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30B1 -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30B1
KR101773430B1 KR1020150039196A KR20150039196A KR101773430B1 KR 101773430 B1 KR101773430 B1 KR 101773430B1 KR 1020150039196 A KR1020150039196 A KR 1020150039196A KR 20150039196 A KR20150039196 A KR 20150039196A KR 101773430 B1 KR101773430 B1 KR 10177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s
unit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486A (ko
Inventor
종 근 김
서재수
Original Assignee
(주)쓰리브이테크놀러지
종 근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브이테크놀러지, 종 근 김 filed Critical (주)쓰리브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5003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의 사이에 주기적으로 상기 튜브들의 인접하는 튜브들의 브레이징을 방지하는 분리핀을 공급하는 분리핀공급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tube and fin assembly apparatus of heat ec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열교환기를 이루는 튜브와 이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방열핀 및 브레이징시 튜브들과 접합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핀을 조립하기 위한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열교환 매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를 구비하여, 열교환 매체가 통로부를 흐르는 동안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것으로, 열교환 매체의 종류 및 열교환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압력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왔으며, 대표적으로 핀 튜브 타입(fin tube type), 서펜틴 타입(serpentine type), 드론 컵 타입(drawn cup type), 패러렐 플로우 타입(parallel flow type)등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이 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코어(Heater Core Builder, Evap Core, Radiator Core, Inter Cooler Core 등을 통칭한다)는 헤더와 상기 헤더 사이에 적층 고정되는 방열핀 및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들중 패러렐 프롤우 타입 열교환기는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와, 이 헤더 탱크들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며 그 양단 부가 각각 상기 헤더 탱크에 형성된 튜브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내에서 유동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와 효과적으로 열교환 할 수 있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가지며 상기 튜브들 사이에 설치된 방열휜(fin)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헤더탱크의 튜브삽입공에 튜브들의 양단부가 삽입되고,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휜이 설치된 상태로 지그에 의해 지지되어 브레이징로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지그에 지지되어 브레이징로에 유입된 열교환기는 헤더 탱크에 입혀진 클래드재가 녹아서, 상기 튜브와 헤더탱크가 접합되고, 상기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휜의 표면에 설치되는 클래드재가 녹아서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휜이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열교환기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하나의 지그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상대적으로 지그를 이용한 조립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 공개 특허 제 2008-116117호에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부와, 상기 헤더 탱크부의 탱크길이 방향으로 복수 라인 적층되며 각각의 양단이 상기 헤더탱크부에 접속 되어 열교환 유체가 유통하는 열교환용의 튜브를 갖는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헤더탱크부의 사이에 튜브들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헤더탱크부 안의 공간을 상기 탱크의 길이 방향으로 차단하는 칸막이 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칸막이 부재의 사이를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열교환기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칸막이 부재들에 의해 구획된 헤더탱크 만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튜브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휜 또는 튜브를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열핀 또는 튜브의 절단은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 이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다. 그리고 방열휜의 경우 절단면이 깨끗하게 절단되지 못함으로써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1021497호(2009.03.04)에는 열교환기 자동조립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열교환기 자동조립장치는 다수의 핀 수납부가 구비된 핀 트레이와, 핀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핀 트레이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핀 공급부; 다수의 튜브가 수납되는 튜브 피켓과, 튜브를 분배하는 튜브 디스펜서와, 분배된 튜브가 튜브 피켓으로 차례로 수납되도록 이송시키는 튜브 피켓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튜브공급부; 및 튜브 피켓으로부터 튜브가 낙하되어 안착되는 튜브 안착부와, 핀 트레이에 수납된 핀을 튜브 안착부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핀 이송채널과, 안내된 핀이 안착된 각각의 튜브 사이로 개재되도록 안내하는 핀 가이드와, 핀을 튜브 사이로 개재되도록 하는 핀 푸셔와, 열교환기 코어를 압축되도록 하는 코어 압축부로 이루어지는 핀-튜브 적층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자동열교환장치는 튜브피켓으로부터 튜브들이 튜브안착부로 공급되고, 이들의 사이에 핀이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튜브의 공급과 방열핀의 공급이 교호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됨으로써 조립불량이 많고, 튜브들의 사이에 핀의 공급 시 튜브들의 간격을 넓힐 수가 없으므로 방열핀의 공급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튜브들의 서로 다른 종류의 방열핀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1021497호(2009.03.0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간격을 공급되어 배열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들과 분리핀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열교환기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튜브들의 사이로부터 분리핀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의 결합장치는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과,
상기 튜브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들의 사이에 튜브들의 사이에 주기적으로 상기 튜브들의 인접하는 튜브들의 브레이징을 방지하는 분리핀을 공급하는 분리핀공급유닛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유닛은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이송스크류들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튜브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튜브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과 연속되며 상기 방열핀공급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을 갖도록 형성된 제1튜브배열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공급유닛과 대응되는 부위에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을 갖도록 형성된 제2튜브배열확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열교환기의 코어를 이루는 튜브들의 방열핀들과 브레이징 후 분할을 위해 일정 개수의 방열핀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분할을 위한 분리핀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방열핀과 분리핀의 공급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튜브와 방열핀의 조립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열교환기의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된 튜브와 핀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튜브 이송스크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이송스크류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에는 조립이 이루어진 후 분할하는 열교환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는 냉장고, 각종 공조장치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사용되는 패러렐 프롤우 타입으로써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1,2헤더 탱크(10)(20)와, 이 제1,2헤더 탱크(10)(20)들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2헤더 탱크(10)(20)에 형성된 튜브삽입공(11)(21)에 삽입되어 고정된 다수의 튜브(30)들과, 상기 튜브(30)들 내에서 유동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와 효과적으로 열교환 할 수 있도록 넓은 전열면적을 가지며 상기 튜브들 사이에 설치된 방열휜(40;fin)을 구비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통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클래드재가 코팅된 제 1,2헤더탱크(10)(20)에 배플(51)을 삽입하여 통로를 구획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는 부위에 인접되도록 구획배플(52)(53)을 설치하는 배플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제1,2헤더탱크제조단계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된 상기 제 1,2헤더탱크(10)(20)들의 열교환매체 통로가 연통될 수 있도록 제1,2헤더탱크(10)(20)에 형성된 튜브 삽입공에 튜브(30)들의 양단부를 삽입하는 튜브조립체 장착단계와, 상기 튜브조립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튜브(30)들의 사이에 클래드재가 코팅된 방열핀(40)들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배플(52)(53)의 사이에 측의 튜브들의 사이에 클래드재가 코팅되지 않은 분리핀(45)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접합을 위한 조립이 완료되면, 열교환기 조립체를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제1,2헤더탱크(10)(20) 또는 튜브(30), 방열휜(40)의 클래드재가 용융되어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브레이징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헤더탱크(10)(20)의 분할될 부위와 대응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튜브(30)들은 상기 클래드재가 코팅되지 않은 분리핀(45)가 삽이되어 있으므로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징 단계가 완료되면, 열교환기조립체로부터 분리부재를 분리하고, 상기 제1,2헤더탱크의 구획배플(52)(53)들의 사이를 절단하여 열교환기들을 제조하는 열교환기 분할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튜브조립체 즉,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들과 분리핀들을 조립하기 위한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100)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100)는 프레임(1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조립을 위한 튜브(30)들을 적층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120)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120)에 의해 적층된 튜브(30)들을 하부로부터 하나씩 개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튜브공급유닛(1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공급유닛(130)의 하부측에는 상기 튜브공급유닛(13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하나씩 배출되는 튜브의 양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튜브이송유닛(150)을 구비하며, 상기 튜브이송유닛(150)의 측면에는 방열핀(40)들이 튜브(30)들의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방열핀공급유닛(160)과, 방열핀 공급유닛(160)에 의해 일정 개수의 방열핀(40)이 공급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이 필요한 튜브(30)들의 사이에 분리핀(45)을 공급하는 분리핀 공급유닛(17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의 결합장치(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공급유닛(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120)에 적층된 튜브(30)를 하나씩 인출하여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120)의 하부에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제 1회전축(14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회전축(141)에는 회전 시 카트리지(120)에 적층된 튜브(30)들을 하나씩 취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터(142)(143)들이 설치된다. 상기 튜브공급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튜브이송유닛(150)의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튜브들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튜브이송유닛(150)은 상기 카트리지(120)으로부터 인출된 튜브들을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를 구비한다.
상기 튜브공급유닛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튜브(3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튜브 이송스크류(151)(152)의 설치간격은 튜브(30)의 양단부가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에 지지될 수 있도록 튜브(30)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홈(151a)(152a)의 폭은 튜브(3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며, 나선홈(151a)(152a)의 피치(P)는 이격시키고자 하는 튜브(30)의 배열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도 5참조)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사이에는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에 양단부가 지지된 튜브(30)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111)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11)의 양측에는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출구로부터 연속되는 가이드부(1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12)에는 정열된 튜브(30)와 후술하는 방열핀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된 방열핀 즉, 튜브(3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열핀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컨베이어(113)가 설치된다. 컨베이어(113)는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송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 이송스크류(151)(152)에는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공급된 방열핀(40)과 분리핀공급유닛(170)에 의해 공급되는 분리핀(45)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의해 지지된 튜브(30)들의 간격과 튜브(30)들의 상부를 확개시키기 위한 제 1,2튜브배열확장부(153)(15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2튜브배열확장부(153)(154)는 방열핀공급유닛(160)의 후술하는 방열핀공급노즐 및 분리핀공급노즐과 대응되는 부위의 튜브이송스크류(151)(152)에 형성된 나선홈(151a)(152a)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튜브배열확장부(153)(154)를 이루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피치가 크게 형성된 나선부의 경사각이 외측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이에 지지되는 튜브(30)들의 상부가 확개된다.
한편,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배열된 튜브들의 사이에 방열핀(40)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튜브배열확장부(153)와 대응되는 측의 프레임(111)에 방열핀공급노즐(161)이 설치되고, 이 방열핀 공급노즐(161)은 방열핀(40)의 공급을 위한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에 의해 공급되는 코러게이트형의 방열핀(40)을 튜브(30)들의 사이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방열핀 공급컨베이어(162)로의 방열핀(40)의 공급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별도의 방열핀 카트리지에 의해 공급되거나 방열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방열핀(40)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핀공급유닛(170)은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분리핀공급유닛(170)은 상기 제2튜브배열확장부(154)와 대응되는 측의 프레임(111)에 분리핀공급노즐(171)이 설치되고, 이 분리핀공급노즐(171)은 분리핀(45)의 공급을 위한 분리핀 공급컨베이어(17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핀 공급컨베이어(172)에 의해 공급되는 코러게이트형의 분리핀(45)이 튜브(30)들의 사이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분리핀공급컨베이어(172)로의 방열핀(40)의 공급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별도의 방열핀 카트리지에 의해 공급되거나 방열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분리핀(45)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과 분리핀 공급유닛(1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튜브 이송스크류에 인접되게 설치되지 않고,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튜브 이송스크류(151)(152)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는 실질적으로 구동부에 의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단부에 웜휠(155)(156)들이 설치되고,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59)에 설치되어 상기 웜휠(155)(156)과 각각 결합되는 웜(157)(158)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튜브의 방열핀 및 분리핀의 조립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튜브공급유닛(130)에 의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나선홈(151a)(152a)에 튜브(30)의 양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튜브(3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구동부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157)(158)과 치합되는 웜휠(155)(156)에 의해 튜브이송스크류(151)(152)가 회전하여 나선홈(151a)(151a)에 지지된 튜브(30)를 한 피치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의 반복으로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는 이의 나선홈(151a)(152a)에 튜브(30)들이 상호 평행하게 지지된 상태로 나선홈(151a)(152a)의 한 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들이 배열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배열된 튜브(20)들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제1튜브배열확장부(153)에 위치하게 되면, 상호 인접하는 튜브(30)들의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에 나선의 형성각도가 상부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튜브(30)들은 상단부측이 하단부측보다 확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제1튜브배열확장부(153)들에 의해 튜브(30)들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면,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방열핀(40)이 방열핀공급노즐(161)로부터 배출되어 튜브(30)들의 사이에 방열핀(40)이 공급된다.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한 방열핀(40)의 공급은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방열휜(40)이 상기와 같이 확개된 튜브(30)들의 사이에 대응되게 설치된 방열핀공급노즐(161)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방열핀(40)은 튜브(20)들의 상부가 확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급에 따른 불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수의 방열핀(40)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브레이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튜브들의 사이에는 방열핀이 공급되지 않게되고, 상기 방열핀(40)이 공급되지 않은 튜브(30)들의 사이에는 분리핀공급유닛(170)에 의해 클래드재가 코팅되지 않은 분리핀(45)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방열핀공급유닛(160)에 의해 튜브(30)들의 사이에 방열핀(200)의 공급이 완료되고, 분리되는 부위 즉, 일정한 방열핀(40)이 공급된 후 방열핀이 공급되지 않은 튜브들의 사이에 분리핀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이송력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튜브(30), 방열핀(40), 분리핀(45)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튜브조립체가 테이블(300)을 따라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의 단부측에는 이와 연속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블(111)에는 조립이 완료된 튜브조립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3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열교환기의 코어를 이루는 방열핀과 튜브 및 분리핀을 자동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는 각종 열교환기의 코어조립 및 각종 스트립상의 부품 조립장치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튜브(30)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튜브들 상호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된 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튜브이송스크류(151)(152)를 구비한 튜브이송유닛(150)과,
    상기 튜브이송유닛(150)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30)들의 사이에 튜브들과 브레이징을 위한 방열핀(40)을 공급하기 위한 방열핀공급유닛(160)과,
    상기 튜브이송유닛(150)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40)들의 사이에 주기적으로 인접하는 튜브(40)들과의 브레이징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핀(45)을 공급하는 것으로, 분리핀 공급컨베이어(172)의 출구측 프레임에 설치되는 분리핀공급노즐(171)을 가지는 분리핀공급유닛(170)이 구비되며,
    상기 튜브이송유닛(150)은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를 이송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들의 외주면에는 튜브공급유닛(130)에 의해 공급되는 튜브(4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나선홈(151a)(152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151a)(152a)과 연속되며 상기 방열핀공급유닛(160)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제1튜브배열확장부(153)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공급유닛(170)과 대응되는 튜브이송스크류(151)(152) 부위에 나선홈 피치보다 피치가 상대적으로 큰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제2튜브배열확장부(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스크류(151)(152) 사이의 테이블에는 튜브이송스크류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 튜브(30)들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컨베이어(1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KR1020150039196A 2015-03-20 2015-03-20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KR10177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96A KR101773430B1 (ko) 2015-03-20 2015-03-20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96A KR101773430B1 (ko) 2015-03-20 2015-03-20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86A KR20160113486A (ko) 2016-09-29
KR101773430B1 true KR101773430B1 (ko) 2017-09-01

Family

ID=5707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96A KR101773430B1 (ko) 2015-03-20 2015-03-20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98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 제조용 브레이징 분리바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024B2 (ja) * 1998-11-12 2009-02-25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被包装物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26B1 (ko) 2007-08-27 2013-08-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자동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024B2 (ja) * 1998-11-12 2009-02-25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被包装物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98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 제조용 브레이징 분리바 이송장치
KR102526707B1 (ko) 2021-09-01 2023-04-28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 제조용 브레이징 분리바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86A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976B2 (en) Laminated sheet manifold for microchannel heat exchanger
US5086835A (en) Heat exchanger
US7367388B2 (en) Evaporator for carbon dioxide air-conditioner
KR101928950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US7413003B2 (en) Plate for heat exchanger
US20150027677A1 (en) Multiple tube bank heat exchanger assembly and fabrication method
KR101937953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JP2010060271A (ja) 多数の通路を持つマニホールド及びこのマニホールドを組み込んだクロスカウンタフロー型熱交換器
KR20170059209A (ko) 열교환기 제조장치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665612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US20100031505A1 (en) Cross-counterflow heat exchanger assembly
JP2007192441A (ja) 放熱器、放熱器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冷却装置
KR101773430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핀 조립장치
CN101772687B (zh) 具有连接器的并流式热交换器
KR102077096B1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US11384991B2 (en) Heat exchanger
KR101643643B1 (ko) 튜브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자동 조립 장치
EP3137836B1 (en) Improved heat exchanger
JP2015092120A (ja) 凝縮器
CN100533046C (zh) 用于热交换器的板
KR101527191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20240077923A (ko)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KR101612881B1 (ko) 열교환기의 튜브 및 방열핀 이송용 스크류 조립체
US5029382A (en) Variable pitch indexing pallet for heat exchanger assembly
CN103039137A (zh) 后门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0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4

Effective date: 2017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