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53B1 -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53B1
KR101937953B1 KR1020160096777A KR20160096777A KR101937953B1 KR 101937953 B1 KR101937953 B1 KR 101937953B1 KR 1020160096777 A KR1020160096777 A KR 1020160096777A KR 20160096777 A KR20160096777 A KR 20160096777A KR 101937953 B1 KR101937953 B1 KR 10193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s
unit
stra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290A (ko
Inventor
주용환
Original Assignee
제이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티(주) filed Critical 제이엠티(주)
Priority to KR102016009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을 이격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과,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과, 튜브이송 스크류로 튜브를 공급하는 튜브공급유닛을 구비하고, 튜브공급유닛은 튜브들이 수직상으로 적재된 튜브 적재함과,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서 전진하는 튜브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회전시 수용된 튜브를 자유낙하에 의해 튜브이송 스크류로 공급할 수 있게 직선상으로 관통된 직선관통 수용홈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튜브 수용 회전체와,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한 튜브를 튜브 수용 회전체의 직선관통 수용홈내로 진입시키는 튜브 진입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의하면, 튜브의 역전 공급도 회전방향전환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tube and fin assembly apparatus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튜브의 정렬 방향에 대한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내부에 열교환 매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사용하는 열교환 매체의 종류 및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압력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왔으며, 대표적으로 핀 튜브 타입(fin tube type), 서펜틴 타입(serpentine type), 드론 컵 타입(drawn cup type), 패러렐 플로우 타입(parallel flow type)등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이 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코어(Heater Core Builder, Evap Core, Radiator Core, Inter Cooler Core 등을 통칭한다)는 헤더와 상기 헤더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방열핀 및 튜브로 구성된다.
열교환기들 중 패러렐 프롤우 타입 열교환기는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와, 헤더 탱크들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며 그 양단 부가 각각 헤더 탱크에 형성된 튜브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튜브들과, 튜브들 내에서 유동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와 효과적으로 열교환 할 수 있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가지며 튜브들 사이에 설치된 방열핀(fin)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헤더탱크의 튜브삽입공에 튜브들의 양단부가 삽입되고,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이 설치된 상태로 지그에 의해 지지되어 브레이징로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지그에 지지되어 브레이징로에 유입된 열교환기는 헤더 탱크에 입혀진 클래드재가 녹아서, 튜브와 헤더탱크가 접합되고,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의 표면에 설치되는 클래드재가 녹아서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이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열교환기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하나의 지그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상대적으로 지그를 이용한 조립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21497호에는 열교환기 자동조립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열교환기 자동조립장치는 다수의 핀 수납부가 구비된 핀 트레이와, 핀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핀 트레이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핀 공급부와, 다수의 튜브가 수납되는 튜브 피켓과, 튜브를 분배하는 튜브 디스펜서와, 분배된 튜브가 튜브 피켓으로 차례로 수납되도록 이송시키는 튜브 피켓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튜브공급부 및 튜브 피켓으로부터 튜브가 낙하되어 안착되는 튜브 안착부와, 핀 트레이에 수납된 핀을 튜브 안착부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핀 이송채널과, 안내된 핀이 안착된 각각의 튜브 사이로 개재되도록 안내하는 핀 가이드와, 핀을 튜브 사이로 개재되도록 하는 핀 푸셔와, 열교환기 코어를 압축되도록 하는 코어 압축부로 이루어지는 핀-튜브 적층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자동열교환장치는 튜브피켓으로부터 튜브들이 튜브안착부로 공급되고, 이들의 사이에 핀이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튜브의 공급과 방열핀의 공급이 교호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불량이 많고, 튜브들의 사이에 핀의 공급 시 튜브들의 간격을 넓힐 수가 없으므로 방열핀의 공급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튜브의 공급시 종류 또는 형상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정렬하거나, 제1방향에 대해 뒤집힌 상태인 역전상태로 공급해야하는 경우에 정렬 방향에 대한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튜브의 정렬 방향에 대한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을 이격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과; 상기 튜브이송 스크류로 튜브를 공급하는 튜브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튜브공급유닛은 튜브들이 수직상으로 적재된 튜브 적재함과; 상기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서 전진하는 튜브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수용된 튜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유낙하에 의해 상기 튜브이송 스크류로 공급할 수 있게 직선상으로 관통된 직선관통 수용홈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튜브 수용 회전체와; 상기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한 튜브를 상기 튜브 수용 회전체의 직선관통 수용홈내로 진입시키는 튜브 진입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수용 회전체는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직선관통수용홈과, 상기 제1직선관통수용홈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직선관통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튜브이송유닛은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과 연속되며 상기 방열핀공급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제1튜브배열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이송스크류 사이의 테이블에는 튜브이송스크류에 의해 단부가 지지된 튜브들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의하면, 튜브의 정렬방향에 대한 전환을 튜브수용 회전체의 회전방향 조정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 공급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열핀공급유닛을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튜브 수용 회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튜브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튜브 조립체를 적용하여 조립된 열교환기의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튜브 조립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튜브 조립체와, 튜브조립체로부터 제조되는 열교환기의 일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열교환기는 냉장고, 공조장치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사용되는 패러렐 플로우 타입으로써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1,2헤더 탱크(10)(20)와, 제1,2헤더 탱크(10)(20)들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각각 제1,2헤더 탱크(10)(20)에 형성된 튜브삽입공(11)(21)에 삽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튜브(30)들과, 튜브(30)들 내에서 유동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와 효과적으로 열교환 할 수 있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가지며 튜브들 사이에 설치된 방열핀(40;fin)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조립과정에서 먼저, 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통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클래드재가 코팅된 제 1,2헤더탱크(10)(20)에 배플(51)을 삽입하여 통로를 구획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는 부위에 인접되도록 구획배플(52)(53)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된 제 1,2헤더탱크(10)(20)들의 열교환매체 통로가 연통될 수 있도록 제1,2헤더탱크(10)(20)에 형성된 튜브 삽입공에 튜브(30)들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튜브조립체를 장착한다.
여기서 튜브조립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튜브(30)들의 사이에 클래드재가 코팅된 방열핀(40)들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접합을 위한 조립이 완료되면, 열교환기 조립체를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제1,2헤더탱크(10)(20) 또는 튜브(30), 방열핀(40)의 클래드재가 용융되어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튜브조립체 즉,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들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 공급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열핀공급유닛과 분리핀공급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100)는 튜브공급유닛(130), 튜브이송유닛(150), 방열핀공급유닛(160)을 구비한다.
튜브 공급유닛(130)은 튜브이송유닛(150)의 튜브이송 스크류(151)(152)로 튜브를 공급한다.
튜브 공급유닛(130)은 튜브 적재함(131)과, 튜브 수용 회전체(135)와, 튜브 진입기(137)를 구비한다.
튜브 적재함(131)은 조립대상 튜브(30)들을 수직상으로 적재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하단의 배출구를 통해 프레임(110)의 안착바디(141) 위에 안착된 최하단의 튜브(30)를 하나씩 수평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안착바디(141)는 상면 평평하게 형성되어 튜브 적재함(131)의 최하단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튜브(30)를 안착상태로 지지함과 아울로 배출구를 통해 수평상으로의 이동 및 후술되는 튜브수용 회전체(135)로의 진입을 가이드 한다.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튜브 적재함(131)의 하단에서 튜브 진입기(137)에 의해 직선상으로 전진하는 튜브(30)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회전시 수용된 튜브(30)를 자유낙하에 의해 튜브이송 스크류(151)(152)로 공급할 수 있게 회전중심을 경유하면서 직선상으로 외부에 노출되게 관통된 직선관통 수용홈(135a)(135b)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튜브(30)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수용된 튜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유낙하에 의해 후술되는 방열핀과의 정렬 방향을 정방향 또는 정방향에 대해 180도 회전된 역전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직선관통수용홈(135a)과, 제1직선관통수용홈(135a)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직선관통수용홈(135b)이 형성된 열십자형 관통로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튜브 적재함(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튜브(30)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게 2개가 적용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튜브 수용 회전체(135)가 튜브(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되어 튜브(30)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135c는 튜브 수용 회전체(135)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고, 136은 구동부의 요소이며 튜브 수용 회전체(135)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이러한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제1직선관통수용홈(135a) 또는 제2직선관통수용홈(135b)에 수평상태로 수용된 튜브(30)를 90도 시계방향 또는 9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수직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회전방향에 따라 튜브이송 스크류(151)(152)내로 낙하되어 진입되는 튜브(30)의 정렬 패턴은 튜브(30)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것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수용 회전체(135)는 튜브(30)의 정렬방향을 역전상태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튜브수용 회전체(135)는 튜브(30)의 정렬 패턴에 따라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축(135c)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튜브(30)를 튜브 이송스큐류(151)로 공급한다.
한편, 튜브 수용 회전체(135)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직선관통수용홈이 형성된 구조(235)(a), 등간격으로 3개의 직선관통수용홈이 형성된 구조(335)(b), 외주면이 절곡되어 직선관통수용홈이 형성된 구조(435)(c), 외형이 사각형인 구조(535)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튜브 진입기(137)는 튜브 수용 회전체(135)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디어 튜브 적재함(131)의 하단에서 안착바디(141)에 안착된 튜브(30)를 튜브 수용 회전체(135)의 대향되게 개방된 직선관통 수용홈(135a)(135b)내로 진입시킨다.
도시된 예에서 튜브 진입기(137)는 로드(137a)를 진퇴시켜 튜브(30)를 튜브 수용 회전체(135)로 진입시키는 실린더가 적용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른 방식으로 튜브(30)를 튜브 수용 회전체(135)의 직선관통 수용홈(135a)(135b)내로 진입시킬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138은 튜브 수용 회전체(135)에 수용된 튜브(30)가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 내로 진입되게 낙하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튜브 수용 회전체(135) 외측을 감싸되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과 대향되는 부분이 개방된 개방구(138a)를 갖는 낙하 진입 안내부재이다.
튜브이송유닛(150)은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30)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30)들 상호간을 이격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151)(152)를 구비한다.
튜브이송유닛(150)은 튜브공급유닛(130)의 튜브 수용 회전체(135)로부터 낙하되어 유입된 튜브(30)들을 상호 이격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튜브공급유닛(150)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튜브(3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튜브 튜브 이송스크류(151)(152)의 설치간격은 튜브(30)의 양단부가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에 지지될 수 있도록 튜브(30)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홈(151a)(152a)의 폭은 튜브(3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며, 나선홈(151a)(152a)의 피치(P)는 이격시키고자 하는 튜브(30)의 배열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사이에는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에 양단부가 지지된 튜브(30)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111)이 설치되고, 테이블(111)의 양측에는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출구로부터 연속되는 가이드부(1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테이블(111)에는 정열된 튜브(30)와 후술하는 방열핀공급유닛(150)에 의해 공급된 방열핀(40) 즉, 튜브(3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핀(4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컨베이어(113)가 설치된다. 컨베이어(113)는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송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튜브 이송스크류(151)(152)에는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공급된 방열핀(4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의해 지지된 튜브(30)들의 간격과 튜브(30)들의 상부를 확개시키기 위한 제 1튜브배열확장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튜브배열확장부(153)는 방열핀공급유닛(160)의 후술하는 방열핀공급노즐과 대응되는 부위의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홈(151a)(152a)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튜브배열확장부(153)를 이루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피치가 크게 형성된 나선부의 경사각이 외측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에 지지되는 튜브(30)들의 상부가 확개된다.
방열핀 공급유닛(160)은 튜브이송유닛(150)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30)들의 사이에 튜브(30)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40)을 공급한다.
방열핀공급유닛(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배열된 튜브(30)들의 사이에 방열핀(40)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1튜브배열확장부(153)와 대응되는 측의 프레임(110)에 방열핀공급노즐(161)이 설치되고, 방열핀 공급노즐(161)은 방열핀(40)의 공급을 위한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에 의해 공급되는 코러게이트형의 방열핀(40)을 튜브(30)들의 사이로 토출시키게 된다.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로의 방열핀(40)의 공급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별도의 방열핀 카트리지에 의해 공급되거나 방열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열핀(40)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튜브이송스크류(151)(152)는 실질적으로 구동부에 의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단부에 웜휠(155)(156)들이 설치되고,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59)에 설치되어 웜휠(155)(156)과 각각 결합되는 웜(157)(158)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브의 방열핀의 조립을 위해서는 튜브공급유닛(130)에 의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에 튜브(30)의 양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튜브(30)이 형상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튜브 수용 회전체(135)로 회전하면서 낙하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튜브 수용 회전체(135)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각도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고, 정지상태에서 튜브(30)가 수용되게 튜브진입기(137)를 가동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튜브 수용 회전체(135)로 회전하면서 낙하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튜브 수용 회전체(1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간헐 회전시키고, 정지상태에서 튜브(30)가 수용되게 가동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3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구동부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157)(158)과 치합되는 웜휠(155)(156)에 의해 튜브이송스크류(151)(152)가 회전하여 나선홈(151a)(151a)에 지지된 튜브(30)를 한 피치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의 반복으로 튜브이송스크류(151)(152)는 나선홈(151a)(152a)에 튜브(30)들이 상호 평행하게 지지된 상태로 나선홈(151a)(152a)의 한 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들이 배열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배열된 튜브(20)들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제1튜브배열확장부(153)에 위치하게 되면, 상호 인접하는 튜브(30)들의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에 나선의 형성각도가 상부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튜브(30)들은 상단부측이 하단부측보다 확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제1튜브배열확장부(153)들에 의해 튜브(30)들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면,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방열핀(40)이 방열핀공급노즐(161)로부터 배출되어 튜브(30)들의 사이에 방열핀(40)이 공급된다.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한 방열핀(40)의 공급은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방열핀(40)이 상기와 같이 확개된 튜브(30)들의 사이에 대응되게 설치된 방열핀공급노즐(161)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방열핀(40)은 튜브(20)들의 상부가 확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급에 따른 불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튜브(30)들의 사이에 방열핀(40)의 공급이 완료되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이송력에 의해 튜브(30), 방열핀(40)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튜브조립체가 테이블(111)을 따라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단부측에는 이와 연속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블(111)에는 조립이 완료된 튜브조립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1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열교환기의 코어를 이루는 방열핀과 튜브를 자동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30)의 조립 형상에 따라 정상 또는 역전상태로 조립해야하는 경우 튜브 수용 회전체(135)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조정하면 된다.
130: 튜브공급유닛 131: 튜브 적재함
135: 튜브 수용 회전체 137: 튜브 진입기
150: 튜브이송유닛 160: 방열핀공급유닛

Claims (4)

  1.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을 이격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과;
    상기 튜브이송 스크류로 튜브를 공급하는 튜브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튜브공급유닛은
    튜브들이 수직상으로 적재된 튜브 적재함과;
    상기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서 전진하는 튜브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수용된 튜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유낙하에 의해 상기 방열핀과의 정렬 방향을 정방향 또는 정방향에 대해 180도 회전된 역전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이송 스크류로 공급할 수 있게 직선상으로 관통된 직선관통 수용홈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튜브 수용 회전체와;
    상기 튜브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한 튜브를 상기 튜브 수용 회전체의 직선관통 수용홈내로 진입시키는 튜브 진입기;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 수용 회전체는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직선관통수용홈과, 상기 제1직선관통수용홈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직선관통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유닛은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과 연속되며 상기 방열핀공급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제1튜브배열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스크류 사이의 테이블에는 튜브이송스크류에 의해 단부가 지지된 튜브들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KR1020160096777A 2016-07-29 2016-07-29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KR10193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77A KR101937953B1 (ko) 2016-07-29 2016-07-29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77A KR101937953B1 (ko) 2016-07-29 2016-07-29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90A KR20180013290A (ko) 2018-02-07
KR101937953B1 true KR101937953B1 (ko) 2019-01-11

Family

ID=6120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77A KR101937953B1 (ko) 2016-07-29 2016-07-29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950B1 (ko) 2018-05-30 2019-03-12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KR102077096B1 (ko) 2018-09-19 2020-04-07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KR102260951B1 (ko) * 2019-10-24 2021-06-04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 조립 시 튜브 위치 정렬 및 밀림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765A (ja) * 2006-05-12 2007-11-22 Denso Corp フィン組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765A (ja) * 2006-05-12 2007-11-22 Denso Corp フィン組付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90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53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KR101928950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EP2278246B1 (en) Distributor tube with improved uniformity of refrigerant fluid distribution
EP1764574B1 (en) Heat exchanger
US20040007349A1 (en) Heat exchanger
US7520318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EP1691161A1 (en) Evaporator for carbon dioxide air-conditioner
KR20170059209A (ko) 열교환기 제조장치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CN1629591A (zh) 多路径平行管热交换器
KR102077096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KR101665612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KR101773430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GB2423038A (en) Assembly apparatus
US5022814A (en) Jump indexing pallet and method for heat exchanger assembly
KR102526707B1 (ko) 열교환기 제조용 브레이징 분리바 이송장치
KR20240077923A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FR3059397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fluide refrigerant a l’interieur de tubes d’un echangeur de chaleur constitutif d’un circuit de fluide refrigerant
WO2005072439A2 (en) Sprocket tube inserter for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US11391522B2 (en) Tube and chamber type heat exchange apparatus having an enhanced medium directing assembly
US5029382A (en) Variable pitch indexing pallet for heat exchanger assembly
KR101063414B1 (ko) 주물사 냉각장치
KR101612881B1 (ko) 열교환기의 튜브 및 방열핀 이송용 스크류 조립체
KR100928571B1 (ko) 열교환기용 튜브 분배 장치
KR20210048722A (ko) 열교환기 조립 시 튜브 위치 정렬 및 밀림방지장치
JP2005300073A (ja) 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