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002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002B1
KR101938002B1 KR1020110125611A KR20110125611A KR101938002B1 KR 101938002 B1 KR101938002 B1 KR 101938002B1 KR 1020110125611 A KR1020110125611 A KR 1020110125611A KR 20110125611 A KR20110125611 A KR 20110125611A KR 101938002 B1 KR101938002 B1 KR 10193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lens holder
bobbin
foreign matter
auxiliary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571A (ko
Inventor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002B1/ko
Priority to CN201280058808.4A priority patent/CN103959760B/zh
Priority to PCT/KR2012/010030 priority patent/WO2013081339A1/en
Priority to US14/360,222 priority patent/US9369618B2/en
Publication of KR2013005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571A/ko
Priority to US15/161,904 priority patent/US100153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 보빈 나사산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 내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렌즈 홀더 나사산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발생하는 유동성 또는 고착성 이물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차단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은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한 렌즈 제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은, 보빈의 외측에 권선 된 코일과 요크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보빈을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모듈에 입사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제어한다.
한편, 오토 포커싱을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에 마련된 보빈의 내측에는 복수 매의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가 배치되는데,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 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 결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보빈과 렌즈 홀더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 결합하는 조립 공정이나, 포커싱 작업을 위해, 이들의 나사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중에, 상기 나사산들에 존재할 수 있는 유동성 이물이나 버(burr)와 같은 고착성 이물이, 상기 렌즈 홀더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외선 차단 필터에 이물이 부착되면, 화상오염과 같은 카메라 모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빈 내측에 렌즈 홀더를 나사결합 하는 공정 중에 유동성 이물이나 버(burr)와 같은 고착성 이물이, 렌즈 홀더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 보빈 나사산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 내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렌즈 홀더 나사산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발생하는 유동성 또는 고착성 이물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차단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 차단유닛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과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 사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빈 나사산과 소정 거리 이격 된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물 차단유닛은,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 표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된 점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보빈 나사산과 이물 차단유닛을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 및 렌즈 홀더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 차단유닛은,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의 아래쪽에 추가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에 도포되고, 상기 차단 나사산에는 도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 및 렌즈 홀더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 된 렌즈 홀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부 나사산과 렌즈 홀더 외주면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보빈 내측에 나사결합 되는 렌즈 홀더에 나사결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 차단을 위한 보조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곳에 이물 포집을 위한 점착부재를 도포하므로, 유동성 이물이나 버(burr)와 같은 고착성 이물이, 상기 렌즈 홀더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베이스(10), 보빈(20) 및 렌즈 홀더(3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 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11, IRCF)가 배치된다.
보빈(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면에 복수 개의 리브부재(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와 초기 위치에서 면 접촉한다. 상기 보빈(20)의 외주면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 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보빈(20)에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요크(미도시)에 설치된 마그네트(미도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보빈(20)의 내주면에는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보빈 나사산(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빈 나사산(21)은 후술할 렌즈 홀더(30)를 나사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렌즈 홀더(30)는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33)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이 뚫린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홀더(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빈 나사산(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나사 피치를 가지는 렌즈 홀더 나사산(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렌즈 홀더(30)에 형성된 렌즈 홀더 나사산(31)의 아래쪽에는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31)보다 작은 크기로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은 상기 보빈 나사산(21)과 렌즈 홀더 나사산(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보빈 나사산(21)과 렌즈 홀더 나사산(31)이 서로 나사 결합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 나사산(21)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은 보빈(20)과 렌즈 홀더(30)가 나사 결합하는데 있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31)의 아래쪽, 상기 렌즈 홀더(30)의 바닥면의 위쪽 사이에 형성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31)과 렌즈 홀더(30)의 바닥면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로 점착부재(32a)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부재(32a)의 도포 두께는, 상기 보빈 나사산(21)과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구성하여, 상기 점착부재(32a)에 의해,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 부분이 보빈(20)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점착부재(32a)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30)를 상기 보빈(2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의 상측면과 렌즈 홀더(30)의 외주면 사이의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의 상측면과 렌즈 홀더(30)의 외주면이 만나는 지점에 요홈(32b)이 형성되어, 상기 보빈(20)과 렌즈 홀더(30)가 나사 결합되는 과정 중에 발생된 파티클과 같은 오염 물질이 상기 요홈(32b)에 포집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 하부에 추가로 차단 나사산(35)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 나사산(35)은,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에 도포된 점착부재(32a)가 흘러내려 보빈(20)과 렌즈 홀더(30)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차단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20)과 렌즈 홀더(30)가 나사 결합되는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또는 고착성 이물이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32)과 그 표면에 도포된 점착부재(32a)에 의해 포집 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20)과 렌즈 홀더(30)의 나사 결합 공정 중에 발생할 수도 있는 이물이, 렌즈 홀더 나사산(31)의 아래쪽을 통해 적외선 차단 필터(11)로 전이되어, 적외선 차단 필터(11)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베이스 11; 적외선 차단 필터
20; 보빈 21; 보빈 나사산
30; 렌즈 홀더 31; 렌즈 홀더 나사산
32;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 32a; 점착부재
32b; 요홈 33; 렌즈
35; 차단 나사산

Claims (10)

  1.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주면에 보빈 나사산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렌즈 홀더 나사산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과 렌즈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발생하는 이물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 차단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 차단유닛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의 아래쪽과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면의 위쪽 사이에 형성된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 표면에 도포된 점착부재 및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의 아래쪽에 추가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과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렌즈홀더 나사산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의 상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의 상측면과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면이 만나는 지점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과 상기 보빈 나사산이 결합할 때,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보빈 나사산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차단 나사산은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에 도포된 상기 점착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유닛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형성된 카메라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보빈 나사산과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도포된 점착부재에 의해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이 상기 보빈 나사산과 간섭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은,
    상기 렌즈 홀더 나사산과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면의 중간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이물 방지 보조 나사산에는 도포되고, 상기 차단 나사산에는 도포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25611A 2011-11-29 2011-11-29 카메라 모듈 KR10193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11A KR101938002B1 (ko) 2011-11-29 2011-11-29 카메라 모듈
CN201280058808.4A CN103959760B (zh) 2011-11-29 2012-11-26 相机模块及其组装方法
PCT/KR2012/010030 WO2013081339A1 (en) 2011-11-29 2012-11-26 Camera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4/360,222 US9369618B2 (en) 2011-11-29 2012-11-26 Camera module having foreign object block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5/161,904 US10015382B2 (en) 2011-11-29 2016-05-23 Camera module having foreign objects block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11A KR101938002B1 (ko) 2011-11-29 2011-11-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71A KR20130059571A (ko) 2013-06-07
KR101938002B1 true KR101938002B1 (ko) 2019-01-14

Family

ID=4885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11A KR101938002B1 (ko) 2011-11-29 2011-11-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704B1 (ko) * 2013-09-23 2020-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19553B1 (ko) * 2013-09-23 2021-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52478B1 (ko) * 2014-08-06 2021-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9702A1 (en) * 2005-06-15 2007-01-25 Daylight Solutions Inc. Lenses, optical sources, and their couplings
JP2008139593A (ja) * 2006-12-01 2008-06-19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2009206994A (ja) * 2008-02-28 2009-09-10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9271A (ja) * 2008-08-28 2010-04-08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9702A1 (en) * 2005-06-15 2007-01-25 Daylight Solutions Inc. Lenses, optical sources, and their couplings
JP2008139593A (ja) * 2006-12-01 2008-06-19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2009206994A (ja) * 2008-02-28 2009-09-10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9271A (ja) * 2008-08-28 2010-04-08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71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1933B2 (en) Camera module
US7876515B2 (en) Camera module
US10015382B2 (en) Camera module having foreign objects block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2056588B1 (en) Adjustable lens mounting assembly
KR101938002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51628A (ko) 카메라 모듈
KR101104584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US10432836B1 (en) Camera driving module, image capturing unit and smartphone
KR20130055135A (ko) 카메라 모듈
KR20130013325A (ko) 카메라 모듈
KR20130035520A (ko) 카메라 모듈
KR102137567B1 (ko) 카메라 모듈
US9247114B2 (en) Camera module
KR102384416B1 (ko) 카메라 모듈
US20110001862A1 (en) Camera module
KR101340761B1 (ko) 카메라 모듈
JP200714772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468818B1 (ko) 조리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9164280B1 (en) Dust-proof assembly for lens driving device
KR20160001576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84399A (ko) 카메라 모듈
KR102137573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69926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JP2010271545A (ja) レンズ焦点駆動装置のレンズ保護構造
KR20130059572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