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057B1 -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057B1
KR101937057B1 KR1020170175763A KR20170175763A KR101937057B1 KR 101937057 B1 KR101937057 B1 KR 101937057B1 KR 1020170175763 A KR1020170175763 A KR 1020170175763A KR 20170175763 A KR20170175763 A KR 20170175763A KR 101937057 B1 KR101937057 B1 KR 10193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sound
sound transmission
transmission hole
earphon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식
최광현
최광규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최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남식 filed Critical 최남식
Priority to KR102017017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057B1/ko
Priority to PCT/KR2018/014596 priority patent/WO20191247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어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은, 외부음 전달홀 및 외부음 전달홀과 연통되며 스피커 재생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과 격리되는 외부음 전달관이 마련된 본체부; 및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음 전달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EARPHONE HOUSING FOR SHIELDING OUTER SOUND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폰 하우징 및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음을 선택적으로 차폐함과 아울러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이 있다.
이 중 공기 전도 방식은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이 귓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되고, 고막의 진동은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耳小骨)를 통해 나사모양의 와우(蝸牛)에 전달된다.
와우에는 림프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골전도 방식은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이소골을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으로서, 소리의 진동을 두개골을 통해 직접 와우에 보내어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골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골전도 이어폰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골전도 이어폰은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보이스 코일과, 이 보이스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일정 주파수를 가지면서 진동하는 적어도 한 쌍의 마그네트와, 이 한 쌍의 마그네트의 진동을 인체에 전달하는 진동체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에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이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마그네트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며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이 진동체를 통해 출력되어 인체에 전달되면서 인체는 소정의 음향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의 경우 귀를 막고 사용함으로써, 주변 외부의 소음 등을 들을 수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여 선진국에서는 귀를 막고 사용하는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을 착용하고 도로상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또한 최근 디지털음향 및 통신기기의 눈부신 보급으로 세계적으로 청소년들의 소음성 난청은 증가 되고 있고, 세계적인 고령화 시대에서도 노인성 난청증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어 수신되는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하고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골전도 스피커는 일반인의 경우 귀를 열어놓고 사용함으로써 주변의 소음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고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골전도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난청예방을 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39107호(휴리아 주식회사) 2011. 05. 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음을 선택적으로 차폐함과 아울러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의 이어폰에 선택적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기존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의 기본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음 전달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연통되며 스피커 재생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과 격리되는 외부음 전달관이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포함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는,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이동 시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상기 외부음 전달관과 연통되도록 개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부음 전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거나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상측부에서 하측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상측부에서 하측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홀 폐쇄 바디에 마련되는 제1 전달홈; 상기 제1 전달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에 마련되는 제2 전달홈; 및 상기 제2 전달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에 마련되는 제3 전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홈과 상기 제3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외벽에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과 평행한 위치에 복수의 외부음 조절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이어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구비된 복수의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이어폰 하우징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이어폰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부에 외부음 전달홀을 마련하고, 본체에 외부음 전달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마련하여 외부음을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의 이어폰에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적용시 기존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의 기본 구조의 변경 및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 내지 이어셋을 구성함에 있어 진동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 유닛과 높은 진동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저음 부분과 고음 부분을 분리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 골전도 방식 이어폰 내지 이어셋에서 음의 대역폭이 제한되거나 음이 분리되지 않아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질이 향상되는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 내지 이어셋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이 차폐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와 외부음 전달홀의 개폐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외부음 전달홈의 다른 실시예와 외부음 전달홀의 개폐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피커 유닛으로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의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 유닛으로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이 구성된 경우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이 차폐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어폰을 구성함에 있어 본체부(100)와,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을 개방 또는 차폐시킴과 아울러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와,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300)을 구비한다.
위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을 개방 또는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구비된 복수의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어폰을 구성하거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2개의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에 마이크를 내장 또는 외장의 방식으로 포함하여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이어셋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비대칭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의 후방 방향인 우측부에는,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되며, 이 외부음 전달홀(11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외부음 전달관(120)과 연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외부음 전달홀(110)은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에 의해 개폐되고, 외부음 전달홀(11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음은 외부음 전달관(120)을 통해 이어팁(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의 하측부에는, 케이블(C)과 연결된 스피커 유닛(130)이 마련되고, 스피커 유닛(130)에서 재생되는 스피커 재생음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을 통해 이어팁(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외부음 전달관(120)과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외부음과 스피커 재생음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이어팁(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30)은 하나의 스피커 유닛 또는 본 실시예와 같이, 재생 주파수 대역을 달리하는 2개의 스피커 유닛이 내장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30)은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의 스피커 또는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의 스피커 수 있다.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의 스피커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5에 표시된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을 통해 이어팁(300)으로 재생음이 전달될 수 있으며,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의 스피커의 경우,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을 형성하는 도 3 및 도 5에 표시된 본체(100)의 측벽은 각 골전도 스피커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15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 고정 부재(150)는 좌우 양단부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방향으로 절곡 된 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위치 고정홈(240)이 걸림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의 후방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시부(160)는 외부음 전달홀(110)과 동일 선상에 마련되고, 사용자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회전시켜 복수의 외부음 조절 표시부(230) 중 하나를 표시부(160)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켜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는,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10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을 개폐하거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는,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외벽에 마련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부음 전달홈(220)과,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후방벽에 마련되는 복수의 외부음 조절 표시부(230)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전방부에 마련되며 위치 고정 부재(150)에 걸림 지지 되는 복수의 위치 고정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는,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10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을 개폐시킨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음 전달홈(22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음의 유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된 몸체부분이 외부음 전달홀(110) 전체를 차폐시켜 외부 음향을 차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가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외부음 전달홈(220)을 통해 외부음 전달홀(1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여 외부 음향이 외부음 전달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고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외부음 전달홈(220)이 마련된다.
또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폭 또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외부음 전달홈(220)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음 전달홈(220)의 폭 또는 길이의 차이에 의하여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방부분을 전체 또는 일부로 조절하여 입력되는 외부 음향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와 외부음 전달홀의 개폐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외부음 전달홈의 다른 실시예와 외부음 전달홀의 개폐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전달홈(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의 경우,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방을 전부, 2/3개방, 1/3개방의 3단계로 조절하여, 입력되는 외부 음향을 3단계로 조절하는 실시예이다.
이를 위해, 외부음 전달홈(220)은,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마련되는 제1 전달홈(221)과, 제1 전달홈(22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마련되는 제2 전달홈(222)과, 제2 전달홈(22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마련되는 제3 전달홈(223)을 포함하여,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제1 전달홈(221), 제2 전달홈(222), 제3 전달홈(223) 중 하나가 외부음 전달홀(110)에 위치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달홈(2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높이 방향으로 가장 넓은 폭(L1)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전달홈(222)은 제1 전달홈 보다 좁은 폭(L2)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3 전달홈(223)은 제2 전달홈(222) 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홈(221)과 제2 전달홈(222)과 제3 전달홈(223)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달홈(221)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6의 좌측 최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고,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회전시켜 제2 전달홈(222)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6의 좌측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의 좌우 양측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의해 일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더 회전시켜 제3 전달홈(223)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6의 좌측 최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의 좌우 양측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의해 제2 전달홈(222) 보다 더 폐쇄된 상태가 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음은 더 줄어든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음 전달홀(110)은 한변이 1.5mm인 정방형이고, 이를 전부 개방하는 제1 전달홈(221)의 폭(L1)은 1.5mm, 2/3개방하는 제2 전달홈(222)의 폭(L2)는 1.0mm, 1/3개방하는 제3 전달홈(223)의 폭은 0.5mm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달홈(2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장 긴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전달홈(222)은 제1 전달홈(221)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고, 제3 전달홈(223)은 제2 전달홈(222)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홈(221)과 제2 전달홈(222)과 제3 전달홈(223)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높이 방향으로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달홈(221)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7의 좌측 최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높이(H1)가 되고,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회전시켜 제2 전달홈(222)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7의 좌측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의 상측부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의해 일부 폐쇄된 상태의 높이(H2)가 되고,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더 회전시켜 제3 전달홈(223)을 외부음 전달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도 7의 좌측 최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에 의해 제2 전달홈 보다 더 폐쇄된 상태의 높이(H3)가 되어 외부음 전단홀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음은 더 줄어든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음 전달홀(110)은 한변이 1.5mm인 정방형이고, 이를 전부 개방하는 제1 전달홈(221)의 높이(H1)은 1.5mm, 2/3개방하는 제2 전달홈(222)의 높이(H2)는 1.0mm, 1/3개방하는 제3 전달홈(223)의 높이(H3)는 0.5mm로 형성된다.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외부음 조절 표시부(230)는, 복수의 전달홈(220)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홈 내지 제3 전달홈(221,222,223)과 동일 선상에 마련되어 외전에 의하여 외부음 전달홀(110)의 개방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200)의 위치 고정홈(24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의 전방 외벽에 마련되며 위치 고정 부재(150)에 걸림 지지 되어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 고정홈(240)은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이어팁(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전방부에 탈착 가능하게 돌기에 의해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작동을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 2와 도 3은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가 외부음 전달홀(110)이 마련된 영역의 본체부(100) 내부로 이동되어 외부음 전달홀(110)이 폐쇄된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피커 유닛(130)에서 재생되는 스피커 재생음만이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을 통해 이어팁(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도 2와 도 3의 상태에서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본체부(1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음 전달홀(110)이 개방되고, 외부음 전달홀(11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음은 도 5에 도시된 외부음 전달관(120)을 통해 이어팁(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2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술한 제1 전달홈 내지 제3 전달홈(221,222,223)을 외부음 전달홀(110)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외부음 전달홀(11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 또는 이어셋을 구성한 경우의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 유닛으로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이 구성된 경우의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스피커 유닛으로 복수의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 또는 이어셋을 구성한 경우로서, 골전도 스피커를 통해 사용에게 전달되는 음의 주파수대역폭이 좁아 음질 및 음량이 저하되는 문제로 인하여 골전도 방식이 적용되는 이어폰 내지 이어셋이 보편화되지 못하는 문제 및 누설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이어커넬 방식의 이어폰 내지 이어셋으로 구성하였을 경우 특히, 저역대의 음향은 이어커넬 내의 공간에서 보강간섭되어 음향 부분은 보강되나 진동이 뼈 및 피부 조직에 전해질 때에, 중고역대 주파수 성분은 감쇠되어 고음질의 구현에 한계를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 유닛(130)을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 및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을 내장하여, 본체부(100)는 이들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통해 사용자의 귓속 와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폰 또는 이어셋을 구성한 경우이다. 도 8의 마이크 유닛은 전화통화 기능등을 가진 이어셋의 경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되어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단순 이어폰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140)을 형성하는 도 3 및 도 5에 표시된 본체(100)의 측벽은 각 골전도 스피커 유닛으로부터의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은 고막방향 내지 와우방향으로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각각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 및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에 공급하는 제어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 및 작동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외부기기 입출력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재생할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사용자의 귓속 음성에 대한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입력/출력 제어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사전 설정된 방법에 따라,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에 출력할 음향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1 출력신호 처리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사전 설정된 방법에 따라,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에 출력할 음향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신호 처리부, 마이크 유닛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귓속 음성에 대한 음향 신호를 사전 설정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제1 출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제1 골전도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는 제1 출력신호 증폭부, 제2 출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제2 골전도 스피커 유닛에 출력하는 제2 출력신호 증폭부, 및 마이크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신호 처리부, 제2 출력신호 처리부, 입력신호 처리부, 제1 출력신호 증폭부, 제2 출력신호 증폭부, 입력신호 증폭부의 설정 및 설정의 변경, 작동을 제어를 위한 음향 설정 및 작동입력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입력/출력 제어부(141)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I/F)를 통한 사용자의 음향 설정과 작동입력에 따라 연결된 외부기기의 관련 설정 및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단순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I/F), 입력/출력 제어부, 입력신호 처리부 및 입력신호 증폭부 중 하나 이상 또는 일부 기능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체부에 외부음 전달홀을 마련하고, 본체에 외부음 전달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마련하여 외부음을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 방식의 이어폰에 각각 선택적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적용시 기존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의 기본 구조의 변경 및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 내지 이어셋을 구성함에 있어 진동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 유닛과 높은 진동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저음 부분과 고음 부분을 분리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 골전도 방식 이어폰 내지 이어셋에서 음의 대역폭이 제한되거나 음이 분리되지 않아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질이 향상되는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폰 내지 이어셋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구성임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 및 용이한 실시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이어폰
100 : 본체부 200 :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 300 : 이어팁 110 : 외부음 전달홀
120 : 외부음 전달관
130 : 스피커 유닛
140 :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
150 : 위치 고정 부재
160 : 표시부
210 :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
220 : 외부음 전달홈
221 : 제1 전달홈
222 : 제2 전달홈
223 : 제3 전달홈
230 : 외부음 조절 표시부
240 : 위치 고정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외부음 전달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연통되며 스피커 재생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과 격리되는 외부음 전달관이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는,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이동 시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상기 외부음 전달관과 연통되도록 개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부음 전달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로 마련되는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거나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상측부에서 하측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상측부에서 하측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6. 외부음 전달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연통되며 스피커 재생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재생음 전달 공간과 격리되는 외부음 전달관이 마련된 본체부;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음 전달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음 차폐 전환/조절부는,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마련된 영역의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 및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이동 시 상기 외부음 전달홀이 상기 외부음 전달관과 연통되도록 개방시키는 하나 이상의 외부음 전달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음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홀 폐쇄 바디에 마련되는 제1 전달홈;
    상기 제1 전달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에 마련되는 제2 전달홈; 및
    상기 제2 전달홈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에 마련되는 제3 전달홈을 포함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홈과 상기 제3 전달홈은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부음 전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음 전달홀 개폐 바디의 외벽에는 복수의 상기 외부음 전달홈과 평행한 위치에 복수의 외부음 조절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이어팁을 더 포함하는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
  10. 복수의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폰에 있어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어폰의 이어폰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폰.
KR1020170175763A 2017-12-20 2017-12-20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KR10193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63A KR101937057B1 (ko) 2017-12-20 2017-12-20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PCT/KR2018/014596 WO2019124783A1 (ko) 2017-12-20 2018-11-26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63A KR101937057B1 (ko) 2017-12-20 2017-12-20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057B1 true KR101937057B1 (ko) 2019-01-09

Family

ID=6501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63A KR101937057B1 (ko) 2017-12-20 2017-12-20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7057B1 (ko)
WO (1) WO20191247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1721C1 (ru) * 2020-03-31 2023-03-14 Шэньчжэнь Шокз Ко., Лтд. Акустическое вы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5179B (zh) * 2021-05-20 2023-05-05 雷铭科技有限公司 发声棒组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52A (ko) * 2010-04-15 2011-10-21 잘만테크 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KR101485005B1 (ko) * 2013-09-27 2015-01-26 윤은정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및 이를 갖는 이어폰
KR101460677B1 (ko) * 2013-12-26 2014-11-11 최병두 반자동 외부음 개폐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446597B1 (ko) * 2014-03-19 2014-10-02 석민경 외부소음 조절용 커널이어폰
KR102162383B1 (ko) * 2014-07-11 2020-10-06 이경민 이어폰
US9338539B2 (en) * 2014-07-12 2016-05-10 Dexin Corporation In-ear-canal headse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1721C1 (ru) * 2020-03-31 2023-03-14 Шэньчжэнь Шокз Ко., Лтд. Акустическое вы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783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48B2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EP0421681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sound reproducing system
US90201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KR101937032B1 (ko)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USRE48214E1 (en) Custom fit in-ear monitors utilizing a single piece driver module
US9131311B2 (en) Canal phones with structure and method for selectively passing or blocking environmental ambient sound and switchable electrical connections
US20020039427A1 (en) Audio apparatus
US20110031060A1 (en) Earpiece
JP6631530B2 (ja) 音響出力装置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JP2019145962A (ja) イヤホン
JPH08172691A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KR20200056328A (ko) 발화자 음성 복원기능을 갖는 이어셋
US20090274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egree of closure in hearing devices
KR101310879B1 (ko) 이어폰
KR101937057B1 (ko)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CN108781322B (zh) 直接辐射耳塞式耳机驱动器
RU2680663C2 (ru) Внутриканальный наушник
KR101885485B1 (ko) 외부음 차폐 전환 구조의 이어폰 하우징을 포함하는 이어폰
EP4054209A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active emission canceller
JP2017147533A (ja) イヤホン
KR101812897B1 (ko) 외부음 차폐 전환 구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JP3223325U (ja) 調整可能なカスタマイズeqカーブを有するブルートゥースヘッドセット
KR102261766B1 (ko)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JPH04347997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