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245B1 -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245B1
KR101936245B1 KR1020180061324A KR20180061324A KR101936245B1 KR 101936245 B1 KR101936245 B1 KR 101936245B1 KR 1020180061324 A KR1020180061324 A KR 1020180061324A KR 20180061324 A KR20180061324 A KR 20180061324A KR 101936245 B1 KR101936245 B1 KR 10193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orming
extender
molding machin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구
윤상민
Original Assignee
남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구 filed Critical 남상구
Priority to KR102018006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06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annul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형단면을 갖는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1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하는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결합공(32)을 갖는 링크브라켓(30)을 삽입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링크삽입기(200);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연결된 적재파이프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공급수단에 의해 1개씩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외측포밍확장부(4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외측면에 푸시너트(52)를 삽입하는 푸시너트 삽입기(400);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차 가압하여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마감확장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0) 상에 푸시너트(52)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 상기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에 의해 푸시너트(52)가 고정되면, 샤프트(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를 프레싱 하여 마감고정하는 프레스성형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Forming apparatus of link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너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시트 트랙을 따라 시트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 인 장치와 같은 편의 장치도 구비되는데, 이러한 워크 인 장치는 시트를 이동 간격을 조절하고 시트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즉, 최전방 위치로 시트를 이동한 후 고정 상태로 전환시켜 주는 시트 트랙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시트 트랙 내부로는 링크수단을 설치하고, 이러한 링크수단을 시트 외측으로 설치된 손잡이에 연결해 시트 쿠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높이조절 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시트 높이조절 장치는 통상적으로, 시트 쿠션 내에서 시트쿠션의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양한 구조의 펌핑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레버의 업·다운 동작을 시트 쿠션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수단과, 동작 완료된 시트쿠션의 링크수단을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하는 브레이크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펌핑 디바이스 작동 시 시트 쿠션을 올려주는 링크수단이 힌지 결합 부위를 이용해 원활한 상승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링크 어셈블리를 갖추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링크 어셈블리는 공개특허 제10-2010-0048784호에 개시된 차량용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의 링크브라켓에서와 같이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 상에 링크브라켓을 용접고정해야 하고, 용접부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부위를 포함한 샤프트 및 링크브라켓 전체를 도장처리 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0-004878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단면을 갖는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1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하는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결합공(32)을 갖는 링크브라켓(30)을 삽입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링크삽입기(200);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연결된 적재파이프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공급수단에 의해 1개씩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외측포밍확장부(4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외측면에 푸시너트(52)를 삽입하는 푸시너트 삽입기(400);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차 가압하여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마감확장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0) 상에 푸시너트(52)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 상기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에 의해 푸시너트(52)가 고정되면, 샤프트(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를 프레싱 하여 마감고정하는 프레스성형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및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형성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샤프트(10)를 고정지지하도록 상향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2,302,50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향안착홈 상에 지지된 샤프트(10)의 상부측을 고정하도록 하향안착홈이 형성된 승하강 구조를 갖는 상부지지체(104,304,504)가 하부지지체(102,302,502)의 상부측에 대칭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10)가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및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의 하부지지체(102,302) 및 상부지지체(104,3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주하여 구비된 1차포밍기(92) 및 2차포밍기(94)를 실린더(107, 307)의 작동으로 샤프트(10)의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가 성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샤프트(10)가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의 하부지지체(502) 및 상부지지체(5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통공부 양측에 삽입되면서 양측 단부(11,1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외측확장형 3차포밍기(96)에 의해 마감확장부(54)가 성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는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4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외측포밍확장부(40)가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3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형성을 위한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측 내측포밍확장부(20) 사이의 전체 구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 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를 가압하는 2차포밍기(9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외측포밍확장부(40)를 성형하는 동시에 회전수단에 연결된 2차포밍기(94)를 회전시켜가면서 비틀림력을 작용시켜 외측포밍확장부(40)가 비틀림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에 오버랩되도록 하여 외측포밍확장부(40)가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 사이에 진입 마찰되면서 비틀림회전력에 의해 강한 밀착력과 고정력을 동시에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에는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의 오버랩부(35,45)가 삽입되어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공(32)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부(34)가 형성된 것을 사용토록 하되,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에 오버랩되는 깊이를 깊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노치부(34)에 마주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으로 돌출연장부(62)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연장부(62)는 노치부(34)에 대응부 및 비대응부로 분할되도록 상호간에 절개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 내부로의 돌출연장부(6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인근한 돌출연장부(62) 사이에 깊이제한돌출부(64)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의 사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에서 바라 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에서 바라 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따른 공정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너트 삽입기 및 푸시너트 고정성형기의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링크삽입기(200),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푸시너트 삽입기(400),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 프레스성형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1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은 도 4를 참조하여 볼 때 샤프트(10)의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측 내측포밍확장부(20) 사이의 전체 구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샤프트(10)를 고정지지하도록 상향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2)가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향안착홈 상에 지지된 샤프트(10)의 상부측을 고정하도록 하향안착홈이 형성된 상부지지체(104)가 하부지지체(102)의 상부측에 대칭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체(104)는 하부지지체(102) 상에 샤프트(10)가 안착지지된 후, 그 상부에서 가압되어져야 하므로 상부지지체(104)가 승하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하강 구조는 실린더 장치 등의 수단을 통해 구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10)가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의 하부지지체(102) 및 상부지지체(1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주하여 구비된 1차포밍기(92)를 실린더(107)의 작동으로 샤프트(10)의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내측포밍확장부(20)가 성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를 통해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가 형성되면, 그 샤프트(10)는 링크삽입기(200)로 이동된다. 이때, 샤프트(10)가 내측포밍확장부(20)로부터 링크삽입기(200)로 이동시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샤프트(10)의 하부측에서 샤프트(10)를 승강시킨 후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구조는 후술되는 모든 공정단계를 거치는 동안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링크삽입기(200)는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결합공(32)을 갖는 링크브라켓(30)을 삽입결합하여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연결된 적재파이프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공급수단에 의해 1개씩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링크삽입기(200)에 의해 샤프트(10)의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에 링크브라켓(30)이 삽입밀착되면, 그 상태로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로 이동된다.
상기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는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외측포밍확장부(4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를 통해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면, 샤프트(10)는 푸시너트 삽입기(400)로 이동된다.
상기 푸시너트 삽입기(400)는 외측포밍확장부(40)의 외측면에 푸시너트(52)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조는 상술된 링크삽입기(200)에서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상기 푸시너트 삽입기(400)를 통해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 상에 푸시너트(52)가 삽입되면 이는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로 이동된다.
상기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는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차 가압하여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마감확장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0) 상에 푸시너트(52)가 밀착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가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의 하부지지체(502) 및 상부지지체(5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통공부 양측에 삽입되면서 양측 단부(11,1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외측확장형 3차포밍기(96)에 의해 마감확장부(54)가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된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의 구성을 포함한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및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의 구성을 동일적용하여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및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형성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샤프트(10)를 고정지지하도록 상향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2,302,50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향안착홈 상에 지지된 샤프트(10)의 상부측을 고정하도록 하향안착홈이 형성된 승하강 구조를 갖는 상부지지체(104,304,504)가 하부지지체(102,302,502)의 상부측에 대칭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가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및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의 하부지지체(102,302) 및 상부지지체(104,3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주하여 구비된 1차포밍기(92) 및 2차포밍기(94)를 실린더(107, 307)의 작동으로 샤프트(10)의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가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에 의해 푸시너트(52)가 고정되면, 샤프트(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를 프레싱 하여 마감고정하는 프레스성형부(600)를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의 다음 공정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는 아래와 같은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방법으로 구현된다.
<S1단계>
-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1의 (a)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샤프트(10)를 구비한 후,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1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한다.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에서 마주하는 내측으로 이동되는 1차포밍기(92)에 의해 성형되며, 이때, 상기 1차포밍기(92)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를 각각 가압파지 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10)의 외주연 상에 일정한 돌출높이를 갖는 내측포밍확장부(2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S2단계>
- S1단계가 완료되면, 도 1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링크브라켓(30)을 삽입결합하여 밀착시킨다.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샤프트(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0)에 형성된 내측포밍확장부(20)와 링크브라켓(30)의 밀착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결합공(32)의 내주연 상에 노치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노치부(34)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S3단계>
- S2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도 1의 (d)에서와 같이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외측포밍확장부(4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S3단계에서 형성되는 외측포밍확장부(40)는 내측포밍확장부(20)와의 사이에 링크브라켓(30)을 밀착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에서 마주하는 내측으로 이동되는 2차포밍기(94)에 의해 성형되며, 이때, 상기 2차포밍기(94)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를 각각 가압파지 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10)의 외주연 상에 일정한 돌출높이를 갖는 외측포밍확장부(4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S4단계>
- S3단계가 완료되면, 도 2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외측면에 푸시너트(52)를 삽입한 다음,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차 가압하여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마감확장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0) 상에 푸시너트(52)가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S4단계에서 형성되는 마감확장부(54)는 푸시너트(52)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에서 마주하는 내측으로 이동되는 3차포밍기(96)에 의해 성형되며, 이때, 상기 3차포밍기(96)는 샤프트(10)의 통공부 양측에 삽입되면서 양측 단부(11,1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외측확장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방법은 상술된 S1∼S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다양한 실시에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일실시예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는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4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외측포밍확장부(40)가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3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은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의 오버랩부(35,45)가 삽입되어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공(32)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부(34)가 형성된 것을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형성을 위한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 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비틀림력을 작용시켜 외측포밍확장부(40)가 비틀림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에 오버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은 도 4를 참조하여 볼 때 샤프트(10)의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측 내측포밍확장부(20) 사이의 전체 구간이며,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는 도 4의 (d)에서와 같이 실린더(307)에 의해 작동되는 2차포밍기(94)에 의해 가압되면서 성형되는데, 이때, 외측포밍확장부(40)에 비틀림 작용 시, 상기 2차포밍기(9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외측포밍확장부(40)를 성형하는 동시에 2차포밍기(94)를 회전시켜가면서 비틀림력이 작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틀림력은 2차포밍기(94)의 직진 작동에 대해 회전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2차포밍기(94)에 회전수단이 연결되는 통상의 구조로서 구현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회전수단은 통상의 모터 등으로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비틀림이 작용되면 외측포밍확장부(40)가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 사이에 진입 마찰되면서 비틀림회전력에 의해 강한 밀착력과 고정력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에 오버랩되는 깊이를 깊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노치부(34)에 마주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으로 돌출연장부(6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연장부(62)는 노치부(34)에 대응부 및 비대응부로 분할되도록 상호간에 절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 내부로의 돌출연장부(6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인근한 돌출연장부(62) 사이에 깊이제한돌출부(6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에 의하면, 링크 어셈블리 조립과정에서 샤프트를 순차적으로 포밍하면서 순차적으로 포밍되는 양측 포밍부 사이에 링크브라켓을 비틀림 작용시키면서 결합고정함으로써 용접, 도장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공정 및 생산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샤프트 100 :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
200 : 링크삽입기 300 :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
400 : 푸시너트 삽입기 500 : 푸시너트 고정성형기

Claims (10)

  1. 원형단면을 갖는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1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내측포밍확장부(20)를 형성하는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결합공(32)을 갖는 링크브라켓(30)을 삽입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링크삽입기(200);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연결된 적재파이프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공급수단에 의해 1개씩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하여 샤프트(10) 상에 외측포밍확장부(4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이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외측면에 푸시너트(52)를 삽입하는 푸시너트 삽입기(400);
    상기 샤프트(10)의 중간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차 가압하여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마감확장부(5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샤프트(10) 상에 푸시너트(52)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
    상기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에 의해 푸시너트(52)가 고정되면, 샤프트(1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를 프레싱 하여 마감고정하는 프레스성형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 및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는 샤프트(10)의 양측 단부(11,12)에 형성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샤프트(10)를 고정지지하도록 상향안착홈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2,302,50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향안착홈 상에 지지된 샤프트(10)의 상부측을 고정하도록 하향안착홈이 형성된 승하강 구조를 갖는 상부지지체(104,304,504)가 하부지지체(102,302,502)의 상부측에 대칭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10)가 내측포밍확장부 성형기(100) 및 외측포밍확장부 성형기(300)의 하부지지체(102,302) 및 상부지지체(104,3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주하여 구비된 1차포밍기(92) 및 2차포밍기(94)를 실린더(107, 307)의 작동으로 샤프트(10)의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가 성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샤프트(10)가 푸시너트 고정성형기(500)의 하부지지체(502) 및 상부지지체(504) 사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통공부 양측에 삽입되면서 양측 단부(11,12)를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외측확장형 3차포밍기(96)에 의해 마감확장부(54)가 성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는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4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고,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외측포밍확장부(40)가 포밍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내측으로 일부 오버랩부(35)가 형성되어 고정지지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측포밍확장부(40)의 형성을 위한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면에 밀착된 링크브라켓(30)의 외측에 샤프트(10)의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양측 내측포밍확장부(20) 사이의 전체 구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2차 가압 시, 샤프트(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11,12)를 가압하는 2차포밍기(9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외측포밍확장부(40)를 성형하는 동시에 회전수단에 연결된 2차포밍기(94)를 회전시켜가면서 비틀림력을 작용시켜 외측포밍확장부(40)가 비틀림되면서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에 오버랩되도록 하여 외측포밍확장부(40)가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 사이에 진입 마찰되면서 비틀림회전력에 의해 강한 밀착력과 고정력을 동시에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크브라켓(30)의 결합공(32)에는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의 오버랩부(35,45)가 삽입되어 내측포밍확장부(20) 및 외측포밍확장부(40) 사이에서 링크브라켓(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공(32)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치부(34)가 형성된 것을 사용토록 하되, 상기 내측포밍확장부(20)는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에 오버랩되는 깊이를 깊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노치부(34)에 마주하는 내측포밍확장부(20)의 외측으로 돌출연장부(62)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연장부(62)는 노치부(34)에 대응부 및 비대응부로 분할되도록 상호간에 절개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크브라켓(30)의 노치부(34) 내부로의 돌출연장부(6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인근한 돌출연장부(62) 사이에 깊이제한돌출부(64)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61324A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KR10193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24A KR101936245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324A KR101936245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245B1 true KR101936245B1 (ko) 2019-01-08

Family

ID=6502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24A KR101936245B1 (ko) 2018-05-29 2018-05-29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834B1 (ko) * 2022-10-07 2023-04-12 주식회사 삼광테크 파이프 어셈블리용 코킹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784A (ja) * 2006-06-02 2009-11-1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両シート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2011000620A (ja) * 2009-06-19 2011-01-06 Showa Denko Kk パイプと被接合部材との接合方法
KR101580499B1 (ko) * 2015-06-08 2015-12-28 주식회사 미진이앤아이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 제조장치
KR101655029B1 (ko) * 2015-05-20 2016-09-06 주식회사다스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8784A (ja) * 2006-06-02 2009-11-1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両シート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2011000620A (ja) * 2009-06-19 2011-01-06 Showa Denko Kk パイプと被接合部材との接合方法
KR101655029B1 (ko) * 2015-05-20 2016-09-06 주식회사다스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
KR101580499B1 (ko) * 2015-06-08 2015-12-28 주식회사 미진이앤아이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834B1 (ko) * 2022-10-07 2023-04-12 주식회사 삼광테크 파이프 어셈블리용 코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828B2 (ja) クレードル組立体
CN101778734B (zh) 车用座椅的可调整角度的装置
KR101261673B1 (ko) 차량 시트 프레임 및 방법
US20210001755A1 (en) Vehicle seat structural component, vehicle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seat structural component
EP2985174B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US20100327624A1 (en) Reinforcing part for an air-guid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KR101936245B1 (ko)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장치
EP08706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automotive bumper beam
US20190092115A1 (en) Control ar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arm
US9234559B2 (en) Joined body,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ber
US20140145491A1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36248B1 (ko)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링크 어셈블리 조립 성형방법
US20040135411A1 (en) Hydro-formed seat adjuster system
KR101655029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
US11007840B2 (en) Bear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bilizer of a vehicle
CN109843697A (zh) 汽车的转向柱以及转向柱的制造方法
JPH09193630A (ja) 車両用タイヤホイールの走行特性改善装置
US11110836B2 (en) Vehicle seat structural component and vehicle seat
KR100349706B1 (ko) 허브판의 형성 방법과 허브판의 형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압착 롤러 및 압착기
EP1219853B1 (en) Method of producing vibration-isolating bushing
JP2004019494A (ja) エンジン用組立式カムシャフ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70132A (zh) 具有用于导轨的不同的固定部位的车窗玻璃升降器组件
CN108725271B (zh) 机动车座椅的高度调节机构以及用于制造这种高度调节机构的方法
KR101856879B1 (ko)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의 브래킷 결합방법
US10625549B2 (en) Wheel link for receiving a bearing i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