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71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712B1
KR101935712B1 KR1020180010402A KR20180010402A KR101935712B1 KR 101935712 B1 KR101935712 B1 KR 101935712B1 KR 1020180010402 A KR1020180010402 A KR 1020180010402A KR 20180010402 A KR20180010402 A KR 20180010402A KR 101935712 B1 KR101935712 B1 KR 10193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an
coffee
blending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원세
Original Assignee
조원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세 filed Critical 조원세
Priority to KR102018001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712B1/en
Priority to PCT/KR2018/014748 priority patent/WO201914689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comprises: a green be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manage green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size, density, moisture, and cultivation elevation of green beans; a coffee be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manage coffee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brix, pH, and total dissolved solids (TDS) of coffee beans obtained by processing the green beans; and a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manage blending information of customized coffee beans obtained by blending a plurality of the coffee beans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preset brix, pH, and TDS. Accordingly, objective information on green beans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coffee beans are managed to provide a user with coffee beans of uniform quality.

Description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두를 원두로 가공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information processing a raw bean to a bean.

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유통, 소비되는 기호성 음료로서, 인스턴트커피, 혼합커피, 캔커피 및 원두커피의 형태로 판매 또는 소비되고 있다. 커피생두(green coffee 또는 green coffee bean)는 커피열매(coffee cherry)를 수확한 후에 그 과피와 과육을 제거하고 얻은 내부의 씨앗을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커피생두를 로스팅(焙煎)한 후에 이를 분쇄하여 분말(roasted and ground coffee)로 만들고, 뜨거운 물을 부어 그 분말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한 액체가 우리가 마시는 원두커피이다.Coffee is the most popular drink consumed in the world, and is being sold or consumed in the form of instant coffee, mixed coffee, canned coffee and coffee beans. A green coffee or green coffee bean means that after harvesting the coffee cherry, the inside of the seed is dried by removing the peel and pulp.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roasted, roasted and ground coffee, and hot water is poured to extract the coffee beans.

커피는 커피존(Coffee zone) 또는 커피벨트(Coffee belt)라고 하는 남위 25도부터 북위 25도 사이의 지역에서 재배되는데, 커피의 품종, 재배지역의 특성, 재배방법, 기후조건, 수확방법, 건조방법, 로스팅, 분쇄 등의 다양한 요소에 따라 커피의 향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ffee is grown in the area between 25 and 25 degrees south of the coffee zone or coffee bel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variety of coffe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tion area, the cultivation method, the climatic conditions, the harvesting method, It is kn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lavor of coffe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method, roasting, and grinding.

그러나, 같은 생두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이를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커피의 향미에 차이가 있으므로 원두를 가공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제대로된 분석자료가 필요하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bean sprout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lavor of the coffee depending on how the bean sprouts are process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원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품질의 원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for beans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beans to provide users with a certain quality of beans.

또한, 사용자가 요청한 커피를 분석하여 최대한 근접한 블렌딩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user is requested to analyze the coffee to obtain the blending information as close as possible.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원두정보, 블렌딩정보를 통해 판매수익에 대한 수수료를 지급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generate a profit by paying a commission for sales revenue through the bean information and blending information inputted by a plurality of users.

또한, 맞춤형 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매장을 전자지도를 통해 검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a shop to sell a customized bean off-line through an electronic m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는, 생두의 크기, 밀도, 수분, 구성영양소 및 재배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두정보를 관리하는 생두정보 관리부와,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두정보를 관리하는 원두정보 관리부와, 복수의 상기 원두를 기 설정된 브릭스(Brix), 산성도(pH) 및 TDS(Total Dissolved Solid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의 블렌딩정보를 관리하는 블렌딩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esh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for managing fresh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ize, density, moisture, constituent nutrient and cultivated altitude of a bean curd, A be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beans, And a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blending information of a customized bean blen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onditions of acidity (pH) and total dissoluted solids (TDS).

또한, 상기 생두를 가열하는 가공장소의 기온, 습도,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로스터기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정보를 관리하는 가공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machin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 humidity, a heating temperature, a heating time, and a type of a roaster in the machining area for heating the raw bean.

또한, 상기 생두정보와 상기 가공정보를 이용하여, 가열온도에 따른 상기 생두의 성분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생두의 식이섬유, 당, 나트륨, 지방, 칼슘, 철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 변화를 온도와 시간조건에 따라 분석한 분석정보를 관리하는 분석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nge in at least one of the dietary fiber, the sugar, the sodium, the fat, the calcium, and the iron component of the soybean meal is analyzed by the temperature change by the heating temperature using the green bean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And an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nalysis information analyzed according to time conditions.

또한, 상기 블렌딩정보에 따라 블렌딩한 상기 맞춤형원두를 판매한 경우, 상기 블렌딩정보를 제공한 제공자에게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거는 수수료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ee manag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ee management unit for, when the customized beans blended according to the blending information are sold, providing a predetermined fee to the provider providing the blend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블렌딩정보 관리부는, 분석대상커피로부터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상기 분석대상커피의 블렌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acquire at least one or more of Brix, acidity, TDS and inherent flavor characteristics from the coffee to be analyzed to generate blending information of the coffee to be analyzed .

또한,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 또는 상기 맞춤형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사업자의 매장 위치를 전자지도에 맵핑하여 제공하는 전자지도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map provider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map providing unit for mapping the store location of the maker who sold the green bean or the vendor selling the customized bean off-line on an electronic ma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맞춤형 원두정보 제공방법은, 생두의 크기, 밀도, 수분, 구성영양소 및 재배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두정보를 관리하는 생두정보 관리단계와,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두정보를 관리하는 원두정보 관리단계와, 복수의 상기 원두를 기 설정된 브릭스(Brix), 산성도(pH) 및 TDS(Total Dissolved Solid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의 블렌딩정보를 관리하는 블렌딩정보 관리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of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to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size, density, moisture, constituent nutrient, A bean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managing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bean processed green beans; And a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managing blending information of a customized bean in which the beans are blen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of preset Brix, acidity (pH), and TDS (Total Dissolved Solids).

이에 따라, 생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원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품질의 원두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certain quality of beans by managing objective information about beans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beans.

또한, 사용자가 요청한 커피를 분석하여 최대한 근접한 블렌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blending information as close as possible by analyzing the coffee requested by the user.

또한,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원두정보, 블렌딩정보를 통해 판매수익에 대한 수수료를 지급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fit can be generated by paying a commission for sales revenue through the bean information and blending information inputted by a plurality of users.

또한, 맞춤형 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매장을 전자지도를 통해 검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by searching the electronic map for a store that sells the customized bean off-line.

도 1은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블렌딩정보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블렌딩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전자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전자지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광고부에서 제공하는 광고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평가부에서 제공하는 평가페이지의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blending information managed by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of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lectronic map provided by the electronic map providing unit of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n advertisement page provided by an advertisement unit of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valuation page provided by the evaluation unit among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및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원두정보, 블렌딩정보, 가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제공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원두정보는 원두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의미하고, 블렌딩정보는 복수의 원두를 혼합한 특성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의미하고, 가공정보는 생두를 원두로 가공하는 가공조건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10)은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원두정보, 블렌딩정보, 가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nd a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he user terminal 10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a provider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bean information, blend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Herein, the bean information mean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n, the blending information mean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by mixing a plurality of beans,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clu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processing beans to bean Information. A specif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10 is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or request at least one or more of bean information, blend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원두 가공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복수의 원두정보, 블렌딩정보, 가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이 접속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외부의 결제서버, 통신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 인증이나 수수료 결제처리를 할 수 있다. 이하,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 및 그 제공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a server for managing information on bean processing.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and stor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ean information, blend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manages the information.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an manage the interface for the user terminal 10 to access and manag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ayment server and a communication server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fee payment processing. Hereinafter,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생두정보 관리부(110), 원두정보 관리부(120) 및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를 포함한다.2 and 3,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ffee information managing unit 110, a coffe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20, and a blending information managing unit 130.

생두정보 관리부(110)는 생두의 크기, 밀도, 습도, 구성영상소 및 재배고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생두정보를 획득한다(S110). 이 경우, 생두정보 관리부(110)는 생두샘플을 비전검사, 수분함량검사, 밀도검사, 성분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생두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생두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생두포장지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생두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두정보 관리부(110)는 생두포장지로부터 획득한 1차 정보와, 생두샘플을 물리적으로 검사한 2차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생두포장지의 1차 정보를 최종 생두정보로 결정한다.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생두샘플을 물리적으로 검사한 2차 정보를 최종 생두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The fresh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10 obtains at least one bean information among the size, density, humidity, constituent image area and cultivated altitude of the fresh bean (S110). In this case,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10 may further perform the vision check, the moisture content check, the density check, and the component check to update the bean information. Also,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10 may obtain the bean information by acqui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ean wrapper through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gene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ompares the firs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eneric wrapping paper with the second information physically examined the generic sample, and if the error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 If the deviation is out of a preset error range, the secondary information obtained by physically examining the seed sample can be determined as the final seed information.

다음으로, 원두정보 관리부(120)는 생두를 가공한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두정보를 관리한다(S120). 원두정보 관리부(120)는 각 생두에 따른 원두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 경우, 하나의 생두라도 가공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원두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두정보 관리부(120)는 각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수치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두정보 관리부(120)는 생두정보와 매칭하여 원두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두정보 관리부(120)는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외에도 원두의 밀도, 수분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관리할 수도 있다.Next,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20 manages the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Brix, acidity (pH),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beans processed green bean (S120 ). The be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0 generates and manages bean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bea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ifferent bean information according to processing conditions even if one bean is produced.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2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Brix, pH, TDS, and inherent flavor characteristics of each bean to provide quantified information.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20 may manage bean information by matching with bean information. The bean information managing unit 120 may further manage information such as the density and moisture of the bean, in addition to the Brix, the pH, the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the inherent flavor characteristics.

다음으로,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복수의 원두를 기 설정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의 블렌딩정보를 관리한다(S130).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원두정보를 이용하여 블렌딩정보를 생성하거나, 외부의 제공자로부터 블렌딩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블렌딩한 맞춤형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정보를 제공한다. 이외에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맞춤형 원두의 맛평가정보, 향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Next,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btains blending information of the customized beans blen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eans, Brix, acidity (pH), total dissolved solids (TDS) (S130).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y generate blending information using the bean information, or may receive blend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provider.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provides information on Brix, acidity,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ized beans blended. In addition,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y further provide flavor evaluation information and flavor information of the customized bean curd.

또한,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블렌딩 요청사항에 따라 블렌딩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브릭스가 1.5이고, 산성도(pH)가 5.5인 원두를 요청받는 경우, 해당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원두를 블렌딩하여 블렌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원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원두를 블렌딩하여 생성한 것이다. 이 경우, 맞춤형원두는 복수의 블렌딩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요청사항에 따른 브릭스, 산성도(pH), T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우선순위에 따른 맞춤형원두를 블렌딩하기 때문에 TDS가 다른 복수의 맞춤형원두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y generate ble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blending request items from the user. For example, if a brix is 1.5 and a bean with an acidity (pH) of 5.5 is requested, blend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blending custom bean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customized beans are created by blending a plurality of different bean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lending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the customized beans. It blends customized beans according to priorities to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s of the bricks, acidity (pH), TDS and intrinsic flavo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o that the plurality of customized beans having different TDS can be generated.

또한,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분석대상커피에 대한 블렌딩정보를 요청받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분석대상커피로부터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분석대상커피의 블렌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렌딩정보 관리부(130)는 브릭스(Brix), 산성도(pH) 및 TDS(Total Dissolved Solids) 중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블렌딩정보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브릭스(Brix) 정보가 우선순위인 경우 해당 분석대상커피의 브릭스에 가장 근접한 블렌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y request and manage blending information on the coffee to be analyzed from the user.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can obtain blending information of coffee to be analyzed by obta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from the coffee to be analyzed. In this case,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may generate and recommend a plurality of ble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iorities among Brix, acidity (pH) and TDS (Total Dissolved Solids). For example, if the Brix information is prioritized, blending information closest to the Brick of the analyzed coffee may be genera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가공정보 관리부(140) 및 분석정보 관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ing information managing unit 140 and an analysis information managing unit 150.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생두를 가공하는 장소의 기온, 습도 및 가열온도 정보를 획득한다. 이는 생두를 가공하는 조건에 따라 원두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가공지에 따라 생두가 가공된 조건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가공지에 설치된 온도계, 습도계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가공조건에 대한 정보를 가공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acquires temperature, humidity, and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place where the green bean is processed. This is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onditions. 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separately manage the machined conditions depending on the machining area.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acquire information using a thermometer, a hygrometer, or the like, which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paper. Further, 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machining conditions from the terminal of the machining person.

또한,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생두의 가공정보 외의 원두의 가공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원두의 가공정보는 원두의 혼합량, 혼합비율, 브릭스(Brix), 산성도(pH) 및 TDS(Total Dissolved Solids), 밀도, 수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두의 가공정보는 블렌딩시의 조건을 포함한다.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also manage machining information of beans other than machining information of beans.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bean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blend amount of a bean, a blending ratio, a Brix, an acidity (pH) and TDS (Total Dissolved Solids), density, and moisture informati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bean includes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blending.

또한,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가공장소에서 사용되는 가열장치의 종류를 파악하여 기계적인 특징을 가공정보로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커피 로스터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공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로스터기의 모델번호, 이미지분석을 통해 로스터기를 확정할 수 있다. 이는 로스터기의 종류에 따라 원두의 맛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Also, 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grasp the type of the heating apparatus used at the machining site and acquir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s the machin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acquire information of the coffee roaster machine. In this case, the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can confirm the roster unit through the model number and image analysis of the roster machine through the user terminal. This is because the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bea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oaster.

분석정보 관리부(150)는 생두정보와 가공정보를 기준으로, 가열온도에 따른 생두의 성분변화 특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분석정보 관리부(150)는 생두의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칼륨, 탄수화물, 식이섬유, 당류, 단백질, 카페인, 칼슘, 철분, 마그네슘과 같은 성분의 변화를 온도와 시간조건에 따라 분석하게 된다. 분석정보 관리부(150)는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을 조합하여 복수의 생두의 가공 레시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석정보 관리부(150)는 가열온도를 건조단계(110℃), 메일라드(maillard) 단계(140℃), 카라멜화 단계(160℃, 180℃, 200℃), 카보나이즈화 단계(220℃)의 구간별로 각 특성에 따른 수분 제로점, 섬유질 감소율, 당 변화, 향미손실률, 카보나이즈화 측정, 성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건조부터 탄화시작까지 구간에 따른 성분변화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가열온도 조건에 따라 생두의 구성영양소에 대한 성분변화를 통해 구현 가능한 맛을 미리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analyzes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green beans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based on the green bean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may analyze changes in components such as fat, cholesterol, sodium, potassium, carbohydrate, dietary fiber, saccharide, protein, caffeine, calcium, iron, . The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generates a plurality of raw processing recipes by combining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heating time. For example, the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may store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step (110 ° C), the maillard step (140 ° C), the caramelization step (160 ° C, 180 ° C, 200 ° C) (220 ° C), moisture loss point, fiber loss rate, sugar change, flavor loss ratio, carbonization measurement, and component chang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can be measured. This is to measure the component change from the drying to the carboniz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dict and analyze the feasible taste through the compositional change of the constituent nutrients of the green bean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condi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수수료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ee management unit 160.

수수료 관리부(160)는 블렌딩정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를 판매한 경우, 블렌딩정보를 제공한 제공자에게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한다. 수수료 관리부(160)는 블렌딩정보를 제공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블렌딩정보에 대한 제공자의 계정으로 판매금액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수수료 관리부(160)는 제공자에게 포인트나 쿠폰과 같은 보상수단으로 수수료를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customized beans blended according to the blending information are sold, the fee management unit 160 provides a predetermined fee to the provider providing the blending information. The fee management unit 160 may acquire the blending information from the provider, and may pay a predetermined rate of the sales amount to the account of the provider for the blend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ee management unit 160 may replace the fee with a compensation means such as a point or a coupon to the provider.

또한, 수수료 관리부(160)는 가공정보에 따라 가공된 원두를 판매한 경우, 가공정보를 제공한 제공자에게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할 수도 있다. 수수료 관리부(160)는 생두의 가공정보를 제공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가공정보에 대한 제공자의 계정으로 판매금액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Further, the fee management unit 160 may pay a predetermined fee to the provider who provided the processing information when the processed beans are sol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nformation. The fee management unit 160 can acquire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raw bean from the provider and can pay a predetermined rate of the sales amount to the account of the provider for the processing information.

이에 따라, 생두에 대한 가공정보, 복수의 원두에 대한 블렌딩정보를 제공한 제공자에게 판매금액의 소정 비율의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해당 제공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가공정보 또는 블렌딩정보에 따른 원두 또는 맞춤형원두의 판매가격은 제공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원두 또는 맞춤형원두에 대한 판매가격과 함께 인기도 등에 따라 랭킹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by providing a processing fee for the raw beans and a fee for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sales amount to the provider who has provided the blending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beans, the profit can be provided to the provider. The selling price of the bean or the customized bea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nformation or the blending informat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vider.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popularity or the like together with the selling price for each bean or the customized bea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전자지도 제공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map provider 170. [

전자지도 제공부(170)는 생두를 가공한 원두 또는 복수의 원두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사업자의 매장 위치를 전자지도에 맵핑하여 제공한다. 이 경우,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에 대한 정보 및 향미에 대한 수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지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검색위치 설정에 따라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지도 제공부(170)는 원두정보, 블렌딩정보, 가공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전자지도 상에 오프라인 매장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지도 제공부(170)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평점을 함께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지도에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사람들의 평가정보가 추가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electronic map provider 170 maps the store location of a vendor who sells a bean-processed bean or a customized bean blended with a plurality of beans in an off-line map to an electronic map and provides i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flavor of the beans, Brix, acidity (pH), total dissolving solids (TDS), and flavor characteristics. The electronic map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search location setting. The electronic map provider 170 may display the offline stores on the electronic map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bean information, blending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electronic map provider 170 may display and provide ratings of the respective offline store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electronic map to additionally display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eople who visited the offline stor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광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부(180)는 사용자 단말의 계정과 연관된 제3자의 SNS 계정으로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된 가공정보, 블렌딩정보를 이용한 커피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안내하는 URL이 포함된 광고페이지를 제공한다. 광고페이지에는 제3자에게 추천된 오프라인 매장의 커피를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이 안내되며, 해당 커피를 추천한 지인의 메시지가 댓글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광고페이지를 전송한 사용자가 해당 커피의 비용을 미리 결제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고부(180)는 제3자가 광고페이지를 제공받아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커피를 구매하면 광고페이지를 전송한 사용자 및 구매한 제3자에게 기 설정된 포인트나 쿠폰이 지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광고페이지를 전송한 사용자나, 해당 광고페이지를 통해 구매를 한 사용자 모두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피 매장을 이용하는 사람이 셀프 홍보를 통해 지인들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판매금액에 따라 수수료를 지급받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unit 180. [ The advertisement unit 180 may display an advertisement page including a URL for guiding an offline store selling coffee us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and blend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o a third party SNS account associated with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Lt; / RTI > On the advertisement page, the payment means is informed so that the coffee of the in-store recommended by the third party can be paid, and a message of the friend who recommended the coffee is provided as a commen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ser who transmitted the advertisement page can settle the cost of the coffee in advance and transmit it. Also, if the third party receives the advertisement page and purchases the coffee in the in-store, the advertisement unit 180 may pay a predetermined point or coupon to the user who sent the advertisement page and the third party who purchased the advertisement page. In this case, the user who transmitted the advertisement page or the user who made the purchase through the advertisement page can receive the points. Accordingly, a person using a coffee shop can recommend his / her acquaintance through self-promo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 commission according to the sales amou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는 평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부(190)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생두를 가공한 원두 또는 복수의 원두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를 이용한 커피를 마신 후 이를 평가하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어, 평가부(190)는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가공된 원두 또는 맞춤형 원두의 가공정보나 블렌딩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상태로 시음자에게 제공한 후, 시음자가 해당 커피의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고유향 특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프라인 매장에서 블라인드 커피 형태로 시음을 한 후 이를 평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valuation unit 190. The evaluation unit 190 guides the user to evaluate coffee after drinking coffee using a bean-processed bean or a plurality of beans blended in a local store. For example, the evaluator 190 may provide the tasting operator with processing information or blending information of the processed beans or customized beans provided through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Brix, the acidity (pH), total dissolving solids (TDS) an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the coffee bea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tasting in the form of a blind coffee at an off-site store and then evaluate it.

수수료 관리부(160)는 시음자가 가공정보나 블렌딩정보에 대한 평가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포인트나 쿠폰 같은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대상이 되는 커피는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전자지도 상에서 평가대상 커피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음자는 다양한 원두 또는 맞춤형 원두를 시음하면서 이를 평가할 수 있다.The fee management unit 160 may be provided with a compensation such as a point or a coupon when the evaluation of the tasting process information or the blending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is case, the coffee to be evaluated can be randomly selected, and the offline shop for selling the coffee to be evaluated can be searched for on the electronic map. Accordingly, the tester can evaluate various beans or custom beans while tasting them.

도 4는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블렌딩정보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블렌딩정보의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blending information managed by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of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도 4를 참조하면, 블렌딩정보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블렌딩정보(400)는 복수의 원두를 블렌딩하여 얻어지는 특성인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고유향 특성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향 특성은 애플, 레몬, 시트러스, 카라멜, 시나몬, 블루베리, 망고 등과 같은 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성은 복수의 원두를 블렌딩한 특성을 수치로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릭스(Brix)가 1.3, 산성도(pH)가 5, TDS가 1인 분석대상커피의 블렌딩정보(400)를 요청하는 경우,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의 수치가 가장 유사한 맞춤형 원두(S1, S2, S3, S4)를 제안할 수 있다. 이 경우, 맞춤형 원두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수치를 가지는 것을 순위별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고유향 특성으로 특정 향의 유무와 같은 정보를 우선순위로 하여 맞춤형원두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원두특성이 파악하기 어려운 분석대상커피에 최대한 근접한 맛과 향을 나타내도록 블렌딩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나타낸 특성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lending information 400 managed by the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characteristic properties obtained by blending a plurality of beans Or the like. Herein, the inherent fragrance characteristic includes information on fragrance such as apple, lemon, citrus, caramel, cinnamon, blueberry, mango and the like. This characteristic can be managed by displaying numerical values of characteristics obtained by blending a plurality of beans. For example, when requesting blending information (400) for a coffee to be analyzed having a Brix of 1.3, an acidity (pH) of 5 and a TDS of 1, the values of Brix, acidity, We can suggest the most similar customized beans (S1, S2, S3, S4). In this case, the customized beans can be ranked in order of having a numerical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also possible to recommend a customized bean with priority such as information such as presence or absence of a particular fragrance as an inherent flavor characteristic. This is to blend the coffee to be analyzed with a taste and aroma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ffee to be analyzed, which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4 may vary depending on user settings.

도 5는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전자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전자지도의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lectronic map provided by the electronic map providing unit of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지도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전자지도(50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지도(500) 상에는 복수의 아이콘(501)으로 맞춤형 원두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라 주변의 정보를 우선으로 전자지도(500)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지도(500)에는 검색창(502)이 제공되며 원두명,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고유향 특성과 같은 항목에 따라 검색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항목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효리네 커피"라는 원두명을 판매하는 매장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원두명 항목에 이를 기재하여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효리네 커피"의 블렌딩 정보를 아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성정보를 입력하여 전자지도(500) 상에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검색할 수도 있다. 전자지도(500)의 검색결과창(503)에는 검색항목과 가장 유사한 오프라인 매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지도(500) 상에는 검색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평가정보나 리뷰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에서 맞춤형 원두를 판매하고 있는 매장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nic map 500 provided by the electronic map providing uni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500,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offline store that sells customized beans using a plurality of icons 501. In this case, the electronic map 500 may be provided prior to the surrou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electronic map 500 is provided with a search window 502 and can be searched according to items such as two circles, Brix,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the search item may be changed by user setting. For example, if you want to search for a store that sells two circles named "Hyoryein coffee," you can search for it by listing it in two items. Also, if you know the blending information of "Hyoryein coffee", you can input the information directly. In addition, the user can directly search the offline store on the electronic map 500 by inputting the user-preferr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t least one offline store most similar to the search item may be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window 503 of the electronic map 500. In addition, evaluation information and review information on the searched offline stores can be confirmed on the electronic map 500. [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a store selling a customized bean in the vicinity of the user.

도 6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광고부에서 제공하는 광고페이지의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n advertisement page provided by an advertisement unit of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도 6을 참조하면,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광고부에서 제공하는 광고페이지(600)는 사용자 단말의 계정과 연관된 제3자의 SNS 계정으로 맞춤형 원두를 이용한 커피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안내하는 URL이 포함된 광고페이지(600)를 제공한다. 광고페이지(600)에는 맞춤형 원두로 된 커피에 대한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와 같은 쿠폰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URL이 포함된 광고페이지(600)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커피를 주문하면, 이를 전송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소정의 포인트가 보상될 수 있다. 또한, 광고페이지(600) 내에는 댓글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고페이지(600)에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지도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the advertisement page 600 provided by the advertisement unit of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s a URL of a third party SNS account associated with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to guide an offline store selling coffee using a customized bean And provides an included advertisement page 600. The advertisement page 600 may include coupon information such as a bar code or a courage code for coffee with a customized bean curd. When a user who has been provided with the advertisement page 600 containing a URL orders coffee in the offline store, a predetermined point can be compensated by the account of the user who transmitted the coffe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message in the form of a comment in the advertisement page 600. Also, it is possible to guide the advertisement page 600 to search for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an electronic map is additionally provided.

도 7은 도 2에 따른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평가부에서 제공하는 평가페이지의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valuation page provided by the evaluation unit among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Fig. 2;

도 7을 참조하면,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중 평가부에서 제공하는 평가페이지(700)에는 매장아이디,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 경우,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사용자가 특성정보를 미리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평가대상커피는 랜덤하게 선택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특정 종류의 맞춤형 원두로 추출된 커피를 제공받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평가대상커피를 주문하고 사용자 단말의 핸드폰 번호와 같은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인증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고유향 특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후, 인증코드를 입력하고 이를 인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특성정보를 점수화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성정보와 평가대상커피를 복호화하여 획득한 특성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미각과 후각을 이용하여 평가대상커피의 특성을 맞추도록 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포인트를 지급받아 보상받을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7, among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es, the evaluation page 700 provided by the evaluation sec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ore ID and the coffee to be evaluat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coffee to be evaluated is encrypted and the user can not grasp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advance. Also, since the coffee to be evaluated is randomly selected and provided, the user is prevented from receiving coffee extracted with a specific type of customized coffee beans. The user can receive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y ordering the coffee to be evaluated and inpu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the cell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information on the Brix, the acidity (pH), the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the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n, when the authentication code is inputted and authenticate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inputted by the user is scored and the point can be paid when the use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error range. In this case, the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an compar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by decoding the coffee to be evaluated. This allows the user to taste the taste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using the taste and smell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so that the user can be compensated for the points.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a descrip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110 : 생두정보 관리부
120 : 원두정보 관리부
130 : 블렌딩정보 관리부
140 : 가공정보 관리부
150 : 분석정보 관리부
160 : 수수료 관리부
170 : 전자지도 제공부
180 : 광고부
190 : 평가부
400 : 블렌딩정보
500 : 전자지도
501 : 아이콘
502 : 검색창
503 : 검색결과창
600 : 광고페이지
700 : 평가페이지
100: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device
110:
120: Bean information manager
130: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Processing information management section
150: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60: Fees management section
170: Electronic Map Offering
180:
190: Evaluation section
400: blending information
500: Electronic map
501: Icon
502: Search window
503: Search Results window
600: Ad page
700: rating page

Claims (7)

생두의 크기, 밀도, 수분, 구성영양소 및 재배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두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생두의 포장지로부터 획득한 1차 정보와 상기 생두의 샘플을 물리적으로 검사한 2차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상기 1차 정보를 최종 생두정보로 결정하는 생두정보 관리부;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두정보를 관리하는 원두정보 관리부;
복수의 상기 원두를 기 설정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의 블렌딩정보를 관리하되, 사용자로부터 분석대상커피에 대한 상기 블렌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수치를 가지는 순위별로 복수의 상기 블렌딩정보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블렌딩정보 관리부;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 또는 상기 맞춤형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사업자의 매장 위치를 전자지도에 맵핑하여 제공하는 전자지도 제공부;
상기 사업자의 매장에서 평가대상커피를 주문하면 사용자 단말로 평가페이지를 제공하고,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평가부; 및
상기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기 설정된 특성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특성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치 이내인 경우 포인트를 지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A method for managing green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ize, density, moisture, constituent nutrient and cultivation height of green bea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reen bean wrapper and the second information physically examined the green bean sample And determining the primary information as final seed information if the compared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 be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bean;
A method for managing blending information of a customized bea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eans are blen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of predetermined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A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d recommending a plurality of blending information for each order having a numerical value within a preset range when the blending information is requested;
An electronic map provider for mapping the store location of a maker who sold the green bean or the customized bean off-line on an electronic map to provide the store;
When ordering the coffee to be evaluated at the store of the provider, an evaluation pag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and the Brix, the acidity (pH) An evaluation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an intrinsic fragrance characteristic; And
And a compensating unit for compari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terminal and paying a point whe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두를 가열하는 가공장소의 기온, 습도, 가열온도, 가열시간 및 로스터기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공정보를 관리하는 가공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chining information manager for managing machin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 humidity, a heating temperature, a heating time, and a type of a roaster machine at a machining place for heating the raw bean sprou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두정보와 상기 가공정보를 이용하여, 가열온도에 따른 상기 생두의 성분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생두의 식이섬유, 당, 나트륨, 지방, 칼슘, 철분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 변화를 온도와 시간조건에 따라 분석한 분석정보를 관리하는 분석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alyzing a component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fresh bean according to a heating temperature by using the fresh bean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to determine at least one component change in the dietary fiber, sugar, sodium, fat, calcium, And an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nalysis information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정보에 따라 블렌딩한 상기 맞춤형원두를 판매한 경우, 상기 블렌딩정보를 제공한 제공자에게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거는 수수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ee management unit for paying a predetermined fee to the provider who provided the blending information when the customized coffee beans blended according to the blending information are sold.
삭제delete 삭제delete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의 맞춤형 원두정보 제공방법은,
생두의 크기, 밀도, 수분, 구성영양소 및 재배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두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생두의 포장지로부터 획득한 1차 정보와 상기 생두의 샘플을 물리적으로 검사한 2차 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상기 1차 정보를 최종 생두정보로 결정하는 생두정보 관리단계;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두정보를 관리하는 원두정보 관리단계;
복수의 상기 원두를 기 설정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블렌딩한 맞춤형원두의 블렌딩정보를 관리하되, 사용자로부터 분석대상커피에 대한 상기 블렌딩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수치를 가지는 순위별로 복수의 상기 블렌딩정보를 생성하여 추천하는 블렌딩정보 관리단계;
상기 생두를 가공한 원두 또는 상기 맞춤형원두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사업자의 매장 위치를 전자지도에 맵핑하여 제공하는 전자지도 제공단계;
상기 사업자의 매장에서 평가대상커피를 주문하면 사용자 단말로 평가페이지를 제공하고,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평가단계; 및
상기 평가대상커피에 대한 기 설정된 특성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특성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치 이내인 경우 포인트를 지급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원두정보 제공방법.
A personalized coffee be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personal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 method for managing green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ize, density, moisture, constituent nutrient and cultivation height of green bea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reen bean wrapper and the second information physically examined the green bean sample And determining the primary information as final seed information if the compared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 bean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managing bea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ix, acidity (pH), TDS (total dissolving soli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beans;
A method for managing blending information of a customized bea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beans are blen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dition of a predetermined Brix, acidity (pH),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intrinsic flavor characteristics, A blending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generating and recommending a plurality of blending information for each order having a numerical value within a preset range when the blending information is requested;
An electronic map providing step of mapping a store location of a maker who sold the green beans or a store selling the customized beans offline, to an electronic map;
When ordering the coffee to be evaluated at the store of the provider, an evaluation pag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input, the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and the Brix, the acidity (pH) An evaluation step of input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DS (Total Dissolved Solids) and intrinsic fragrance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the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ffee to be evaluated wi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terminal, and paying a point whe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KR1020180010402A 2018-01-29 201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KR101935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02A KR101935712B1 (en) 2018-01-29 201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PCT/KR2018/014748 WO2019146898A1 (en) 2018-01-29 2018-11-28 Customized coffe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02A KR101935712B1 (en) 2018-01-29 201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712B1 true KR101935712B1 (en) 2019-01-04

Family

ID=6501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402A KR101935712B1 (en) 2018-01-29 2018-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5712B1 (en)
WO (1) WO2019146898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735A3 (en) * 2019-11-29 2021-07-22 정지훈 Method for classifying coffee raw materials, method for providing roasting profile of raw beans using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coffee raw materials
KR20220020086A (en) * 2020-08-11 2022-02-18 롯데푸드 주식회사 Quality prediction system for finished coffee products
KR20220020158A (en) 2020-08-11 2022-02-18 성빛찬 System for providing coffee beans and method thereof
KR20220093694A (en) * 2020-12-28 2022-07-05 엠케이지 주식회사 Coffee recommend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40321A (en) 2022-09-21 2024-03-28 김재성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ffee beans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data
KR102672252B1 (en) 2021-05-25 2024-06-0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xploring extraction technique of hand drip coffee for each bean by using surrrogate mode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drip coffee machin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129A (en) * 2006-12-06 2008-06-26 Tashiro Coffee Kk Method for receiving order of coffee bean and its system
KR101123891B1 (en) * 2009-06-23 2012-03-23 (주)소셜네트워크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coffee us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40032149A (en) * 2012-09-06 2014-03-14 김영균 Control method for coffee bean roasting and blending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KR101586541B1 (en) * 2013-11-21 2016-01-19 서인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ffee data
KR20170053851A (en) * 2015-11-07 2017-05-17 김효일 controling customized coffee's concentration proces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735A3 (en) * 2019-11-29 2021-07-22 정지훈 Method for classifying coffee raw materials, method for providing roasting profile of raw beans using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coffee raw materials
KR20220020086A (en) * 2020-08-11 2022-02-18 롯데푸드 주식회사 Quality prediction system for finished coffee products
KR20220020158A (en) 2020-08-11 2022-02-18 성빛찬 System for providing coffee beans and method thereof
KR102469544B1 (en) * 2020-08-11 2022-11-23 롯데제과 주식회사 Quality prediction system for finished coffee products
KR20220093694A (en) * 2020-12-28 2022-07-05 엠케이지 주식회사 Coffee recommend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53259B1 (en) * 2020-12-28 2023-07-10 엠케이지 주식회사 Coffee recommend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72252B1 (en) 2021-05-25 2024-06-0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xploring extraction technique of hand drip coffee for each bean by using surrrogate mode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and drip coffee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0321A (en) 2022-09-21 2024-03-28 김재성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ffee beans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898A1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coffee bean information
US20190307285A1 (en) Globally networked on-demand coffee blending and brewing system
US20220358561A1 (en) System for recommending user-customized beverage through genetic test,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201300309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CN1504159A (e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delayed mixing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KR101915747B1 (en) Individual orders customized coffee-making system for automatic production from beans to coffee and method thereof
CN1378431A (en)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ering to provide customized varieties of fresh-brewed coffee on demand
Donnet et al. Price determinants in top‐quality e‐auctioned specialty coffees
CN1379635A (e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delayed dilution to provide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US20120259742A1 (en) Server apparatus, product display method, product display program, recording medium with computer-readable product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product display system
KR20200032399A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with User Designated Coffee Beans
KR102264034B1 (en) Server for for matching a user's sns account and merchandise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reof
KR20200025314A (en) AI based unmanned coffee machine management system
CN1515215A (en)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coffee beverage with different standards according to requirements by utilizing delayed dilution and its system
KR102131959B1 (en) Method for customized marketing using user preferences and genetic information and system for it
KR20020004736A (en) Shoes On-Line Sale Method Using Internet
KR20220032330A (en) User customized coffee bean supply system
KR2020007716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of total coffee solution
CN111489245B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030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KR20220020158A (en) System for providing coffee beans and method thereof
KR1019947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making orders of consumer demand
KR100838304B1 (en) The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ing locally affiliated stores
KR20230075734A (en) Personalized coffee bean information system
KR102528626B1 (en) M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ffee bean tr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