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50B1 -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 Google Patents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50B1
KR101937950B1 KR1020170020112A KR20170020112A KR101937950B1 KR 101937950 B1 KR101937950 B1 KR 101937950B1 KR 1020170020112 A KR1020170020112 A KR 1020170020112A KR 20170020112 A KR20170020112 A KR 20170020112A KR 101937950 B1 KR101937950 B1 KR 10193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ation space
wall
isolation
patie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3679A (en
Inventor
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5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병실은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는 격리실,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 그리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은 방호복의 착용이 불필요하며, 격리실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되는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m where a patient can block an infection from a pati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atient room is provided with an isolation chamber in which an isolation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a medical stand provided in the isolation space, a medical stand on which the patient is located, and a patient placed on the medical stand from the outside, And a glove unit. As a result, the medical staff does not need to wear protective clothing, and can see the patient located inside the isolation room from the inside.

Description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0002]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s room capable of blocking infection from a patient to a medical staff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은 대기를 통해서 전염된다. 이로 인해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에 감염된 전염성 환자는 일반 환자와 다르게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된다. Infectious viruses and bacteria are transmitted through the air. Infectious patients infected with infectious viruses and germs are isolated to prevent transmission of viruses unlike ordinary patients.

일반적으로 전염성 환자는 음압실에 격리 수용되며, 음압실의 내부 분위기는 상압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의료진이 음압실에 격리 수용된 전염성 환자를 진찰하기 위해서는 방호복을 착용 후 음압실에 입실해야 한다. Generally, infectious patients are housed in a sound pressure room, and the internal atmosphere of the sound pressure room maintains a pressure lower than normal pressure. In addition, the medical staff should be in the sound pressure room after wearing the protective clothing to examine the infectious patient who is segregated in the sound pressure room.

도 1은 일반적인 음압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압실은 격리실(2) 및 음압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격리실(2)은 환자가 수용되는 환자 수용실(4)과 의료진이 환자 수용실(4)에 입실하기 전에 환자 수용실(4)과 이의 외부 공간 간에 접촉을 차단하는 전실(6)을 가진다. 따라서 환자 수용실(4) 및 전실(6)은 각각 독립적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general sound pressure chamber. Referring to FIG. 1, the sound pressure room includes an isolation chamber 2 and a sound pressure assembly 8. The isolation chamber 2 has a patient accommodation chamber 4 in which the patient is accommodated and a front chamber 6 which blocks contact between the patient accommodation chamber 4 and the external space thereof before the medical staff enters the patient accommodation chamber 4. [ Therefore, the patient accommodation chamber 4 and the front chamber 6 independently form a negative pressure to prevent the infectious viru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러나 의료진이 경미한 진찰 활동을 위해서도 방호복을 계속적으로 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의료진이 격리실을 수시로 입장하는 과정에서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방호복의 세정이 불량할 경우에는 방호복을 통해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for medical staff to constantly return their uniforms for minor medical consultations. In addition, infectious virus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medical personnel enter the isolation room from time to time. In case of poor cleaning of the protective clothing, the infective viru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protective clothing.

뿐만 아니라, 격리실(2)은 음압 어셈블리(8a,8b)에 의해 상압보다 낮은 분위기를 유지하나, 음압 어셈블리(8a,8b)가 고장날 경우 이를 대처할만한 방안이 없다.In addition, the isolation chamber 2 maintains an atmospher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by the negative pressure assemblies 8a and 8b, but there is no way to cope with the failure of the negative pressure assemblies 8a and 8b.

본 발명은 격리실의 내부 분위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병실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ickroom capable of preventing the interior atmosphere of the isolation chamb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이 방호복의 착용없이, 격리실에 수용된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병실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hospital room in which a medical staff can consult a patient accommodated in an isolation chamber without wearing a protective cloth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로부터 의료진에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병실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병실은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는 격리실,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 그리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blocking infection from a patient to a medical staff. The patient room is provided with an isolation chamber in which an isolation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a medical stand provided in the isolation space, a medical stand on which the patient is located, and a patient placed on the medical stand from the outside, And a glove unit.

상기 의료대는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 벽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글러브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투명 부재 및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투명 부재에 결합되는 글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의료대에 위치하는 환자를 청진하는 청진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청진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위치되는 청진판, 상기 외부에 위치되는 이어팁, 그리고 상기 청진판 및 상기 이어팁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청진홀을 관통하게 위치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청진홀은 복수 개의 상기 개구들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edical stand may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r adjacent to a wall where the glove unit is installed. The glove unit may include a transparent membe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solation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a glove coupled to the transparent member such that the opening is closed.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aterial. The stethoscope further comprising a stethoscope unit for stethoscoping a patient located in the medical stand, wherein the stethoscope unit includes a stethoscope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an eartip positioned on the outside, and a stethoscope for connecting the stethoscope and the eartip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lin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stent hole formed in the plate. The opening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ethoscope holes can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s.

상기 병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상기 격리 공간에 청정 에어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 유닛 및 상기 격리 공간을 배기하는 배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실은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되는 제1벽, 상기 제1벽으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3벽, 그리고 상기 제3벽과 제1벽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벽을 가지고,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서 상기 제2벽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3벽과 상기 제4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모듈 및 상기 팬 모듈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격리 공간을 흡기 및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기류를 상기 팬 모듈에 공급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팬 모듈에 비해 상기 의료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되는 환자를 채혈하도록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를 개폐 가능한 채혈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채혈창은 상기 글러브 유닛보다 상기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에는 상기 외부와 상기 격리 공간 간에 출입 가능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출입구는 상기 글러브 유닛에 비해 상기 기류 공급 유닛에 더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병실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출입구가 닫혀지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1유량은 상기 제2유량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격리실, 상기 의료대, 상기 글러브 유닛, 그리고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인 모듈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sound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negative pressure assembly that forms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and the sound pressure assembly may include an air flow supply unit that supplies clean air to the isolation space, and an exhaust unit that exhausts the isolation space. Wherein the isolation chamber comprises a first wall in which the glove unit is installed, a second wall extending to the first wall, a third wall facing the first wall, and a fourth wall extending from the third wall and the first wall, The airflow supply uni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wall in the isolation space and the exhaust unit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an edge where the third wall and the fourth wall meet. Wherein the airflow supply unit includes a fan module for generating an airflow in the isolation space and a filter modul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an module for sucking and filtering the isolation space and supplying the filtered airflow to the fan module, The filter modul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medical stand than the fan module. Wherein the blood chamber further comprises a blood collection window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solation space and the outside so as to collect a patient positioned in the medical bag from the outside, the blood collection window being locat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than the glove unit . The first wall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by the door. The entrance can be located farther from the air supply unit than the glove unit when viewed from abov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an module based on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oo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first flow rat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flow rate when the inlet port is closed and the second flow rate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The isolation chamber, the medical stand, the glove unit, and the sound pressure assembly may be provided in a modular form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병실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격리 공간의 분위기는 서로 상이한 압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제어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가 단독 입실된 일반 모드 및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진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진찰 모드는 각각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한다. Wherein the mode of the insulated space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modes having different pressures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 normal mode in which the patient is solely entered into the isolation space, And a medical examination mode in which the medical staff and the medical staff are present together, wherein the normal mode and the medical examination mode each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상기 일반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고, 상기 진찰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2분위기로 형성하되, 상기 제2분위기는 상기 제1분위기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normal mode, the isolation space may be formed in a first atmosphere, and the isolation mode may be formed in a second atmosphere in the inspection mode, and the second atmosphere may be provided at a lower pressure than the first atmosphere.

상기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환자가 퇴실된 소독 모드로 더 포함하되, 상기 소독 모드는 상기 격리 공간을 상기 제1분위기로 형성하는 1차 모드 및 상기 1차 모드 이후에, 상기 격리 공간에 양압을 형성하는 2차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tmosphere may include -0.1 mmAq, and the second atmosphere may include -0.25 mmAq. Wherein the plurality of modes further include a disinfection mode in which the patient is left in the isolation space, wherein the disinfection mode includes a first mode in which the iso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first atmosphere and, after the first mode, Lt; RTI ID = 0.0 > a <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실에는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은 방호복의 착용이 불필요하며, 격리실의 외부에서 내부에 위치되는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ove unit is provided in the isolation chamber. As a result, the medical staff does not need to wear protective clothing, and can see the patient located inside the isolation room from the in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진은 격리실의 입장없이 환자를 진찰 가능하므로, 전염성 바이러스 및 세균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staff can examine the patient without entering the isolation room, and thus the infectious virus and the bacteri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실의 일벽에는 팬 모듈 및 필터 모듈이 나란히 설치되며, 필터 모듈은 격리 공간의 분위기를 흡기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팬 모듈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에 필터링된 기류를 순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n module and a filter module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a wall of the isolation chamber, and the filter module sucks the atmosphere of the isolation space, filters the same, and supplies the filtered air to the fan module. This makes it possible to circulate the filtered airflow in the isol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채혈창은 필터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과 외부가 채혈창에 의해 개방될지라도, 개방 영역은 이와 다른 영역에 비해 필터 모듈에 더 강하게 흡기되며, 전염성 바이러스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ood collection window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lter module. Therefore, even if the isolation space and the outside are opened by the blood collection window, the open area is more strongly attracted to the filter module than other areas, and the infectious viru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진이 격리실로 입실하여 환자를 진찰 시 의료진은 필터 모듈보다 팬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환자는 팬 모듈보다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격리 공간에 형성된 기류의 흐름 경로는 의료진 및 환자를 순차적으로 거쳐 필터 모듈로 흡기되며, 의료진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dical staff enters the isolation room and examines the patient, the medical staff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an module than the filter module, and the patient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than the fan module. Thus, the flow path of the airflow formed in the isolation space is sequentially drawn into the filter module through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medical staff can be prevented.

도 1은 일반적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글러브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병실 내에 형성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격리 공간에서 의료진의 동선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general hospital room.
2 is a plan view showing a sick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love unit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irflow formed in the chamber of Fig. 2;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line of a medical staff in the isolation space of FIG. 2. FI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s of the compon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실(100)은 격리실(200), 의료대(290), 글러브 유닛(300), 청진 유닛(400), 채혈창(520), 음압 어셈블리(600), 센서(700), 그리고 제어기(800)를 포함한다. 격리실(200)은 내부에 격리 공간(210)을 가진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격리실(200)은 다각의 형상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부에서 바라볼 때 격리실(200)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격리실(20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격리실(200)의 측벽은 제1벽(220), 제2벽(240), 제3벽(260), 그리고 제4벽(280)을 가진다. 제1벽(220)에는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에 출입 가능한 출입구(202)가 형성된다. 출입구(202)는 도어(204)에 의해 계폐된다. 제2벽(240)은 제1벽(22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3벽(260)은 제2벽(24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제4벽(280)은 제1벽(220) 및 제3벽(260)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의료대(290)는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의료대(290)는 환자가 눕혀지는 공간을 가진다. 의료대(290)는 제1벽(220)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된다. 예컨대, 제3벽(260)은 외부에서 격리 공간(210)을 관찰 가능한 투명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ick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ward 100 includes an isolation chamber 200, a medical stand 290, a glove unit 300, a stethoscope unit 400, a blood collection window 520, a sound pressure assembly 600, a sensor 700, , And a controller (800). The isolation chamber 200 has an isolation space 210 therein. The isolation chamber 200 has a polygon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Optionally, the isolation chamber 200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isolation chamber 2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ide walls of the isolation chamber 200 have a first wall 220, a second wall 240, a third wall 260, and a fourth wall 280. The first wall 220 is formed with an entrance 202 through which the medical staff can enter and leave the isolation space 210. The doorway 202 is closed by the door 204. The second wall 24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first wall 220 and the third wall 26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second wall 240 while the fourth wall 280 extends from the first wall 220 And the third wall 260, respectively. The medical stand 290 is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medical stand 290 has a space in which the patient is laid down. The medical stand 29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first wall 220. For example, the third wall 260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window observing the isolation space 210 from the outside.

글러브 유닛(300)은 의료진이 외부에서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다. 도 3은 도 2의 글러브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글러브 유닛(300)은 제1벽(220)에 설치된다. 글러브 유닛(300)은 투명 부재(320) 및 글러브(340)를 포함한다. 투명 부재(320)는 제1벽(220)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격리 공간(210)을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제공된다. 투명 부재(320)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322) 및 청진홀(324)이 형성된다. 개구(322)는 복수 개로 제공된다. 개구(322)는 의료진의 팔이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개구(322)는 의료대(290)보다 높게 위치된다. 청진홀(324)은 개구(32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청진홀(324)은 개구(322)들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322)는 2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청진홀(324)은 개구(322)와 동일하거나, 이와 상이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글러브(340)는 개구(322)가 밀폐되도록 투명 부재(320)에 결합된다. 글러브(340)는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글러브(340)는 암부(342) 및 파지부(344)를 포함한다. 암부(342)는 투명 부재(320)로부터 연장되며, 파지부(344)는 암부(34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의료진은 외부에서 글러브(340)를 착용하여 의료대(290)에 안착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다. 일 예에 의하면, 투명 부재(32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 부재(320)는 비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글러브(340)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에 대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The glove unit 300 helps the medical staff to see a patient located in the medical stand 290 from the outside.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love unit of Fig. 2; Referring to FIG. 3, the glove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first wall 220. The glove unit 300 includes a transparent member 320 and a glove 340. The transparent member 320 is provided on the first wall 220 and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solation space 210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transparent member 320 is formed with an opening 322 and a stethoscope hole 324 through which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outside thereof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openings 322 are provided in plural. The opening 322 has a size into which the arm of the medical staff can be inserted. The opening 32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medical stand 290. The stethoscope hole 324 has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322. The stethoscope hole 324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penings 322. For example, the openings 322 may be provided in two, and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ethoscope hole 32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or different from the opening 322. The glove 340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member 320 so that the opening 322 is sealed. The glove 340 is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glove 340 includes a arm portion 342 and a grip portion 344. The arm portion 342 extends from the transparent member 320 and the grip portion 344 extends from the end of the arm portion 342. [ Therefore, the medical staff can examine the patient who is seated on the medical stand 290 by wearing the glove 340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transparent member 32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transparent member 320 may include a vinyl 320. Accordingly, the medical staff can secure a distance to the patient while wearing the glove 340.

청진 유닛(400)은 의료대(290)에 안착된 환자를 청진 가능하다. 청진 유닛(400)은 청진판(410), 이어팁(420) 그리고 연결 라인(430)을 포함한다. 청진판(410)은 격리 공간(210)에 위치되며, 이어팁(420)은 격리실(200)의 외부에 위치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판(410)과 이어팁(420)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을 삽입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청진홀(324)은 연결 라인(430)에 의해 밀폐된다.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 라인(430)은 청진홀(324)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The stethoscope unit 400 can stethoscope the patient seated on the medical stand 290. The stethoscope unit 400 includes a stethoscope 410, an ear tip 420, and a connection line 430. The stenting plate 410 is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ear tip 420 is located outside the isolation chamber 200. The connection line 430 connects the stent plate 410 and the ear tip 42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line 43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tethoscope hole 324. The connecting line 430 is provid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stethoscope hole 324. So that the stethoscope hole 324 is sealed by the connection line 430. The connection line 4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tethoscope hole 324.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line 430 can be mov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through the stethoscope hole 324.

채혈창(520)은 제1벽(220)에 설치된다. 채혈창(520)은 외부에 위치된 의료진과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 환자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채혈창(520)은 외부에 위치된 의료진이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를 채혈하도록 격리 공간(210)과 외부를 개폐 가능하다. 채혈창(520)은 개방 위치 및 닫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개방 위치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개방되는 위치이고, 닫힘 위치는 격리 공간(210)과 이의 외부가 서로 차단되는 위치이다. 채혈창(520)은 출입구(20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일 예에 의하면, 제1벽(22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채혈창(520), 글러브 유닛(300), 그리고 도어(204)는 수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채혈창(520)의 아래에는 격리 공간(210)에서 외부 방향으로 제1벽(220)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반(540)이 더 제공될 수 있다.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is installed in the first wall 220.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provides a space in which a medical staff located outside and a patient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can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i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outside so that the medical staff located outside can collect the patient positioned in the medical stand 290.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is movable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Here, the open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outside thereof are open to each other, and the close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outside thereof are blocked from each other.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has a smaller size than the entrance 202.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the glove unit 300, and the door 204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irst wall 220 is viewed from the front. A shelf 540 protruding from the first wall 220 in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isolation space 210 may further be provided below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음압 어셈블리(600)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형성한다. 음압 어셈블리(600)는 기류 공급 유닛(620) 및 배기 유닛(660)을 포함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격리 공간(210)에서 순환되는 기류를 형성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격리 공간(210)에 청정 에어를 공급한다. 기류 공급 유닛(620)은 제2벽(24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The sound pressure assembly (600) forms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sound pressure assembly 600 includes an air flow supply unit 620 and an air exhaust unit 660. The airflow supply unit 620 forms an air flow circulating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airflow supply unit 620 supplies clean air to the isolation space 210. The airflow supply unit 62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wall 240.

도 4는 도 2의 병실 내에 형성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류 공급 유닛(620)은 팬 모듈(630), 필터 모듈(640), 그리고 급기 라인(650)을 포함한다.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은 격리 공간(210) 내에 위치된다.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을 수평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팬 모듈(630)은 격리 공간(210)에 기류를 발생시키고, 필터 모듈(640)을 격리 공간(210)의 분위기를 흡기하고 필터링한다. 필터 모듈(640)은 필터링된 기류를 팬 모듈(63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는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순환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640)은 팬 모듈(630)에 비해 제1벽(22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즉, 필터 모듈(640)은 의료대(29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호흡 및 기침이 발생된 분위기는 필터 모듈(640)에 의해 즉시 흡기되어 필터링된다. 또한 긴급 상황에 의해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으로 입실한 경우, 도 5와 같이 환자를 진찰하는 의료진은 필터 모듈(640)보다 팬 모듈(6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에는 청정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급기 라인(650)은 필터 모듈(640)에 에어를 보충한다. 급기 라인(650)은 격리 공간(210)을 양압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터 모듈(640)에 에어를 공급한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airflow formed in the chamber of Fig. 2; Fig. Referring to Fig. 4, the airflow supply unit 620 includes a fan module 630, a filter module 640, and a supply line 650. The fan module 630 and the filter module 640 are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fan module 630 and the filter module 64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an module 630 generates an airflow in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filter module 640 inhales and filters the atmosphere of the isolation space 210. The filter module 640 supplies the filtered airflow to the fan module 630. Accordingly, an air stream circul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is form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filter module 64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wall 220 than the fan module 630 in this embodiment. That is, the filter module 64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medical stand 290. Accordingly, the atmosphere in which the breathing and the cough of the patient are generated is immediately sucked and filtered by the filter module 640. In addition, when the medical staff enters the isolation space 210 due to an emergency, the medical staff examining the patient as shown in FIG. 5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an module 630 than the filter module 640. This allows the staff to be provided with clean air. Air supply line 650 replenishes air to filter module 640. The air supply line 650 supplies air to the filter module 640 when the isolation space 210 is to be switched to a positive pressure state.

팬 모듈(630) 및 필터 모듈(640)은 격리 공간(210) 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팬 모듈(630)을 통해 발생된 기류로는 격리 공간(210)에 양압을 발생시킬 수 없고, 필터 모듈(640)의 흡기를 통해서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이 발생되지 않으며, 순환되는 기류를 형성 가능하다. The fan module 630 and the filter module 640 are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As a result, a positive pressure can not be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due to the airflow generated through the fan module 630, no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rough the intake air of the filter module 640, Can be formed.

또한 채혈창(520)은 글러브 유닛(300)에 비해 필터 모듈(64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즉 채혈창(520)은 글러브 유닛(300)보다 필터 모듈(640)에 가깝게 위치되고, 글러브 유닛(300)은 도어(204)보다 필터 모듈(64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의료진이 환자를 채혈하기 위해 채혈창(520)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지라도, 개방 영역은 필터 모듈(640)에 의해 흡기되며, 채혈창(520)에 인접한 분위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202)는 의료대(290)보다 필터 모듈(640)에 더 멀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으로 입실하는 동선과 의료대(290)에 위치된 환자로부터 발생된 전염성 분위기가 흡기되는 경로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640 than the glove unit 300.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640 than the glove unit 300 and the glove unit 30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640 than to the door 204. Accordingly, although the medical staff moves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to the open position to collect the patient, the open area is sucked by the filter module 640 and prevents the atmosphere adjacent to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can do. The entrance 202 is also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medical stand 290 than the filter module 640. This can prevent the medical staff from interfering with the copper line entering the isolation space 210 and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fectious atmosphere generated from the patient located in the medical stand 290 is drawn.

배기 유닛(660)은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배기 유닛(660)은 배기 모듈(670), 감압 부재(680), 그리고 배기 라인을 포함한다. 배기 모듈(670)은 격리 공간(210)에 위치된다. 배기 모듈(670)에는 격리 공간(210)을 배기 가능한 배기구가 형성된다. 배기 모듈(670)은 제3벽(260)과 제4벽(280)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감압 부재(680)는 격리실(200)의 외부에 위치된다. 배기 라인은 감압 부재(680)와 배기 모듈(670)을 서로 연결한다. 감압 부재(680)로부터 발생된 감압력은 배기 라인을 통해 배기 모듈(67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는 음압이 발생된다. The exhaust unit 660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exhaust unit 660 includes an exhaust module 670, a pressure reducing member 680, and an exhaust line. The exhaust module 670 is loc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exhaust module 670 is formed with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the isolation space 210 can be exhausted. The exhaust module 670 is positioned adjacent the edge where the third wall 260 and the fourth wall 280 meet. The pressure-sensitive member 680 is located outside the isolation chamber 200. The exhaust line connects the decompression member 680 and the exhaust module 670 to each other. The reduced pressure generated from the pressure-reducing member 680 is transmitted to the exhaust module 670 through the exhaust line. Accordingly,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센서(700)는 도어(204)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700)는 출입구(20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예에 의하면, 센서(700)는 제4벽(28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700)는 광 센서(700)일 수 있다.The sensor 700 senses the position of the door 204. The sensor 7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entrance 202.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ensor 700 may be installed in the fourth wall 280. The sensor 700 may be an optical sensor 700.

제어기(800)는 센서(700)로부터 감지된 도어(204)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어기(800)는 도어(204)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출입구(202)의 개방 여부를 판별한다. 제어기(800)는 출입구(202)의 개방 여부에 따라 격리 공간(210)에 서로 상이한 유량의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어기(800)는 출입구(202)가 개방되면 격리 공간(210)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출입구(202)가 닫혀지면 격리 공간(210)을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팬 모듈(630)을 제어한다. 제1유량은 제2유량에 비해 큰 유량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출입구(202)로 의료진이 격리 공간(210)에 입실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전염성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fan module 630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oor 204 sensed by the sensor 700. The controller 8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ntrance 202 is open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oor 204. 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fan module 630 to generate air flows of different flow rates in the isolation space 210 depending on whether the entrance 202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door 202 is opened,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a first flow rate of airflow in the isolation space 210. When the doorway 202 is closed, 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fan 210 to generate the second flow rate of airflow in the isolation space 210. [ (630). The first flow rate is provided at a larger flow rate than the second flow r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medical staff to the infectious atmosphere in the process of the medical staff entering the isolation space 210 with the opened entrance 202.

상술한 바와 달리, 제어기(800)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팬 모듈(630) 및 배기 유닛(660)을 더 제어 가능하다. 제어기(800)는 일반 모드, 진찰 모드, 그리고 소독 모드로 팬 모듈(630) 및 배기 유닛(660)을 제어 가능하다. 일반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가 단독 입실된 상태의 모드이다. 일반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1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다. 진찰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상태의 모드이다. 진찰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2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다. 소독 모드는 격리 공간(210)에 환자가 퇴실된 상태에서 격리 공간(210)을 세정하는 모드이다. 소독 모드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1차 모드 및 2차 모드를 포함한다. 1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에 음압을 형성하고,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에 양압을 형성한다. 1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여 격리 공간(210)에 잔류된 오염 분위기를 배기할 수 있다.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청정 에어로 채울 수 있다. 1차모드, 일반 모드, 그리고 진찰 모드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에어 보충이 차단된 반면, 2차 모드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필터 모듈(640)에 에어가 보충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모드에는 격리 공간(210)을 0.5 mmAq로 형성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the controller 800 can further control the fan module 630 and the exhaust unit 660 in a plurality of modes. The controller 800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an module 630 and the exhaust unit 660 in the normal mode, the inspection mode, and the disinfection mode. The genera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atient is alone in the isolation space 210. In the normal mode, the isolation space 210 can be controlled to the first atmosphere. The medical consult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are present in the isolation space 210 together. In the examination mode, the isolation space 210 can be controlled to the second atmosphere. The disinfection mode is a mode for cleaning the isolation space 210 in a state where the patient is left in the isolation space 210. The disinfection mode includes sequential primary and secondary modes.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in the primary mode and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isolation space 210 in the secondary mode. In the primary mode, the isolation space 2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atmosphere to exhaust the polluted atmosphere remaining in the isolation space 210. In the secondary mode, the isolation space 210 can be filled with clean air. Air is replenished from the air supply line 650 to the filter module 640 from the air supply line 650 in the secondary mode while the air supply is blocked from the air supply line 650 in the primary mode, the normal mode, and the inspection mode.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first atmosphere may comprise -0.1 mmAq and the second atmosphere may comprise -0.25 mmAq. In the secondary mode, the isolation space 21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0.5 mmAq.

선택적으로 일반 모드, 진찰 모드, 그리고 소독 모드 각각에는 급기 라인(650)으로부터 필터 모듈(640)에 에어가 보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ir may be replenished from the air supply line 650 to the filter module 640 in each of the normal mode, the inspection mode, and the disinfection mode.

상술한 실시예의 병실(100)은 의료 진찰이 수행되는 의료 시설에 설치된다. 병실(100)은 의료 시설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의료 시설에 탈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병실(100)은 모듈로 제공되어 의료 시설에 탈착될 수 있다. 즉, 격리실(200), 의료대(290), 글러브 유닛(300), 청진 유닛(400), 채혈창(520), 음압 어셈블리(600), 센서(700), 그리고 제어기(800)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room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medical facility where medical consultation is performed. The room 100 may be fixedly mounted on a medical facility or alternatively may be detached from a medical facility. For example, the room 100 may be provided with a module and may be detached from the medical facility. That is, the isolation chamber 200, the medical stand 290, the glove unit 300, the stethoscope unit 400, the blood collection window 520, the sound pressure assembly 600, the sensor 700, Can be provided.

또한 병실(100)은 의료 시설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격리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 시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m 100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medical facilities as well as facilities requiring isolation from the outside.

100: 병실 200: 격리실
290: 의료대 300: 글러브 유닛
400: 청진 유닛 520: 채혈창
600: 음압 어셈블리 700: 센서
800: 제어기
100: room 200:
290: medical stand 300: glove unit
400: Stethoscope Unit 520: Blood Collection Window
600: Sound pressure assembly 700: Sensor
800: controller

Claims (17)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격리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와 상기 격리 공간 간에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는 격리실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압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격리 공간에 제공되며, 환자가 위치하는 의료대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된 환자를 진찰 가능하도록 상기 격리실의 벽에 설치되는 글러브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상기 격리 공간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모듈을 가지며, 상기 격리 공간에 청정 에어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1유량의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출입구가 닫혀지면 상기 격리 공간에 제2유량의 기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팬 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1유량은 상기 제2유량보다 큰 병실.
An isolation chamber in which an isolation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and an entrance port through which the outside and the isolation space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way;
A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door;
A negative pressure assembly for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pressure assembly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A medical table provided in the isolation space and on which a patient is located;
And a glove unit installed on a wall of the isolation chamber so as to be able to see a patient located outside the medical stand from the outside,
The sound-
And an air flow supply unit having a fan module for generating an air flow in the isolation space and supplying clean air to the isolation spa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module such that a first flow rate of the flow rate is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n airflow of a second flow rate is generated in the isolation space when the door is closed,
Wherein the first flow rate is greater than the second flow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대는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된 벽에 밀착 또는 인접하게 위치되는 병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al table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r adjacent to a wall where the glove unit is instal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가 서로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투명 부재와;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상기 투명 부재에 결합되는 글러브를 포함하는 병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love unit includes:
A transparent membe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solation spac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glove coupled to the transparent member such that the opening is sea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는 병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의료대에 위치하는 환자를 청진하는 청진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청진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 위치되는 청진판과;
상기 외부에 위치되는 이어팁과;
상기 청진판 및 상기 이어팁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투명 부재에 형성된 청진홀을 관통하게 위치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병실.
The method of claim 3,
The sick-
Further comprising: a stethoscope unit for staining a patient located in said medical stand,
The stethoscope unit includes a stethoscope positioned in the isolation space;
An ear tip positioned on the outside;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stent plate and the ear tip to each other and positioned to penetrate a stethoscope hole formed in the transparent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청진홀은 복수 개의 상기 개구들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병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nings are provided in plural,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stethoscope hole is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opening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상기 격리 공간을 배기하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병실.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ound-
And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the isolation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은 상기 글러브 유닛이 설치되는 제1벽, 상기 제1벽으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마주하는 제3벽, 그리고 상기 제3벽과 제1벽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벽을 가지고,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격리 공간에서 상기 제2벽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배기 유닛은 상기 제3벽과 상기 제4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병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solation chamber comprises a first wall on which the glove unit is mounted, a second wall extending to the first wall, a third wall facing the first wall, and a fourth wall extending from the third wall and the first wall, With a wall,
Wherein the airflow supply un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wall in the isolation space,
Wherein the exhaust unit is positioned adjacent to an edge where the third wall and the fourth wall me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공급 유닛은,
상기 팬 모듈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격리 공간을 흡기 및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기류를 상기 팬 모듈에 공급하는 필터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팬 모듈에 비해 상기 의료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병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flow supply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filter modul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an module for sucking and filtering the isolation space and supplying the filtered air stream to the fan module,
Wherein the filter module is located closer to the medical stand than the fan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실은,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의료대에 위치되는 환자를 채혈하도록 상기 격리 공간과 상기 외부를 개폐 가능한 채혈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채혈창은 상기 글러브 유닛보다 상기 필터 모듈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병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ick-
Further comprising a blood collection window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and the isolation space for collecting a patient positioned in the medical bag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window is located closer to the filter module than the glove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제1벽에 형성되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출입구는 상기 글러브 유닛에 비해 상기 기류 공급 유닛에 더 멀게 위치되는 병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ntrance is formed in the first wall,
Wherein the entrance is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airflow supply unit than the glove unit when viewed from abov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실, 상기 의료대, 상기 글러브 유닛, 그리고 상기 음압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인 모듈형으로 제공되는 병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solation chamber, the medical stand, the glove unit, and the sound pressure assembly are integrally provided.
제1항의 병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리 공간의 분위기는 서로 상이한 압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모드들로 제어되되,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가 단독 입실된 일반 모드와;
상기 격리 공간에 상기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입실된 진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진찰 모드는 각각 상기 격리 공간에 음압을 형성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om of claim 1,
Wherein the atmosphere of the isolation space is controlled in a plurality of modes having different pressures,
The plurality of modes
A normal mode in which the patient is alone in the isolation space;
And a consultation mode in which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are present together in the isolation space,
Wherein the normal mode and the medical examination mode each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1분위기로 형성하고,
상기 진찰 모드에는 상기 격리 공간을 제2분위기로 형성하되,
상기 제2분위기는 상기 제1분위기보다 낮은 압력으로 제공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normal mode, the isolation space is formed in a first atmosphere,
Wherein the isolation mode is formed in a second atmosphere in the test mode,
Wherein the second atmosphere is provided at a lower pressure than the first atmospher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위기는 -0.1 mmAq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위기는 -0.25 mmAq를 포함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atmosphere comprises -0.1 mmAq,
Wherein the second atmosphere comprises -0.25 mmAq.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드들은,
상기 격리 공간에 환자가 퇴실된 소독 모드로 더 포함하되,
상기 소독 모드는,
상기 격리 공간을 상기 제1분위기로 형성하는 1차 모드와;
상기 1차 모드 이후에, 상기 격리 공간에 양압을 형성하는 2차 모드를 포함하는 병실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Further comprising a disinfection mode in which the patient is left in the isolation space,
In the sterilization mode,
A first mode in which the isolation space is formed in the first atmosphere;
And a secondary mode for forming a positive pressure in the isolation space after the primary mode.
KR1020170020112A 2017-02-14 2017-02-14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KR101937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en) 2017-02-14 2017-02-14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en) 2017-02-14 2017-02-14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79A KR20180093679A (en) 2018-08-22
KR101937950B1 true KR101937950B1 (en) 2019-01-14

Family

ID=6345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112A KR101937950B1 (en) 2017-02-14 2017-02-14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5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091B1 (en) 2020-04-03 2020-09-03 하민호 Sterilization system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KR20220097705A (en) 2020-12-30 2022-07-08 (주)인터오션 Movabl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260B1 (en) * 2019-08-06 2021-06-2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isolation facility
KR102169524B1 (en)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Negative pressur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isolation of airborne infectious diseases
KR102372217B1 (en) * 2020-04-10 2022-03-08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Protect booth
KR102425586B1 (en) * 2020-04-14 2022-07-29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Movable ward with a negative pressure room
KR102461823B1 (en) * 2020-04-16 2022-11-01 주식회사 화선엠텍 Glove Box
KR102256382B1 (en) * 2020-04-22 2021-05-25 김찬호 Specimen collecting system
KR102389149B1 (en) * 2020-05-11 2022-04-22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Phlegm collecting Booth
KR102458388B1 (en) 2020-06-24 2022-10-31 (주)청솔에어필터 Multifunctional booth for mobile specimen collection
KR102376377B1 (en) * 2020-06-26 2022-03-21 박용남 A inspection booth with swab tool-close insertion type examination window for a virus sample collection
US20220125656A1 (en) * 2020-10-22 2022-04-28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nd gene therapy at point-of-care location
KR102406096B1 (en) * 2021-02-17 2022-06-0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Untact Sorting Clinic Booth
CN113757892A (en) * 2021-08-30 2021-12-07 安徽清泓环境科技有限公司 Air circulation deodorization equipment
KR102537999B1 (en) * 2021-09-13 2023-05-31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Room by room control ventilation system for positive volume for common house and negative pressure roo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730A (en) 2002-11-11 2004-06-10 Nippon Ika Kikai Seisakusho:Kk Aseptic sickroom
KR101575233B1 (en) 2015-09-01 2015-12-08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Infection Control Patient scre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730A (en) 2002-11-11 2004-06-10 Nippon Ika Kikai Seisakusho:Kk Aseptic sickroom
KR101575233B1 (en) 2015-09-01 2015-12-08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Infection Control Patient scree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091B1 (en) 2020-04-03 2020-09-03 하민호 Sterilization system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KR20220097705A (en) 2020-12-30 2022-07-08 (주)인터오션 Movabl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79A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50B1 (en) Patient's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om
US10350588B2 (en) Clean air apparatus
KR101575233B1 (en) Infection Control Patient screening system
US5728041A (en) Isolator for use in surgery or as a clean roo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8756364U (en) A kind of Isolation bed for prevention and control communicable disease
US10232363B2 (en) Safety cabinet
EP186855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ous access to an isolation space while maintaining isolation
TW202207892A (en) Negative-pressure shield device
WO2017126310A1 (en) Clean air device
KR102335224B1 (en) Screening clinics that can be screened separately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JP2005334771A (en) Clean working table
JP5421203B2 (en) Cell culture facility
JP4632737B2 (en) Cell culture facility
JP2004351283A (en) Safety cabinet and aftertreatment method after exchange of air cleaning means
JP4516519B2 (en) Safety cabinet
JP3233733U (en) Circulating air purifier
JP5250242B2 (en) Safety cabinet
CN206989362U (en) A kind of medical cabin formula fresh air cleaning function integrated air conditioner group
KR102369226B1 (en) Screening clinic booth for protection of medical staff
CN218889446U (en) Medical instrument stores cabinet
KR102344963B1 (en) Screening clinics that can be screened separately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US20230210623A1 (en) Device for protecting medical operating devices and/or examination devices such as an endoscope from aerial contamination
JP2022029475A (en) Booth system for person who takes sample from subject for infection or the like
CN2559349Y (en) Air-flow screen protection therapeutical chair
CN211050345U (en) Sterile article storage room for hospital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