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204B1 -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204B1
KR101935204B1 KR1020180072858A KR20180072858A KR101935204B1 KR 101935204 B1 KR101935204 B1 KR 101935204B1 KR 1020180072858 A KR1020180072858 A KR 1020180072858A KR 20180072858 A KR20180072858 A KR 20180072858A KR 101935204 B1 KR101935204 B1 KR 10193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torm
storage structure
container
stor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현
Original Assignee
홍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현 filed Critical 홍종현
Priority to KR102018007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임시로 수용되는 오목 형태의 우수 수용홈; 상기 우수 수용홈의 양단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을 촉진하는 경사면; 및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 수용홈에는 우수가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RAINFALL STORAGE STRUCTURE FOR TREE GROWTH}
본 발명은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의 둘레에 제공되어 우천시 우수(빗물)를 저장해두고 저장된 우수가 천천히 땅속(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점적인 급수가 가능하며 설치 및 구조가 간단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물부족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최근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빗물의 경제적 가치를 나름대로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규모 빗물 재활용시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에는 가령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조에 모아 필요시 청소용수나 조경수 또는 소방용수로 활용하는 것들도 포함된다.
또한, 빗물의 재활용으로 가로수 등의 수목의 고사로 발생되는 경제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1(등록특허공보 제10-1380489호)에는 수목의 병해나 원활한 생육을 위한 약액 주입의 편리성으로 주변 민원감소와 관리비를 절약할수 있는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급수 시스템은 관수부와 앵글부의 결합구조로서, 설치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설치면적도 매우 넓다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04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의 둘레에 제공되어 우천시 우수(빗물)를 저장해두고 저장된 우수가 천천히 땅속(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점적인 급수가 가능하며 설치 및 구조가 간단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목의 둘레에 배치되고, 우천시 우수를 저장하여 점진적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로서, 유입되는 우수가 임시로 수용되는 오목 형태의 우수 수용홈; 상기 우수 수용홈의 양단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을 촉진하는 경사면; 및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 수용홈에는 우수가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수용홈은 ㄷ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수 수용홈을 따라 부유물을 거르는 차단망이 거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는 환상형 구조, 홈-돌기 간을 끼움결합하는 구조, 힌지형 구조 및 핀에 의한 단턱-단턱 결합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토양이 담겨져서 수목이 식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분해가 용이한 황토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조성물은 황토 분말 70 내지 80 중량부, 숯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점토 5 내지 10 중량부, 옥수수분말 3 내지 5 중량부, 및 첨가제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천연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조류, 아교, 솔잎 및 느릅나무 껍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에 의하면, 점적인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가로수, 중앙 분리화단 등에서 수목의 가뭄 해갈과 수목 보호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빗물의 재활용으로 물부족과 수목의 고사로 발생되는 경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에 의하면, 우수가 증산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효 수량을 최대로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우수를 일시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증대됨으로써 우수범람에 의한 침식이나 홍수 등 자연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일부 발췌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10)는 기본적으로 환상형 구조를 가지며, 우수 수용홈(11), 경사면(13), 및 저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수 수용홈(11)은 우천시 유입되는 우수가 임시로 수용되는 공간으로, 오목형태, 예를 들어 ㄷ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3)은 우수 수용홈(11)의 양단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경사면(13)은 Y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5)는 경사면(13)의 하단에 마련되어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우수 수용홈(11)의 바닥에는 우수가 상기 저장부(15)로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유입구(12)가 구비되며, 저장부(15)에는 저장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유출구(1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유출구(17)의 개수는 유입구(12)의 개수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출구(17)의 개수는 유입구(12) 개수의 1/3 내지 1/5만큼 적을 수 있다. 필요하다면, 유출구(17)에는 스폰지와 같은 흡수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유출되는 우수의 양 및 속도를 조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2)와 유출구(17)는 매우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가능하다.
특히, 유출구(17)의 크기는 유입구(12)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우수의 점적인 공급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일시 저장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우수 수용홈(11)에는 그 수용홈을 따라 부유물을 거르는, 즉 부유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망(14)이 거치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망(14)은 메쉬 구조의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그 재질로는 가공의 편의를 위해서 부직포류, 연질의 플라스틱류 재료가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금속류 재질로도 제조가능하다.
한편, 경사면(13)의 일부분에는 인공적으로 외부에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구(19)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에는 급수구(19)를 통해 별도로 물을 급수해줌으로써 수목의 가뭄 해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급수구(19)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가능하며, 경사면(13) 이외의 부분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는 수목(T)의 둘레에 배치되고, 우천시 우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수목(T)의 뿌리에 대해여 점진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는 기본 구조인 환상형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가능하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20)는 홈-돌기 간을 끼움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20)는 제1 부분(21) 및 제2 부분(23)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부분(21) 및 제2 부분(23)은 홈-돌기(25) 간의 끼움결합으로 결합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30)는 힌지부(3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형 구조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40)는 핀(45)에 의한 단턱-단턱 결합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40)의 말단에는 각각 단턱(42) 및 결합공(44)이 각각 형성되고, 핀(45)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핀(45)은 결합공(44)에 결합시 끝단이 땅속 깊이까지 박힐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는 그 하부에 항아리 형상의 용기(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용기(50)는 수목이 묘목인 경우에 매우 유용한 구조로서, 묘목이 해충이나 외부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해준다.
용기(5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토양이 담겨져서 수목이 식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51)을 구비하고, 그 바닥에는 복수개의 배수구(55)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용기(50)는 분해가 용이한 황토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50)는 수목의 생장 및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쇄가 가능해진다.
일례로, 상기 황토조성물은 황토분말 70 내지 80 중량부, 숯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점토 5 내지 10 중량부, 옥수수분말 3 내지 5 중량부, 및 첨가제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토, 옥수수분말 및 첨가제는 점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첨가제는 천연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조류, 아교, 솔잎 및 느릅나무 껍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해조류는 미역, 톳, 다시마, 우뭇가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10)의 테두리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의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하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유출구(도 2 참조)가 용기(10)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따라서 용기(50)의 수용공간(51)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로 점진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50)는 수목의 생장 동안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그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목의 뿌리에 의해 분해 및 분쇄되어 자연으로 환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우수 저장 구조체
11 : 우수 수용홈
13 : 경사면
14 : 차단망
15 : 저장부
19 : 급수구

Claims (7)

  1. 수목의 둘레에 배치되고, 토양 내에 매립되어 우천시 우수를 저장하여 점진적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로서,
    유입되는 우수가 임시로 수용되는 오목 형태의 우수 수용홈;
    상기 우수 수용홈의 양단에 구비되어 우수의 유입을 촉진하는 경사면; 및
    유입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 수용홈에는 우수가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우수 수용홈은 ㄷ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수 수용홈을 따라 부유물을 거르는 차단망이 거치고정되고,
    상기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는,
    힌지결합의 형태로 수목 둘레에 설치되는 힌지형 구조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토양이 담겨져서 수목이 식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용기의 테두리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의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하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되, 상기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의 유출구가 상기 용기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용기는 수목의 생장 및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해가 용이한 황토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72858A 2018-06-25 2018-06-25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KR10193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8A KR101935204B1 (ko) 2018-06-25 2018-06-25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8A KR101935204B1 (ko) 2018-06-25 2018-06-25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204B1 true KR101935204B1 (ko) 2019-01-03

Family

ID=6502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58A KR101935204B1 (ko) 2018-06-25 2018-06-25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2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26B1 (ko) * 2000-12-18 2003-11-10 에코니아 주식회사 지력 향상성을 갖는 매립형 육묘용기 제조용 조성물,그로부터 제조된 매립형 육묘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5753B1 (ko) * 2005-08-05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의 보호구조
KR100769487B1 (ko) * 2006-11-03 2007-10-23 추연한 집수조 겸 벤치용 수목 보호덮개
CN103501590A (zh) * 2010-12-16 2014-01-08 荷兰技术有限公司 植物灌溉系统以及方法
KR101620883B1 (ko) * 2014-04-16 2016-05-13 김다솜 가로수 조경을 위한 조립식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26B1 (ko) * 2000-12-18 2003-11-10 에코니아 주식회사 지력 향상성을 갖는 매립형 육묘용기 제조용 조성물,그로부터 제조된 매립형 육묘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5753B1 (ko) * 2005-08-05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의 보호구조
KR100769487B1 (ko) * 2006-11-03 2007-10-23 추연한 집수조 겸 벤치용 수목 보호덮개
CN103501590A (zh) * 2010-12-16 2014-01-08 荷兰技术有限公司 植物灌溉系统以及方法
KR101620883B1 (ko) * 2014-04-16 2016-05-13 김다솜 가로수 조경을 위한 조립식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2638C (zh) ‘灯心’式给水园林集雨器
CN204860389U (zh) 盐碱地乔木种植结构
CN109618719A (zh) 种植面结构以及用于形成这种种植面结构的模块和方法
CN206879682U (zh) 一种用于旱地造林的集水节水缓渗装置
CN104285719B (zh) 一种沙漠、荒山植树用容器
KR101396573B1 (ko) 건축물의 옥상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장치
CN103669474A (zh) 一种自动伸缩集雨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151721U (zh) 一种海绵城市的生态树池
CN203407257U (zh) 沙漠绿化装置
CN203716216U (zh) 一种自动伸缩集雨装置
CN109691282B (zh) 一种园林绿化蓄水装置
CN208905310U (zh) 一种活动房装配式绿化装置
CN207897496U (zh) 可拼装种植容器及种植容器组
KR20150020015A (ko) 건축물의 옥상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장치
KR101935204B1 (ko) 수목 생장용 우수 저장 구조체
CN210445184U (zh) 一种无灌溉植树装置及其储水容器
CN207284570U (zh) 一种园林绿化节水供水装置
KR101488888B1 (ko) 식생용철망
CN213756123U (zh) 一种园林绿化树木用防水机构
CN208001761U (zh) 一种用于林木根部灌溉排水装置
CN200947768Y (zh) 土层贮水板
CN211185081U (zh) 易接水储水花盆
CN109306645A (zh) 一种生态树池
CN207410899U (zh) 壕沟式积雨节水栽培结构
CN209443560U (zh) 一种应用于海绵城市的方形可植草生态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