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79B1 - 굴뚝 매연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굴뚝 매연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79B1
KR101935679B1 KR1020170085231A KR20170085231A KR101935679B1 KR 101935679 B1 KR101935679 B1 KR 101935679B1 KR 1020170085231 A KR1020170085231 A KR 1020170085231A KR 20170085231 A KR20170085231 A KR 20170085231A KR 101935679 B1 KR101935679 B1 KR 10193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er
filled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길현
Original Assignee
안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길현 filed Critical 안길현
Priority to KR102017008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뚝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다단 흡착형 굴뚝 매연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1 탱크, 여기서, 제1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굴뚝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1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제1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출구에는 자갈이 충진된 제1 필터가 연결된다.

Description

굴뚝 매연 저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EXHAUST}
본 발명은 굴뚝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흡착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다단 흡착형 굴뚝 매연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뚝에서는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매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 제1645403호에서는 매연을 세척할 수 있는 굴뚝을 개시한다.
그러나 굴뚝에서 다량의 미세 먼지가 발생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매연 저감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굴뚝 상단에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매연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1 탱크, 여기서, 제1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굴뚝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1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제1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출구에는 제1 필터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2 탱크, 여기서, 제2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1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입구를 가지며, 제2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2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출구에는 제2 필터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3 탱크, 여기서, 제3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2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입구를 가지며, 제3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3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3 유출구에는 제3필터가 연결되며; 및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4 탱크, 여기서, 제4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3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입구를 가지며, 제4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4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4 유출구에는 충진된 제4 필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4필터는 배출관에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무기물 필터 또는 유기물 필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물 필터는 자갈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 필터는 톱밥 및/또는 왕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와 제2 필터는 농도가 진한 탱크 내 처리 폐액 및 증기에 견딜 수 있도록 자갈을 사용하고, 제3 필터와 제4 필터는 대부분의 미세 먼지들이 처리되고, 소량 남아 있는 먼지들을 완전히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톱밥 및 왕겨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부로 유입되는 연기가 탱크 내부에 충진된 처리액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각 탱크에는 에어 라인이 탱크 하단까지 형성되고, 에어 버블링을 통해서 접촉 면적을 늘려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굴뚝의 연기가 매연 저감 장치를 거치지 않고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유입구와 연통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배출구가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굴뚝 배출구의 밀봉은 굴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탱크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탱크들은 원통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수직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제2 탱크, 제3 탱크, 및 제4 탱크는 각각 제1 탱크, 제2 탱크, 및 제3 탱크의 상면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굴뚝 배출구의 밀봉은 별도의 덮개를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에 있어서, 상기 탱크들은 원통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제2 탱크는 제1 필터에 의해서 제1 탱크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3 탱크는 제2 필터에 의해서 제2 탱크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4 탱크는 제3 필터에 의해서 제3 탱크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내부에는 산소다수, 황산, 및/또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굴뚝 매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할 수 있다. 제1 탱크의 하단 일 측에는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 밸브가 있으며, 상단에는 탱크에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1 입고 밸브가 있다. 상기 제1 탱크에는 탱크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압력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의 내부에는 알카리소다수, 알카리와 및/또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제1 탱크를 통과한 기체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할 수 있다. 제2 탱크의 하단 일 측에는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 밸브가 있으며, 상단에는 탱크에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2 입고 밸브가 있다. 상기 제2 탱크에는 탱크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2 압력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3 탱크의 내부에는 알카리소다수, 알카리와 및/또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제2 탱크를 통과한 기체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할 수 있다. 제3 탱크의 하단 일 측에는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3 배출 밸브가 있으며, 상단에는 탱크에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3 입고 밸브가 있다. 상기 제3 탱크에는 탱크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3 압력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4 탱크의 내부에는 알카리소다수, 알카리와 및/또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제3 탱크를 통과한 기체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할 수 있다. 제4 탱크의 하단 일 측에는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4 배출 밸브가 있으며, 상단에는 탱크에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4 입고 밸브가 있다. 상기 제4 탱크에는 탱크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3 압력계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전단 탱크의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출관과, 유출관에 연결되는 필터관과, 필터관에 연결되고 후단 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 필터관, 및 유입관은 플렌지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며, 유출관과 필터관 사이, 및 필터관과 유입관 사이에는 충진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망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 또는 제3 탱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탱크로서, 굴뚝 연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설치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굴뚝에서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체가 충진되는 제1 탱크의 상단에서 기체가 충진되는 제2 탱크의 상단으로 연결되어, 제1 탱크의 액체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는 바이패스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자갈과 같은 필터가 충진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의 유량과 유속을 결정할 수 있는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매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정제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염물질을 흡착한 물은 별도로 처리되어 퇴비 등의 형태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뚝 매연 저감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뚝 매연 저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뚝 매연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도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1 탱크(100), 여기서, 제1 탱크(100)의 측면 상단에는 굴뚝(20)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110)를 가지며, 제1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1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제1 유출구(120)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출구(120)에는 자갈이 충진된 제1 필터(130)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2 탱크(200), 여기서, 제2 탱크(200)의 측면 상단에는 제1필터(130)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입구(210)를 가지며, 제2 탱크(200)의 측면 하단에는 제2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출구(220)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출구에는 자갈이 충진된 제2 필터(230)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3 탱크(300), 여기서, 제3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2필터(230)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입구(310)를 가지며, 제3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3 탱크 내부의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출구(320)를 가지며, 상기 제3 유출구(320)에는 왕겨와 톱밥이 충진된 제3필터(330)가 연결되며; 및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4 탱크(400), 여기서, 제4 탱크(400)의 측면 상단에는 제3필터(330)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입구(410)를 가지며, 제4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4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출구(420)를 가지며, 상기 제4 유출구에는 왕겨와 톱밥이 충진된 제4 필터(430)가 연결되며, 상기 제4필터(430)는 배출관(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탱크들은 상하부가 막힌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각 탱크의 상단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입고밸브(40)들이 각각 부착되며, 각 탱크의 하단에는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출고밸브(50)들이 형성되며, 각 탱크의 압력을 알 수 있도록 압력계(60)들이 부착된다.
굴뚝(20)의 연기가 매연 저감 장치를 거치지 않고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유입구와 연통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굴뚝(20)의 배출구는 밀봉재로 밀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탱크(100)의 내부에는 산 소다수, 황산, 및/또는 응집제를 물에 투입하여, 산성액(150)을 만든다. 굴뚝 매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한다. 오염물질들이 포집되어 점도가 높아지면, 제1 탱크(100)의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60)를 열어서 배출하게 된다. 오염된 물이 배출되면, 상단에 있는 입고 밸브(40)을 열어서 물을 충진하게 된다. 작동 중 탱크 내부의 압력은 압력계(50)을 통해서 측정된다.
또한, 제1 탱크(100)에는 탱크 외부에서 탱크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에어관(180), 제2 탱크(200)에는 탱크 외부에서 탱크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에어관(280), 제3 탱크(300)에는 탱크 외부에서 탱크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에어관(380), 및 제4 탱크(400)에는 탱크 외부에서 탱크 하부로 연장되는 제4 에어관(480)이 형성되어, 탱크내 처리액을 버블링하여 처리 속도를 높여 준다.
상기 제1 필터(130)는 제1 탱크(100)의 제1 유출구(120)에 연결되는 제1 필터 유입관(131)과, 제1 필터 유입관(131)에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된 제1 필터관(132)과, 제1 필터관(132)에 연결되고 제2 탱크(200)의 제2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제1 필터 유출관(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필터 유입관(131), 제1 필터관(132), 및 제1 필터 유출관(133)은 플렌지(70)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며, 제1 필터 유입관(131)과 제1 필터관(132) 사이, 및 제1 필터관(132)과 제1 필터 유출관(133) 사이에는 충진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필터관(132)에는 자갈들이 충진된다.
제1 탱크(100)의 제1 유입구(110)에는 유입된 매연이 산성액(150)으로 직접 들어가 버블링될 수 있도록 유도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탱크(100)에는 굴뚝(20)에 연결된 제1 유입구(110)을 통해서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된 매연은 산성액(150)을 거쳐서 1차 포집된 후 제1 유출구(120)으로 배출되고, 제1 유출구(120)을 통해서 매출된 매연은 제1 필터관(132)을 통과한 후, 제2 탱크(200)으로 이동한다.
제2 탱크(200)의 내부에는 알카리 소다수, 알카리, 및/또는 응집제를 물에 투입하여, 알카리액(250)을 만들어서, 제1 탱크(100)를 통과한 굴뚝 매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한다. 오염물질들이 포집되어 점도가 높아지면, 제2 탱크(200)의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60)를 열어서 배출하게 된다. 오염된 물이 배출되면, 상단에 있는 입고 밸브(40)을 열어서 물을 충진하게 된다. 작동 중 탱크 내부의 압력은 압력계(50)을 통해서 측정된다.
상기 제2 필터(130)는 제2 탱크(200)의 제2 유출구(220)에 연결되는 제2 필터 유입관(231)과, 제2 필터 유입관(231)에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된 제2 필터관(232)과, 제2 필터관(232)에 연결되고 제3 탱크(300)의 제3 유입구(310)에 연결되는 제2 필터 유출관(2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필터 유입관(231), 제2 필터관(232), 및 제2 필터 유출관(233)은 플렌지(70)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며, 제2 필터 유입관(231)과 제2 필터관(232) 사이, 및 제2 필터관(232)과 제2 필터 유출관(233) 사이에는 충진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필터관(232)에는 자갈들이 충진된다.
제2 탱크(200)의 제2 유입구(210)에는 유입된 매연이 알카리액(250)으로 직접 들어가 버블링될 수 있도록 유도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탱크(200)에는 제1탱크(100)에 연결된 제2 유입구(210)을 통해서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된 매연은 탱크 내 알카리액(250)을 거쳐서 2차 포집된 후 제2 유출구(220)으로 배출되고, 제2 유출구(220)를 통해서 매출된 매연은 제2 필터관(132)을 통과한 후, 제3 탱크(300)으로 이동한다.
제3 탱크(300)의 내부에는 알카리 소다수, 알카리, 및/또는 응집제를 물에 투입하여, 알카리액(350)을 만들어서, 제2 탱크(200)를 통과한 매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한다. 오염물질들이 포집되어 점도가 높아지면, 제3 탱크(300)의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60)를 열어서 배출하게 된다. 오염된 물이 배출되면, 상단에 있는 입고 밸브(40)을 열어서 물을 충진하게 된다. 작동 중 탱크 내부의 압력은 압력계(50)을 통해서 측정된다.
상기 제3 필터(330)는 제3 탱크(300)의 제3 유출구(320)에 연결되는 제3 필터 유입관(331)과, 제3 필터 유입관(331)에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된 제3 필터관(332)과, 제3 필터관(332)에 연결되고 제4 탱크(400)의 제4 유입구(410)에 연결되는 제3 필터 유출관(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필터 유입관(331), 제3 필터관(332), 및 제3 필터 유출관(333)은 플렌지(70)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며, 제3 필터 유입관(331)과 제3 필터관(332) 사이, 및 제3 필터관(332)과 제3 필터 유출관(333) 사이에는 충진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필터관(332)에는 톱밥과 왕겨들이 충진된다.
제3 탱크(300)의 제3 유입구(310)에는 유입된 매연이 알카리액(350)으로 직접 들어가 버블링될 수 있도록 유도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탱크(300)에는 제2탱크(200)에 연결된 제3 유입구(310)을 통해서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된 매연은 탱크 내 알카리액(350)을 거쳐서 3차 포집된 후 제3 유출구(320)으로 배출되고, 제3 유출구(320)를 통해서 매출된 매연은 제3 필터관(332)을 통과한 후, 제4 탱크(400)로 이동한다.
제4 탱크(400)의 내부에는 알카리 소다수, 알카리, 및/또는 응집제를 물에 투입하여, 알카리액(450)을 만들어서, 제3 탱크(300)를 통과한 매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한다. 오염물질들이 포집되어 점도가 높아지면, 제4 탱크(400)의 오염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60)를 열어서 배출하게 된다. 오염된 물이 배출되면, 상단에 있는 입고 밸브(40)을 열어서 물을 충진하게 된다. 작동 중 탱크 내부의 압력은 압력계(50)을 통해서 측정된다.
상기 제4 필터(430)는 제4 탱크(400)의 제4 유출구(420)에 연결되는 제4 필터 유입관(431)과, 제4 필터 유입관(431)에 연결되고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된 제4 필터관(432)과, 제4 필터관(432)에 연결되고 배출구(30)에 연결되는 제4 필터 유출관(4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필터 유입관(431), 제4 필터관(432), 및 제4 필터 유출관(433)은 플렌지(70)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며, 제4 필터 유입관(431)과 제4 필터관(432) 사이, 및 제4 필터관(432)과 제4 필터 유출관(433) 사이에는 충진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4 필터관(432)에는 왕겨와 톱밥들이 충진된다.
제4 탱크(400)의 제4 유입구(410)에는 유입된 매연이 알카리액(450)으로 직접 들어가 버블링될 수 있도록 유도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제4 탱크(300)에는 제4탱크(200)에 연결된 제4 유입구(410)을 통해서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된 매연은 탱크 내 알카리액(450)을 거쳐서 4차 포집된 후 제4 유출구(420)로 배출되고, 제4 유출구(420)를 통해서 매출된 매연은 제4 필터관(432)의 왕겨 및 톱반을 통과한 후, 배출구(30)로 배출된다.
제1 필터관(132), 제2 필터관(232), 제3 필터관(332), 및 제4 필터관(432)는사용기간이 종료될 경우, 예비된 다른 필터관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제1 필터관(132), 제2 필터관(232), 제3 필터관(332)에 충진된 자갈들은 하부 탱크의 액체들이 상부 탱크로 넘어가지 못하게 하며, 기화된 하부 탱크의 증기들을 응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4 필터관(432)에 충진된 왕겨와 톱밥은 연기에 포함되는 걸러지지 않은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관들을 포함하는 필터들은 상부 탱크를 하부 탱크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탱크(100)의 상단에는 제2 탱크(200)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관(600)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다량의 매연이 발생할 경우 제1 탱크(100)에서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2 탱크(200)으로 넘어감으로서, 매연량의 편차에 대응하게 된다. 바이패스관(600)에는 자갈을 충진하여 필터링하며, 밸브(60)를 설치하여 바이패스관(600)을 통과하는 매연의 양과 속도를 조절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탱크(100), 제2 탱크(200), 제3탱크(300), 제4탱크(400)는 수평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탱크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여러 개가 배치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1 탱크, 여기서, 제1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굴뚝의 일측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를 가지며, 제1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1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제1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출구에는 제1 필터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2 탱크, 여기서, 제2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1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입구를 가지며, 제2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2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출구에는 제2 필터가 연결되며;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3 탱크, 여기서, 제3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2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입구를 가지며, 제3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3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3 유출구에는 제3필터가 연결되며; 및
    내부 수위를 알 수 있도록 측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투명창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수위로 물이 채워진 제4 탱크, 여기서, 제4 탱크의 측면 상단에는 제3필터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입구를 가지며, 제4 탱크의 측면 하단에는 제4 탱크 내부를 거쳐서 연기가 배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4 유출구에는 제4 필터가 연결되며, 상기 제4필터는 배출관에 연결되며;
    각 탱크에는 탱크 하부까지 연장되는 버블링용 에어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탱크의 상단에서 제2 탱크의 상단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관을 가지며,
    상기 제1, 2, 3, 4 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응집제를 포함하는 산성액이 소정 수위로 충진되며,
    상기 제1, 2, 3, 및 4 탱크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응집제를 포함하는 알카리액이 소정 수위로 충진되며,
    상기 제1 필터, 제2 필터, 및 바이패스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갈이 충진되고,
    상기 제3 필터 및 제4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톱밥, 왕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85231A 2017-07-05 2017-07-05 굴뚝 매연 저감 장치 KR10193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31A KR101935679B1 (ko) 2017-07-05 2017-07-05 굴뚝 매연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231A KR101935679B1 (ko) 2017-07-05 2017-07-05 굴뚝 매연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679B1 true KR101935679B1 (ko) 2019-04-03

Family

ID=6616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31A KR101935679B1 (ko) 2017-07-05 2017-07-05 굴뚝 매연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935A (ko) 2021-08-23 2023-03-03 최용준 친수성질을 이용한 유해입자 배출 저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1315A (ja) * 2009-03-02 2010-09-16 Fujifilm Corp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KR20110030241A (ko) * 2009-09-15 2011-03-23 김유상 배출가스에 함유된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KR20110038500A (ko) * 2009-10-08 2011-04-14 김태환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20130096104A (ko) * 2012-02-21 2013-08-29 (주)하이에코텍 공기 정화장치
KR101457814B1 (ko) * 2013-08-14 2014-11-03 곽삼영 가스여과장치 및 가스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1315A (ja) * 2009-03-02 2010-09-16 Fujifilm Corp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KR20110030241A (ko) * 2009-09-15 2011-03-23 김유상 배출가스에 함유된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KR20110038500A (ko) * 2009-10-08 2011-04-14 김태환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20130096104A (ko) * 2012-02-21 2013-08-29 (주)하이에코텍 공기 정화장치
KR101457814B1 (ko) * 2013-08-14 2014-11-03 곽삼영 가스여과장치 및 가스여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935A (ko) 2021-08-23 2023-03-03 최용준 친수성질을 이용한 유해입자 배출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935679B1 (ko) 굴뚝 매연 저감 장치
CN207608426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103239905A (zh) 一种虹吸式无阀滤池
CN208471725U (zh) 一种乡村净水设备
CN208378578U (zh) 污水处理用沉淀装置
CN205516890U (zh) 一种污水一级净化装置
KR101286279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N205151836U (zh) 一种浮化沉降污水处理装置
CN201346413Y (zh) 一种过滤设备
CN209537116U (zh) 一种便于分离杂质的工业污水初步处理装置
CN207362148U (zh) 一种石油快速过滤简易装置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CN207483477U (zh) 一种高效净化污水的气浮装置
CN110240343A (zh) 一种数字印刷机废水净化处理装置
CN105582694B (zh) 一种液体脱硫脱气一体化的装置及方法
RU23477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CN212504177U (zh) 一种集旋风分离与蜂窝过滤沉淀于一体的水处理装置
CN207024753U (zh) 一种带有反冲洗功能的废水处理装置
CN203971565U (zh) 多级陶瓷膜过滤器
RU2617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05699779U (zh) 一种可循环利用水资源的工业净水装置
CN115193185B (zh) 一种环保的废气处理设备
CN215387924U (zh) 一种连续砂过滤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