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16B1 -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16B1
KR101936316B1 KR1020170163699A KR20170163699A KR101936316B1 KR 101936316 B1 KR101936316 B1 KR 101936316B1 KR 1020170163699 A KR1020170163699 A KR 1020170163699A KR 20170163699 A KR20170163699 A KR 20170163699A KR 101936316 B1 KR101936316 B1 KR 10193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st
user
us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재
조현석
Original Assignee
제일사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사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사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입출력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정보 및 개체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현되는 정보 등록 모듈; 상기 개체 정보와 대응되는 개체의 체중 정보를 입력 받도록 구현되는 체중 관리 모듈; 상기 개체가 섭취한 급여량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급여량 정보를 통해 성분 별 섭취량을 산출하도록 구현되는 급여량 관리 모듈; 및 상기 개체의 분변 상태 정보를 입력 받도록 구현되는 분변 관리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 정보, 상기 급여량 정보, 상기 분변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개체를 위한 맞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and SERVER FOR RUN A TEST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은 단순한 동물이 아닌 반려자로서 매우 소중한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함으로써 교감을 통해 정서발달, 우울증 치료와 같은 다양한 정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회적 차원으로도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을 장려하기도 한다.
한편, 애완 동물을 사육하는데 각별한 애정과 관리가 필수적이나, 현대인의 바쁜 일과와 외출에 따라 애완 동물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못하여 애완 동물이 집에 홀로 남겨지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경우, 홀로 남겨지는 애완 동물은 스트레스를 받아 불안해하거나, 우울증 및 식욕감퇴 등이 나타나는 등 애완 동물의 관리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13043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애완 동물에게 적용되는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테스트의 정해진 주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선별하고, 선별된 사용자 그룹으로 테스트의 수행 및 피드백 메시지의 회신을 위한 테스트 모듈을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테스트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완 동물의 양육자와 소통하는 1대1 채널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테스트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제1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대응되는 테스트 모듈을 생성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 모듈을 통해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피드백 메시지를 취합하여 결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는 애완 동물용 먹이, 사료, 간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호성 판단인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과 데이터는 제1 테스트의 대상의 시판 여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테스트 모듈을 통해 자동적으로 생성되고, 자동적으로 서버로 전송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은 신뢰성 판단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사용자를 배제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애완 동물에게 적용되는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의 정해진 주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을 선별하고, 선별된 사용자 그룹으로 테스트의 수행 및 피드백 메시지의 회신을 위한 테스트 모듈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완 동물의 양육자와 소통하는 1대1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체중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급여량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분변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활동성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 기능 모듈의 송수신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9는 테스트 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서버의 테스트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애완 동물은 사용자에 의해 양육되는 모든 동물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애완 동물은 개, 고양이, 토끼, 닭 등과 같이 동물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에서, 테스트는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는 특정 사료에 대한 기호성 테스트, 특정 약물에 대한 치료 효과 테스트, 특정 물품에 대한 기호성 테스트 등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300),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로 배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100)는 업데이트 또는 재 설치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200, 300)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또는 설치 파일을 배포한다. 서버(100)는 애완 동물의 급여량, 체중, 분변, 활동성 등을 관리하고 개체 별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100)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정보 및 개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연구자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맞춰 개체 및 사용자와 직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연구자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모듈을 제작되어 배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제작된 추가 기능 모듈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타 사용자 단말기로 획득 정보가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현된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개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체와 함께 거주하며 양육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보호자 권한, 개체의 치료를 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치료 권한 등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포괄적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도 있을 수 있다. 각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허용되는 정보의 종류도 한정될 수 있다.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는 정보의 수신, 정보에 대한 응답, 추가 정보의 전송 등과 같이 세분화된 소단위 워크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가 이와 같은 추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사용자의 주거지 정보, 동거인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케어되는 개체의 체중 정보, 급여량 정보, 분변 정보, 활동성 정보 등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개체의 특성 및 상태 등에 따른 맞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개체의 양육을 도와주는 양육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 300)를 통해, 새로운 워크를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워크와 대응되는 소단위 미션을 수행한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2)가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과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 300)들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완 동물 관리 시스템(10)은 애완 동물과 관련된 사료,
애완 동물 관리 시스템(10)은 전자지도 상에 표출할 수 있는 애완동물 산책코스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산책코스를 추천하는 서버(100)와, 서버(100)에 접속하여 주변의 산책코스를 추천 받아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후 추천 받은 산책코스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한 화면을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소유자에게 보여주고 추천 산책코스를 따라 애완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애완동물 산책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위치 획득부(220)를 통해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위치 및 위치의 변화는 개체의 활동성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개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카메라를 통해 개체 자체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개체의 분변 상태, 체중 상태와 관련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센서부(240)를 통해 개체의 냄새 또는 개체의 분변 냄새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40)를 통해 분변 냄새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분변 상태의 입력 및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센서부(240)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40)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개체가 근접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체가 근접 거리에 있는 경우에 한해서 움직임에 따른 활동성이 입력되거나 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통신 모듈(250)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 300)는 근거리 통신 모듈(26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주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애완 동물 관리 애플리케이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애완 동물 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은 통신 모듈(250)을 통해 수신되어 실행 될 수 있다.
애완 동물 관리 애플리케이션(210)은 정보 등록 모듈(211), 체중 관리 모듈(212), 급여량 관리 모듈(213), 분변 관리 모듈(214), 활동성 관리 모듈(215), 추가 기능 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등록 모듈(211)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개체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중 관리 모듈(212)는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개체에 대한 체중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체중 정보는 개체의 품종 및 개체의 개월수 정보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체중 관리 모듈(212)는 개체의 품종 및 개월수에 따른 표준 체중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표준 체중 정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체형 정보(마름, 보통, 뚱뚱 등)를 고려하여 개체의 체중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체중 관리 모듈(212)은 개체의 체중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시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중 관리 모듈(212)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개체의 체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과거 촬영된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제공함으로서, 체중 관리 모듈(212)는 개체의 체중 변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카메라부(230)가 실행되면, 프리뷰 화면이 제공되며, 프리뷰 화면은 현재 카메라부(230)에 입력된 화상 정보 외에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는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프리뷰 화면은 개체의 자세, 위치 등에 대한 교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개체가 섭취한 급여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급여량 정보는 사료의 품명, 섭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료를 먹이지 않는 경우에는 급여량 정보는 섭취되는 먹이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이미지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로부터 정확한 급여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입력된 급여량 정보를 통해 정확한 성분 별 섭취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서버에 저장된 사료의 품명에 따른 영양 조성 표를 활용할 수 있다.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개체가 실질적으로 섭취하는 급여량을 성분 별 섭취량으로 변환하고, 성분 별 섭취량을 기초로 개체의 영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개체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맞춤 정보는 추천 사료, 추천 급여량, 추천 빈도, 추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맞춤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며, 해당 개체와 관련하여 등록된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급여량 관리 모듈(213)은 맞춤 정보에 따른 알람 및/또는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개체의 배변활동 및 배설물 상태를 이용하여 개체의 배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3)은 파악된 배변 상태를 개체의 효율적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센서부(240)를 통해 배변 활동 여부 및/또는 분변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센서부(240)를 통해 획득된, 냄새 데이터 및 소리 데이트 등을 활용하여 배변 활동 여부를 감지/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분변 상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사용자로부터 배변 활동 여부 및 분변 상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카메라부(23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분변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배변 활동 여부 및 분변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개체의 배변 상태 및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개체의 체중, 활동성 등을 고려하여 개체의 배변 상태 및 건강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개체의 배변 상태는 개체의 급여량 상태, 활동성 상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개체의 배변 상태 및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한 맞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 정보는 배변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량 증가/감소 권고 정보, 특정 사료 추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맞춤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며, 해당 개체와 관련하여 등록된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분변 관리 모듈(214)은 맞춤 정보에 따른 알람 및/또는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위치 획득부(220) 또는 센서부(240)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를 고려하여 개체의 활동성을 측정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위치 획득부(220)를 통해 획득된 위치 및 위치 변화 등을 이용하여 개체의 이동 경로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근접 거리에 개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개체가 근접 거리 내에 있는 경우의 위치 및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개체의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개체의 활동성은 일 단위, 월 단위, 주 단위 등으로 누적되어 기록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센서부(240)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을 이용하여 개체의 움직임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움직임에 따른 활동량 정보를 고려하여 개체의 활동성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개체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개체의 활동과 관련된 맞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 정보는 개체의 종합적인 상태를 고려한 맞춤 활동 주기, 맞춤 활동 시간, 맞춤 활동 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맞춤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며, 해당 개체와 관련하여 등록된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215)은 맞춤 정보에 따른 알람 및/또는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 기능 모듈(216)은 체중 관리 모듈(212), 급여량 관리 모듈(213), 분변 관리 모듈(214), 활동성 관리 모듈(21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추가 기능 모듈(216)은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추가 기능 모듈(216)은 맞춤 정보에 따른 알람 ?/또는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추가 기능 모듈(216)은 외부의 연구자들에 의해 요청된 테스트, 실험, 미션 등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추가 기능 모듈(216)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서버로 집약되며, 서버는 추가 기능 모듈(216)을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련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련 사용자 그룹의 데이터에 포함된 인적 사항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완 동물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및 개체 정보를 등록 받고, 등록된 개체의 체중, 급여량, 분변, 활동성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 또는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애완 동물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체에 대한 정보를 통한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맞춤 정보는 입력된 정보 및 수신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맞춤 정보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도 공유되어 개체의 체중, 급여량, 활동성, 분변 등이 관리되는데 활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 관리 방법은 정보 등록 단계(S101), 실시간 정보 입력 단계(S102), 센싱 데이터 획득 단계(S103), 상태 정보 생성 단계(S104), 맞춤 정보 생성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S10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개체 정보를 등록 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거주지 형태 등), 하나 이상의 개체 정보는 개체의 품종, 성별, 임신 유/무, 중성화 여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거주지 형태를, 예를 들어 아파트(거주층수/총층수), 주택(반려견 생활 형태, 실내 생활/실외 생활), 다세대(방의 개수 등) 중 하나로 구체적으로 등록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S102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개체에 대한 체중 정보, 개체가 섭취한 급여량 정보, 개체의 배변활동 및 분변 상태 정보, 개체의 활동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103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카메라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개체의 체중 정보, 급여량 정보, 개체의 배변활동 및 분변 상태 정보, 활동성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S10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되거나 센싱된 개체의 체중 정보, 급여량 정보, 개체의 배변활동 및 분변 상태 정보, 활동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개체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고려)
S105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각 항목 별 상태 정보에 따라 맞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체중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개체의 체중 관리와 관련하여 이전 체형 정보(A41, A43) 및 현재 체형 정보(A42, A44)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체(obj1)은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를 비교연산하여 획득된 차분값(현재 체형 정보 ? 이전 체형 정보)가 음수가 된다. 음수의 차분값을 가지는 제1 개체(obj1)와 관련하여, 체중 관리 모듈은 체중 감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개체(obj1)와 대응하여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실행시킨다. 제1 개체(obj1)와 관련하여 실제 체중 감량이 필요한 정도를 판단하고, 해당 감량 정도를 고려하여 급여량, 활동성 등을 관리하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때, 급여량은 성분별 섭취량까지 고려되어 산출될 수 있다.
제2 개체(obj2)는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 사이의 차분값이 양수가 된다. 체중 관리 모듈은 제2 개체(obj2)에 대해서 체중 증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체중 관리 모듈은 제2 개체(obj2)와 대응하여 체중 회복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실행시킨다. 제2 개체(obj2)와 관련하여서도 체중 관리 모듈은 체중 증량이 필요한 정보를 판단하고, 해당 증량 정도를 고려하여 급여량, 활동성 등을 관리하는 체중 회복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 관리 모듈은 개체별 체중 변화(A45) 및 체형 변화 정보(A46)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체중 관리 모듈은 현재 체중 정보를 해당 개체의 표준 체중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체의 체중 변화를 좀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체중 관리 모듈은 체형 변화를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체중 관리 모듈은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체중 관리 모듈은 위에서 찍은 제1 이미지 및 옆에서 찍은 제2 이미지를 함께 모아서 보여 줄 수 있다. 이때, 다른 시점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제공할 때, 동일한 사이즈로 리사이즈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체의 체형 변화를 좀더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체중 관리 모듈을 실행시킨다(S201). 체중 관리 모듈은 서버(1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해당 개체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개체의 보호자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200)로 체중 관리 모듈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전 체형 정보를 가져오고, 현재 체형 정보를 획득한다(S202). 제1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를 비교한다(S203). 이때,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 사이의 차분값(현재 체형 정보 ? 이전 체형 정보)가 0, 음수, 양수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 사이의 차분값이 0인 경우에는 현상태를 유지하라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 사이의 차분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체중 회복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전 체형 정보 및 현재 체형 정보 사이의 차분값이 양수인 경우에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때, 판단 결과는 체중 관리 모듈을 요청한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기도 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는 판단 결과와 대응되는 체중 회복 프로그램 또는 다이어트 프로그램, 유지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등록된 개체의 체중 관리 프로그램이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도 5a, 도 5b는 급여량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급여량을 입력 받는다. 이때, 급여량 입력 방식을 직접 입력(A51) 또는 사료 선택(A52)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사료 선택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 브랜드 및 제품명을 선택하는 탭이 생성되게 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급여량 계산 버튼(A53)을 눌러 급여량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안내 메시지는 맞춤 정보 제공 버튼(A54)를 포함한다. 맞춤 정보 제공 버튼(A54)이 선택되면, 해당 개체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급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제품의 샘플을 신청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 후기를 볼 수 있는 메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여량 관리 모듈은 섭취 공백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급여량 관리 모듈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섭취 여부를 확인하고 섭취 공백 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S301). 섭취 공백 시간이 소정의 임계 공백 시간 보다 큰 경우, 섭취가 필요하다가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302, S303). 이때 경고 메시지는 해당 개체의 보호자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즉, 경고 메시지는 급여량 관리 모듈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 외에 타 사용자 단말기로도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직접 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고, 서버를 거쳐서 해당 개체와 관련된 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급여량 관리 모듈은 개체의 급여 섭취를 독려할 수 있다.
도 6은 분변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분변 관리 모듈은 입력되거나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배변 활동 및 분변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S401). 분변 관리 모듈은 급여량, 활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분변 상태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S402).
분변 관리 모듈은 분변 상태의 신뢰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403), 판단 결과,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개체의 분변 상태 정보를 갱신시킨다(S405). 분변 관리 모듈은 갱신된 정보에 따라 개체의 맞춤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407). 이때 분변 상태 정보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분변 관리 모듈은 외부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분변 관리 모듈은 애완 동물 관련 정보를 최신 정보를 수신 받고, 분변 상태 정보의 신뢰성을 추가로 판단하게 된다(S404).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신뢰성이 없는 데이터를 해당 개체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개체의 분변 상태 정보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개체의 분변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활동성 관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활동성 관리 모듈은 사용자 입력 또는 센싱된 데이터를 기초로 활동성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활동성 정보는 개체에 부착된 움직임 감지 센서 장치를 통해서도 획득될 수 있다. 활동성 관리 모듈은 개체의 활동을 모니터링한다(S502). 활동성 관리 모듈은 활동성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고(S503), 활동성 정보의 신뢰성이 있는 경우, 맞춤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504). 활동성 관리 모듈은 활동성 정보의 신뢰성이 없는 경우, 활동성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505).
활동성 정보의 신뢰성은 체중 변화 정보 및 급여량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성이 ‘높음’이고 급여량이 표준량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경우, 활동성 정보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한다.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개체의 치료 권한을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활동성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시킨다.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활동성 정보에 대한 코멘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멘트는 의심되는 질병에 대한 내용, 급여되는 사료의 교체를 권고하는 내용, 추가적으로 요청하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 기능 모듈의 송수신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버(100)로 상태 정보, 맞춤 정보를 전송한다(S601). 서버(100)는 상태 정보, 맞춤 정보에 대응되는 추가 기능 모듈을 생성한다(S602). 서버(100)는 추가 기능 모듈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03).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추가 기능 모듈을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S604). 설치된 추가 기능 모듈은 자동적으로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605). 여기서, 특정 조건은 추가 기능 모듈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벤트는 추가 기능 모듈에 포함된 소정의 규약에 따라서 생성되게 된다. 추가 기능 모듈은 이벤트와 대응되는 피드백 메시지를 생성한다(S606). 생성된 피드백 메시지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메시지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피드백 메시지는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와이파이 등이 연결된 특정 시점에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테스트 관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1 테스트의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701). 서버(100)는 제1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을 검색한다(S702). 서버(100)는 제1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위한 하나 이상의 테스트 모듈을 생성한다(S703). 서버(100)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테스트 모듈을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적절한 시점에 전송한다(S704). 테스트 모듈이 전송되는 시점은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시점에 테스트 모듈을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태가 휴식 상태인 경우, 테스트 모듈이 전송된다.
테스트 모듈의 수신의 응답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자동적으로 테스트 모듈을 설치하고 실행시킨다. 실행된 테스트 모듈의 이벤트가 생성된다.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가 생성된다.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피드백 메시지를 서버(100) 및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메시지를 하나의 결과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성분별 인자들을 추출하고, 인자들을 취합하고 제1 테스트 모듈에 포함된 처리 방법으로 처리하여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은 서비스 제어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110)는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 입력 이벤트 수집부(112), 피드백 정보 수집부(113), 테스트 관리부(114)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접속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에 서버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추가 모듈을 배포하는 구성이다.
한편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서비스 저장부(130)에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 및 설치되면, 저장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버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저장부(130)에서 제거되는 경우 서버 페이지에서 해당 항목을 삭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특정 사용자 단말(200, 300)이 통신망(300)을 통하여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200, 300)에 상술한 서버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사용자 인증 및/또는 개체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 페이지 제공부(261)는 인증 과정에 사용할 사용자 단말(200, 300)들의 사용자 정보 및/또는 개체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서버 페이지 제공부(111)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인증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리 의료 기관으로 등록되어 있고, 등록에 따른 인증서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이벤트 수집부(1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입력 이벤트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입력 이벤트 수집부(112)는 서버 모듈을 활성화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로드된 클라이언트 모듈과 동기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 수집부(112)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과정에서 입력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이벤트 수집부(1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터치 이벤트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 수집부(113)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이 작성한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전 작성된 피드백 전자 작성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이 완성한 피드백 전자 작성문을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피드백 정보 수집부(113)는 사용자 단말기(200)이 접속하여 조작 경험한 즉 테스팅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피드백 정보 작성을 요청하는 알림 화면을 제공하거나 피드백 전자 작성문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이 피드백 정보를 작성하여 제공하면, 피드백 정보 수집부(113)는 작성된 피드백 정보의 작성 언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작성 언어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작사가 지정한 선택 언어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정보 수집부(113)는 피드백 전자 작성문을 제공할 때, 설문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문 언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언어로 피드백 전자 작성문의 언어가 작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전자 작성문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설정 언어로 작성할 수 있는 비고란이 제공될 수 있으며, 비고란에 사용자가 특정 피드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제작사 선택 언어로 번역하여 피드백 전자 작성문을 완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완성된 피드백 전자 작성문은 제작사 선택 언어로 번역될 수 있다.
테스트 관리부(114)는 등록된 테스트와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로 테스트 모듈을 전송한다. 테스트 관리부(114)는 테스트 모듈의 응답으로
도 11은 서버의 테스트 관리부(11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테스트 관리부(114)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테스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워크 스페이스(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관리부(114)는 테스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테스트를 위한 워크 스페이스가 유지되도록 하고 테스트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워크 스페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결과 폴더로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때, 제1 테스트를 위한 제1 워크 스페이스는 피드백 수집부, 분석 데이터 생성부, 기호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를 위한 각 워크 스페이스는 별개도 피드백 수집부, 분석 데이터 생성부, 기호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의 피드백 수집부, 하나의 분석 데이터 생성부, 하나의 기호성 판단부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테스트 관리부(114)는 테스트 별로 피드백 메시지를 수집하는 피드백 수집부(141a), 피드백을 분석하는 분석 데이터 생성부(141b),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으로 취합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호성 판단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수집부(141a)는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를 저장 관리한다. 피드백 메시지를 판독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를 취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석 데이터 생성부(141b)는 테스트를 통해 요청된 하나 이상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때,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의 이벤트 단위로 데이터를 분리시킬 수 있다. 분석 데이터 생성부(141b)는
기호성 판단부(141c)는 테스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와 별도로 테스트에 대한 각 사용자의 기호성을 판단한다. 테스트의 수행 결과와 별개로 개체의 기호성을 판단한다. 테스트의 대상은 사료에 대한 선호도, 간식에 대한 선호도, 약/치료 등에 대한 선호도 등이 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서버(100)는 컨디션 및 테스트에 대응되는 세부 조건을 선별한다(S801). 서버(100)는 세부 조건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체를 검색한다. 서버(100)는 검색된 개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검색한다(S802). 검색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이 된다. 서버(100)는 사용자 그룹의 각 사용자의 신뢰성 기준의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803). 서버(100)는 테스트 이전에 미리 송부된 신뢰성 판단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하나의 사료를 2개의 다른 사료(제1 사료 및 제2 사료)로 제공한 후, 각 사료에 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동일한 사료인 제1 사료 및 제2 사료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가 상이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사료인 제1 사료 및 제2 사료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가 동일한 사용자의 신뢰성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신뢰성 기준을 통과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테스트와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으로 재 설정할 수 있다. 신뢰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테스트와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에서 배제된다. 또는 사용자 그룹에서 배제시키지 않고 사용자 그룹으로 설정시킨 후, 신뢰성이 낮은 사용자의 피드백 메시지는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테스트를 위한 모집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더 많은 모집단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실제 거주 지역에서 생활하는 애완 동물을 활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등록된 테스트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901). 서버(100)는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를 테스트 별로 구분되어 존재하는 워크 스페이스로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 및 피드백 메시지를 송부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결합시킨 제1 키를 변환하고 제1 변환 키를 이용하여 피드백 메시지와 대응되는 워크 스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피드백 메시지가 소정의 정해진 기간 동안 누적적으로 수신되고, 정해진 시간 주기로 피드백 메시지를 취합한 raw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이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테스트가 종료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100)는 특정 이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로 종료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종료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테스트 모듈은 자동적으로 종료되며 자동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테스트가 전부 종료되면, 서버(100)는 raw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서버(100)는 처리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903). 생성된 분석 데이터는 테스트 요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S904).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테스트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테스트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컨디션 및 테스트에 대응되는 세부 조건을 선별하고, 상기 세부 조건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체를 검색하고,
    상기 개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으로 설정하며,
    상기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의 각 사용자의 신뢰성 기준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신뢰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사용자를 배제시켜 상기 테스트용 사용자 그룹을 재 설정하며 - 신뢰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사용자는 동일한 사료인 제1 및 제2 사료에 대한 평가 정보들을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료에 대한 평가 정보가 상이한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를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함-,
    상기 검색된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대응되는 테스트 모듈을 생성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테스트 모듈을 통해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를 테스트 별로 구분되어 존재하는 워크 스페이스로 각각 구분하여 전송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수신한 피드백 메시지를 취합한 raw 데이터를 생성하고, 특정 이벤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테스트를 종료시키고, 상기 제1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상기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종료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종료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테스트 모듈이 자동적으로 종료되고 삭제되도록 하며,
    상기 워크 스페이스는
    상기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 및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결합시켜 제1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키로부터 변환한 제1 변환 키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1 테스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유지되나, 상기 제1 테스트가 종료되면, 별도의 결과 폴더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피드백 수집부, 분석 데이터 생성부, 기호성 판단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는
    애완 동물용 먹이, 사료, 간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호성 판단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63699A 2017-11-30 2017-11-30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KR10193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99A KR101936316B1 (ko) 2017-11-30 2017-11-30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99A KR101936316B1 (ko) 2017-11-30 2017-11-30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316B1 true KR101936316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699A KR101936316B1 (ko) 2017-11-30 2017-11-30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13A (ko) * 2003-04-21 2004-10-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객의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 포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1502258A (ja) * 2007-11-01 2011-01-2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207900A (ja) * 2013-03-29 2014-11-06 味の素株式会社 ペットの嗜好の予測方法、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予測装置
KR20160139056A (ko) * 2007-07-23 2016-12-06 피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413A (ko) * 2003-04-21 2004-10-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객의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 동물 포털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9056A (ko) * 2007-07-23 2016-12-06 피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1502258A (ja) * 2007-11-01 2011-01-2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207900A (ja) * 2013-03-29 2014-11-06 味の素株式会社 ペットの嗜好の予測方法、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予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965B1 (ko) 애완 동물 관리 방법 및 애완 동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Vranken et al. Precision livestock farming for pigs
KR101641342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673682B1 (ko) 동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873526B1 (ja) 動物の行動情報を取得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
WO2021019838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210001199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방법
US20230061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JP2011044787A (ja) 動物行動管理装置、動物行動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Longley et al. An open source device for operant licking in rats
KR101936316B1 (ko)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애완 동물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서버
KR20200131999A (ko) 반려동물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3162074A (ja) ペット診療相談支援システム、ペット診療相談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44723B1 (ko) 반려동물의 슬개골 탈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체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방법
KR102344722B1 (ko)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체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방법
JP202105662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102648371B1 (ko) 수익형 농장 간접경영 장치
JP7004617B2 (ja) 動物状態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73773B2 (ja) 宿泊施設における生体データ取得システム、生体データ取得方法、及び、生体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
Madden et al. Visitation rate, but not foraging range, responds to brood size manipulation in an aerial insectivore
WO2023113008A1 (ja) 情報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53612A1 (ja) 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3153439A1 (ja) ペット管理システム
Wang et al. Optimizing Public Health Data Collection From Internet of Things Sensors: An Integrated Data-Sharing Platform
JP2023128214A (ja) 動物観察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