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45B1 -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 Google Patents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45B1
KR101935545B1 KR1020180020700A KR20180020700A KR101935545B1 KR 101935545 B1 KR101935545 B1 KR 101935545B1 KR 1020180020700 A KR1020180020700 A KR 1020180020700A KR 20180020700 A KR20180020700 A KR 20180020700A KR 101935545 B1 KR101935545 B1 KR 10193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ipe
coupled
resistance increasing
resistan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윤호
Original Assignee
차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윤호 filed Critical 차윤호
Priority to KR102018002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 type compression pressing permanent ground anchor, which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tention, reinforcement of various structures, and collapse prevention and stabilization for slopes. The compression pressing permanent ground anch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rough soil where a slope is formed on one side. The nut type compression pressing permanent ground anchor includes a tensioning portion (100) having a plurality of wires (110) and at least one grout hose (100) for grouting; a hollow pipe (200) where a part of the tensioning portion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ing portion (100), the hollow pipe (200) having a protruding portion (23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increase resistance with respect to an outward tensile force when tension acts on the tensioning portion (100) after burial into the soil; a head portion (300)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soil, the other end of the tensioning portion (100) being coupled to the head portion (300); and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and further increasing the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he tension acts on the tensioning portion (100).

Description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 type compressive permanent type ground anchor,

본 발명은,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각종 구조물의 보강, 비탈면의 붕괴 방지 및 안정화 등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arth retaining, reinforcement of various structures, prevention of collapse of a slope, and stabilization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단지 조성이나 신도시 건설, 도로 건설 등으로 산지와 같은 급경사지를 개발하는 것이 불가피한 실정이며, 따라서 토지의 이용도를 높이고 주거단지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확보하면서 시공성, 경계성 및 환경 보전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사면안정공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it is inevitable to develop steep slopes such as mountainous areas through construction of new or new cities, road construction,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land and secure the stability and comfort of residential complex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lope stability method that can satisfy the integrity.

사면안정공법의 일종으로 그라운드 앵커공법은, 붕괴가 일어날 염려가 있는 사면을 누르거나, 옹벽 등과 함께 사용하여 흙막이에 사용되는 공법으로, 암반 내에 뚫은 보링구멍에 강봉이나 PC 강봉을 삽입하고, 정착력이 있는 암반 부분에 모르타르나 수지를 주입하여 채운뒤, 앵커 머리부를 금속부품으로 고정시켜 무른 암반이나 느슨한 암반 전체를 강화하는 공법이다.As a type of slope stabilization method, the ground anchor method is a method used for earth retaining by pressing a slope that is likely to cause collapse or using it together with a retaining wall to insert a steel bar or a PC steel bar into a boring hole pierced in the rock, Is filled with mortar or resin, and the anchor head is fixed with metal parts to reinforce the entire rock or loose rock.

한편, 종래의 앵커의 경우 지반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지반 깊은 곳에 설치하였으나, 이는 단가 상승 및 시공 상의 어려움을 야기하므로, 비용 및 시공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nchor, the length of the anchor is set to be long in order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However, this increases the cost and increases the cost and construction time.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158512호는, 길이가 비교적 짧지만 지반의 보강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압축형 영구앵커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지반과의 마찰력이 충분하지 못해 영구앵커 본연의 사면안정에 충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0-1158512 discloses a compression type permanent ancho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can obtain an economical effect by appropriately performing the reinforcing function of the ground although the length is relatively sh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manent anchor is not faithful to the slope stability.

(특허문헌 1) KR10-1158512 B1(Patent Document 1) KR10-115851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층된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지반과의 마찰력 및 지반의 지압력을 이용하여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ut- Ground anch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복수의 와이어(110)들과, 그라우팅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라우트호스(120)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100)와;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토사에 매립되어 상기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출부(230)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00)와;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구조물(1)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00)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manent-type ground anchor having a slope formed on one side and penetrating through the ground, And one or more grouting hoses (120) for performing grout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pplying part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tensile force to the outside is increas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force applying part 100, A hollow pipe (200) having a protrusion (23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head part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ing part 100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1; The hollow pipe 200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to add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permanent magnets to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나선구조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나사부(231)이고,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23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파이프(20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230 is a male threaded portion 23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with a spiral structure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31 And a nut member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430 and screwed to the hollow pipe 200.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환형의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요홈부(441, 45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클램프부재(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30 has an annular ring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has recessed portions 441 and 451 so that the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or more clamping members 440, 450 formed thereon.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중심으로부터의 외경이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장력작용부(20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200 increases from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200 to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desirable.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상기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410)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fixing member 410 for supporting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is formed on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ly whil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As shown in Fig.

상기 저항증가부(400) 및 상기 고정부재(410)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는 테이퍼부재(4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betwe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outer diameter is increa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300 An increasing tapered member 4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장력작용부(100)가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311)가 형성되는 만숀(310)과; 상기 만숀(310)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1)에 밀착되는 지압판(320)과; 상기 만숀(310) 중 상기 지압판(320) 상면측에 상기 지압판(3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너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art 300 includes a mandrel 310 to which the tension acting part 100 is coupled and which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tructure 1 and has a male screw part 31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ressure plate 320 coupled to the mandrel 3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1; And a reinforcing nut 33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3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320.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만숀(310)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만숀(310)의 일부와 상기 보강너트(330)를 보호하는 보호캡(3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art 300 may include a protection cap 340 coupled to an end of the manhole 310 to protect a part of the manhole 310 and the reinforcement nut 330.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상기 복수의 와이어(110)들의 일단이 결합되는 선단헤드(210)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제1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stal end head 210 to which one end of the plurality of wires 110 of the tension applying unit 100 are couple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d of the hollow pip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have.

상기 선단헤드(210)는, 상기 장력작용부(20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이 선단캡(220)에 의하여 복개될 수 있다.The end head 210 may be covered with the end cap 220 at a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200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한 앵커력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파이프에 더하여, 중공파이프에 결합되어 와이어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에 장력이 작용될 때 지반의 지압력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반과의 마찰력 및 지반의 지압력을 이용하여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nut type pneumatic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a hollow pipe for forming an anchor force due to a frictional force with a ground,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a tension action portion made of wire, The anchor force can be greatly improved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pressure of the ground by additionally providing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for further increasing the ground pressur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인 중공파이프에 대한 저항증가부의 결합을 통해 지반과의 앵커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자의 숙련도 등과 무관하게 일정한 시공 상태와 시공시간 단축, 시공비용 절감 등의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nut-typ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anchor force with the groun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resistance increase portion to the hollow pipe, which is a relatively simple method, and thereby,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constructor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a constant construction condition, a shortening of construction time, and a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저항증가부의 결합을 통해 지반과의 앵커력을 극대화하는 구성이므로, 현장 조립성이 뛰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항증가부의 결합을 간단한 현장시공을 통해 할 수 있으며, 그 운반과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nut-typ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anchor force with the groun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resistance increase portion in a simple field construction And it is easy to carry and manufa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간단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저항증가부를 결합할 수 있는바, 시공환경 및 천공홀에 따라 작업자의 판단을 통해 적정한 저항증가부재의 결합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환경 등에 따라 최적의 시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the resistance-increasing portion with a simple and various metho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perforation ho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optimum constr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a working environment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중공파이프의 외주면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중공파이프에 의한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지반과의 마찰력 및 지반의 지압력을 이용하여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frictional force by the hollow pipe by forming the proj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nchor force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더 나아가 상기 저항증가부를 중공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중공파이프에 의한 마찰력의 극대화 및 저항증가부에 의한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켜 앵커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by joining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by the hollow pipe and greatly increase the anchor force by the resistance increase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anchor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중공파이프에 저항증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들로서, 도 3a는, 도 2에서 A-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2에서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설치되는 저항증가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X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헤드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선단헤드와 선단캡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선단헤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중공파이프에 저항증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들로서, 도 11a는, 도 10에서 A-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에서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9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설치되는 저항증가부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서 X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헤드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9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선단헤드와 선단캡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의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중 선단헤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변형된 중공파이프 및 이에 결합된 저항증가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gid ground 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istance increasing member is coupled to a hollow pipe among the rigid-rod-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s of FIG. 1. FIG.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section of a rigid-typ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of FIG. 2, wherein FIG. 3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and FIG. .
FIG. 4A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resistance increasing member provided in the rigid-rod-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of FIG. 1, and FIG. 4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X directio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 portion of the rigid-rod-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shown in Fig. 1;
Fig.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end cap and the tip end cap among the rigid-rod-type compression set permanent anchor of Fig. 1;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d head among the rigid-rod-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s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ut-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sistance increasing member is coupled to a hollow pipe in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of FIG.
11A and 11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cross sections of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type ground anchor of FIG. 10, wherein FIG. 11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line in FIG. 10, and FIG. 11B is a cross- to be.
FIG. 12A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 resistance increasing member provided in the nut-type compression 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of FIG. 9, and FIG. 12B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in the X direction in FIG. 12A.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d portion of the nut-type compression-compression permanent-permanent anchor in Fig. 9; Fig.
Fig. 1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ip end cap and the tip cap among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s shown in Fig. 9;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tip end head of 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shown in Fig. 9;
17A and 17B are a side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dified hollow pipe and a resistance increasing member coupled thereto, respectively.
18 is a flowchart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arth 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은,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한 앵커력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파이프에 더하여, 중공파이프에 결합되어 와이어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에 장력이 작용될 때 지반의 지압력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반과의 마찰력 및 지반의 지압력을 이용하여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기술적 요지가 있다.The permanent-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reinforcing a ground using the same, in addition to a hollow pipe for forming an anchor force by a frictional force with a ground, There is a technical point to greatly improve the anchor force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pressure of the ground by additionally providing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e portions which further increase the ground ground pressure.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하 최적화된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한다.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optimiz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복수의 와이어(110)들과, 그라우팅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라우트호스(120)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100)와;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토사에 매립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중공파이프(200)와;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조물(1)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00)를 포함한다.1 to 8, a rigid ground 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installed through a gravel whose slope is formed on one side, A tension acting portion 100 composed of wires 110 of one or more grouting hoses 120 and one or more grouting hoses 120 for performing grout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pplication part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le force application part 100 and the hollow pipe is inserted into the earths so as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ensile force acts on the tensile force application part 100 200); And a head part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1. [

한편 본 발명의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트 앵커는,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지지하는 구조물(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1)은, 적층된 토사 또는 사면의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In the meantime, the steel rod-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ground anch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through a structure 1 supporting a slope with slop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structure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lopes of the slurry-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such that it is not collapsed.

예를 들면 상기 구조물(1)은, 흙막이 벽으로서, 나무,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등 시공현장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ructure 1 may be variously installed as an earth retaining wall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a construction site such as wood,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이를 통해, 상기 구조물(1)은, 토압을 직접 받으며, 후술하는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의해서 붕괴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ructure 1 receives the earth pressure directly, and can be supported without being collapsed by th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described later.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지지하는 구조물(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면 등과 같이 침식이 우려되는 위치 또는 공사현장의 터파기 작업 중 적층된 토사에 구조물(1)을 설치하고, 토사로부터 상기 구조물(1)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대하여 저항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rigid-rod-type compression-permanent-type permanent-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hrough a structure 1 supporting a slope having slop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erosion is likely to occur, The structure 1 may be installed on the accumulated soil during the earthworks and may be installed to resist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from the earth to the structure 1.

상기 장력작용부(100)는, 복수의 와이어(110)들과, 그라우팅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라우트호스(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tensioning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wires 110 and one or more grouting hoses 120 for performing grouting,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와이어(110)는, 그라운드 앵커 중 장력을 견디는 부재로서, 하나의 강선으로 구성되거나, 복수개들이 서로 꼬여진 상태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wire 110 is a member for enduring the tensile force of the ground anchors and may be composed of one steel wire or a plurality of wires may be installed in a twisted state.

그리고 상기 와이어(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와이어(110)들이 꼬여진 상태로 하나의 케이블(130)을 형성하고, 케이블(130)은 합성수지 재질 등의 호스에 끼워져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3A and 3B, the wire 110 forms a single cable 130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wires 110 are twisted. The cable 130 is connected to a hose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like.

한편 상기 호스는, 복수의 와이어(110)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se may be a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surrounds a plurality of wires 110.

상기 호스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와이어(110)와 호스 사이에 그리스가 충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The hose may have a radius such that a plurality of wires 110 are located therein and that a sufficient amount of grease can be fi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res 110 and the hose.

따라서 상기 호스는,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110)가 위치하고, 주변에 그리스가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se may have a plurality of wires 110 disposed therein and filled with grease.

상기 장력작용부(100)는, 서로 꼬임결합된 복수의 와이어(110)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케이블(130)들 및 그라우트호스(120)가 끼움결합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원주방향으로 결합홈(141)이 형성된 간격유지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le force application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ables 130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110 that are twisted together and grout hoses 1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gap holding member 140 having a groove 141 formed therein.

상기 장력작용부(100)는, 구조물(1)에 전달되는 토압이 장력으로 작용되고, 이러한 장력을 중공파이프(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토압에 따라 큰 장력이 작용될 수 있는바 내구성이 뛰어난 강선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can act as a tensile force to transmit the earth pressure to the structure 1 and to transmit the tensile force to the hollow pipe 2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steel wire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상기 와이어(110)는, 구조물(1)로부터 전달되는 장력을 중공파이프(200)에 전달하고, 중공파이프(200)의 지반 및 그라우트와의 마찰력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wire 110 transmits tensil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 1 to the hollow pipe 200 and is supported through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hollow pipe 200 and the grout so as not to collapse the gravel .

상기 그라우트호스(120)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가 설치되는 천공홀 및 부재들 간의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내부에 그라우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grout hose 120 may have a variety of constructions for forming a grout by injecting a grout material into a space between a perforation hole and members in which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상기 그라우트호스(120)는, 외부에서 주입하는 그라우트재가 천공홀 내로 투입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grout hose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grout material injected from outside is injec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우트호스(120)는, 주입되는 그라우트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PE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out hose 120 may be a PE pipe so that it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grout being injected.

상기 간격유지부재(140)는, 케이블(130)과 그라우트호스(120)가 끼움결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결합홈(141)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gap holding member 14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41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able 130 and the grout hose 120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상기 간격유지부재(140)는, 원주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141)이 형성되어, 그라우트호스(120) 및 케이블(13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라우트호스(120) 및 케이블(130)가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될 수 있다.The grooved hose 120 and the cable 130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gap holding member 140 so that the grout hose 120 and the cable 13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n interspace.

상기 간격유지부재(140)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홀 중 헤드부(300)와 중공파이프(20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One or more spacing members 14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 installing the compression-type permanent-ground anchor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d unit 300 and the hollow pipe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irable.

한편 상기 와이어(110), 즉 케이블(130)은, 일단이 헤드부(30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중공파이프(2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선단캡(220)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110, that is, the cable 1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ead unit 300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end cap 220 at the other end through the hollow of the hollow pipe 200.

그리고 상기 그라우트호스(120)는, 중공파이프(200)의 중공에 그라우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장력작용부(100)측 끝단까지 위치하는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The grout hose 120 may be install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hollow pipe 200 at the side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n order to form a grout in the hollow of the hollow pipe 200.

상기 헤드부(300)는,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조물(1)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head portio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engaged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1,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헤드부(300)는,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조물(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311)가 형성되는 만숀(310)과, 만숀(310)에 결합되어, 구조물(1)에 밀착되는 지압판(320)과, 만숀(310) 중 지압판(320) 상면 측에 지압판(3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너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art 300 includes a mandrel 31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art 100 is coupled and is exposed through the structure 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s a male screw part 31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einforcing nut 33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3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320, .

또한, 상기 헤드부(300)는, 만숀(310) 끝단에 결합되어, 만숀(310)의 일부와 보강너트(330)를 보호하는 보호캡(3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cap 340 coupled to an end of the damper 310 to protect the portion of the damper 310 and the reinforcement nut 330.

상기 만숀(310)은,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조물(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mandrel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들면, 상기 만숀(310)은, 장력작용부(1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drel 310 may include a member 350 for stably coupling the tensioning portion 100.

이때, 장력작용부(100)는, 만숀(3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장력을 중공파이프(200)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만숀(310)과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may be formed through the mandrel 310 and may be coupled with the mandrel 310 to stably transmit the tension to the hollow pipe 200.

상기 결합부재(350)는, 만숀(310)의 장력작용부(100) 측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만숀(310)을 관통하는 장력작용부(100)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350 may be coupled to or formed on the side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of the flange 310 and a portion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passing through the flange 310 may be pressed and fixed .

상기 지압판(320)은, 구조물(1)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above-mentioned pressure plate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1,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지압판(320)은, 중공파이프(200)로부터 전달되는 마찰력을 구조물(1)에 전달함으로써, 구조물(1)이 붕괴되지 않도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압판(320)은, 구조물(1)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320 can prevent the structure 1 from collapsing by transmitting the fric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hollow pipe 200 to the structure 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예를 들면, 상기 지압판(320)은, 구조물(1)의 법선으로부터 일정각도를 가지며 설치되는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압판(320)이 상기 구조물(1)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1)에 어댑터(3)가 추가로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e plate 320 may be installed in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normal line of the structure 1. In this case, the pressure plate 320 may contact the structure 1 An adapter 3 may be additionally formed or coupled to the structure 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상기 보강너트(330)는, 지압판(320)이 구조물(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지압판(320)의 상면에서 만숀(310)에 나사 결합하여, 지압판(320)을 가압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nut 330 is configured to press the pressure plate 3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1 and is screwed to the mandrel 3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320 to press the pressure plate 320 .

상기 보호캡(340)은, 보강너트(330)의 상단에서 만숀(310) 끝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잘린 원뿔 형상일 수 있다.The protective cap 3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mandrel 310 at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ement nut 330, and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상기 보호캡(340)은, 보강너트(330) 측에서 보강너트(33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만숀(310) 끝단에 결합되도록 내부 폭(341)이 만숀(31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ap 340 may have a radius to cover and protect the reinforcement nut 330 on the side of the reinforcement nut 330. An inner width 341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3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mantle 310, As shown in FIG.

한편 이 경우, 상기 보호캡(340) 내부에 상기 수나사부(31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a female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311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cap 340 so as to be screwed.

상기 중공파이프(200)는,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토사에 매립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A portion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200 from one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and the hollow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gravel so as to exert a tensile force toward the outside 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As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중공파이프(200)는, 복수의 케이블(13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장기간 매립되어 있는바,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서, 내부식성, 내마모성이 뛰어난 철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hollow pipe 20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to allow a plurality of cables 130 to pass therethrough. The hollow pipe 200 is made of an iron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중공파이프(200)은,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외주면은 다수의 돌기, 미리 설정된 거칠기를 가지도록 표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the hollow pipe 200 may have a surface structure such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predetermined roughn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igid ground 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eque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that further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on when the portion 100 is tensioned.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so that the outer side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tensile force to the coil is further increased.

특히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중심으로부터의 외경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력작용부(20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from the center of the hollow pipe 20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200 from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one en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외경(Di) 및 간격(Li)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increasing unit 400, as shown in Fig. 2 and 4,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the outer diameter (D i) and the distance (L i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by various methods.

예를 들면,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공파이프(2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로서, 일단의 볼트를 통해 관통구의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중공파이프(200)와 밀착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may have a through-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200, and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And by adjusting the radius of the through-hole through a set of bolts, it can be tightly coupled with the hollow pipe 200.

이하, 복수의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배치 및 결합 방법을 통해, 구조물(1)로부터 전해지는 인장력에 대응되는 앵커력을 최대화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chor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 1 is maximize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e portions 4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복수개이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외경(di)이 달라질 수 있다.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has a plurality of outer diameters d i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예를 들면,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 중 지반 내부로 갈수록, 외경(di)이 증가할 수 있으며, 앵커의 일단(외부)에서 타단(토사 내 매립된 끝단)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D1<D2<D3<D4<D5<……<Dn 의 관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stance increase part 400, toward the ground in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the outer diameter (d i) may have to be increased, the other end from one end (the outside) of the anchor (earth and sand within the landfill D1 < D2 < D3 < D4 < D5 < ... &Lt; Dn.

다른 예로서,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외경의 저항증가부(400)가 결합되고, 일정거리 이후에 외경이 더 큰 저항증가부(400)들이 결합되는 형태로서, D1=D2=D3<D4=D5=D6 의 관계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having a constant outer diameter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are coupled after a certain distance, D1 = D2 = D3 < D4 = D5 = D6.

한편, 이 경우에 상기 저항증가부(400) 간의 적정 간격(Li)도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경이 작은 D1, D2, D3의 전단부 저항증가부(400)들 사이의 간격인 L1, L2의 크기가 작아 그 간격이 좁게 배치되고, 외경이 비교적 큰 D4, D5, D6의 간격 L3, L4, L5의 크기가 커 그 간격이 넓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per spacing L i betwe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also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Specifically, the front end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of D1, D2, and D3 having small outer diameters L4, and L5 of the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s D4, D5, and D6 are large, and the spacing is wide.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L1<L2<L3<L4<L5의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배치에 따라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relationship L1 <L2 <L3 <L4 <L5 can be obtained, and the frictional force can be maximized according to various arrangements.

또한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일원화된 중공파이프(200)의 결합 설치를 위해,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저항증가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위치표식이 형성 또는 표시될 수 있다.A coupling position marker for coupling with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formed or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for the coupl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hollow pipe 200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have a ring shap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일체로 형성된 링형상을 가지거나, 복수의 부재들이 결합되어 링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have a ring shape integrally formed, or a plurality of members may be combined to form a ring shape.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410)가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fixing member 410 for supporting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ly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고정부재(410)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fixing member 4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 in a state where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s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400.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저항증가부(400)를 기준으로, 더 외측에 설치되어 저항증가부(400)가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41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

더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10)는, 저항증가부(400)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41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to prevent 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with respect to the hollow pipe 200 by the tensile force.

한편 상기 고정부재(410)는, 중공파이프(200)와의 간편한 결합을 위해서, 클램프일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환형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a clamp for easy coupling with the hollow pipe 200, and may be annular with one side opened.

이때, 상기 고정부재(410)는, 개방된 일측에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에 볼트(411)의 나사 결합을 통해 개방된 일측을 결합함으로써,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41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10, and by fastening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the screw connection of the bolt 411, Can be combined.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클램프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411)의 나사 결합을 통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constituted by a coupling of a semicircular clamp member as shown in Fig. 5, a fastening hole for screw connection is formed at both ends, To the hollow pipe 200 through the pipe.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가 전술한 저항증가부(400)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에 끼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fitted to the hollow pipe 200 lik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고정부재(41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저항증가부(400)가 인장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esistance increase part 400 relative to the hollow pipe 200 may be caus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despite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member 410.

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가팅, 상기 저항증가부(400)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일방에 외주면이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부재(430)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4B,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tapered member 430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lined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예로서,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저항증가부(400) 및 고정부재(410) 사이에 설치되어 일단이 저항증가부(400)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중공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pered member 430 is installed betwe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the fixing member 410, and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테이퍼부재(430)가 설치되면,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이 발생될 때 저항증가부(400)의 내주측으로 테이퍼부재(430)가 밀려들어가게 된다.When the tapered member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stalled,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relative to the hollow pipe 200 occurs, the tapered member 430 is moved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 will be pushed.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저항증가부(400)의 내주면에 의한 압축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마찰력으로서 작용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The tapered member 430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acts as a frictional for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hollow pipe 2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압축력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성이 큰 금속, 합성수지 등 탄성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apered member 43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high ductility to induce the generation of a compressive force.

한편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앵커력 증가부(미도시)가 확장형성될 수 있다.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may include an anchor force increasing part (not shown) protruding fur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he tension acting part 100 is tensioned, Can be expanded and formed.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저항증가부(4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장력작용부(100)의 장력에 대응하는 앵커력을 크게할 수 있다.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to increase the anchor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저항증가부(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형의 고리로서, 저항증가부(4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may be formed as an annular 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마찰력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천공홀의 내측의 반경이 반대측의 반경보다 작은 쐐기형상일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frictional force, 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have a wedge shape in which the inside radius of the perforation hol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n the opposite 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중공파이프(200)의 끝단에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선단헤드(210)와, 선단헤드(210)에 결합됨으로써 장력작용부(200)의 일단이 결합되는 선단캡(220)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rigid ground 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end head 210 coupled to an end of a hollow pip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 tip cap 220 to which one end of the unit 200 is coupled, and the like.

상기 선단헤드(210)는, 중공파이프(200)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distal end head 21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ollow pip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선단헤드(210)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130)이 통과되도록 관통개구(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개구(211)를 통해 케이블(130)가 관통하여 선단캡(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distal end head 210 may have a through opening 211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cable 130 passes and the cable 130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opening 211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end cap 220. [ .

상기 선단헤드(210)는, 일단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선단캡(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할 수 있다.The distal end head 210 may be coupled at one end to the hollow pipe 20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distal end cap 220,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may be used.

예를 들면, 상기 선단헤드(210)는, 중공파이프(200) 및 선단캡(220)과의 결합부위에 단차부(212)가 형성되고, 단차부(212)에 중공파이프(200) 및 선단캡(220)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end head 210 has a step portion 212 at a joint portion with the hollow pipe 200 and the front end cap 220, and the hollow pipe 200 and the front end And may be fitted and coupled with the cap 220.

이때, 상기 단차부(212)는, 그 단차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ped portion 212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hollow pipe 200.

다른 예로서, 상기 선단헤드(210)는, 단차부(212)에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중공파이프(200)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tal end head 210 may have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212, and a female scre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may be formed by screwing.

상기 선단캡(220)은, 선단헤드(210)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최하단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선단헤드(2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stal end cap 22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head 210 to constitute the lowermost end of th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distal end head 210 ). &Lt; / RTI &gt;

상기 선단캡(220)은, 선단헤드(21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케이블(130)과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end cap 220 may be coupled to a cable 130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head 210.

상기 케이블(130)는, 선단캡(220)과 결합되기 위하여, 끝단에 결합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가 결합된 케이블(130)의 끝단을 선단캡(220) 내부에 형성되는 정착구(221)에 결합하여 케이블(130)과 선단캡(220)이 결합될 수 있다.A coupling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cable 1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end cap 220. An end of the cable 130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may be inserted into the end cap 220 And the cable 130 and the end cap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즉, 상기 케이블(130)의 끝단은, 와이어(110)들이 결합부재에 의해 압출되어 고정되고, 결합부재가 선단캡(220) 내부에 형성되는 정착구(221)에 결합하여 장력작용부(100)의 장력을 중공파이프(200)에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end of the cable 130 is connected to the fixation port 221 where the wires 110 are extruded and fixed by the engag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inside the end cap 220, To the hollow pipe (200).

이때, 결합부재와 상기 선단캡(22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틸클램프 등에 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and the end cap 220 can be coupled by various methods, more specifically, a steel clamp or the lik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강봉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한 앵커력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파이프(200)에 더하여,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되어 와이어(110)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지반의 지압력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반과의 마찰력 및 지반의 지압력을 이용하여 앵커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hollow pipe 200 for forming the anchor forc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the rigid ground pressure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hollow pipe 200, 1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or further increasing the ground pressing force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This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and the ground pressing force So that the anchor force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nut-typ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중공파이프(200) 및 그에 결합되는 저항증가부(400)의 구성이 다른바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공파이프(200) 및 그에 결합되는 저항증가부(400)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nut-type compression-pressing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hollow pipe 20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connected thereto by the same, 20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coupled thereto will be describ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는, 도 9 내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복수의 와이어(110)들과, 그라우팅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라우트호스(120)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100)와;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토사에 매립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출부(230)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00)와;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조물(1)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00)와;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9 to 17B, the nut type pressurized compression permanent-type anch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ground anchor (100)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s (110) and at least one grout hose (120) for performing grouting; A part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on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A hollow pipe 200 on which protrusions 230 are formed; A head part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1; The hollow pipe 200 is disposed in o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so as to further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on force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상기 장력작용부(100)는, 도 10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토사에 매립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출부(23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10 and 12A, a portion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and is embedded in the gravel to form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The protrusions 23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상기 돌출부(230)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작용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중공파이프(20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protrusion 23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hollow pipe 20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상기 돌출부(230)는,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항증가부(400)와의 결합관계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and more preferably,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230)는, 수나사부(231)이고,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수나사부(231)에 대응하는 암나사부(430)가 형성되어, 중공파이프(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ding portion 230 is a male threaded portion 231.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has a female threaded portion 430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3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즉,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나선 구조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나사부(231)가 형성되고, 저항증가부(400)는, 수나사부(23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430)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중공파이프(2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at is, a male threaded portion 23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with a spiral structure. The female threaded portion 430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3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n be screwed into the hollow pipe 200.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230)는, 중공파이프(200)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면서, 동시에 저항증가부(400)와의 결합수단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230 may be a means for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hollow pipe 200, and at the same time, a means for coupling with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이 경우,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끝단에서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중공파이프(200)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ollow pipe 200 by screwing, and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through rotation, 200 in a threaded manner.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410)가 일측에 결합되어, 중공파에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10 is coupled to one side to prevent 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esistance increase part 400 with respect to the hollow wave FPC 200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due to the rotation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

다른 예로서, 상기 돌출부(230)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환형의 링형상을 가지며,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요홈부(441, 45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클램프부재(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17A and 17B, the protruding portion 230 has an annular ring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has a protruding portion 230 And one or more clamp members 440 and 450 formed with recessed portions 441 and 451 for inserting the recessed portions 441 and 451.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클램프부재(440,450)는, 각각 양 끝단에 체결공(461)이 형성되며, 한 쌍의 클램프부재(440, 450)가 양 끝단에서 체결볼트(460)에 의해 체결되어,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clamp members 440 and 450 are each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61 at both ends thereof and a pair of clamp members 440 and 450 are fastened by fastening bolts 460 at both ends,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상기 클램프부재(440, 450)는, 각각 반원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클램프부재(440, 450)의 양 끝단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볼트(460)에 의해서 환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may be formed as a pair in a semicircular shape.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clamp members 440 and 450, Respectively.

상기 클램프부재(440, 450)는, 다양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서,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외경에 대응되어 상기 중공파이프(200)에 체결될 수 있다.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may have various thicknesses so that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may be fastened to the hollow pipe 200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또한, 상기 클램프부재(440, 450)는, 상기 체결볼트(460)의 체결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보다 밀착 결합될 수 있다.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can be more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by adjusting the fastening strength of the fastening bolts 460.

한편 상기 저항증가부(400)인, 클램프부재(440, 450)는,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된 앵커력 증가부(미도시)가 확장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which are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further protrud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he tension acts on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An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not shown) may be extended.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클램프부재(440, 45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장력작용부(100)의 장력에 대응하는 앵커력을 크게할 수 있다.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so that an anchor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can be increased.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클램프부재(440, 4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형의 고리로서, 클램프부재(440, 45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and may be formed as an annular ring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 members 440 and 450. [

상기 앵커력 증가부는, 마찰력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천공홀의 내측의 반경이 반대측의 반경보다 작은 쐐기형상일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frictional force, the anchor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have a wedge shape in which the inside radius of the perforation hol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n the opposite side.

한편, 상기 돌출부(230)는, 복수개 형성되며, 저항증가부(400)는, 복수의 돌출부(230)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230 may be formed,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faste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

즉,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돌출부(230)들 사이의 중공파이프(200)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항증가부(400)가 중공파이프(200)에 작용되는 마찰력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23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pipe 200, And can be stably supported.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to form the tension acting portions 100 And the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is further increased when a tensile force is exe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특히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중심으로부터의 외경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력작용부(20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10, the outer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rom the center of the hollow pipe 200 are different from the out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one en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도 10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외경(Di) 및 간격(Li)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sistance increasing unit 400, as illustrated in Figures 10 and 12a,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the outer diameter (D i) and the distance (L i Can be arranged in various ways.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by various methods.

예를 들면,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공파이프(2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로서, 일단의 볼트를 통해 관통구의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중공파이프(200)와 밀착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may have a through-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200, and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And by adjusting the radius of the through-hole through a set of bolts, it can be tightly coupled with the hollow pipe 200.

이하, 복수의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배치 및 결합 방법을 통해, 구조물(1)로부터 전해지는 인장력에 대응되는 앵커력을 최대화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chor force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 1 is maximize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e portions 4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복수개이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외경(di)이 달라질 수 있다.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has a plurality of outer diameters d i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예를 들면,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 중 지반 내부로 갈수록, 외경(di)이 증가할 수 있으며, 앵커의 일단(외부)에서 타단(토사 내 매립된 끝단)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D1<D2<D3<D4<D5<……<Dn 의 관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istance increase part 400, toward the ground in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the outer diameter (d i) may have to be increased, the other end from one end (the outside) of the anchor (earth and sand within the landfill D1 < D2 < D3 < D4 < D5 < ... &Lt; Dn.

다른 예로서,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외경의 저항증가부(400)가 결합되고, 일정거리 이후에 외경이 더 큰 저항증가부(400)들이 결합되는 형태로서, D1=D2=D3<D4=D5=D6 의 관계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having a constant outer diameter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are coupled after a certain distance, D1 = D2 = D3 < D4 = D5 = D6.

한편, 이 경우에 상기 저항증가부(400) 간의 적정 간격(Li)도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경이 작은 D1, D2, D3의 전단부 저항증가부(400)들 사이의 간격인 L1, L2의 크기가 작아 그 간격이 좁게 배치되고, 외경이 비교적 큰 D4, D5, D6의 간격 L3, L4, L5의 크기가 커 그 간격이 넓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per spacing L i betwe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also maximize the frictional force. Specifically, the front end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of D1, D2, and D3 having small outer diameters L4, and L5 of the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s D4, D5, and D6 are large, and the spacing is wide.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L1<L2<L3<L4<L5의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배치에 따라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relationship L1 <L2 <L3 <L4 <L5 can be obtained, and the frictional force can be maximized according to various arrangements.

또한 상기 저항증가부(400)의 일원화된 중공파이프(200)의 결합 설치를 위해,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저항증가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위치표식이 형성 또는 표시될 수 있다.A coupling position marker for coupling with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may be formed or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for the coupl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hollow pipe 200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have a ring shap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일체로 형성된 링형상을 가지거나, 복수의 부재들이 결합되어 링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have a ring shape integrally formed, or a plurality of members may be combined to form a ring shape.

한편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410)가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fixing member 410 for supporting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ly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고정부재(410)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fixing member 4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 in a state where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s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400.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저항증가부(400)를 기준으로, 더 외측에 설치되어 저항증가부(400)가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41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

더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10)는, 저항증가부(400)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41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to prevent 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with respect to the hollow pipe 200 by the tensile force.

한편 상기 고정부재(410)는, 중공파이프(200)와의 간편한 결합을 위해서, 클램프일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환형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a clamp for easy coupling with the hollow pipe 200, and may be annular with one side opened.

이때, 상기 고정부재(410)는, 개방된 일측에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에 볼트(411)의 나사 결합을 통해 개방된 일측을 결합함으로써,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41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410, and by fastening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to the fastening hole through the screw connection of the bolt 411, Can be combined.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4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클램프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411)의 나사 결합을 통해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semicircular clamp members, as shown in Fig. 13, with fasten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for screw connection, To the hollow pipe 200 through the pipe.

또한 상기 고정부재(410)가 전술한 저항증가부(400)와 같이 중공파이프(200)에 끼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fitted to the hollow pipe 200 lik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고정부재(41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저항증가부(400)가 인장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The relative increase of the resistance increase part 400 relative to the hollow pipe 200 may be caus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despite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member 410.

이에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가팅, 상기 저항증가부(400)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일방에 외주면이 경사를 이루는 테이퍼부재(430)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12B, it is preferable that a tapered member 430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at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s further provided.

예로서,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저항증가부(400) 및 고정부재(410) 사이에 설치되어 일단이 저항증가부(400)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중공파이프(3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외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pered member 430 is installed between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the fixing member 410, and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테이퍼부재(430)가 설치되면,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이 발생될 때 저항증가부(400)의 내주측으로 테이퍼부재(430)가 밀려들어가게 된다.When the tapered member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stalled,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relative to the hollow pipe 200 occurs, the tapered member 430 is moved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 will be pushed.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저항증가부(400)의 내주면에 의한 압축력에 의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마찰력으로서 작용하여 중공파이프(200)에 대한 저항증가부(400)의 상대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The tapered member 430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and acts as a frictional force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hollow pipe 2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테이퍼부재(430)는, 압축력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성이 큰 금속, 합성수지 등 탄성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apered member 43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high ductility to induce the generation of a compressive forc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an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으로서, 보강대상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홀형성단계(S1)와; 천공홀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천공홀에 장력작용부(100) 및 중공파이프(200)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2)와; 장력작용부(100)의 그라우트호스(120)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주입단계(S3)와; 주입된 그라우트재를 양생하고, 헤드부(300)를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에 결합하는 결합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inforcing a ground using the above-described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wherein the reinforcement ground is drilled to form a perforation hole (S1)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An inserting step (S2) of inserting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and the hollow pipe (200) into the perfor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forming step (S1); An injection step (S3) of injecting the grout material through the grout hose (120)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a coupling step S4 of curing the injected grout material and coupling the head part 300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

여기서 상기 삽입단계(S2) 전에는,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before the inserting step S2,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for further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the tension force to the outside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ortion 100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상기 천공홀형성단계(S1)는, 보강대상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perforation hole forming step (S1) is a step of perforating the reinforcing ground to form a perforation hole, and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상기 천공홀형성단계(S1)는,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중공파이프(200) 및 장력작용부(100)가 삽입될 뿐만아니라, 후술하는 그라우트가 주입되어 채워져야 하므로, 천공홀이 충분한 크기로 천공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hollow pipe 200 and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of th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are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forming step S1 as well as the grout described later is filled and filled, Lt; / RTI &gt;

상기 삽입단계(S2)는, 천공홀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천공홀에 장력작용부(100) 및 중공파이프(200)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중공파이프(200) 및 장력작용부(100)가 천공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ng step S2 is a step of inserting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the hollow pipe 200 into the perfor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forming step S1 and the hollow pipe 200 and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perforation hole.

상기 삽입단계(S2)는, 중공파이프(200) 및 장력작용부(100)의 삽입시, 부식방지재 등의 부수적인 조성물이 멸실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삽입할 수 있다.The inserting step S2 may be inserted with caution so that the ancillary composition such as the corrosion inhibitor is not lost when the hollow pipe 200 and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re inserted.

상기 주입단계(S3)는, 삽입된 장력작용부(100)의 그라우트호스(120)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단계로서, 천공홀 내부에 그라우트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injecting step S3 may be a step of injecting the grout material through the grout hose 120 of the inserted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forming the grout in the hole.

상기 주입단계(S3)는, 중공파이프(200)의 내부의 그라우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라우트호스(120)를 통해 주입할 수 있으며, 기타 외부 그라우트호스(미도시)를 통해 중공파이프(200) 및 장력작용부와 지반 사이의 천공홀 공간에 그라우트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jecting step S3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grout hose 120 to form a grout inside the hollow pipe 200 and may be injected through other hollow grout hoses Grout can be formed in the perforation hole space between the working portion and the ground.

상기 결합단계(S4)는, 주입된 그라우트재를 양생하고, 헤드부(300)를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에 결합할 수 있다.The coupling step S4 may cure the injected grout material and couple the head part 300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art 100. [

상기 결합단계(S4)는, 헤드부(300)의 결합 전에 일부 유실된 그라우트를 보충하기 위해, 그라우트를 추가로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ing step S4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urther injecting the grout to supplement the partially lost grout before the coupling of the head part 300. [

상기 결합단계(S4)는, 헤드부(300)와 장력작용부(100)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웨지, 그립 방식의 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coupling step S4, a coupling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coupling the head portion 300 and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a wedge-grip coupling may be used .

한편, 상기 결합단계(S4) 이후에, 상기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mbining step (S4), the tension step of the acupressur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인장단계는, 유압식 고압펌프등과 연결되는 인장기를 설치하고, 상기 인장기를 장력작용부(100)에 연결하여 압력 및 인장량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tensioning step, a tensioning unit connected to a hydraulic high pressure pump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and the tension and tension may be measured by connecting the tensioning unit to the tensioning unit 10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구조물 100 : 장력작용부
200 : 중공파이프 300 : 헤드부
400 : 저항증가부
1: Structure 100:
200: hollow pipe 300: head part
400: resistance increase portion

Claims (9)

일측에 사면이 형성된 토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서,
복수의 와이어(110)들과, 그라우팅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라우트호스(120)로 이루어진 장력작용부(100)와;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토사에 매립되어 상기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돌출부(230)가 형성되는 중공파이프(200)와;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토사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헤드부(300)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작용부(100)에 장력이 작용될 때 외측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이 상기 중공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증가부(40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410)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410)는, 상기 저항증가부(400)가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저항증가부(400)를 기준으로, 외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A nut-type compression-pressing permanent-ground anchor installed through a slope formed on one side of a slope,
A tension acting portion 10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ires 110 and at least one grout hose 120 for performing grout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pplying part 10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tensile force to the outside is increas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force applying part 100, A hollow pipe (200) having a protrusion (23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head part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art 100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gravel;
The hollow pipe 200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ipe 200 to add resistance to the outward tensile force when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applying part 100 To a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A fixing member 410 for supporting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is formed on the hollow pipe 200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ly while the resistance increasing parts 400 are coupled to the hollow pipe 200. [ ), And further,
The fixing member 4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sistance increasing unit 400 so as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ing unit 400 from being pushed outward. anch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나선구조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나사부(231)이고,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23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파이프(20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ng portion 230 is a male threaded portion 23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with a spiral structure,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ncludes a nut member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430 screwed to the male screw portion 231 and screwed to the hollow pipe 200. [ Shape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외주면에 환형의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저항증가부(400)는,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요홈부(441, 45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클램프부재(440,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230 has an annular ring shap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200,
The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 400 includes at least one clamp member 440 and 450 having recessed portions 441 and 45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insert the protrusion 230. The nut type compression-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증가부(400)들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중심으로부터의 외경이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rality of resistance increasing portions 400 may be formed by,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pipe (200)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장력작용부(100)가 결합되고, 상기 토사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311)가 형성되는 만숀(310)과;
상기 만숀(310)에 결합되어, 상기 토사에 밀착되는 지압판(320)과;
상기 만숀(310) 중 상기 지압판(320) 상면측에 상기 지압판(32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너트(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d unit 300 includes:
A mandrel 310 to which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coupled and installed through the gravel and has a male screw portion 31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ressure plate (320) coupled to the mandrel (310)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avel;
And a reinforcement nut (33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320) of the mandrel (3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32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만숀(310)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만숀(310)의 일부와 상기 보강너트(330)를 보호하는 보호캡(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ead portion 300 includes a protection cap 340 coupled to an end of the mandrel 310 to protect a portion of the mandrel 310 and the reinforcement nut 330. [ Compression type permanent ground ancho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상기 복수의 와이어(110)들의 일단이 결합되는 선단헤드(210)가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파이프(200)의 제1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front end head 210 to which one end of the plurality of wires 110 of the tension applying unit 100 is coupled is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hollow pip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ipe 200 Features nut type compression compression permanent ground ancho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선단헤드(210)는, 상기 장력작용부(100)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이 선단캡(220)에 의하여 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형 지압 압축형 영구 그라운드 앵커.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ip end head (210) has a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tension acting portion (100) is coupled with the end cap (220).
KR1020180020700A 2018-02-21 2018-02-21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KR101935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00A KR101935545B1 (en) 2018-02-21 2018-02-21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00A KR101935545B1 (en) 2018-02-21 2018-02-21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545B1 true KR101935545B1 (en) 2019-01-04

Family

ID=6501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700A KR101935545B1 (en) 2018-02-21 2018-02-21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63B1 (en) * 2019-08-01 2020-02-20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Compression friction type anchor panel ground reinforcement system
KR102221759B1 (en) * 2020-10-14 2021-03-02 권석훈 Ground and slope reinforcement anchor grou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329B1 (en) * 2004-12-27 2005-08-03 전승희 Tension nail method of construction
KR101713525B1 (en) * 2016-09-06 2017-03-09 유근호 Chiropractors permanent anchor fri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329B1 (en) * 2004-12-27 2005-08-03 전승희 Tension nail method of construction
KR101713525B1 (en) * 2016-09-06 2017-03-09 유근호 Chiropractors permanent anchor fri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563B1 (en) * 2019-08-01 2020-02-20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Compression friction type anchor panel ground reinforcement system
KR102221759B1 (en) * 2020-10-14 2021-03-02 권석훈 Ground and slope reinforcement anchor grou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849A (en) Coupler for ducts used in post-tension rock anchorage systems
KR101150125B1 (en) the ground anchor with spreading anchor-head part and the construct method of ground anchor therewith
KR100749012B1 (en) Wedge-point-tip permanent anchor sets
KR100488118B1 (en) Compressive and Extensive Fixture of Earth Anchor
MX2011009483A (en) Friction bolt.
KR101935545B1 (en)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KR101510297B1 (en) A removable prestressing steel pipe soil nailing structure
KR100457406B1 (en) Ground Anchor
KR100966148B1 (en) Ground adhering soil nailing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8410B1 (en) Ground reinforcing method using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KR101935544B1 (en)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KR100908085B1 (en) Ground adhering soil nailing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00790A (en) The structure of screw anchor for slope reinforcement construction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KR101406217B1 (en) Building foundation slab and pile join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building subsidence
KR100690014B1 (en) Use steel material that have spiral plate struction
KR101047085B1 (en) Pretension soil nail structure with deformed b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79710B1 (en) Device for Fixing the Steel Lattice Girder using a Steel Wire
KR101460180B1 (en) Nail connectors for soil nailing method
JP4705468B2 (en) Drainage pipe with deterrent function
US20180291582A1 (en) Anchor having fixing device at side of pressure plate to depress land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776620B1 (en) Bar Type Anchor
KR200378292Y1 (en) Strengthened Implement of Tension type Soil Nail
JP3153491B2 (en) Non-pressure receiving plate anch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479569B1 (en) Tension member removable anchoring apparatus using of fixable-ring and controllable-board
KR101825018B1 (en) Combining type load distributive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