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76B1 -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76B1
KR101936776B1 KR1020170113775A KR20170113775A KR101936776B1 KR 101936776 B1 KR101936776 B1 KR 101936776B1 KR 1020170113775 A KR1020170113775 A KR 1020170113775A KR 20170113775 A KR20170113775 A KR 20170113775A KR 101936776 B1 KR101936776 B1 KR 10193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fusion
information
serv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영
Original Assignee
비즈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즈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즈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76B1/ko
Priority to PCT/KR2018/010275 priority patent/WO20190502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04L51/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2 사업자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PROVIDING FUSION OF MESSAGES AND AN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휴대폰,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중,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으로서, 메시지 서비스가 있다. 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지정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통신망의 다양화와 데이터 프로토콜의 다변화에 의해 여러 형식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공하거나,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망을 통한 메시지 컨텐츠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데이터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송수신하며,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관리 서비스, 데이터 변조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시지 서비스는 사업자들의 정보 서비스 제공 및 알림 수단으로서도 매우 효과적으로서, 특히 결제 서비스 등에서 전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의 활용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각 서비스 사업자들간의 이해관계에 의해 과도하게 분산 및 세분화된 정보들이 부분적인 메시지로 제공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기존의 고객 결제 발생시의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는 바, 한 건의 고객의 카드 결제가 발생된 경우, 카드사 사업자의 카드사 서버(10)는 이와 연결된 제1 메시지 서버(11)와 제1 통신망(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카드 결제 관련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며,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사업자의 가맹점 서버(20)는 별도로 연결된 제2 메시지 서버(21)와 제2 통신망(인터넷 망 등)을 통해 상품이나 배송 또는 포인트 관련 메시지들을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동일한 한건 결제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업자별 메시지 서버 운용비용과, 통신망 이용비용이 각 관련 사업자별 개수대로 발생되는 바, 이는 각 사업자별 중복 과금을 유발하게 되며, 사회적으로는 망 비용 증대와 망 부하 증대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 사용자 단말(30) 이용자는 결제 관련 카드사 서버(10)의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이 건이 어떤 상품/배송/포인트와 연관된 건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맹점측에 직접 조회요청을 하지 않는 한 실제 어떤 상품의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배송이나 포인트 관련 정보는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하여 별도 확인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현재의 메시지 서비스 구조에 의하면, 사업자들에 의해 동일한 정보의 메시지가 과도하게 분산 및 분리 제공됨에 의해, 이중 또는 다중의 과금 및 망 부하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용자 또한 분산된 정보를 다시 취합하거나 관련 정보를 연결하여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사안의 동일 사용자에 대해 수신되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들의 사업자별 발신 메시지들을 융합 처리하며, 이에 따라 단일의 융합된 메시지의 발신만으로도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2 사업자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제2 사업자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융합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 사안의 동일 사용자에 대해 수신되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들의 사업자별 발신 메시지들을 융합 처리하며, 이에 따라 단일의 융합된 메시지의 발신만으로도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존재하는 과도한 메시지 서버 및 망 이용에 대한 이중 또는 다중의 과금 및 망 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용자 또한 분산되지 않은 융합된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정보 분산에 의한 사용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편의성 증진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융합 메시지를 제공함에 따른 데이터 분류 및 처리가 용이하게 되어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회신 메시지에 대한 분리 전달 처리도 제공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극대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메시지 융합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융합 메시지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200, 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라 함) 및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각 사용자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는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는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들(300A, 300B, ...)은 동일 사안에 대한 메시지 전송 요구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업자 서버(300A)는 카드사 서버일 수 있으며, 제2 사업자 서버(300B)는 상품 정보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몰 등의 가맹점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결제 등이 발생된 경우,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는 각각의 확인 수단에 따라 각각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융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 사업자들간의 동일 사안에 대한 연관 메시지들을 분류 및 연관 처리하고, 융합된 단일의 융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융합 메시지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의 전달 정보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이중 또는 중복 과금을 방지하면서도 동일 사안의 정보를 충분히 전달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 이용자의 정보 확인 및 분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메시지 발송을 위해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 및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합 메시지는 기업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기업 메시징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합 메시지는 소셜 네트워크 메신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소셜 네트워크 기반 메신저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융합 메시지는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또는 전용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합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에는 상기 제1 사업자 서버(300A)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데이터 포맷의 경우, 발신자는 1인이 지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사업자를 포함시킬 수 없으며, 회신 메시지의 송신에도 이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제1 사업자 서버(300A)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가 발신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통신 프로토콜 변환, 파일(File) 서버, 콜렉트(Collect) 서버, 푸시 게이트웨이(Gateway) 서버, 전송 서버, 어카운트 서버, 어드민 서버, 수신 서버, 변환 서버, 메시징 서버, 푸시(push) 수신 서버, 푸시 발송 서버 기능 등의 전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또는 암호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들과의 통신 네트워크 또한 각각 상이한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각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변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사업자 정보 및 메시지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메시지 융합 서비스에 따라 처리되는 다양한 부가 정보 및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의 서비스 가입 및 제휴 처리를 제공하거나, 금융 서버와 통신하여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금 처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수신한 제1 사업자의 제1 메시지 및 제2 사업자의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융합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융합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업자는 카드사 사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드 결제 관련 결제 정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사업자는 가맹점 사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가맹점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관련 상품 정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융합 메시지의 결제 정보 항목 및 상품 정보 항목별 분류 및 일정 기간별 합산 처리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개인 가계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상기 분류 및 합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출력부(미도시)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의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메시지 융합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데이터베이스(230), 관리 서비스 제공부(240), 메시지 융합 처리부(250) 및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융합 처리부(250)는 메시지 분류부(251), 연관 처리부(253),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 및 발신 정보 할당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각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동작 처리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업자 및 사용자들에 대응하여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사업자의 사업자 식별 정보, 사업자간 제휴 정보 또는 융합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등록 또는 갱신 요청에 따라 신규 등록, 갱신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230)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보, 융합 메시지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메시지 융합 및 회신 처리를 위해 별도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지 융합 처리부(25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융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융합 처리부(2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융합 처리부(250)는 메시지 분류부(251), 연관 처리부(253),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 및 발신 정보 할당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분류부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로부터 수신되는 각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항목 기준에 따라 분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항목 기준은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발신 시각 정보, 템플릿 코드 정보, 제휴 정보, 카테고리 정보 또는 매칭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칭 키워드 정보는 각 사안 정보에 대응되는 키워드 정보의 포함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안 정보는 결제 사안에 대응될 수 있으며, 키워드 정보는 금융 서비스 제공자, 가맹점 정보, 상품명, 결제 시간, 결제 금액, 거래 코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매칭 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목 기준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는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들에 대응되는 각 발신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리 서비스 제공부(240)를 통해 사전 등록된 사업자의 ID 정보, 이메일 정보, 사업자 서버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 또는 각 사업자별 전화번호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항목 기준에 있어서, 수신자 정보는 관리 서비스 제공부(240)를 통해 사전 등록된 수신자의 ID 정보, 수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또는 수신자 단말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항목 기준에 있어서, 템플릿 코드 정보는 메시지의 속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코드 정보는 수신자의 메신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중계 서버에서 식별 가능한 메시지 데이터의 타입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템플릿 코드 정보는 각 사업자들별 전송할 메시지의 속성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것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휴 정보는 각 사업자 서버간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휴 관계에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간 제휴 관계로 등록된 경우, 관리 서비스 제공부(240)는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에 매칭되는 제휴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사업자 서버들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휴된 제1 사업자 서버(300A)와 제2 사업자 서버(300B)로부터 전송되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는 각각 제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휴 정보는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코드 정보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관 처리부(253)는 이와 같이, 분류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각 메시지간 연관 여부를 결정하는 연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관 처리부(253)는 미리 설정된 조건 기준에 따라 상기 분류된 항목 기준별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의 유사 또는 동일여부에 따라, 연관 여부 결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결제 사안의 메시지의 수신자 정보 및 사안 정보는 동일 또는 일정 범위 이내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관 메지시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관 처리부(253)는 미리 분류된 항목 기준 정보를 상기 조건 기준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시지의 항목 기준은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발신 시각 정보, 템플릿 코드 정보, 제휴 정보, 카테고리 정보 또는 매칭 키워드 정보일 수 있으며, 연관 처리부(253)는 상기 각 분류별 조건 매칭여부에 따라 메시지간 연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관 처리부(253)는 연관 처리를 위해, 메시지들의 수신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수신자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이후 단계의 비교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관 처리부(253)는 미리 설정된 사업자간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사업자 서버(300A)로부터 수신된 제1 메시지의 발신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제2 메시지들의 연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수신자에 대한 제1 사업자 서버(300A)로부터의 제1 메시지의 발신 시간이 12시 0분 인 경우, 상기 특정 수신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전후 1분 이내 수신된 다른 제2 사업자 서버(300B)의 제2 메시지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연관 메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들 중 카드 결제 사안에 있어서 제1 순위 사업자는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카드사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관 처리부(253)는 제1 사업자 서버(300A)인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 메시지를 기준으로 이에 대응되는 제2 메시지들을 색인하고, 색인된 메세지들을 연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연관 메시지 결정에 있어서, 메시지간 템플릿 코드 정보의 일치 여부 또는 제휴 정보의 일치 여부가 더 고려될 수 있다. 연관 처리부(253)는 색인된 메시지들 중 제휴 정보가 일치하거나 템플릿 코드 정보가 일치하는 메시지들만 필터링하여 연관 메시지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는 상기 연관 결정된 메시지들을 융합 처리하여, 하나의 융합된 융합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는 별도의 융합 메시지에 대응하는 융합 포맷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는 각 메시지들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융합 처리하여, 융합 포맷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융합 포맷 데이터의 생성에 있어서, 융합 메시지에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의 컨텐츠가 선택적으로 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의 컨텐츠는 상기 각 발신자 정보와 함께 연결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융합 처리부(250)는 각 메시지로부터 식별되는 키워드 정보 중 실제 중복되지 않는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융합 메시지에 할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 정보는 키워드 분석을 통해 메시지로부터 추출되는 정보이거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메시지 데이터의 별도 필드에 추가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별도 필드에 추가되는 경우,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에서는 메시지 전송시 상기 별도 필드에 융합 메시지 생성을 위해 필요한 키워드 정보를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 필드에는 결제에 대한 키워드로서, 결제 수단, 결제 금액, 상품명, 결제 일시, 거래 코드 등이 키워드로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발신 정보 할당부(255)는 상기 생성된 융합 메시지에 발신자 정보, 템플릿 코드 정보 및 기타 발신에 필요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특히, 발신 정보 할당부(255)는 발신자 정보에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제1 사업자 서버(300A)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신자는 제1 사업자로 지정되어 기존의 메시지 송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신자 정보에는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신자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현재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를 복수 지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상기 복수의 발신자 정보는 상기 융합 메시지 내에 직접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발신자별 연락처 또는 식별 정보가 상기 융합 메시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서비스 네트워크별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해 미리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210)는 융합 메시지를 전송한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의 실패가 확인된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다른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융합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업자별 이용 네트워크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융합 메시지가 재전송 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을 설명하면,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융합 메시지에 대응하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는 상기 회신 메시지와 상기 융합 메시지의 분리 매칭에 따라, 상기 회신 메시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사업자에 대응되는 사업자 서버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신 메시지 처리의 편의성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업자 서버(300A)는 발신자 서버일 수 있으며, 제2 사업자 서버(300B)는 발신자 제휴 연결된 제휴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업자 서버(300A)와 제2 사업자 서버(300B)간 제휴 등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휴 설정 정보를 제1 사업자 서버(300A) 및 제2 사업자 서버(300B)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휴 설정 정보는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 및 사안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는 메시지의 제휴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안 선택 정보는 융합 메시지에 포함될 사안 정보의 키워드 순서 및 포맷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업자 서버(300A)와 제2 사업자 서버(300B)간 수신된 메세지들에 포함된 제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시지간 연관여부 확인 및 융합 처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휴 정보는 제휴 서비스 코드 및 각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안 정보(예를 들어, 상품명 정보, 결제 일시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시지 융합 처리부(250)를 통해, 제휴 서비스 코드와, 상기 사안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연관된 것으로 결정하고 융합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휴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템플릿 코드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융합 메시지 생성부(254)는 상기 제휴 정보의 키워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포맷의 융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융합 메시지에 각 사업자 메시지의 키워드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융합 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업자를 발신자로 하는 제1 사업자 메시지와 제2 사업자 메시지를 융합한 융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융합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발신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각 복수 사업자 서버별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처리부(250)를 통해 제1 메시지의 분류 정보를 식별하며(S1003), 이에 대응되는 제2 메시지의 분류 정보를 식별한다(S1005).
여기서, 상기 제1 메세지와 제2 메시지의 수신자는 동일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메세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 대상 메시지가 1차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처리부(250)를 통해 상기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간 연관여부를 결정한다(S1007). 연관 여부 결정에 있어서는 전술한 항목 기준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처리부(250)를 통해 연관 결정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이용한 재가공 및 융합 처리를 통해(S1009), 융합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처리부(25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전송한 각각의 복수 사업자 중 대표 발신자를 결정한다(S1011). 여기서, 복수 사업자 모두가 발신자로서 포함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S1011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융합 처리된 융합 메시지 데이터에 융합 템플릿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결정된 대표 발신자 명의의 융합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1013).
한편, 도 7은 회신 메시지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융합 메시지에 대응하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한다(S200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를 통해 융합 메시지를 분리 매칭하여, 상기 회신 메시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를 결정한다(S2003).
예를 들어, 융합 메시지의 회신 메시지로부터 회신 대상 사업자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 상기 사업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회신 메시지 처리부(260)를 통해 상기 결정된 사업자에 대응하는 사업자 서버로 회신 메시지를 전달 처리한다(S2005).
이와 같이 회신 메시지가 전달 처리된 이후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별도의 융합 없이 결정된 사업자의 서버와 사용자 단말(100)간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예외 처리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융합 메시지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10은 제1 사업자 서버(300A)는 '신한카드'라는 카드사 서버이고, 제2 사업자 서버(300B)는 '11번가'라는 쇼핑몰 서버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융합 메시지는 각 발신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결제 사안에 대응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의 융합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업자 서버(300A)의 제1 메시지인 카드 결제 승인 메시지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제2 사업자 서버(300B)의 상품 거래 결과 메시지로부터 상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결제 승인 및 상품 정보가 융합된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휴 정보 또는 별도의 메시지 여유 필드로부터 필요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융합 메시지에 삽입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메신저 특성에 따라 데이터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초과 데이터에 대응하는 별도의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융합 메시지에 삽입할 수도 있다. 링크 정보는 예를 들어, 세부 상품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URL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제1 사업자 서버(300A)일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복수 발신자 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 제2 사업자 서버(300B)의 정보도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융합 메시지는 간단히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를 각 발신자 정보별로 연결한 연결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처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융합 메시지에는 각 발신자 정보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회신을 위한 발신자 식별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 식별 정보는 각 발신자의 전화 번호가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융합 메시지로부터 복수 발신자의 식별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각 사업자에게 용이하게 회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융합 메시지가 결제 사안에 관련된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결제 사안에 대한 융합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융합 메시지 기반의 가계부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기존의 경우, 각 사업자별 결제 문자 메시지만으로는 금액 및 사용처만 알 수 있을 뿐, 어떤 상품의 어떠한 거래인지 여부를 연관시키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융합 메시지의 경우, 융합 메시지 하나로도 상기와 같은 연관 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일정 기간별 합산 처리에 따른 항목별 가계부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 단말(100)에는 제어부를 통해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처리된다(S3001).
그리고, 상기 융합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되어 식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항목 정보에 따라 데이터 분류 처리를 수행한다(S3003).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융합 메시지의 템플릿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융합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융합 메시지 내 키워드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분류 처리를 항목별로 수행할 수 있다. 항목 정보의 경우 예를 들어, 결제 수단, 상품명, 거래 일시 및 거래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매 항목별 결제 정보를 매칭 입력하며(S3005), 일정 기간별 합산 처리하여, 가계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300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각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A, 300B, ...)들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들을 융합 처리함으로써, 각 사업자들의 메시지 서비스 이용 비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망 부화 감소 및 수신자의 편의성 향상 및 부가 서비스까지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업자 서버와 제2 사업자 서버간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위한 제휴 등록을 처리하고, 상기 제휴 등록 처리에 따라 할당된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 및 사안 선택 정보를 상기 제1 사업자 서버와 제2 사업자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휴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 각각의 제휴 정보에 포함된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와 사안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연관 처리에 따라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간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되는 융합 메시지에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 각각의 제휴 정보의 키워드 정보가 미리 설정된 포맷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상기 융합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에 상기 제1 사업자 서버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기업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기업 메시징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소셜 네트워크 메신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소셜 네트워크 기반 메신저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또는 전용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를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융합 메시지에 대응하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신 메시지와 상기 융합 메시지의 분리 매칭에 따라, 상기 회신 메시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업자에 대응되는 사업자 서버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8.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업자 서버와 제2 사업자 서버간 메시지 융합 서비스를 위한 제휴 등록을 처리하고, 상기 제휴 등록에 따라 할당된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 및 사안 선택 정보를 상기 제1 사업자 서버와 제2 사업자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휴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메시지와 상기 제2 메시지 각각의 제휴 정보에 포함된 제휴 서비스 코드 정보와 사안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연관 처리에 따라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동일 수신자에 대한 동일 사안의 연관 메시지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융합 메시지에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 각각의 제휴 정보의 키워드 정보가 미리 설정된 포맷에 삽입되고, 상기 융합 메시지에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가 포함되는 메시지 융합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융합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발신자 정보에 상기 제1 사업자 서버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융합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기업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기업 메시징 서비스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소셜 네트워크 메신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소셜 네트워크 기반 메신저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메시지는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융합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또는 전용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이메일, 단문 또는 장문 문자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융합 처리부는,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를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 처리하는 메시지 분류부; 및
    상기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메시지 및 상기 제2 메시지간 연관 여부를 결정하는 연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융합 메시지에 대응하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회신 메시지와 상기 융합 메시지의 분리 매칭에 따라, 상기 회신 메시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업자에 대응되는 사업자 서버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전달하는 회신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70113775A 2017-09-06 2017-09-06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936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75A KR101936776B1 (ko) 2017-09-06 2017-09-06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8/010275 WO2019050250A1 (ko) 2017-09-06 2018-09-04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75A KR101936776B1 (ko) 2017-09-06 2017-09-06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76B1 true KR101936776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75A KR101936776B1 (ko) 2017-09-06 2017-09-06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776B1 (ko)
WO (1) WO20190502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44A (ko) 2019-10-31 2021-05-10 이현희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연관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580A (ko) * 2003-06-05 2004-12-23 주식회사 크레디프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그정보제공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658B1 (ko) * 2000-10-16 2002-07-03 정준용 금융거래 내역통보 서비스방법
KR20020094340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넥스텔 신용카드사용과 연동하여 휴대폰상에 광고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63835B1 (ko) * 2006-01-04 2007-10-05 한영석 메시지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386506B2 (en) * 2008-08-21 2013-02-2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essag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580A (ko) * 2003-06-05 2004-12-23 주식회사 크레디프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그정보제공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744A (ko) 2019-10-31 2021-05-10 이현희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연관 메시지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250A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216B2 (en) Collection of transaction receipts using an online content management service
CN109325870B (zh) 共享隐私数据的方法和系统
US97882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ond factor authentication
KR102553831B1 (ko) 집계 지불을 위한 백엔드 아키텍처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20210053750A (ko) 안전거래를 위한 전자 자금 이체 방법
US9209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application server
CN10914652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商品防伪验真系统及方法
JP2012150793A (ja) セキュア通信ネットワークを提供及び運営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96595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6776B1 (ko)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8892080B2 (en) Methods and systems of communication interexchange allowing for heterogenous types of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ous devices
KR20190027264A (ko) 기록매체
KR20190096601A (ko)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96587A (ko) 결제 메시지 융합 서비스 장치
US10158614B2 (en) Database processing system for multiple destination payloads
KR20190027124A (ko) 컨텐츠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848061B (zh) 一种用户信息传输方法及终端设备
KR20190027261A (ko)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90027271A (ko)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27275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27265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6606A (ko)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6583A (ko) 결제 메시지 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96592A (ko) 사용자 단말의 결제 메시지 처리 방법
KR20190096591A (ko) 사용자 단말의 결제 메시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