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328B1 -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 Google Patents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28B1
KR101935328B1 KR1020180068194A KR20180068194A KR101935328B1 KR 101935328 B1 KR101935328 B1 KR 101935328B1 KR 1020180068194 A KR1020180068194 A KR 1020180068194A KR 20180068194 A KR20180068194 A KR 20180068194A KR 101935328 B1 KR101935328 B1 KR 10193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disposed
pipe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티
Priority to KR102018006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including an adsorption device, comprising: a frame of which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a hook or a wire so as to move in a vertical and a horizontal direction; a motor which is arranged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o as to suck or discharge air; at least one adsorption device which is arrang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which adsorbs a surface of an object by a first adsorption power from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by a second adsorption power from the welding force as the frame moves to the lower side; and a pipe unit which allows the motor and the adsorption device to communicate.

Description

흡착장치를 포함하는 호이스트{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흡착장치를 포함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comprising an adsorption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호이스트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며, 공장 또는 건축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A hoist is a device that picks up a heavy object and moves it to a desired place, and is mainly used in factories or construction sites.

이러한 호이스트는 원동기, 감속기, 와인딩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와인딩 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에 후크 또는 전자석을 가지고 물체를 리프팅하여 이동시킨다.The hoist includes a prime mover, a speed reducer, and a winding drum, and lifts and moves the object with a hook or an electromagnet on the wire wound on the winding drum.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52968호(발명의 명칭: 리프팅 마그네트 시스템) 는 전자석 타입의 호이스트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Korean Registration No. 10-1352968 (entitled Lifting Magnet System) provides a technical idea for an electromagnet type hois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호이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ois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일단, 후크 형식의 호이스트는 물체에 후크를 걸기 위해 수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작업 중 후크 자체에 의한 사고, 또는, 무거운 철판의 사이를 들어올려 상기 후크를 끼울 때 발생하는 사고가 예견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hook type hoist has a problem that a manual operation is required to hook a hook to an object and an accident caused by the hook itself during the manual operation or an accident occurring when the hook is lifted between the heavy steel plates is predicted .

이러한 후크 타입의 호이스트는 후크에 물체를 매달기 위해 작업자가 적어도 두 명 이상 요하게 되어 인건비가 증가하고, 산재의 위험이 도사리는 문제가 있다.Such a hook type hoist requires at least two workers to hang the object on the hook,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abor costs and a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한편, 전자석 타입의 호이스트는 흡착물과 마그넷 사이의 자속을 측정하고 자기력을 계산하는 등의 복잡한 전기의 제어를 요하므로 제품 단가가 상기 후크 타입의 호이스트 보다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magnet type hoist requires complicated electric control such as magnetic flux measurement between the adsorbate and the magnet and calculation of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of the hoist increases more than the hoist of the hook type.

또한, 전자석 타입의 호이스트는 정전 또는 기타 전자제어 시스템이 오류가 날 경우 큰 사고의 위험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type hoist has a problem that when a power failure or other electronic control system fails, there is a risk of a serious accident.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크 타입과 전자석 타입의 호이스트는 프레스 작업이 수행되어 굴곡진 금형판의 리프팅에 한계가 있다.Also, the hoisting of the conventional hook type and electromagnet type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in the lifting of the bent metal mold plate by the press work.

또한, 비자성 물체의 경우, 상기 후크 타입의 호이스트는 가공품 표면에 흠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식 호이스트는 리프팅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a non-magnetic object, the hook type hoist may cause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nic hoist may lose the lifting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의 속성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물체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장치를 포함하는 호이스트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ist comprising an adsorption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adsorbing an object regardless of the property or shape of th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측에 후크 또는 와이어가 체결되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모터;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흡착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흡착장치; 및 상기 모터와 흡착장치를 연통시키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rame which can be moved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by fastening hooks or wires on an upper side; A motor disposed above the frame to suck or discharge air; At least one adsorption devic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frame for adsorbing a surface of an object by a first adsorption force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by a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And a pipe portion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adsorption devic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세로빔; 및 상기 세로빔에 직교되게 배치되며 양단에 각각 상기 흡착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로빔;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beam; And at least two horizontal beams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vertical beams and having the adsorption units movably disposed at both ends thereof.

또한,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모터에 연통되어 상기 세로빔에 배치되는 메인파이프; 상기 메인파이프로부터 분지되는 복수 개의 분지파이프; 및 상기 가로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측단이 상기 흡착장치에 연통되는 흡착파이프; 및 각각의 상기 분지파이프와 흡착파이프의 상측단을 연통시키는 연결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section may include: a m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beam; A plurality of branch pipes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an adsorption pipe movably disposed on the transverse beam and having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adsorption device; And a connection hose that communicates each of the branch pipe and the upper end of the adsorption pipe.

또한, 상기 연결호스와 분지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n on-off valv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ose and the branch pipe.

또한, 이물이 상기 모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파이프에 배치되는 필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evice disposed in the main pip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motor.

또한, 상기 가로빔의 양단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파이프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고정된 보조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ap adjusting member movab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eam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adsorption pipes, and the adsorption pipe may be disposed in an auxiliary bracket fixed to the gap adjusting member.

또한, 상기 흡착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mb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pip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dsorption pipe.

또한, 상기 흡착파이프는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써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ip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variable shape, and a coil spring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흡착장치는, 상기 파이프부에 연통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을 전달받는 반원구 형상의 제1 흡착부; 및 상기 제1 흡착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을 갖는 제2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micircular first adsorp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pipe unit and receiving a first adsorption force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a second adsorp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or having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receiving the first adsorption unit.

또한, 상기 제2 흡착부는, 상기 제1 흡착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를 수용하는 반원구 형상의 흡착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착판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물체의 표면에 가압되어 상기 흡착판을 물체에 흡착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adsorption section may include a semicircular adsorption plate accommodated in the first adsorption section or receiving the first adsorption section; And a lever that is bent in a stepped shape and has one end disposed on the adsorption plate and the other end 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adsorb the adsorption plate to an object.

또한, 상기 레버의 타단에 배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흡착판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Further, if the lever is pres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racting plat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위치 컨트롤러와,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하여 제1 흡착력을 상기 흡착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진공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controller for moving the frame, and a control panel including a vacuum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the motor to transmit the first attraction force to the at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제1 흡착력과 물체에 대한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흡착장치를 포함하여, 리프팅을 하기 위한 물체의 물성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강한 리프팅을 구현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adsorption apparatus including a mechanical adsorp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adsorption force by driving of a motor and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against an object and can realize a safe and strong lifting regardles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for lifting Provide a hoist.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흡착파이프, 높이조절부재 또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리프팅하고자하는 물체의 형상 또는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신속한 리프팅을 구현할 수 있는 호이스트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ist that includes a flexible suction pipe, a height adjusting member, or a gap adjusting member, so that safe and quick lifting can be realized regardless of the shape or size of an object to be lif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가 설치된 호이스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 hoist equipped with an adsor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가 설치된 호이스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hoist equipped with an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100)는 크게 프레임(110), 모터(120), 흡착장치(130) 및 파이프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hois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110, a motor 120, an adsorption apparatus 130, and a pipe unit 140, Panel 150 as shown in FIG.

미도시되었으나, 호이스트(100)는 통상적으로 가이드레일과 전동기, 와이어 등을 포함하여, 지면과 이격된 상측 공간에 설치된다.The hoist 100 is usually installed in an upper space including a guide rail, an electric motor, a wire, and the like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이러한 통상적인 호이스트(100)의 구조하에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측에 후크 또는 와이어가 체결되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Under the structure of such a conventional hoist 100, the frame 110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by fastening a hook or wire on the upper side.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110)은 세로빔(111)과, 상기 세로빔(111)에 직교되게 배치되며 양단에 각각 후술할 흡착장치(13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로빔(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the fram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beam 111 and orthogonally disposed the vertical beam 111, And may include at least two horizontal beams 112 to which an adsorption apparatus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movably disposed.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로빔(112)은 상기 세로빔(111)에 직교되게 네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네 개의 가로빔(112)의 양단에 8개의 후술할 흡착장치(13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transverse beams 112 may be arranged at four orthogonal directions to the longitudinal beams 111, The adsorption device 130 may be disposed.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상술한 호이스트(100)의 후크 또는 와이어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하우징(11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하우징(113)은 후술할 모터(120) 또는 필터장치(160)가 수용될 수 있다.The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using 113 to which the hook or wire of the hoist 100 may be fastened. The fastening housing 113 may include a motor 120 or a filter The device 160 can be received.

상기 모터(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할 제1 흡착부(131)가 리프팅할 물체에 흡착될 수 있다.The motor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frame 110 to suck or discharge air, so that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adsorbed on an object to be lifted.

또한, 상기 모터(120)는 에어펌프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하우징(113)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motor 120 may be an air pump, and may be fixed to the coupling housing 113.

상기 흡착장치(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과,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흡착할 수 있다.The adsorption device 130 is disposed below the frame 110 and detects the first attraction forc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20 and the second attraction force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lower movement of the frame 110, The surface can be adsorbed.

또한, 상기 흡착장치(1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상기 호이스트(100)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adsorption apparatuses 130 may be disposed in the hoist 100.

예를 들어, 상기 흡착장치(130)는 상기 가로빔(112) 4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8개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sorption apparatuses 130 may be disposed at four ends of the four transverse beams 112, respectively.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착장치(130)의 흡착력은 기계식으로 구현됨으로써 호이스트(100)의 내구성, 안전성, 가격 경쟁력 등이 향상될 수 있다.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durability, safety, price competitiveness, and the like of the hoist 10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착장치(130)는 상기 파이프부(140)에 연통되어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을 전달받는 반원구 형상의 제1 흡착부(131)와, 상기 제1 흡착부(131)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131)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을 갖는 제2 흡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adsorption apparatus 130 includes a semi-spherical first adsorption unit 131 (first adsorption unit) 131 communicating with the pipe unit 140 and receiving a first adsorption force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120, And a second adsorption unit 130 accommodated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or having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110 by receiving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132 < / RTI >

이러한 제1 흡착부(131) 및/또는 제2 흡착부(132)는 탄성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가지의 흡착력으로써 리프팅할 물체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and / or the second adsorption unit 13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object to be lifted can be strongly fixed by two adsorption forces.

또한, 상기 제2 흡착부(132)는 상기 제1 흡착부(131)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131)를 수용하는 반원구 형상의 흡착판(13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착판(132a)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물체의 표면에 가압되어 상기 흡착판(132a)을 물체에 흡착시키는 레버(13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dsorption unit 132 may include a semi-spherical adsorption plate 132a accommodated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or accommodating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And a lever 132b that is bent in a shape and one end is disposed on the attracting plate 132a and the other end is 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attract the attracting plate 132a to an object.

즉, 상기 레버(132b)는 평상시에 상기 흡착판(132a)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프레임(110)이 물체 방향으로 하측 이동하면 상기 레버(132b)는 물체에 가장 먼저 닿아서 밀려올라가는 힘으로써 상기 흡착판(132a)을 물체에 가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lever 132b is normally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racting plate 132a. When the frame 110 is mov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bject, the lever 132b is first contacted with the object The attracting plate 132a can be pressed against the object by the upward force.

또한, 상기한 레버(132b)의 용이한 가압작용 및 물체 표면의 손상 방지를 고려하여, 상기 레버(132b)의 타단에는 롤러(132c)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132c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132b in consideration of the easy pressing action of the lever 132b and the damag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또한, 안전성, 리프팅될 물체의 손상방지 기타 사정을 고려하여, 후술할 컨트롤패널(150) 또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레버(132b)의 타단이 상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흡착부(131)의 제1 흡착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When the other end of the lever 132b starts to be moved upward by the control panel 150 or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consideration of safety, prevention of damage to the object to be lifted, The first adsorption force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can be activated.

또는, 후술할 컨트롤패널(150) 또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레버(132b)의 타단이 상기 흡착판(132a)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other end of the lever 132b is pres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racting plate 132a by the control panel 150 or a control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110 is restricted Lt; / RTI >

상기 제1 흡착부(131)에 상기 모터(120)에 의한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부(140)는 상기 모터(120)와 흡착장치(130)를 연통시킬 수 있다.The pipe section 140 may allow the motor 120 to communicate with the adsorption apparatus 130 in order to provide the adsorption force by the motor 120 to the first adsorption unit 131. [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부(140)는 상기 모터(120)에 연통되어 상기 세로빔(111)에 배치되는 메인파이프(141)와, 상기 메인파이프(141)로부터 분지되는 복수 개의 분지파이프(142)와, 상기 가로빔(11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측단이 상기 흡착장치(130)에 연통되는 흡착파이프(143)와, 각각의 상기 분지파이프(142)와 흡착파이프(143)의 상측단을 연통시키는 연결호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140 includes a main pipe 141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120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beam 111 and a plurality of branch pipes 142 branched from the main pipe 141. [ An adsorption pipe 143 movably disposed on the transverse beam 112 and having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adsorption device 130 and a suction pipe 143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branch pipe 142 and the adsorption pipe 143 And a connecting hose 144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hose 14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장치(130)를 통해 이물이 상기 모터(12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파이프(141)에 배치되는 필터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모터(120)의 내구성 및 흡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evice 160 disposed on the main pipe 141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motor 120 through the adsorption device 130, The durability and the attracting force of the motor 120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호스(144)와 분지파이프(142) 사이에 배치되는 개폐밸브(14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밸브(145)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각각의 상기 제1 흡착부(131)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차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n-off valve 145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ose 144 and the branch pipe 142. The on-off valve 145 may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dsorption It is possible to shield the air flow from the portion 13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장치(13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포함하여, 물체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고 견고하게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firmly lift an object regardless of the shape and / or size of the object, including structural features that can vary the position of the adsorption device 1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가로빔(112)의 양단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143)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파이프(143)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70)에 고정된 보조브라켓(171)에 배치됨으로써, 물체의 넓이에 맞게 상기 흡착장치(130) 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gap adjusting member (170) movab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eam (112)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dsorption pipes (143) Is arranged in the auxiliary bracket 171 fixed to the gap adjusting member 170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adsorption apparatuses 1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파이프(143)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143)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member 180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pipe 143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dsorption pipe 143.

또한, 상기 흡착파이프(143)는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써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스프링(143a)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ipe 14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variable shape, and a coil spring 143a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이러한 높이조절부재(180) 및/또는 흡착파이프(143)의 구조적 특징으로써, 판 형상의 물체뿐만이 아니라 프레스 또는 사출된 굴곡진 형상의 물체의 표면에 우수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Structural features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180 and / or the adsorption pipe 143 can have excellent attraction force not only on a plate-like object but also on a surface of an object pressed or project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패널(150)은 상기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위치 컨트롤러(151)와, 상기 모터(120)를 온/오프(ON/OFF)하여 제1 흡착력을 상기 흡착장치(130)에 전달하기 위한 진공 컨트롤러(152)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control panel 150 includes a position controller 151 for moving the frame 110 and a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motor 120 to be turned on / And a vacuum controller 152 for transferring the vacuum to the vacuum chamber 130.

요컨대,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패널(150)로써 상기 프레임(1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frame 110 with the control panel 15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120.

이러한 제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100)는 상기 모터(120)에서 발생되는 제1 흡착력과 리프팅할 물체를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제2 흡착력을 가진 흡착장치(130)에 의해 물체의 재질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리프팅을 구현할 수 있다.By this control, the hois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hoist 100 by the first adsorp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120 and the second adsorption force generated by pressing the object to be lifted, Stable lifting can be achieved regardless of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장치(130)가 배치되는 흡착파이프(143)의 구조, 상기 간격조절부재(170) 및/또는 높이조절부재(180)로써 물체의 형상 또는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리프팅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adsorption pipe 143 in which the adsorption device 130 is disposed and the lifting member 170 and / Can be implemented.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 and its equivalent range.

100: 호이스트 110: 프레임
111: 세로빔 112: 가로빔
113: 체결하우징 120: 모터
130: 흡착장치 131: 제1 흡착부
132: 제2 흡착부 132a: 흡착판
132b: 레버 132c: 롤러
140: 파이프부 141: 메인파이프
142: 분지파이프 143: 흡착파이프
144: 연결호스 150: 컨트롤패널
151: 위치 컨트롤러 152: 진공 컨트롤러
160: 필터장치 170: 간격조절부재
171: 보조브라켓 180: 높이조절부재
100: hoist 110: frame
111: vertical beam 112: horizontal beam
113: fastening housing 120: motor
130: Adsorption apparatus 131: First adsorption unit
132: second adsorption portion 132a: adsorption plate
132b: lever 132c: roller
140: pipe portion 141: main pipe
142: branch pipe 143: suction pipe
144: Connection hose 150: Control panel
151: Position controller 152: Vacuum controller
160: Filter device 170: Spacing member
171: auxiliary bracket 180: height adjusting member

Claims (13)

상측에 후크 또는 와이어가 체결되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모터;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흡착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흡착장치; 및
상기 모터와 흡착장치를 연통시키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장치는,
상기 파이프부에 연통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제1 흡착력을 전달받는 반원구 형상의 제1 흡착부; 및
상기 제1 흡착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에 따른 가압력에 의한 제2 흡착력을 갖는 제2 흡착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A frame which can be moved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by fastening hooks or wires on the upper side;
A motor disposed above the frame to suck or discharge air;
At least one adsorption devic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frame for adsorbing a surface of an object by a first adsorption force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by a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And
And a pipe portion communicating the motor and the adsorption device,
Wherein the adsorption device comprises:
A semi-spherical first adsorp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pipe unit and receiving a first adsorption force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And a second adsorption part accommodated in the first adsorption part or having a second adsorption force by a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receiving the first adsorp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세로빔; 및
상기 세로빔에 직교되게 배치되며 양단에 각각 상기 흡착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로빔;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ncludes:
Vertical beam; And
And at least two horizontal beams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vertical beams, the horizontal beams being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absorption apparatus so as to be mov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모터에 연통되어 상기 세로빔에 배치되는 메인파이프;
상기 메인파이프로부터 분지되는 복수 개의 분지파이프; 및
상기 가로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측단이 상기 흡착장치에 연통되는 흡착파이프; 및
각각의 상기 분지파이프와 흡착파이프의 상측단을 연통시키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m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moto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beam;
A plurality of branch pipes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An adsorption pipe movably disposed on the transverse beam and having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adsorption device; And
And a connection hose that communicates each of the branch pipe and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와 분지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on-off valv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hose and the branch pipe.
제3항에 있어서,
이물이 상기 모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파이프에 배치되는 필터장치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ilter device disposed in the main pip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mo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의 양단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파이프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에 고정된 보조브라켓에 배치되는 호이스트.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gap adjusting member movab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eam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adsorption pipes,
And the suction pipe is disposed in an auxiliary bracket fixed to the gap adjust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파이프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of claim 3,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sorption pip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dsorption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파이프는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써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스프링이 배치되는 호이스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ction pipe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shape is variable, and a coil spring i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부는,
상기 제1 흡착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흡착부를 수용하는 반원구 형상의 흡착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착판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물체의 표면에 가압되어 상기 흡착판을 물체에 흡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dsorption unit comprises:
A semi-spherical adsorption plate housed in the first adsorption unit or accommodating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a lever which is bent in a stepped shape and has one end disposed on the attracting plate and the other end 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attract the attracting plate to an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단에 배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rolle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흡착판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이동이 제한되는 호이스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n the lever is pres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racting plat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rame is restri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위치 컨트롤러와, 상기 모터를 온/오프(ON/OFF)하여 제1 흡착력을 상기 흡착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진공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는 호이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sition controller for moving the frame, and a control panel including a vacuum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the motor to transmit the first attraction force to the attraction device.
KR1020180068194A 2018-06-14 2018-06-14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KR101935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94A KR101935328B1 (en) 2018-06-14 2018-06-14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94A KR101935328B1 (en) 2018-06-14 2018-06-14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28B1 true KR101935328B1 (en) 2019-01-04

Family

ID=6501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94A KR101935328B1 (en) 2018-06-14 2018-06-14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2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7Y1 (en) * 2006-01-26 2006-04-27 한국몰드(주) Vaccum Suction Device for Tunnel Concrete Block Seg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7Y1 (en) * 2006-01-26 2006-04-27 한국몰드(주) Vaccum Suction Device for Tunnel Concrete Block Seg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39B1 (en) workbench for tank welding
KR101935328B1 (en) Hoist having adsorption device
KR100933952B1 (en) Absorber for Panel Transfer
CN215287047U (en) Grabbing mechanism and moving device
GB1527425A (en) Control system for selective positioning of a displaceable device and a displaceable device in combination with such a system
KR102525167B1 (en) driving bogie
KR102104666B1 (en) Welding carriage
CN109552967A (en) Material lifting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in elevator
KR101029342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large-sized steel plate
CN203878708U (en) Movable device for flood control, drainage of waterlogged farmland and fire control
KR102447770B1 (en) Lockdown device holding tool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compensation device
JPH0769592A (en) Hoisting method for travel table and equipment for work at elevated place
CN112707343A (en) Cathode mounting system in continuous PVD coating equipment
JP2637365B2 (en) Plate transfer device
CN103967106A (en) Movable flood control, storm drainage, firefighting and drainage and irrigation device
KR102080617B1 (en) Jib-end lower roller assembly of lapping tower crane
JP6143694B2 (en) Elevating body fall prevention method and fall prevention device
CN217867795U (en) Driving hoist and mount safety device and system
KR20110048161A (en) Carriage for fastening backing material to fgb backside
JP3073345B2 (en) Equipment and piping attachments for lifting
CN203878707U (en) Movable irrigation and drainage device for flood control, drainage of waterlogged farmland and fire control
KR101889449B1 (en) Indoor Electrical Construction Heavy-Duty Power Connection
JP2567982Y2 (en) Safety equipment for lifting vehicles
JP2010150037A (en) Self-traveling elevator
KR100807563B1 (en) Device for auto opening and closing of ladle by using brea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