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244B1 -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44B1
KR101938244B1 KR1020120050107A KR20120050107A KR101938244B1 KR 101938244 B1 KR101938244 B1 KR 101938244B1 KR 1020120050107 A KR1020120050107 A KR 1020120050107A KR 20120050107 A KR20120050107 A KR 20120050107A KR 101938244 B1 KR101938244 B1 KR 10193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6207A (en
Inventor
황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44B1/en
Publication of KR2013012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Abstract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이 개시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A digital signage system and a content editing method are disclosed. The digital signag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places, each of the display device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displaying the contents on a screen, and a display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editing of a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a display device desired by a user among the devices and sharing an edit screen with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0001] DIGITAL SIGNAL SYSTEM AND CONTENT EDITING METHOD [0002]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중인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ge system and a content edi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editing a content being executed in a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쇼핑몰,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 등 대중이 움직이는 동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대중에게 정보, 광고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또는 PD(Public Display) 등으로 불리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TV가 될 수 있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 등이 이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적인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음향, 동영상 등과 함께 동적으로 변하는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에게 더 매력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광고와 정보 전달 용도의 미디어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대체되고 있다. 즉, 기존의 광고 간판으로는 불가능한 음향 및 동영상으로 광고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장소를 타겟에 맞게 특정화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디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는 주로 이미지나 동영상이 사용되는데, 이는 일반 멀티미디어 기기가 퍼스널 컴퓨터(PC)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들이다.In general, digital signage is a communication tool that can induce marketing, advertisement, training effect and customer experience of companies. It is a communication tool that is installed in a moving line such as a shopping mall, a terminal, a government office, a bus stop, an airport, a hotel, a hospital, The device is us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o the public. The digital signage is called a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or a PD (Public Display). The display device may be a TV, a flat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 projector.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displays not only a static image but also a dynamically changing screen together with sound, video,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attractive screen to viewers and to display more information, And is being replaced by the notable. In other words, advertisements can be expressed by sounds and moving pictures that are not possible with existing advertising signboards,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media that can expect better advertisement effects by specifying the schedule, time, and place according to the target. At this time, the content to be played back on the display device is mainly an image or moving picture, which is a format that ordinary multimedia devices can play on a personal computer (PC).

이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인 셋탑박스는 디지털 사이니지 전용으로 제작된 것들도 있고, PC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들도 있다. 요즘은 PC 기반에서 전용 셋탑박스(임베디드 시스템)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SD(Secure Digital) 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등의 이동식 스토리지에 콘텐츠를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The set-top box, which is a player for reproducing these contents on the display device, is made only for digital signage, and some are made on a PC basis. Nowadays, it is evolving into PC-based dedicated set-top box (embedded system) form and stores contents in removable storage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memory, SD (Secure Digital) card and CF It takes a form to play in a box.

한편 콘텐츠의 편집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편집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편집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거나 편집된 콘텐츠를 이동식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하게 된다. 이때 콘텐츠 제작 및 편집 기능이 구비된 PC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편집기(editor) 또는 콘텐츠 서버라 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content editing is required, the contents are edited in a content editor and then transmitted directly to a display device via a network, or the edited contents are stored in removable storage, and then reproduced on a set-top box. At this time, a PC having a content creation and editing fun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content editor or a content ser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콘텐츠 편집 방법은 콘텐츠 편집기의 이동이 어려워 콘텐츠 편집 장소에 대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 편집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즉, 콘텐츠 편집기의 콘텐츠 편집 화면과 콘텐츠가 재생되어 대중에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크기, 비율 등이 다르기 때문에, 편집 화면에서 보여지는 느낌과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보여지는 느낌은 차이가 있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layout) 등이 맘에 들지않아 편집하고자 할 때 만족도는 더 떨어지게 된다. However, the content edi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content edit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content editor and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content editing place. That is, since the content editing screen of the content editor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reproduced by the contents are different in size, ratio, and the lik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eeling of being displayed on the editing screen and the feeling of being displayed on the actual display screen. Particularly, since the layout of the contents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not favored, the satisfaction level is lowered when the user desires to edit the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를 콘텐츠 편집 및 전송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콘텐츠 편집의 만족도를 높이도록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system and a content editing method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content editing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ent editing and transmission purposes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system and a content editing method for facilitating control of each display device by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by using a location tracking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콘텐츠의 제작 및 편집이 가능한 콘텐츠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편집기에서 제작 또는 편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나 스토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places, each of the display devices reproducing content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And an editing unit configured to edit a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a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diting, Equipment.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ent editor capable of creating and editing content, wherein the content produced or edited in the content editor is provided to at least one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unit via a network or storage.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s an editing mode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user's editing request, and the display device confirms whether or not the editing mode can be edit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edit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ps playback of the content if the content is confirmed to be editable.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와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아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editing by receiving timeline information including scene information to be edited and layout information of a scene to be edited from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user's editing mode request.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편집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상기 편집 장면에 반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ed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ile performing editing based on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cene to be edited and a user's input,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edit scene, and based on the edit information, And the editing content is reflected on the editing scene as an embodiment.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rms the current position at a plac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nd sets the confirmed current position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ms a network map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acquired from each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콘텐츠 편집 방법에서 사용자의 편집 요청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입력되면,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되는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ontent editing method of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s edit request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layo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di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ile performing the editing of the content based on the layout information, wherei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editing contents based on the edi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tep of requesting an edit mode to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user's edit request, wherein the display device confirms whether or not the user can edi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dit mod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if the content is confirmed to be editable.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면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receiving timeline information including scene information to be edited of the content from the display device; selecting a scene to be edited based on the timeline information; And receiving layout information of a scene selected from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콘텐츠 제작자인 사용자는 PC 기반의 콘텐츠 편집기가 아닌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is a content producer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editing of a content being played back on a display device by editing the content while sharing an edit screen with a display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ther than a PC-based content editor, The editing content can be confirmed directly on the display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editing.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content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each display device by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s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figuring the network map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콘텐츠의 편집 장면을 공유하면서 해당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편집 화면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면서 편집할 장면(scene)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콘텐츠 편집을 수행할 때,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 화면을 공유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콘텐츠 편집기에서 네트워크 맵을 참조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2 (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for editing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 to 3 (c)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edit screens provided to all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dit the content while sharing an edit scene of the content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electing a scene to be edited while communicating with a display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 to 5 (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sharing an editing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when content editing is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editing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editing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network map of display devices configured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figuring a network map of display devices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pecific content to a specific display device by referring to a network map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a contents ed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the drawings ar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s and the cor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artisan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specific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은 휴대성이 떨어지는 PC 기반의 콘텐츠 편집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하기 쉽고 사용자 입력이 편리한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의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기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PC-based content editor having low portab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portable and easy to input, To be edited on the device. To this end, an application (or a program) capable of editing a content while communicating with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공간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특히 이것은 콘텐츠 편집기 또는 이동 통신 기기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를 구분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더욱 유용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ntent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each display device by configuring a network map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paces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rticularly, this is more useful when a content editor 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sires to separately transmit content to each display devic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콘텐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콘텐츠는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텍스트, 동영상 등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content. Also, the content refers to a still image, text, video, and the like as an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편집기(200), 및 이동 통신 기기(300)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comprises a display device 100, a content editor 2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에 해당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각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각 공간은 실내가 될 수도 있고, 실외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톱박스가 있는 TV이거나 또는 셋탑박스가 없는 TV인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each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each physically divided space. Here, each space may be indoor or outdoor. The display device 100 is a TV having a set-top box or a TV having no set-top box.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콘텐츠 서버라고도 하며, 콘텐츠의 제작, 편집, 관리 등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content editor 200 is also called a content server, and performs production, editing,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content editor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are installed in different places.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 콘텐츠 편집기(200), 및 이동 통신 기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콘텐츠 편집기(200) 또는 이동 통신 기기(300)와 콘텐츠 편집기(200) 간의 요청/응답, 데이터의 전송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ent edito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either wired or wirelessly. 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ent editor 2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request / response and the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the content editors 200 are performed through the network.

상기 네트워크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될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Fi,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재생될 수도 있고, 또는 USB 메모리와 같은 이동 스토리지에 저장한 후 셋탑박스에서 재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클라우드, NAS(Network-attached storage)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에 업로드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업로드된 콘텐츠를 읽어 와 재생할 수도 있다.The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editor 200 may be transmitted to a display device directly through a network and reproduced, or may be stored in a mobile storage such as a USB memory, and then reproduced in a set-top box.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may be uploaded to a network storage such as a cloud or NAS (network-attached storage) and then transferred to a display device, or read and played back from the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110),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통신부(130), 및 TV 기능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user input processing unit 110, a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TV function processing unit 140. At this time, not all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110)는 키 버튼, 터치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의미한다.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는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 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콘텐츠 편집기(200)나 이동 통신 기기(300)의 요청을 관리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콘텐츠 편집기(200)의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콘텐츠 편집기(200)의 요청을 처리하고 있음을 이동 통신 기기(300)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The user input processing unit 110 processes a user input using a key button, a touch,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eans a content creator or a user who is authorized to edit the content.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20 reproduces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editor 200. [ At this time, the content playback processing unit 120 plays back the content by executing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playbac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pplication is referred to as a content editing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playback processing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nages requests of the content edito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s an embodiment. For example, if a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le processing the request of the content editor 200 in the display device 100, It may inform the device 300.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상기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 이동 통신 기기(300)와 통신한다. 상기 TV 기능 처리부(140)는 상기 콘텐츠 재생 처리부(12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게 처리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TV 기능 처리부(14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채널의 모바일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방송 시청과 광고 콘텐츠 재생이 동시에 수행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일부는 특정 채널의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다른 일부는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예로, 광고 콘텐츠 재생만 수행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전체에 광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edito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rough a network. The TV function processing unit 140 processes an image of a content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 display format and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on a screen. In addition, the TV function processor 140 processes a mobile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channe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displays the processed signal on a screen. If broadcast viewing and playback of advertisement contents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 broadcast of a specific channel, and another part of the screen displays advertisement contents. As another example, if only the advertisement content playback is performed,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as one embodiment.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콘텐츠 관리, 콘텐츠 재생 제어, 스케쥴링 등을 위해 각 기능별로 나누어 물리적으로 여러 대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 제작자(또는 콘텐츠 관리자)가 아닌 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를 허용하고자 할 경우에 콘텐츠 제작자와 해당 콘텐츠 제작자에게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editor 200 may be configured as one unit, but may be physical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ers for each function for content management,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scheduling,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ntent creators other than a content creator (or a content manager) is desired to be permitted, a separate server for managing the content creator and the display devices registered with the content creator may be constructed.

이에 더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콘텐츠는 클라우드, NAS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나 USB와 같은 이동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editor 200 can store content and has a storage unit for this purpose. Content can also be stored in network storage such as the cloud, NAS, or mobile storage such as USB.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laptop) 컴퓨터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또는 핸드헬드)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any of a mobile device (or a handheld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laptop computer.

이때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일반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가 콘텐츠 편집기(200)에 접속할 경우에 일반 사용자와 콘텐츠 제작자를 구별하기 위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인증의 상세한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be used by a general user or a content creato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esses the content editor 200,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distinguishing a general user from a content creator need. The method of authent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ed metho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콘텐츠 편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하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 화면을 공유하고 편집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의 입력 수단(예를 들어, 키 버튼, 터치)을 이용하여 콘텐츠 편집을 수행하면 편집 화면은 이동 통신 기기(3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dit cont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 content editing application (or program) capable of editing the content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hich is installed in advan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content editing application, edit the content while sharing the editing screen of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and exchange the editing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content editing application is executed and the user performs content editing using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key button, tou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edit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이용하여 콘텐츠 편집시, 특정 편집 기능(예, 텍스트의 폰트 변환 등)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 기기(300)의 리소스(resource)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편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하지만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불가한 기능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기(200)에 해당 기능의 처리를 요청하고, 콘텐츠 편집기(200)는 요청된 처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이동 통신 기기(300)를 거치거나 또는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편집기(200)는 이동 통신 기기(30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해당 기능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보내는 데몬(demon)이 실행 중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데몬이 실행 중인 콘텐츠 편집기(200)의 위치 정보나 폰트 정보 또는 처리 정보를 콘텐츠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support a specific editing function (e.g., font conversion of text, etc.) at the time of editing the conten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resour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n transmits the edi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0. [0064] However, if it is a function that can not be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quests the content editor 200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editor 200 performs the requested process, To the display device 100 with 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s an embodiment. To this end, the content editor 200 must have a daemon (daemon) that processes the function when th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sends the result. The content must have location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editor 200 in execution by the daemon.

도 2의 (a) 내지 (d)는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콘텐츠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2 (a) to 2 (d) illustrate an embodiment for editing a cont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100 stops playback of a content being displayed and enters a content editing mode .

즉, 도 2의 (a)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편집 모드를 요청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편집 모드 요청이 수신되면, 도 2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알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편집을 할 수 없음을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c)와 같이 "현재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어 편집이 불가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executes a content editing application and requests the display device 100 for an editing mode. When the editing mode request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100 confirms whether the content editor 200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b).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editor 200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he display device 100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f the conne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llows the user to edit And displays a message that recognizes the absence of the message. Fo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2, a message such as "currently connected to another device and can not be edited" is displayed. The message may be provid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nd display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 알린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타임 라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타임 라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장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콘텐츠가 복수개의 장면으로 구성된다면 그 중 한 장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타임 라인에 따른 각각의 장면에 대한 네비게이션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 2의 (d)와 같이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editor 200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f the connection.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a content playback stop request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stops playing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timelin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o. The time line information includes scene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 If the content to be edite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cen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a navigation user interface (UI) for each scene on the timeline so that one scene can be selected 2 (d).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300)에 표시된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장면 네비게이션을 수행하여 편집할 장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또는 우 화살표를 화면 상에서 터치하거나 선택하여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장면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을 원하는 장면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편집할 화면이 선택된다. 여기서 확인은 이동 통신 기기(300)의 특정 버튼이 될 수도 있고, 메뉴 상의 특정 아이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편집할 장면이 선택되면 장면 번호를 포함하는 장면 선택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은 선택된 장면으로 변경된다. 만일 콘텐츠가 하나의 장면으로만 구성된다면 타임 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장면 네비게이션하는 과정은 생략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scene navigation through the navigation UI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select a scene to be edited. For example, each scene constituting the content can be navigated by touching or selecting the left or right arrow on the screen. If you select OK in the scene you want to edit, the screen you want to edit is selected. Here, the confirmation may be a specific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may be a specific icon on the menu. When a scene to be edited is sele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cene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cen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changed to a selected scene. If the content is composed of only one scene, the process of scene navigation using the timeline information is omitted.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신을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특정 장면을 공유하면서 해당 장면을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편집 화면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3 (a) to 3 (c) show examples of edit screens that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o edit a corresponding scene while sharing a specific scene of a content to be edited through communication have.

도 3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특정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화면의 일부는 실제 TV 방송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3 (a)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a specific scene of a content to be edited on the display device.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screen is actually displaying the TV broadcast.

즉, 도 2의 (c)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편집할 장면이 선택되면,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요청한다. 이때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선택된 장면의 장면 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장면 번호는 그 장면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장면 번호에 해당하는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전송된 레이아웃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의 (b)와 같이 장면을 구성하는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만 전송할 수도 있고, 도 3의 (c)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콘텐츠 리소스 정보(예,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특정 URL 정보 등)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전송 속도 등의 전송 환경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 정보만 전송하거나 도 3의 (c)와 같이 화면의 레이아웃과 콘텐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전송한다. 2C, when a scene to be edited is selected through the navigation UI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quests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cene to the display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scene number of the scene sele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also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Here, the scene number may be an identifier that can uniquely distinguish the scene. Then,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layout informa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cene nu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the transmitted layout information on the screen. Her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only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creen constituting the scene as shown in (b) of FIG. 3, or may transmit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creen and the content resource information , Text information, specific URL information, etc.) may be transmitted together. That is, only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creen is transmitted as shown in FIG. 3B or the layout information including the layout of the screen and the content resour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s shown in FIG. 3C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mission speed.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는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와 같이 레이아웃 정보가 표시되는데, 이때 편집 가능한 영역이 함께 표시된다. 편집 가능한 영역은 굵은 볼드체 박스로 표시할 수도 있고 하이라이트나 명암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편집 가능한 영역에 커서가 위치하면 편집 가능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는 아이콘(예, 도 3의 (c)의 손가락 모양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편집 가능한 영역의 표시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layou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 (b) or FIG. 3 (c). At this time, editable areas are also displayed. The editable area can be displayed as a bold bold box, or can be displayed using highlight or shade. In addition, an icon (e.g., a finger icon in (c) of FIG. 3) for notifying that the cursor is editable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in the editable area may be displayed. The display of the editable area can be any method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selecting a scene to be edited in a content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 통신 기기(300)는 콘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편집 모드를 요청한다(S401).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executes a content editing application and requests the display device 100 for an editing mode (S401).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 편집기(200)나 다른 이동 통신 기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편집 가능/불가능 상태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2).Then, the display device 100 confirms whether the content editor 200 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urrently connected, and transmits the editable / impossible sta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S402) .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편집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타임 라인 정보를 요청한다(S403).I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in an editable state, the display device 100 requests timeline information (S403).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임 라인 정보가 요청되면,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S404), 상기 콘텐츠의 타임 라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5).If the time line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display device 100 stops playback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S404), and transmits the timelin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405).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타임 라인 정보가 수신되면 타임 라인에 따른 각각의 장면에 대한 네비게이션 UI를 도 3의 (c)와 같이 표시한다(S406).When the timelin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the navigation UI for each scene according to the timeline as shown in FIG. 3C (S406).

이어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을 선택하면(S407), 선택된 장면의 장면 번호를 포함하는 장면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동시에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요청한다(S408). When the user selects a scene to be edited through the navigation UI (S407), the scene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cene number of the selected scen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cen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S408).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409). 이때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선택된 장면의 화면 레이아웃과 콘텐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Then,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ce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409). In this case, the layout information includes the screen layout of the selected scene and the content resource information.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와 같은 편집 화면을 그래픽적(graphical)으로 표시한다(S410).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graphically displays an editing screen as shown in FIG. 3B or FIG. 3C based on the layout information (S410).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콘텐츠 편집을 수행할 때,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편집 화면을 공유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editing screens are sha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when content editing is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의 (a)와 같은 이동 통신 기기(300)의 편집 화면에서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하는 영역을 터치, 커서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 화면에서 편집은 장면 내 특정 영역의 크기 변경, 리소스의 소스 위치 변경, 특정 영역의 이미지 변경, 텍스트의 폰트체 변경, 텍스트의 폰트 크기 변경, 텍스트 내용 변경 등이 해당된다. 이를 위해 각 영역마다 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 ID)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 area to be edited on the editing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s shown in FIG. 5A by using a touch, a cursor, or the like. For example, in the editing screen, editing includes changing the size of a specific area in a scene, changing a source position of a resource, changing an image of a specific area, changing a font body of a text, changing a font size of a text, For this purpose, an identifier (ID)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area is assigned to each area.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장면이 복수개의 음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A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항목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A 메뉴의 이미지를 B 메뉴의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의 크기, 글자체 등을 변경할 수도 있고, A 메뉴의 설명을 바꿀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A 메뉴가 B 메뉴로 변경되었을 때 A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B 메뉴를 설명하는 텍스트로 변경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cene selected by the user displays a plurality of food menus,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menu item displaying the A menu or change the image of the A menu to the image of the B menu. You can also change the size of the text that describes the A menu, typeface, and so on, or change the description of the A menu. In addition, when the A menu is changed to the B menu, the text describing the A menu may be changed to the text describing the B menu.

도 5의 (b)는 사용자가 터치, 커서 등을 이용하여 특정 항목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이나 펜 등의 기구로 화면 내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해당 영역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5의 (b)는 특정 영역의 크기를 늘리는 예이다. 도 5의 (b)와 같이 특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게 되면, 변경된 특정 영역의 크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중인 장면의 해당 영역의 크기를 도 5의 (c)와 같이 조정한다. 5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changes the size of a specific item using a touch, a cursor, or the like. For example, a user can touch a specific area on the screen with a device such as a hand or a pen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area. FIG. 5B is an example of increasing the size of a specific area. As shown in FIG. 5B, when the size of the specific area is change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changed specific area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n, the display device 100 adjusts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scene being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s shown in (c)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특히 도 6은 특정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는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editing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specific area.

즉,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 및 장면 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S601),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영역의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2).That is, when a scene and a specific area in the scene to be edited by the user are sele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step S601,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ID of the selected area to the display device 100 S602).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역 ID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에 그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한다(S603).In step S603,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selected area on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area ID.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 내 선택된 영역을 터치하여 그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S604). 크기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그 영역의 조정된 크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5). 여기서 변경 완료 시점은 특정 메뉴나 키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화면에서 손가락이나 펜이 떨어지는 시점을 변경 완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하고자 하는 영역이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에 대한 화면비(aspect ratio)에 맞춰 조정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이 크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At this time, the user touches a selected area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with a finger or a pen to adjust the size of the area (S604). When the size adjustment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adjusted size information of the area to the display device 100 (S605). The change completion time may be achieved by selecting a specific menu or key, or may be set as a change completion time when a finger or a pen falls on the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gion to be adjusted is an image, the adjustment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image. The siz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as an embodiment.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의 크기를 조정한다(S606). 이때 사용자가 상기 영역의 크기를 다시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4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되고, 다른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1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The display device 100 adjusts the size of a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size information (S606). If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size of the area agai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4 to sequentially perform the subsequent steps. If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size of another area,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1 and the subsequent steps are sequentially performed.

만일 사용자가 단계 S601에서 선택된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다면 다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기 이동 통신 장치(300)의 화면 내 선택된 영역을 터치하여 그 영역의 위치를 조정한다(S607).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그 영역의 조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08). 여기서 위치 조정은 단순히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변경이 될 수도 있고, 두 영역 간의 교환이 될 수도 있다. If the user wish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area in step S601, the selected area of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touched with a finger or pen agai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rea (S607).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adjus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rea to the display device 100 (S608). Here, the position adjustment may simply be a chang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or may be an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의 위치를 조정한다(S609). 이때에도 사용자가 상기 영역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7로 되돌아가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되고, 다른 영역의 위치를 조정하고 싶다면 단계 S601로 되돌아가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후 단계 S607부터 이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 된다.The display device 1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S609). If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rea agai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7 to sequentially perform the following steps. If it is desi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another area,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1 to select the area to be edited, ID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steps from step S607 onward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또한 상기 선택된 장면에서 폰트 변경이나 텍스트 변경, 이미지 변경 등을 더 수행하고 싶다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그리고 편집할 장면을 변경하고 싶다면 네비게이션 UI를 통해 새로운 장면을 선택한 후 상기된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If it is desired to further perform font change, text change, image change, and the like in the selected scene,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If you want to change the scene to be edited, you can select a new scene through the navigation UI and perform the above proces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특히 도 7은 특정 영역의 속성 또는 내용을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편집 기능이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되지 않을 때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editing content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ttribute or content of a specific area is changed or an editing function requested by a user is not suppor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즉,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하고자 하는 장면 및 장면 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S701),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선택된 영역의 I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02).That is, when a scene and a specific area in the scene to be edited by the user are selec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step S701,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ransmits the ID of the selected area to the display device 100 S702).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역의 ID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당 영역에 그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한다(S703).In step S703,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selected area on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ID of the received area.

또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속성 UI(Property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다(S704). 그러면 사용자는 속성 UI를 통해 선택된 영역의 내용물을 바꾸거나 속성을 조정한다(S705). 예를 들어, 속성 UI는 크기 조절, 이미지나 텍스트의 내용 바꾸기, 텍스트의 폰트체 변경, 텍스트의 폰트 크기 변경, 리소스의 소스 위치 바꾸기 등이 선택된 영역에 대해 가능한지를 디스플레이한다.In step S704,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isplays an attribute UI that can be modifi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Then, the user changes the content of the selected area through the property UI or adjusts the property (S705). For example, the property UI displays whether resizing, changing the content of an image or text, changing the font of the text, changing the font size of the text, and changing the source location of the resource are possible for the selected area.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이 해당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인가를 확인한다(S706). 만일 지원 가능하다면,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한 후(S707), 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08). Then, it is confirmed whether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a function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706). If it is possible to support it, the processing function of the change requested by the user is processed (S707), and the processing result including the adjus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S708).

만일 지원 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콘텐츠 편집기(200)에 요청한다(S709).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한 후(S710), 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711).If it is not support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quests the content editor 200 for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S709). The content editor 200 processes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step S710 and transmits the processing result including the adjus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 Or directly to the display device 1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71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처리 결과에 포함된 조정 정보를 해당 영역에 적용한다(S712).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 또는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특정 영역의 텍스트의 폰트체를 A 폰트체에서 B 폰트체로 변경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당 영역의 텍스트의 폰트체도 A 폰트체에서 B 폰트체로 변경된다.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the adjustm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corresponding area (S712). For exampl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contents editor 200 changes the font body of the text of the specific area from the A font body to the B font body, the font body A of the text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0 Font body to B font body.

이때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는 이를 처리해주기 위한 데몬을 갖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데몬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도 가지고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레이아웃 정보를 전송할 때, 콘텐츠의 정보도 같이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의 데몬에 사용자가 요청한 변경 기능의 처리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데몬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데몬이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데몬에 요청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 또는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의 데몬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에 포함되는 조정 정보는 콘텐츠 변경 정보와 변경 데이터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ntent editor 200 has a daemon for processing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aemon also includes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s an embodiment. In addition, when the layo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content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does not support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fers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nd processes the change function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daemon of the content editor 200 Lt; / RTI >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receives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aemon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display device 100, or requests the daemon to transmit the daemon directly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adjustm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result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daemon of the content editor 200 includes content change information and change data.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달받은 조정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변경 정보와 변경 데이터를 현재 장면에 적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를 통해 편집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the content change information and the change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adjustment information to the current scene.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contents edi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한편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에 있는 GPS 기능을 사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of each display device is recognized using a GPS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network map is configu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figuring a network map of display devices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서점에서 5대의 디스플레이 장치(TV1~TV5)를 물리적으로 구분된 공간에 각각 설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이동 통신 기기는 GPS 기능을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거나 이동할 때 획득할 수도 있고, 설치된 후에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를 들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가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예, 시리얼 번호, 디스플레이 장치 이름, 제조사 이름 등)를 획득하고, GPS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을 구성한다. 이때 네트워크 맵은 획득된 정보로부터 바로 구성될 수도 있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테이블을 구성한 후,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네트워크 맵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네트워크 맵은 이동 통신 기기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맵은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하여 콘텐츠 편집기(200)에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five display devices (TV1 to TV5) are installed in physically separated spaces in a bookstore.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n obtain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by using the GPS function. He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may be acquired when each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r moved, or may be acquired after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That is, the user mov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 place where each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to acquire device information (e.g., serial number, display device name, manufacturer name, etc.) To obtai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is process is performed on one or more display devices to obtain devi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display devices. Then, the network map is constructed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network map may be configured directly from the obtained information, or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then the network map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table information. Figure 8 shows an embodiment of a network map. The network map thus configured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network map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editor 200 and further stored in the content editor 200.

상기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콘텐츠 편집기에서는 네트워크 맵을 기반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별적으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content editor, content can be individually transmitted to each display device based on the network map.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즉, GPS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figuring a network map of a display device using a GPS function (i.e., a GPS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이동 통신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리얼 번호, 이름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요청한다(S901). 즉, 상기 장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t a place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is installed, and requests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rial number, name, and the like of the display device 100 (S901) . That is,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display device 10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의 요청에 따라 시리얼 번호, 이름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로 전송한다(S902). 또한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내부의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로 설정한다(S903). 이러한 과정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수행한다.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 serial number and n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S902). 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using the internal GPS module and sets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S903). This process is performed in a place where one or more display devices are installed.

그리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S904). 이때 첫번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테이블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구현 상의 문제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는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여 그래픽적(graphical)으로 디스플레이한다(S905). Then, the devi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each display device are stored in a table form (S904). At this time,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cquired from the first display device to form a table, and then,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pdated by another display device. Alternatively, a table may be configured after obtaining devic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from all display devices. Thi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implementation problems.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onstructs a network map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tabl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network map graphically (S905).

한편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만들어진 테이블은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되어 콘텐츠 편집기(200)에도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테이블의 전송은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요청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해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300)에서 테이블이 만들어지거나 업데이트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편집기(200)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여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Meanwhile, the table cre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editor 200 and stored in the content editor 200 as an embodiment.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tabl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the content editor 200 when the content editor 200 requests it, or when a table is created or upd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o the content editor 200 automatically. Also, in the content editor 200, a network map of display devices is configured and displayed graphically on the basis of the table information if requested by a user.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기기에서 네트워크 맵을 참조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의 전송 과정은 콘텐츠 편집기(2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의 이동 통신 기기의 화면에서 왼쪽은 5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맵의 예를 보이고 있고, 오른쪽은 콘텐츠 리스트의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0에서 TV1~TV5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사용자에 의해 특정 이름이 부여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는 콘텐츠 편집기, NAS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USB와 같은 이동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콘텐츠 편집기에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받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pecific content to a specific display device by referring to a network map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FIG. 10 may be performed in the content editor 200. FIG.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0, an example of a network map including five display devices is shown on the left, and an example of a content list is shown on the right. That is, in order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each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V1 to TV5 in FIG. 10 is displayed with a specific name given by the user. The content list also includes content stored in at least one of a content editor, a network storage such as a NAS, and a mobil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ontent list in a content editor.

예를 들어, "베스트셀러"라고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 리스트에 있는 콘텐츠 중 베스트셀러에 관련된 콘텐츠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오른쪽 네트워크 맵에서 "베스트셀러"라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왼쪽 콘텐츠 리스트에서 베스트셀러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선택된 콘텐츠는 "베스트셀러"로 명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만 전송되어 재생된다. 반대로 콘텐츠 리스트에서 콘텐츠를 먼저 선택한 후 네트워크 맵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고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콘텐츠는 중복으로 선택이 가능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display device named "best seller " transmits content related to the best seller among the contents in the content list.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display device named " best seller "in the right network map and selects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est seller from the left contents list and requests transmission, the selected contents are transmitted only to the display device named" best seller " And reproduced. Conversely, content may be selected first in the content list, then a display device may be selected in the network map, and transmission may be requested. Here, the display device or the content may be selected as an overlapping one embodiment.

이때 선택된 콘텐츠는 콘텐츠 편집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기기에서는 네트워크 맵을 통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와 콘텐츠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 편집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이동 통신 기기에서는 네트워크 맵과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만 제공하고, 실제 전송은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콘텐츠 편집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lected content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editor to the display device.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isplay device through the network map an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through the content list to the content editor and the display device. That i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nly the user interface (UI) for displaying the network map and the content list and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content and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and the actual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the content editor and the display Device.

이상에서와 같이 콘텐츠 제작자인 사용자는 이동 통신 기기에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면서 콘텐츠를 편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집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기기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전송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who is the content producer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editing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on the display device by editing the content while sharing the editing screen with the display de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ince it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the satisfaction of editing can be increased. 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s can be acquired using the GPS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network map can be configu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ntent transmission and management of each display devic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사용자 입력 처리부
120: 콘텐츠 재생 처리부 130: 통신부
140: TV 기능 처리부 200: 콘텐츠 편집기
300: 이동 통신 기기
100: display device 110: user input processor
120: Content playback processing unit 130:
140: TV function processing unit 200: Content editor
300: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2)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며, 편집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이동 통신 기기; 및
콘텐츠의 제작 및 편집이 가능한 콘텐츠 편집기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편집기에서 제작 또는 편집된 콘텐츠는 네트워크나 스토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고,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와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아 편집을 수행하고,
특정 편집 기능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편집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편집 기능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콘텐츠 편집기에 해당 기능의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편집기는 요청된 처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places, each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displaying the contents on a scr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editing of a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communicating with a display device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 device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editing request and shares the editing screen with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ents editor capable of creating and editing contents,
Wherein content produced or edited in the content editor is provided to at least one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unit via a network or storag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s an edit mode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user's edit request,
Wherein the display device confirms whether or not it is editable according to the edit mod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editing by receiving timeline information including scene information to be edited and layout information of a scene to be edited from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user's editing mode request,
When the specific editing function i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dits the resource using the resour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n transmits the edi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If the specific editing function can not be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s the content editor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editor performs the requested process and sends the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The digital signage system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편집할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편집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상기 편집 장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ed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ile performing editing based on layout information of a scene to be edited and a user's input,
Wherei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editing scene and reflects the edited contents on the editing scene based on the editing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at a plac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nd sets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s a network map based on device information acquired from each display device of the display uni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이동 통신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콘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집 요청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면서 편집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제공되는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 내용을 디스플레이 중인 콘텐츠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편집 모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편집 모드 요청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기기로 전송하며, 편집 가능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편집할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라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타임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할 장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면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된 장면의 레이아웃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특정 편집 기능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상기 이동 통신 기기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편집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편집 기능이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서 지원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컨텐츠 편집기에 해당 기능의 처리를 요청하고, 컨텐츠 편집기는 요청된 처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이동 통신 기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A content editing method of a digital signage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device,
When the user's edit request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receives layout information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from the display device, and performs editing of the content based on the layout information Transmitting edit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display device reflects edited contents on a content being displayed based on edi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an editing mode to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user's editing request;
Wherein the display device confirms whether or not it is editable according to the edit mod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ps playing the content if the editable mode is confirmed.
Receiving timeline information including scene information to be edited of the content from the display device;
Selecting a scene to be edited based on the timelin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cene to the display device;
Receiving layout information of a scene selected from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pecific editing function i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s the resour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edit and transmit the edit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And
If the specific editing function can not be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quests the content editor to proces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editor performs the requested process, ≪ / RTI >
The content editing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current location at a location where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using the GPS module and setting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기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개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장치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network map based on device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lo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KR1020120050107A 2012-05-11 2012-05-11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KR101938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en) 2012-05-11 2012-05-11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en) 2012-05-11 2012-05-11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07A KR20130126207A (en) 2013-11-20
KR101938244B1 true KR101938244B1 (en) 2019-04-11

Family

ID=4985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07A KR101938244B1 (en) 2012-05-11 2012-05-11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20B1 (en) * 2014-01-02 2015-04-17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Apparatus for generating did united contents, method for generating did united contents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101578132B1 (en) * 2015-03-05 2015-12-16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arketing tv using mobile terminal
KR102534565B1 (en) * 2016-10-20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988790B1 (en) * 2018-02-08 2019-06-12 김민성 Contents Display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Using Local Area Network
KR102079236B1 (en) * 2018-07-19 2020-04-13 정재곤 Agent program recored in recording media, sign board system based on template using the agent program and method for driving set-top box of the same
KR102505849B1 (en) * 2022-05-17 2023-03-06 (주) 알트소프트 Photo sharing system using signage with reference region
KR102533929B1 (en) * 2022-05-17 2023-05-18 (주) 알트소프트 A service system for strengthening bonds between group members using group-only signage
KR102523043B1 (en) * 2022-05-18 2023-04-18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ontent of a cloud-based video out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58A (en) * 2000-10-18 2001-01-05 이응혁 System for advertising according to user's order based on internet
KR101718013B1 (en) * 2010-01-14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KR101718012B1 (en) * 2010-01-13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07A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44B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contents editing method
EP284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CN102073674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ookmark setting method
KR101971624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CN103348693B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hrough content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8966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 through integrated channel management
US201403377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EP27846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s for executing applications
US10449732B2 (en) Customized three dimensional (3D) printing of media-related objects
JP4687691B2 (en) Inter-device operation interface, device control terminal, and program
US9661254B2 (en) Video viewing system with video fragment location
US112188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US20210056762A1 (en) Design and genera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structured distribution of content based on location-based triggers
TW20095040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rolling and/or rendering media in a network
KR1019439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3209349A (en)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024602A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annotations to videos
KR201700401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through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s through network
KR20130089893A (en) Method for management conte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10107254A (en) Method for manag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media content, user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160708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tv movie using still image and the method thereof
WO2017146700A1 (en) Video viewing system with video fragment location
JP201800708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30123306A (en) Service system for userself-editing of digital textbook and user terimianl and editing method thereof
KR20140089475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