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09B1 -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09B1
KR101935509B1 KR1020160009882A KR20160009882A KR101935509B1 KR 101935509 B1 KR101935509 B1 KR 101935509B1 KR 1020160009882 A KR1020160009882 A KR 1020160009882A KR 20160009882 A KR20160009882 A KR 20160009882A KR 101935509 B1 KR101935509 B1 KR 101935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upper guide
lower guide
reinforcing fibers
impreg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539A (ko
Inventor
이희정
박종성
김희준
송강현
문영이
최재훈
한동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0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09B1/ko
Priority to PCT/KR2016/014962 priority patent/WO2017131344A1/ko
Publication of KR2017008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는,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 금형; 및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도록 상, 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PREPRE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EPREG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어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말하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유리, 탄소 섬유 등의 강화재가 수지(예: 고분자 resin 등)의 모재에 함침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재료를 말한다.
최근에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중에서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단섬유 강화 복합재료 또는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달리 강화 섬유를 모재에 연속적으로 함침시켜 제작되는 복합재료를 가리킨다. 이러한 제조상의 특징에 따라,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단섬유 강화 복합재료 또는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비해 높은 비율의 강화재가 투입이 가능하여 기존 대비 높은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직조 또는 적층형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그 중에서 적층형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일 방향 강화 연속섬유 프리프레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적층하고 열을 가하여 성형을 한다.
그런데 적층형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일 방향 강화 연속섬유 프리프레그를 제조함에 있어서, 강화 섬유와 수지 간의 함침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요건이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는 강화 섬유(f)를 공급하는 강화 섬유 공급부(10), 수지를 공급하는 압출기(20), 그리고 상기 강화 섬유(f)와 수지를 공급 받아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 금형(30)을 포함한다. 상기 함침 금형(30)을 통과하여 수지가 함침된 강화 섬유(f')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를 제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함침 금형(impregnation die)(30)라 불리는 수지의 함침을 유도하는 장치가 된다.
그런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 하는 경우, 압출기(20) 등을 통해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직접 함침 금형(30)으로 투입되는데, 열가소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비해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함침률을 향상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3333호(2001.06.1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섬유강화복합재료용 매트릭스 수지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섬유강화복합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어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는,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 금형; 및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도록 상, 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상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 간격을 두고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하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강화 섬유가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입구 부위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강화 섬유가 안내되는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 각각은,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강화 섬유가 안내되는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 각각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각각은, 상기 강화 섬유의 얼라인(align) 조정을 위해 설정거리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은, 상기의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으로서, (a) 강화 섬유를 공급 받는 단계; (b) 상기 강화 섬유가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기 직전에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단계; 및 (c) 상기 폭 방향으로 펼쳐진 강화 섬유를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하여 수지를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설정높이 차를 두고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설정높이는 조절 가능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줌으로써 함침 금형 내부에서의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수지 함침률이 기존 제품들에 비해 향상됨에 따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연속 섬유 복합재료의 물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연속 섬유 복합재료가 적용된 제품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에 포함된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부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말하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유리, 탄소 섬유 등의 강화재가 수지(예: 고분자 resin 등)의 모재에 함침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재료를 말한다.
그 중에서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단섬유 강화 복합재료 또는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달리 강화 섬유를 모재에 연속적으로 함침시켜 제작되는 복합재료를 말한다.
특히,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단섬유 강화 복합재료 또는 장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비해 높은 비율의 강화재가 투입됨에 따라 기존 대비 높은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적층형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일 방향 강화 연속섬유 프리프레그(이하 '프리프레그'라 함)를 다양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합지한다. 그리고 프리프레그를 이용하는 공정에서는 함침 금형 내에서의 강화 섬유 내 수지 함침률이 중요한 요건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100)는 함침 금형(30), 상기 함침 금형(30)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f)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를 포함한다.
함침 금형(30)은 강화 섬유 공급부(10, 도 1 참조)를 통해 강화 섬유(f)를 공급 받으며 압출기(20, 도 1 참조)를 통해 수지를 공급받아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하는 장치를 말한다.
다만, 기존의 경우 강화 섬유를 그대로 함침 금형(30)에 투입하였는데, 이 경우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함침 금형(30)에 강화 섬유를 투입하기 직전에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공정을 추가한 것이다.
다시 말해 강화 섬유가 폭 방향으로 펼쳐지면 상대적으로 섬유 번들의 두께는 감소되고, 이를 통해 수지가 함침을 위해 이동하는 유동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그 결과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함침 금형(30)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f)를 상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함께 하부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110)와 간격을 두고 이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함침 금형(30)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하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러한 상부 가이드부재(110) 및 하부 가이드부재(120)의 이용 개수는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보다 많은 수로 이용 가능한데 만일 지나치게 많은 수의 가이드부재가 사용될 섬유의 단사가 유발되거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 각각은 그 재질을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강화 섬유와의 마찰이 적은 수준의 재질이라면 무방하다.
이들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전후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설정높이 차를 두고 상하로도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강화 섬유가 상기 함침 금형(30)으로 투입되는 입구 부위에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강화 섬유(f)는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로 함침 금형(3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가이드부재(110)를 A 방향에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상부 가이드부재(110)에는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0)는 봉 형상(즉, 원형 단면의 바)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은 상부 가이드부재(110)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 각각을 통해 강화 섬유는 폭 방향으로 펼쳐진 후 함침 금형(30, 도 2 참조)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 각각의 단면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U자 형태 또는 이와 다른 라운드 진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부 가이드부재(120)를 B 방향에서 확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0)는 전술한 상부 가이드부재(110, 도 3 참조)와 동일하게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0)에는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은 하부 가이드부재(120)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 각각을 통해 강화 섬유는 폭 방향으로 펼쳐진 후 함침 금형(30, 도 2 참조)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 각각의 단면 형상은 전술한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 각각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 도 4 참조)의 단면 폭 크기(W2)는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 도 3 참조)의 단면 폭 크기(W1)와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121, 도 4 참조)의 단면 폭 크기(W2)가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111, 도 3 참조)의 단면 폭 크기(W1)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가이드 홈(121, 도 4 참조)을 통해서 강화 섬유의 폭이 선행하여 펼쳐지고, 상부 가이드 홈(111, 도 3 참조)에서는 어느 정도 폭 펼침이 이루어진 강화 섬유가 진입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하부 가이드부재(120)(즉, 선행 배치된 가이드부재)의 경우 강화 섬유의 펼침 또는 강화 섬유의 센터 얼라인(center align) 조정으로 사용 가능하며, 강화 섬유와 동일한 폭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 홈(111, 도 4 참조)은 목표하는 강화 섬유의 펼침 폭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0) 각각은 상기 강화 섬유의 얼라인(align) 조정을 위해 설정거리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의 좌우 단부 쪽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통해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는 설정거리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강화 섬유의 얼라인(align) 조정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에 포함된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부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20)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가이드부재(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151)와, 하부 가이드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153)와,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151)와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153)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지령에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0) 각각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데, 이로써, 상호 간의 높이 차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0)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0)의 높이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줌으로써 함침 금형 내부에서의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은, 강화 섬유 공급 단계(S100), 폭 펼침 단계(S200), 그리고 함침 금형 투입 단계(S300)를 포함한다.
강화 섬유 공급 단계(S100)
본 단계는 강화 섬유 공급 단계로서, 강화 섬유 공급부(10, 도 1 참조)를 통해 강화 섬유를 공급받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강화 섬유라 함은 강화재를 의미하는데, 바람직한 예로서 유리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폭 펼침 단계(S200)
본 단계는 폭 펼침 단계로서, 함침 금형(30, 도 2 참조)의 입구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재(110, 도 2 참조)와 하부 가이드부재(120,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함침 금형(30, 도 2 참조)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부 가이드부재(110, 도 2 참조)와 하부 가이드부재(120, 도 2 참조)는 설정높이 차를 두고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데, 이때의 설정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함침 금형 투입 단계(S300)
본 단계는 함침 금형 투입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폭 방향으로 펼쳐진 강화 섬유를 함침 금형 내에서 수지로 함침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수지는 바람직한 예로서 폴리프로필렌이 이용 가능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다수 적층하여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한 결과, 기존의 방식에 비해 상, 하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함침 금형으로 투입하기 직전에 강화 섬유를 펼친 경우 상대적으로 굴곡강도와 굴곡강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 하부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회전하는 롤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사로 인해 제조가 불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줌으로써 함침 금형 내부에서의 수지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수지 함침률이 기존 제품들에 비해 향상됨에 따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연속 섬유 복합재료의 물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연속 섬유 복합재료가 적용된 제품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f: 강화 섬유
10: 강화 섬유 공급부
20: 압출기
30: 함침 금형
110: 상부 가이드부재
111: 상부 가이드 홈
120: 하부 가이드부재
121: 하부 가이드 홈
150: 제어부
151: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153: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S100: 강화 섬유 공급 단계
S200: 폭 펼침 공정 단계
S300: 함침 금형 투입 단계

Claims (12)

  1. 강화 섬유에 수지를 함침하는 함침 금형; 및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도록 상, 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상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간격을 두고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함침 금형에 투입되는 강화 섬유를 하부에서 안내하여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강화 섬유가 안내되는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 면을 통해 상기 강화 섬유가 안내되는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강화 섬유가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는 입구 부위에 근접 배치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가이드 홈 각각은,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가이드 홈 각각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의 외주 면을 따라 동일한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각각은,
    상기 강화 섬유의 얼라인(align) 조정을 위해 설정거리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 위치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11. 제1항, 제3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으로서,
    (a) 강화 섬유를 공급 받는 단계;
    (b) 상기 강화 섬유가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되기 직전에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강화 섬유를 폭 방향으로 펼쳐주는 단계; 및
    (c) 상기 폭 방향으로 펼쳐진 강화 섬유를 상기 함침 금형으로 투입하여 수지를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설정높이 차를 두고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설정높이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KR1020160009882A 2016-01-27 2016-01-27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KR101935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82A KR101935509B1 (ko) 2016-01-27 2016-01-27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PCT/KR2016/014962 WO2017131344A1 (ko) 2016-01-27 2016-12-21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82A KR101935509B1 (ko) 2016-01-27 2016-01-27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39A KR20170089539A (ko) 2017-08-04
KR101935509B1 true KR101935509B1 (ko) 2019-01-04

Family

ID=5939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82A KR101935509B1 (ko) 2016-01-27 2016-01-27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5509B1 (ko)
WO (1) WO2017131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380B1 (ko) * 2017-12-11 2021-01-12 (주)엘지하우시스 복합소재 제조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922A (ja) * 2000-08-11 2002-02-28 Murata Mfg Co Ltd ガイドローラ及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装置並びにそれによ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9062648A (ja) * 2007-09-07 2009-03-26 Toray Ind Inc チョップド繊維束、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443A (ja) * 2000-01-12 2001-09-26 Toray Ind Inc 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開繊方法並びに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2005169697A (ja) * 2003-12-09 2005-06-30 Toray Ind Inc プリプレグ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110019937A (ko) * 2009-08-21 2011-03-02 엄태진 일방향성 프리프레그의 수지 함침용 롤러 및 그를 이용한 제조 방법
BR112012028029B1 (pt) * 2010-05-11 2021-01-19 Cytec Technology Corp. aparelho para produzir um feixe de fibras espalhado, método para produzir um feixe de fibras espalhado, método para a produção contínua de pré-impregnado enrolado unidirecionalmente arranjado em paralelo e tendo distribuição uniforme entre fibras e, sistema de processamento compósi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922A (ja) * 2000-08-11 2002-02-28 Murata Mfg Co Ltd ガイドローラ及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装置並びにそれによ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9062648A (ja) * 2007-09-07 2009-03-26 Toray Ind Inc チョップド繊維束、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39A (ko) 2017-08-04
WO2017131344A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3674C2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репрег, содержащий непрерывные и длинные волокна
JP4981801B2 (ja) コンポジット部品のためのtfpプロセスによりファイバープリ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のための案内装置
RU2583017C2 (ru) Содержащая 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е волокнистые ленты волокнистая заготовка из пучков армирующих волокон и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91868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dry textile preform
CN106273554B (zh) 用于制造复合增强构件的装置和方法
KR20170117538A (ko) 인발성형 장치
KR102373111B1 (ko) 섬유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827687A (zh) 用于制造纤维增强的热固性复合材料的方法和设备
EP328873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s
CN107405798A (zh) 用于制备纤维复合材料的方法和设备
KR101935509B1 (ko)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
KR102492502B1 (ko) 편성에 의해 제조된 건식 예비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상기 예비 성형체로부터 복합 재료로 이루어진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RU2767352C1 (ru) Пултрузион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рмированных волокнами пластиковых профилей и пултруз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68785B1 (ko) 복합소재 이중 인발성형장치
KR101933914B1 (ko) 스틱형 성형부를 갖는 복합섬유 성형시트 후가공 장치
KR101445445B1 (ko) 2 종 이상의 섬유를 이용할 수 있는 복합 재료 제조 장치
WO2019183064A1 (en) Multiple layer article with interactive reinforcements linear ribbon fiber reinforcement for composite forms
KR20230014972A (ko) 인발성형용 다이,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RU277560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й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заготовки, созданной в результате вязания,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одукта, изготовленного из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упомянутой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заготовки
KR102225633B1 (ko) 혼성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41857B1 (ko) 복합형 낚싯대 성형물 및 그 제조장치
US10946554B2 (en) Prepreg manufacturing device and prepreg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JPH07148850A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749145B1 (ko) 직조방식의 복합재 리바 제조방법
KR101552334B1 (ko)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