재층 (112A) 및 접착층(113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layer 111A, a base layer 112A, and an adhesive layer 113A .

상기 보호필름층(110A)은 공지의 글라스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 영역(F) 및 곡면 영역(C1, C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layer 110A may be formed of a known glass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flat area F and a curved area C1 or C2 as described above.

상기 기재층(112A)은 투명 고분자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 영역(F) 및 곡면 영역(C1, C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필름층(111A)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layer 112A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crylic resin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planar area F and a curved area C1 or C2, And may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상기 접착층(113A)은 상기 보호필름층(111A)과 상기 기재층(112A)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113A)의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접착 또는 점착 물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13A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and the base layer 112A and can adhere them to each other. The material of the adhesive layer 113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adhesive or adhesive substanc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이와 같은 구조의 보호필름 부재(110)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3A)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층(111A)과 접착된 상기 기재층(112A)은 앞에서 설명한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층(111A)의 파손 시 상기 보호필름층(111A)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base material layer 112A adhered to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by the adhesive layer 113A is formed by the adhesive layer 120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can be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apparatus 10 and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when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is broke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부착되는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는 부착력 향상 패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adhesion force improving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attach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돌출부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들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도트(dot) 패턴들, 일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패턴들, 격자형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샌드 블라스팅 공정, 건식 습각 공정, 습식 식각 공정 등을 형성되거나, 성형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on-enhancing patter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positioned therebetween are continuously arranged. For example, the protrusions may include regularly or irregularly formed dot patterns, linear pattern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lattice pattern, and the like. The method of forming the adhesion-improving patte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adhesion-improving pattern may be formed by a sand blasting process, a dry etching process, a wet etching process, or a molding coating process.

상기와 같이 상기 점착층(120)과 접촉하는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점착층(120)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향상시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 전체 영역이 상기 점착층(120)에 의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되므로,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에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거나 광투과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표시특성 저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contacting the adhesive layer 120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increas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improve the surface tens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is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by the adhesive layer 120,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or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isplay characteristics such as lowering of light transmittance may be avoided.

일 실시예로,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재층(112A)의 하부면은 약 0.1 내지 10 ㎛의 표면 거칠기(R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 거칠기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기술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기재층(112A) 하부면의 표면 거칠기가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재층(112A)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부착력 향상 패턴들 사이의 높이차가 지나치게 커져서 점착 조성물이 균일하게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오히려 부분적으로 부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on which the adhesion-enhancing pattern is formed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Ra) of about 0.1 to 10 mu m. Whe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is less than 0.1 mu m,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technical effect described above. Whe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12A exceeds 10 mu m, Not only the thickness of the layer 112A becomes too thick but als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adhesion improving patterns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from spreading uniformly and reducing the adhesive force partial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는 상기 기재층(112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11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may further include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edge of the base layer 112A.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수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이라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재료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등의 불소계 고분자 물질 또는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PPE(Polypenylene ether) 등의 비불소계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oth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If it is a material having both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the material of the water repellent / oil repellent pattern 114A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may be formed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FA (Perfluoroalkoxy),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mide (PA), polyacetal (POM), or the like, or a fluoropolymer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luoropolymer materials such as PAI (Polyamide imide), PES (Polyether sulfone), PEI (Polyether imide), PC (Polycarbonate) and PPE (Polyphenylene ether).

본 발명의 점착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을 상기 기재층(112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has hydrophilic or hydrophobic properties,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long the edge of the base layer 112A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adhesive composition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일 실시예로,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폭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을 형성하는 공정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기술적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의 폭이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므로 이 부분에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탈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A)은 약 100 내지 300㎛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may have a width of about 10 to 500 mu m. If the width of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is less than 10 mu m, the process cost of forming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may increase, and the technical effect may not be exhibited.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s relatively weakened in the region where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is formed, So that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may be detached at this portion. For example,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100 to 300 mu m.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B)는 보호필름층(111B) 및 발수/발유 패턴(114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layer 111B and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B.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B)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A)의 기재층(112A) 및 접착층(113A)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보호필름층(111B)이 상기 점착층(120)을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the base layer 112A and the adhesive layer 113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11B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20. [

상기 보호필름층(111B)은 하부면에 앞에서 설명한 부착력 향상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110)의 보호필름층(11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shown in FIG. 2 except that the above-described adhesion force improving pattern (not shown)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B)은 상기 보호필름층(111B)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110)의 발수/발유 패턴(11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shown in FIG. 2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A of FIG. 2 except that the wat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재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shown in Figs. 1A and 1B.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C)는 보호필름층(111C), 기재층(112C), 접착층(113C) 및 발수/발유 패턴(114C)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ive film layer 111C, a base layer 112C, an adhesive layer 113C, and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C .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재(110C)는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의 하부면 가장 자리를 일정한 폭만큼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수/발유 패턴(114C)이 상기 보호필름층(114C)의 노출된 하부면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호필름 부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base film 112C and the adhesive layer 113C expose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C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except that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14C is formed on the exposed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4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은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면의 가장 자리를 약 10 내지 500㎛의 폭만큼,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300㎛의 폭만큼 노출시킬 수 있다. The base layer 112C and the adhesive layer 113C may expose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C by a width of about 10 to 500 mu m and preferably about 100 to 300 mu m.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C)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상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층(120) 형성을 위한 점착 조성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를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되는데, 이 때 외부 물체가 상기 점착 조성물의 노출 부분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깨져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기재층(112C) 및 접착층(113C)을 상기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 하부면의 가장 자리를 약 10 내지 500㎛의 폭으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의 노출된 볼록한 부분이 상기 보호필름층(111C)의 외부까지 돌출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점착 조성물이 상기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점착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120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C o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may be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broken when an external object contacts the exposed por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is peeled off from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flows out. This problem is solved by using the apparatus 1000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glass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to attach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base layer 112C and the adhesive layer 113C are formed so as to expose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C with a width of about 10 to 500 mu m as described above The exposed convex por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111C so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cover glass protective film adhering apparatus 100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eakage to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 및 도포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FIG. 5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8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a lower case, an upper case, and a coating member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는 하부 케이스(1100), 상부 케이스(1200) 및 도포 플레이트(1300)를 포함한다. 5 to 8, an apparatus 1000 for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100, an upper case 1200, and an application plate 1300.

상기 하부 케이스(1100)는 제1 지지부(1110) 및 제1 격벽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11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1110 and a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120.

상기 제1 지지부(1110)는 가운데 부분에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1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1111)을 둘러싸는 편평한 제1 상부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11)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11)에 삽입된 휴대용 표시장치(10)는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평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하부면의 형상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support part 1110 may have a first upper flat surface having a fixing groove 1111 into which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which surrounds the fixing groove 1111, . The fixing groove 111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e shap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may have a dep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11 may b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110 while being fixed so as not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hape of the first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10 facing the first upper pla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제1 격벽부(1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고정홈(11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1120)는 상기 고정홈(1111) 및 상기 고정홈(1111)으로부터 일정 폭만큼의 상기 제1 상부 평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artition 112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xing groove 1111 on a first upper plan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10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irst upper plan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110 Can be protruded. The first partition wall 1120 may be formed to expose the first upp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fixing groove 1111 and the fixing groove 1111.

상기 상부 케이스(1200)는 제2 지지부(1210) 및 제2 격벽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art 1210 and a second partition part 1220.

상기 제2 지지부(1210)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 중 상기 제1 격벽부(1120)에 의해 노출된 영역에 지지되는 제2 하부 평면 및 상기 제2 하부 평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상부 평면을 구비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고정홈(1111) 및 이에 삽입된 휴대용 표시장치(10) 전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21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0 may include a second lower surface supported by the first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10 by the first partition wall 1120, And a second upper plane positioned on the second lower plane, and an opening 1211 for exposing the entirety of the fixing groove 1111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nserted therein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have.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지지부(1210)는 상기 제1 격벽부(1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하부 평면이 상기 제1 격벽부(11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하부 평면과 상기 제2 상부 측면을 연결하는 외부 측면이 상기 제1 격벽부(1120)의 내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는 상기 고정홈(1111)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에는 상기 제1 지지부(1110)의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두께는 상기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120 so that the second lower plane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120 expos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120. [ 1110), and an outer side surface connecting the second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upper side surface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120 and fl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opening 1211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210 may have the same plane shape as the fixing groove 1111 and the opening 1211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210 may be formed with a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ne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protruding from the first upper plane so as to support the application plate 13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 Lt; / RTI >

상기 제2 격벽부(1220)는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제2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개구부(12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부(1220)는 상기 개구부(1211) 및 상기 개구부(1211)로부터 일정 폭만큼의 상기 제2 상부 평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artition 122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pening 1211 on the second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10 and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second partition 1220 may be formed to expose the second upper planes of the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pening 1211 and the opening 1211.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는 상기 고정홈(1111)보다 큰 면적을 갖는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격벽부(12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격벽부(1220)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제2 상부 평면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될 수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2개의 주입홀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에는 2개를 초과하는 주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1210)의 두께가 상기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두께보다 크므로,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서 이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late 1300 may have a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xing groove 1111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220 and expos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1220. [ The lower surface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upper plane, and one or more injec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for injec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lthough two injection holes are shown in FIG. 8, more than two injec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application plate 13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2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protruding from the first upper plane, Can be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rom.

한편, 상기 제2 격벽부(122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의 측면은 상기 제2 격벽부(1220)의 내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when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1220, the side of the application plate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1220 to prevent th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이하,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1000)를 이용하여 휴대용 표시장치(10)에 상기 곡면 커버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ttach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using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pplying apparatus 10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방법은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attaching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ply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load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which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separate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betwe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 영역에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먼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를 상기 하부 케이스(1100)의 고정홈(1111)에 고정시킨 후 상기 상부 케이스(1200)를 상기 하부 케이스(1100)의 제1 격벽부(1120)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를 상기 상부 케이스(1200)의 제2 격벽부(1220) 내에 삽입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상부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점착 조성물을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의 주입홀(1301)을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도포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is first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11 of the lower case 1100, 120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1120 of the lower case 1100. Next, the application plate 1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wall 1220 of the upper case 1200 to be fixed o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and the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application plate 1300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hole (1301).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 상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먼저, 상기 도포 플레이트(1300)를 상기 상부 케이스(1200)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상부 케이스(1200)의 제2 지지부(1210)의 개구부(1211)를 통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로딩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를 상기 점착 조성물이 도포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에 로딩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에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하게 되어 상기 점착 조성물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에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점착 조성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110)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10) 사이의 영역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load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which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so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sandwich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 The application plate 1300 is removed from the upper case 1200 and th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1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1211 of the second support part 1210 of the upper case 1200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can be loaded on the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Wh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is load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which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he adhesive composition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by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diffused to the entire area between th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to form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On the other hand, if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acts 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not flow out of the area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110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10 due to surface tension .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광경화 또는 열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의 광경화 방법 및 열경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조성물이 광경화되는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은 태양광, 형광등, LED 광원, UV 램프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In the step of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hoto-cured or thermoset. The photocuring method and the thermosetting metho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hoto-cur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cured by ultraviolet light,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emitted from sunlight, fluorescent lamp, LED light source, UV lamp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 부재와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유동성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켜 점착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이를 경화시켜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므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중 곡면 표시영역의 곡률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곡면 영역의 곡률이 서로 다르더라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터치 감도 저하나 표시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wable adhesive composition is diffused and flowed between a protective film member and a portable display device to form a layer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adher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by curing,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area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ntire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s a result, there is no problem of lowering the touch sensitivity caused by the air layer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r degrad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필름 부재 중 상기 점착 조성물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부착력 향상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수/발유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부착하는 과정에 점착 조성물이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필름 부재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by forming an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forming a water repellent / oiling pattern along the edge of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composition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in the process, so that the protective film member can be stab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portable display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곡면 커버 글라스 보호필름 110: 보호필름 부재
111: 보호필름층 112: 기재층
113: 접착층 114: 발수/발유 패턴
120: 점착층
1000: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
1100: 하부 케이스 1110: 제1 지지부
1120: 제1 격벽부 1200: 상부 케이스
1210: 제2 지지부 1220: 제2 격벽부
1300: 도포 플레이트
100: Curved cover glass protective film 110: Protective film member
111: protective film layer 112: substrate layer
113: adhesive layer 114: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120: Adhesive layer
1000: Surface protective film attachment device
1100: lower case 1110: first support part
1120: first partition part 1200: upper case
1210: second support part 1220: second partition part
1300: dispensing plate

Claims (23)

평면 표시영역 및 곡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을 보호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평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부 및 상기 평면 영역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곡면 영역부를 구비하는 보호필름 부재; 및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는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가져서 유동성을 갖는 상기 점착 조성물을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 전체 영역과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사이에 퍼지게 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점착층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도트 돌기패턴 또는 선형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부착력 향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A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at display area and a curved display area,
A protective film member having a plana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nar display region and a curved reg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planar region and corresponding to the curved display region; And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for attaching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viscosity of 1 to 500 cps so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fluidity is spread betwee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by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Which is formed by curing,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comprises an adhesion improving pattern including a dot projection pattern or a linear projection pattern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adhesive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n ultraviolet (UV) polymerizable oligomer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oligom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dified acrylic oligomer, a polyester oligomer, an epoxy oligomer, a urethane oligomer, a polyether oligomer, a polyacrylic oligomer and a silicone acrylate oligomer,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benzoin ether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 a-hydroxy ketone compound, a phenyl glyoxylate compound, or an acyl phosphine oxide compound ≪ / RTI > wherein the protective film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희석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및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diluent,
The dilu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onomer, methylmethacrylate monomer, ethylmethacrylate monomer, n-butylmethacrylate monomer, iso-butylmethacrylate monomer, But are not limited to, monomers, t-butylmethacrylate monomers, vinylchloride monomers, vinyl acetate monomers, acrylonitrile monomers, 2-ethylhexylmethacrylate, Butylacrylate monomer, laurylmethacrylate monomer, methylacrylate monomer, ethylylacrylate monomer, n-butylacrylate monomer, iso-butylacrylate monomer, , 2-ethylhexylacrylate monomer, ethylene monomer and octadecylmethacrylate ethacrylate) monomers; or
Acrylic acid,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t-butylaminoethyl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glycidylmeth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acrylamide, and N-methylolacrylamide. ). ≪ / RTI > 21. The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of claim < RTI ID = 0.0 > 1, <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은 50 내지 80 wt%이고,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14 내지 49 wt%이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0.5 내지 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oligom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50 to 80 wt%, the content of the diluent is 14 to 49 wt%, and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0.5 to 5 wt%. Curved cover prote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전체 영역을 피복하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며,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도트 돌기패턴 또는 상기 선형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comprises: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region and the curved region;
A base film comprising a polymer film cover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And an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adhering them,
Wherein the adhesive layer adheres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includes the dot projection pattern or the linear projection patter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기재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base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Ethylene + Tetrafluoroethylene), ETEE(Tetrafluoroethylene ethylene copolymer), PCTFE(Trichlorotrifluoro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 fluoride), PI(Polyimide), PEEK(Polyether etherketone), PPS(Polyhenylene sulfide), PA(Polyamide), POM(Polyacetal), PAI(Polyamide imide), PES(Polyether sulfone), PEI(Polyether imide), PC(Polycabonate) 및 PPE(Polypenylene eth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곡면 커버 보호필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FA (Perfluoroalkoxy), FEP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 Polyether etherketone (PES), Polyphenylene sulfide (PES), Polyamide (PA), Polyacetal (POM), Polyamide imide (PAI), Polyether sulfone (PES), Polyvinylidene fluoride (PVF) Wherein the protective film compris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I (Polyether imide), PC (Polycarbonate) and PPE (Polyphenylene e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발유 패턴은 10 내지 500㎛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has a width of 10 to 500 mu 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며,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도트 돌기패턴 또는 상기 선형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ncludes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region and the curved reg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adheres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hesion enhancing pattern includes the dot projection pattern or the linear projection patter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 water repellent / oiling pattern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평면 영역부 및 상기 곡면 영역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층;
상기 보호필름층의 하부면 중 가장 자리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보호필름층 하부에 배치된 고분자 필름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층과 상기 기재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 하부면 전체 영역을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부착시키며,
상기 부착력 향상 패턴은 상기 기재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도트 돌기패턴 또는 상기 선형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comprises:
A protective film layer including the planar region and the curved region;
A base film including a polymer film disposed below the protective film layer to expose an edge reg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And an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protective film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adhering them,
Wherein the adhesive layer adheres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pattern includes the dot projection pattern or the linear projection patter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재는 상기 노출된 보호필름층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고,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발수/발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formed along the edge region of the exposed protective film layer and further comprises a water-repellent / oil-repellent pattern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water repellency and oil repellency.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를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점착 조성물을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적하 하는 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이 적하된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상에 보호필름 부재를 로딩하여,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와 상기 보호필름 부재 사이에 상기 점착 조성물을 확산 유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하부면에는 도트 돌기패턴 또는 선형 돌기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로딩 시, 상기 보호필름 부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점착 조성물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보호필름 부재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사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Disposing an application plate o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in which one or more injection holes for inject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formed in the middle part;
Dropping the adhesive composition in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rough the injection hole;
Loading the protective film member on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hereby diff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twee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And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 dot protrusion pattern or a linear protrusion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Wherein wh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is loa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iffuses and flows into the entire area between the protective film member and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rough capillary ac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protective film member. / RTI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UV) 중합성 올리고머, 광중합 개시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고, 1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n ultraviolet (UV) polymerizable oligome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diluent, and has a viscosity of 1 to 500 cp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변성아크릴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계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a-hydroxy ketone)계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화합물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파 (acyl phosphine oxid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희석제는 스티렌(Styrene)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모노머,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 모노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methacrylate) 모노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methacrylate) 모노머, 비닐크롤라이드(Vinylchloride) 모노머,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모노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모노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methacrylate) 모노머,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모노머,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모노머,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acrylate) 모노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모노머, 에틸렌(Ethylene) 모노머 및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Octadecylmethacrylate)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aminoethylmethacrylate),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글리시딜에카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acrylate), 이타콘산(Itacon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N-me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의 부착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ultraviolet polymerizable oligomer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dified acrylic oligomer, a polyester oligomer, an epoxy oligomer, a urethane oligomer, a polyether oligomer, a polyacrylic oligomer and a silicone acrylate oligomer,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benzoin ether compound, an amine compound, an a-hydroxy ketone compound, a phenyl glyoxylate compound, or an acyl phosphine oxide compou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RTI ID = 0.0 >
The dilu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onomer, methylmethacrylate monomer, ethylmethacrylate monomer, n-butylmethacrylate monomer, iso-butylmethacrylate monomer, But are not limited to, monomers, t-butylmethacrylate monomers, vinylchloride monomers, vinyl acetate monomers, acrylonitrile monomers, 2-ethylhexylmethacrylate, Butylacrylate monomer, laurylmethacrylate monomer, methylacrylate monomer, ethylylacrylate monomer, n-butylacrylate monomer, iso-butylacrylate monomer, , 2-ethylhexylacrylate monomer, ethylene monomer and octadecylmethacrylate ethacrylate) monomers; Or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t-butylaminoethylmethacrylate, diethylaminoethylmethacrylate, glycidylmethacrylate, 2-hydroxyethyl 2-hydroxypropyl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acrylamide, and N-methylol acrylamide (N-hydroxyethyl acrylate) methylolacrylamide). < Desc / Clms Page number 20 >
가운데 부분에 휴대용 표시장치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을 둘러싸는 편평한 제1 상부 평면을 구비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고정홈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격벽부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제1 격벽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상부 평면 지지되는 제2 하부 평면 및 상기 제2 하부 평면과 대향하는 제2 상부 평면을 구비하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고정홈의 전체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상부 평면 상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격벽부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고정홈보다 큰 면적을 갖는 평판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격벽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상부 평면에 의해 지지되며, 가운데 부분에 점착 조성물의 주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upper flat surface which surrounds the fixing groove,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which is arranged to surround the fixing groove on the first upper plane, A lower case having a first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an upper plane;
And a second upper flat surfac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and which is supported by the first upper flat surface and the second lower flat surface, And an upper case having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surrounding the opening and having a second partition wall protrude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And
A second flat surfac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xing groov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and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upper surfac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portable display device, And an application hole in which the injection holes are form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깊이는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고정홈의 깊이와 상기 제2 지지부 두께의 합은 상기 휴대용 표시장치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커버 보호필름 부착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depth of the fixing groov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Wherein a sum of a depth of the fixing groove and a thickness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80031835A 2016-07-19 2018-03-20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KR101938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en) 2016-07-19 2018-03-20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91A KR102038740B1 (en) 2016-07-19 2016-07-19 Glass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en) 2016-07-19 2018-03-20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91A Division KR102038740B1 (en) 2016-07-19 2016-07-19 Glass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977A KR20180030977A (en) 2018-03-27
KR101938515B1 true KR101938515B1 (en) 2019-01-15
KR101938515B9 KR101938515B9 (en) 2023-12-20

Family

ID=8931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35A KR101938515B1 (en) 2016-07-19 2018-03-20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5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76A (en)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영우 Improved curved surface adhesive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054B1 (en) * 2018-04-10 2019-11-08 (주)화이트스톤 Display protector adhering apparatus using a weight for a smart device and its adhering method
KR102375405B1 (en) * 2018-04-13 2022-03-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Optically clear adhesive composition for curved display
KR102049770B1 (en) * 2018-06-22 2020-01-08 도우성 UV-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curved surface sticking method thereof
KR102179174B1 (en) 2018-08-23 2020-11-16 주식회사 더하기 Method for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CN111100572A (en) * 2019-12-16 2020-05-05 苏州久鋐电子有限公司 Profiling curved surface composite protectiv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7903A (en) * 2008-11-13 2010-05-27 Unon Giken:K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touch panel input side transparent resin substrate
CN101724374A (en) * 2009-11-30 2010-06-09 北京海斯迪克新材料有限公司 UV curing packaging adhesiv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45149B1 (en) * 2013-04-01 2013-12-26 (주)아팩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it
KR101422827B1 (en) * 2012-09-11 2014-07-24 정종환 Glass for protecting reinforced glass used in curved edg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02103B1 (en)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Protecting sheet for touch screen panel having curved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7903A (en) * 2008-11-13 2010-05-27 Unon Giken:Kk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touch panel input side transparent resin substrate
CN101724374A (en) * 2009-11-30 2010-06-09 北京海斯迪克新材料有限公司 UV curing packaging adhesive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22827B1 (en) * 2012-09-11 2014-07-24 정종환 Glass for protecting reinforced glass used in curved edg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45149B1 (en) * 2013-04-01 2013-12-26 (주)아팩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it
KR101602103B1 (en)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Protecting sheet for touch screen panel having curved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176A (en)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영우 Improved curved surface adhesive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977A (en) 2018-03-27
KR101938515B9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740B1 (en) Glass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glass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KR101938515B1 (en)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a curved surfa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abl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curved surface using the device
KR20180109292A (en) Display part protector for a smart device, device of adhering the display part protector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and method of adhering the display part protector to the surface using the device
US853732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n outwardly curved dam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53377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90024133A (en) Flexible light guide
US1185136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glass and carrier film used for the same
EP36837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KR102159642B1 (en) Display part protector for a smart device
US9791689B1 (en) Joining of pixel wall and photospacers in an electrowetting display
KR102279613B1 (en) Display part protector for a smart device
KR100898102B1 (en)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42950A1 (en) Liquid crystal screen protector for smart device and attaching device therefor
KR102179174B1 (en) Method for adher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rtable display
KR20160052972A (en) Optical sheet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51813A (en) Cover Sheet Having Improved Adhesion for Curved Surfa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675225B2 (en)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optical device
KR20220158901A (en) cover window, manufacturing method of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
KR20150079348A (en) Method of bonding display panel and plate for producing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4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118

Effective date: 2021071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8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1014

Effective date: 202302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5010774;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3500000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1013

Effective date: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