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22B1 -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22B1
KR101935822B1 KR1020170068751A KR20170068751A KR101935822B1 KR 101935822 B1 KR101935822 B1 KR 101935822B1 KR 1020170068751 A KR1020170068751 A KR 1020170068751A KR 20170068751 A KR20170068751 A KR 20170068751A KR 101935822 B1 KR101935822 B1 KR 10193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ball
heating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082A (ko
Inventor
최성봉
Original Assignee
(주)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코 filed Critical (주)알코
Publication of KR2018011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 배관에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보충수 배관에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충수 배관에는 체크밸브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볼 밸브로서 탄성을 갖는 수지재질의 볼 부분이 공전하면서 밸브의 구멍을 가압하여 폐쇄하기 때문에 별도의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누수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부분은 일측에 평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체 이동시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다.

Description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water filling system including DHW valve and CHW valve}
본 발명은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충수를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인 난방용 보일러는 버너와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일러에는 급탕을 사용하기 위해 난방수배관과는 별도로 직수배관이 구비되어 있다.
보일러를 초기에 설치할 때에는 보일러 및 난방유로에 물을 채워주어야 하며 또한 보일러를 오랜시간 사용하면 보일러의 난방수배관에 채워져 있던 난방수가 증발 등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난방수를 보충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직수배관과 난방수배관을 연결하는 보충수 배관이 형성되는데 보충수배관은 난방수를 보충할 때에만 사용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차단됨으로써 난방수가 직수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7은 종래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간략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은 온수(급탕)를 공급하기 위해 직수배관과 연결된 급탕밸브(103)와 난방수배관에 연결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난방수밸브(105)의 사이에 구리재질로 된 보충수배관(100)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보충수배관(100)은 급탕밸브(103)와 난방수밸브(105)와는 별도 부품으로 된 것이어서 급탕밸브(103) 및 난방수밸브(105)와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보충수배관(100)의 한쪽에는 별도로 체크밸브(미도시)를 결합시켜 설치하였고, 보충수배관과 난방수밸브의 사이에 수격감소를 위한 별도의 보조밸브(101)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보충수 공급장치는 보충수배관에 별도로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별도 부품인 급탕밸브(103)와 난방수밸브(105)에 보충수배관을 조립해야 했으며, 이에 더해서 수격방지를 위한 별도의 보조밸브(101)까지 설치해야 했으므로 부품수의 증가를 가져와 비용이 증가되며 설치작업 또한 복잡하였다.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국제공개공보 WO96-06308호의 "valve"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충수 공급을 위한 보충수배관에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를 각각 볼이 공전하는 방식의 밸브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만으로 누수가 거의 완벽하게 방지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수밸브 및 직수밸브 그 자체에서 수격방지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므로 수격방지를 위해 추가적인 보조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유체의 압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한 보충수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난방수 배관에 연결되는 난방수밸브와, 직수 배관에 연결되는 급탕밸브 및 상기 난방수밸브와 상기 급탕밸브가 양단에 결합되며 보충수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보충수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보충수 배관에는 직수배관에서 난방수배관을 향하는 일방향만으로의 소통을 허용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수밸브 및 상기 급탕밸브 각각은 볼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볼에 의해 구멍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밸브의 보충수유입구는 수격방지를 위하여 난방수배출구 및 난방수유입구보다 구멍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은 볼의 구형부의 중심과 볼회전축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도록 편심된 지점에서 볼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은 구형상으로 된 구형부와 상기 구형부의 타측에 형성된 유로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에 의하면, 보충수 배관에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충수 배관에는 체크밸브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에서는 볼 밸브로서 탄성을 갖는 수지재질의 볼을 사용하고 볼이 공전하면서 밸브의 구멍을 압박하여 폐쇄하기 때문에 밸브의 구멍에 별도의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누수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의 볼은 구형상과 평면부를 동시에 구비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밸브 내부에서 유체의 이동시의 소통경로 방해를 최소화시켜줌으로써 유체 이동시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난방수밸브 그 자체에 보충수유입구의 크기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밸브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조립시간이 줄어들고 제품 원가도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의 볼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보충수공급모드에서의 볼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보충수 공급모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수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실선으로 도시된 볼의 위치는 볼이 난방수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며, 파선으로 도시된 볼의 위치는 볼이 보충수유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종래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의 볼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보충수공급모드에서의 볼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보충수 공급모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은 보충수배관(10)과 보충수배관(10)의 양단에 형성된 난방수밸브(20) 및 급탕밸브(40)를 포함한다.
보충수배관(10)은 급탕밸브(40)와 난방수밸브(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난방수배관으로 보충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보충수배관(10)의 일단에 제1결합부(11)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11)가 급탕밸브(40)의 보충수배출포트(42)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제2결합부(12)가 형성되어 난방수밸브(20)의 보충수유입포트(21)에 연결된다.
보충수배관(10)의 제1결합부(11)에는 제1결합부(11)에서 제2결합부(12)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물의 이동만을 허용하고 이와 반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체크밸브(13)가 형성되고 제2결합부(12)에는 제2결합부(12)에서 난방수밸브(2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물의 이동만을 허용하고 이와 반대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체크밸브(14)가 형성되어 있다. 보충수배관(10)의 중앙 일지점에는 필요시에 보충수배관(10)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마개(16)를 구비한 드레인포트(15)가 형성되어 있다.
보충수배관(10)의 제1결합부(11)에는 후술할 급탕밸브(40)의 보충수배출포트(42)가 결합되고 제2결합부(12)에는 추술할 난방수밸브(20)의 보충수유입포트(21)가 결합된다. 급탕밸브(40)와 난방수밸브(20)는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 각각의 측방향에서 볼트(18)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난방수밸브(20)는 보충수배관(10)에 연결되어 보충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보충수유입포트(21)와, 난방수배관(미도시)에 연결되어 난방수를 배출하는 난방수배출포트(22)와, 역시 난방수배관에 연결되어 난방수배관을 거쳐 난방지점을 거쳐 복귀하는 난방수가 유입되는 난방수유입포트(23)가 형성되어 있다.
난방수밸브(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난방수밸브(20)의 내부 공간(24)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난방수배출포트(22)와 연결되는 난방수배출구(25)와, 난방수유입포트(23)와 연결되는 난방수유입구(26)와, 보충수유입포트(21)에 연결되는 보충수유입구(27)가 형성되어 있다.
난방수밸브(20)의 내부에는 보충수유입구(27)와 난방수배출구(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볼 회전부(볼밸브에 해당됨)가 형성되어 있다. 볼 회전부는 볼(30)과 볼회전축(33)과 볼회전축(33)을 회전시키는 손잡이(35)로 구성된다.
볼(30)은 보충수유입구(27) 및 난방수배출구(25)를 막아서 차단시키는 것으로서 보충수유입구(27)와 난방수배출구(25)에 밀착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함으로써 보충수유입구(27)와 난방수배출구(25)를 누설 없이 폐쇄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수지재질로 형성된다. 볼(30)은 구의 형상과 동일한 구형부(31)와 구형부(31)의 타측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32)로 구성된다. 탄성변형이 가능한 수지재질은 다양한 공지된 재질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볼(30)의 평면부(32)는 유로확장부라고도 지칭할 수 있는데 평면부(32)에 의해 볼(30)이 밸브 내부공간상의 유로를 가로막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유체 이동시의 압력손실이 최소화된다. 유로확장부는 유로를 가로막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라면 꼭 평면부만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볼(30)은 구형부(31)의 중심이 볼회전축(33)의 회전중심을 벗어나서 편심되게 결합됨으로써 볼회전축(33)의 회전시 볼(30)은 공전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볼(30)은 볼회전축(33)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볼(30)에는 다각형의 구멍에 형성되고 볼회전축(33)은 다각형의 결합부가 볼(3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볼(30)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시에 볼(30)의 구형부(31)는 항상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볼회전축(33)은 볼(30)에 결합되어 난방수밸브(20)의 내부공간에서 볼(30)을 공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난방수밸브(20)의 외측에서 난방수밸브(20)의 내부공간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며 일단이 볼(30)의 중심에서 벗어난 편심된 지점에서 볼(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난방수밸브(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35)에 결합된다. 볼회전축(33)이 볼(30)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볼회전축(33)이 회전하면 볼(30)은 난방수밸브(20)의 내부공간에서 볼회전축(33)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급탕밸브(40)는 상수도의 물이 유입되는 직수배관(미도시)에 연결되는 직수배관연결포트(41)와, 보충수배관(10)에 연결되는 보충수배출포트(42)와, 급탕배관(미도시)이 연결되는 급탕배관연결포트(43)가 형성되어 있다. 직수배관연결포트(41)와 급탕배관연결포트(43)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경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보충수배출포트(42)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경은 직수배관연결포트(41) 및 급탕배관연결포트(43)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급탕밸브(4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급탕밸브(40)의 내부 공간(44)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직수배관연결포트(41)와 연결되는 직수유입구(45)와, 보충수배출포트(42)에 연결되는 보충수배출구(46)와, 급탕배관연결포트(43)와 연결되는 직수배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급탕밸브(40)의 내부에는, 난방수밸브(20)의 "볼 회전부"와 동일한 구성인, 구형부(51)와 평면부(52)가 형성된 볼(50)과 볼회전축(53) 및 손잡이(55)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밸브(40)의 볼 회전부는 난방수밸브(20)의 볼 회전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급탕밸브(40)의 볼 회전부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재한 난방수밸브(20)의 볼 회전부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난방수밸브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실선으로 도시된 볼의 위치는 볼이 난방수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며, 파선으로 도시된 볼의 위치는 볼이 보충수유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수 공급모드에서는 난방수밸브(20)의 손잡이(35)를 회전시키면 볼회전축(33)에 편심되게 결합된 볼(30)은 볼회전축(33)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여 난방수배출구(25)를 폐쇄하고 보충수유입구(27)를 개방한다. 즉 손잡이(35)를 회전시키면 볼(30)이 볼회전축(33)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공전하면서 볼(30)의 구형부(31)가 난방수배출구(25)를 향해서 움직이면서 난방수배출구(25)에 점차 접근하고 난방수배출구(25)에 닿아서 난방수배출구(25)를 가압하면서 밀착하면 난방수배출구(25)가 폐쇄된다. 여기서 볼(3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볼(30)이 공전하다가 볼(30)이 난방수배출구(25)에 접촉한 후 난방수배출구(25)를 가압하게 되므로 볼(30)의 가압력에 의해 볼(30)은 탄성변형을 하면서 난방수배출구(25)를 강하게 압박하는 상태가 되므로 난방수배출구(25)의 폐쇄가 매우 강하게 이루어진다. 즉 볼(30)은 공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즉 볼(30)이 난방수배출구(25)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난방수배출구(25)를 가압하면서 밀착하는 것이기 가능하다. 만약 볼이 자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면 볼이 난방수배출구를 가압하면서 밀착하는 것은 어렵다.
이렇게 볼(30)이 난방수배출구(25)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보충수유입구(27)를 통해 난방수밸브(20)의 내부로 유입된 보충수는 난방수유입구(26)를 통해 난방수유입포트(23)를 거쳐 난방수배관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볼(30)이 난방수배출구(25)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보충수유입구(27)에서부터 난방수유입구(26)까지 형성되는 보충수 유로상에는 볼(30)의 평면부(32)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볼(30)이 보충수 유로를 가로막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보충수 공급시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보충수 공급 유로상에 방해물이 많으면 많을수록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여 유체의 압력손실이 크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압력손실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난방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난방수밸브(20)의 손잡이(35)를 회전시키면 볼(30)은 공전하여 보충수유입구(27)를 폐쇄하고 난방수배출구(25)를 개방한다. 볼(30)이 보충수유입구(27)를 폐쇄하는 경우에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볼(30)이 보충수유입구(27)에 밀착하여 탄성변형을 하면서 보충수유입구(27)를 강하게 폐쇄시킨다.
여기서 난방수배출구(25)와 난방수유입구(26)의 구멍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보충수유입구(27)의 구멍의 크기는 난방수배출구(25) 및 난방수유입구(26)의 구멍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난방수배출포트(22)와 난방수유입포트(23)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보충수유입포트(21)의 내경은 난방수배출포트(22)와 난방수유입포트(2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보충수유입포트(21)의 내경은 난방수배출포트(22)와 난방수유입포트(23)의 내경의 1/2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충수유입포트(21)의 유로 단면적은 1/4로 작아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충수유입구(27)의 구경은 난방수배출구(25)의 구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볼(30)의 구형부(31)에서 난방수배출구(25)에 접촉하는 지점(A)과 보충수유입구(27)에 접촉하는 지점(B)은 서로 다르다. 즉 볼(30)의 구형부(31)에서 난방수배출구(25)에 접촉하는 지점(A)이 보충수유입구(27)에 접촉하는 지점(B)의 바깥쪽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볼(30)이 공전하면서 볼(30)의 구형부(31)가 난방수배출구(25) 및 보충수유입구(27)에 접촉할 때 마찰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보충수유입구(27)의 크기를 난방수배출구(25)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충수유입구(27)와 마찰되는 지점(B)과 난방수배출구(25)와 마찰되는 지점(A)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마찰에 따른 볼(30)의 마모의 지점이 다르기 때문에 마모되는 지점이 분산되므로 결론적으로는 마모량이 작아서 볼(30)의 수명이 더 길어지는 것이다. 만약 난방수배출구(25)와 보충수유입구(27)의 구멍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였다면 볼의 구형부(31)가 난방수배출구(25)와 마찰하는 지점과 보충수유입구(27)와 마찰하는 지점이 동일하여 마모량이 크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난방모드에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난방모드에서는 급탕밸브(40)의 손잡이(55)를 회전시켜 볼(50)이 급탕밸브(40)의 보충수배출구(46)를 폐쇄시키고 직수배출구(47)를 개방시키며, 난방수밸브(20)의 손잡이(35)를 회전시켜 볼(30)이 보충수유입구(27)를 폐쇄시키고 난방수배출구(25)를 개방시킨다.
이 때 급탕밸브(40)는 직수배출구(47)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직수배관에서 유입된 물이 직수배출구(47)를 통해 급탕배관(미도시)으로 공급되므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난방수밸브(20)의 난방수유입구(26)는 항상 열려진 상태이며 따라서 난방수배출구(25)가 개방되면 난방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난방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보충수 공급 모드에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보충수 공급 모드에서는 급탕밸브(40)의 손잡이(55)를 회전시켜 볼(50)이 보충수배출구(46)를 개방시키고 직수배출구(47)를 폐쇄시키며, 난방수밸브(20)의 손잡이(35)를 회전시켜 볼(30)이 보충수유입구(27)를 개방시키고 난방수배출구(25)를 폐쇄시킨다.
급탕밸브(40)는 보충수배출구(46)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직수배관에서 유입된 물이 보충수배출구(46)를 통해 보충수배관(1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직수배출구(47)는 폐쇄되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할 수 없다.
난방수밸브(20)는 난방수배출구(25)가 폐쇄되고 보충수유입구(27)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보충수배관(10)을 통해 난방수밸브(20)로 유입된 보충수는 난방수유입구(26)를 통해 난방수배관으로 유입되어 난방수배관의 부족한 물을 보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충수 공급시스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은 보충수배관(10)에 난방수밸브(20)와 급탕밸브(40)가 일체로 형성되고 더욱이 보충수배관(10)의 내부에는 체크밸브(13, 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급탕밸브(40), 난방수밸브(20) 및 체크밸브를 구매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생략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작업이 한층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은 난방수밸브(20)의 보충구유입구의 구멍의 크기를 난방수배출구(25) 및 난방수유입구(26)의 구멍의 크기보다 훨씬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충수의 보충이 완료된 이후 보충수의 공급을 차단할 때에 구멍의 크기가 작은 보충수유입구(27)를 닫아주기 때문에 유속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고 그 결과 압력의 변화가 작으므로 수격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다르게, 보충수유입구(27)의 크기가 난방수배출구(25) 및 난방수유입구(26)의 크기와 동일하다면 보충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밸브를 잠그어 보충수유입구(27)를 폐쇄할 때에 보충수유입구(27)의 구경이 크기 때문에 급격한 유속의 감소로 인해 난방수배관에서는 압력의 급강하가 나타나고 이와 반대로 보충수배관(10) 및 직수배관에서는 압력의 급상승이 일어나므로 배관의 파열이나 펌프 또는 밸브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은 종래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에서는 난방수밸브(105)보다 이전의 보충수배관(100)의 일지점에 보조밸브(101)를 설치하여 보충수 공급 차단을 할 때 먼저 보조밸브(101)를 닫아주어 유속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수격현상을 감소시키려는 시도를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난방수밸브(20) 그 자체에 보충수유입구(27)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밸브를 설치하지 않고도 유속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시켜 수격현상을 감소시킨 것이다. 이러한 수격현상 감소의 효과는 물론 급탕밸브(40)에서도 동일하게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충수 공급시스템에서는 볼 밸브로서 탄성을 갖는 수지재질의 볼(30, 50)을 사용하고 볼(30, 50) 부분이 공전하면서 밸브의 구멍들을 압박하여 폐쇄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밸브의 구멍 주변에 별도의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매우 강력한 밀폐가 가능하므로 누수의 발생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볼 회전부의 볼(30, 50)은 구멍을 폐쇄하는 구형부(31, 51)는 기존의 구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 반대쪽 부분은 유체의 소통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볼의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시키는 평면부(32, 52)를 형성함으로써 유체 이동시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난방수밸브(20)에서 보충수유입구(27)의 크기를 난방수배출구(25)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볼(30)의 마모의 지점이 분산되므로 볼의 수명이 더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가는 물론 급탕밸브(40)의 볼(50)에서도 동일하게 발휘된다.
10 보충수배관
13 제1체크밸브
14 제2체크밸브
15 드레인포트
20 난방수밸브
25 난방수배출구
26 난방수유입구
27 보충수유입구
30,50 볼
31,51 구형부
32,52 평면부
33,53 볼회전축
35,55 손잡이
40 급탕밸브
45 직수유입구
46 보충수배출구
47 직수배출구
100 보충수배관
103 급탕밸브
105 난방수밸브
101 보조밸브

Claims (4)

  1. 난방수 배관에 연결되는 난방수밸브;
    직수 배관에 연결되는 급탕밸브; 및
    상기 난방수밸브와 상기 급탕밸브가 양단에 결합되며 보충수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보충수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보충수 배관에는 직수배관에서 난방수배관을 향하는 일방향만으로의 소통을 허용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수밸브 및 상기 급탕밸브 각각은 볼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볼에 의해 구멍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밸브의 보충수유입구는 난방수배출구 및 난방수유입구보다 구멍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 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구형상으로 된 구형부와 상기 구형부의 타측에 형성된 유로확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수 공급 시스템.
KR1020170068751A 2017-04-24 2017-06-02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 KR101935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2436 2017-04-24
KR1020170052436 2017-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82A KR20180119082A (ko) 2018-11-01
KR101935822B1 true KR101935822B1 (ko) 2019-01-07

Family

ID=6439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751A KR101935822B1 (ko) 2017-04-24 2017-06-02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119838U (zh) * 2022-10-27 2023-06-02 浙江万得凯流体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暖设备阀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111B1 (ko) 2000-05-31 2003-04-11 (주)알코 세방향유로전환밸브
KR100646340B1 (ko) 2004-08-31 2006-11-23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삼방밸브의 수충격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111B1 (ko) 2000-05-31 2003-04-11 (주)알코 세방향유로전환밸브
KR100646340B1 (ko) 2004-08-31 2006-11-23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삼방밸브의 수충격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82A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956B2 (ja) 冷媒制御バルブ装置
US10458662B2 (en) Boiler loop system
JP6503835B2 (ja) 冷媒制御バルブ装置
US6691924B1 (en) Expansion valve having an internal bypass
CN107690543A (zh) 具有旁通回路的多通阀
CA26049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US20110062367A1 (en) Valve for Tankless Water Heater
KR101935822B1 (ko) 난방수밸브와 급탕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충수 공급시스템
US7188641B2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EP1156243A1 (en) Flow control valve
GB2545847A (en) Makeup water supply valve of boiler having air gap forming means
KR101944933B1 (ko) 체크밸브 구조
KR100446121B1 (ko) 유체 제어용 밸브
CN110242763B (zh) 流体控制阀
KR100944387B1 (ko) 원통형 밸브
JP4886273B2 (ja) 粉体用制御バルブ
US20040094214A1 (en) Piston pressure balancer for hot and cold water mixer valves
CN208204087U (zh) 可双向切换的核动阀
KR200492234Y1 (ko) 수밀성을 향상시킨 삼방밸브
US8333364B1 (en) Stopper elastomeric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US20240035578A1 (en) Ball valve
JP7187881B2 (ja) 湯水混合水栓
KR200280208Y1 (ko) 워터젯트 직기용 체크밸브
CN110860943B (zh) 一种分水结构
CN215806552U (zh) 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