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389B1 - 부유식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389B1
KR101934389B1 KR1020170079828A KR20170079828A KR101934389B1 KR 101934389 B1 KR101934389 B1 KR 101934389B1 KR 1020170079828 A KR1020170079828 A KR 1020170079828A KR 20170079828 A KR20170079828 A KR 20170079828A KR 101934389 B1 KR101934389 B1 KR 10193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loating
hull
central por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넓은 면적으로 레그와 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반이 급격하게 처지는 현상과 붕괴를 방지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제공된다.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레그 웰(leg well)이 형성된 선체와, 상기 레그 웰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그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스퍼드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넓은 면적으로 레그와 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반이 급격하게 처지는 현상과 붕괴를 방지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부유식 해양구조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선체를 해상으로부터 들어올려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잭업 드릴링 리그(jack-up drilling rig),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 이동식 시추선(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MODU)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해상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레그(leg)를 내려 선체를 고정한 후, 레그를 따라 선체를 들어올림으로써 작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표적인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은 작업 특성상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본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풍력발전기 설치 선박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본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본체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본체의 이동을 중지하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설치가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설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항해모드에서 잭업 모드로 변경될 때, 레그의 자중을 이용하여 레그를 하강시 시킨 뒤 본체의 무게를 이용하여 레그를 해저 지반에 박는 프리로딩(preloading) 단계를 거치게 된다.
프리로딩 시 과도하게 긴 레그와 이러한 레그에 지지되는 선체에 적재된 적제하중으로 인하여 선박의 무게중심이 메인데크 상부에서 19m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작업을 위해서 레그를 해저면에 고정시켜야 하나, 해저면에 레그를 고정시키는 도중 해저 경사가 불일치 하거나 레그의 편심 하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이로 인해, 레그의 구조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5816호, (2016.04.0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넓은 면적으로 레그와 선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반이 급격하게 처지는 현상과 붕괴를 방지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레그 웰(leg well)이 형성된 선체와, 상기 레그 웰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그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스퍼드캔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중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퍼드캔은 상기 확장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중심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레일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와 상기 이동돌기, 또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확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하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선체와 레그를 지지하는 스퍼드캔이 해저면의 넓은 면적에 분포하여, 지반이 급격하게 처지는 현상으로 인한 선체와 레그의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스퍼드캔이 분리 형성되어 더 깊은 해저면에 관입하여 지층의 분자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저 경사의 불일치와, 레그의 편심하중이 발생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선체가 전도되거나 어느 하나의 레그에 발생하는 구조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퍼드캔 내부에 밸러스팅을 실시하여 스퍼드캔의 무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레그와 스퍼드캔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퍼드캔의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스퍼드캔(30)이 분리 형성되고 해저면에 안착 시에 스퍼드캔(30)의 넓은 면적이 해저면에 접하여 레그(20)와 선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레그와 스퍼드캔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퍼드캔의 저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레그 웰(11)이 형성된 선체(10)와, 레그 웰(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그(20)와, 레그(20)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저면에 지지되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스퍼드캔(30)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은 해상에 부유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레그 웰(11)이 형성된 선체(10)와, 레그 웰(11)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10)를 지지하는 레그(20)와, 레그(20) 하단부에 설치되며, 레그(20)에 고정되는 중심부(30a)와, 중심부(30a)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30b)를 포함하는 스퍼드캔(30)을 포함하되, 확장부(30b)는 중심부(30a)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체(10)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복수 개의 레그 웰(11)이 형성되고, 레그 웰(11)의 내부에는 레그(20) 및 스퍼드캔(30)이 배치된다. 선체(10)의 상부에는 부유식 구조물의 기능에 따른 피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업지원선 등으로부터 장비를 선체(10)로 옮기거나, 선체(10)로부터 피적재물 등을 운반할 수 있는 크레인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레그(20)와 스퍼드캔(30)이 설치된 선체(10)는 풍력 터빈 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선체(10)의 형상은 한정될 것은 아니나,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풍력발전기 설치선인 경우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잭업리그인 경우 다각형의 단면을 갖되 너비가 넓고 높이가 낮은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20)는 선체(10)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로, 수직바와 경사바의 연결에 의한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레그(20)는 세 개의 수직바에 복수 개의 경사바가 결합된 삼각 트러스의 구조로 형성되어 레그 웰(11)의 내측에 선체(10)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레그(20)는 레그 웰(11)의 내측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레그 웰(11)의 내측에서 선체(10)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해저면에 안착하거나, 선체(10)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레그 웰(11) 내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그(20)는 선체(1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잭업 상태에서 본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레그(20)는 원기둥, 사각 트러스 구조, 삼각 트러스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보강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레그(20)는 삼각 트러스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레그(20)의 하부에는 스퍼드캔(30)이 설치된다.
스퍼드캔(30)은 레그(20)가 해저면에 안착 시 해저지반으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파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물로, 레그(2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스퍼드캔(30)은 레그(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중심부(30a)와, 중심부(30a)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30b)로 분리된다. 다시 말해, 스퍼드캔(30)은 레그(20)에 고정되며 중심부(30a)와, 중심부(30a)의 외측을 둘러싸는 확장부(30b)로 이루어지며, 중심부(30a)는 확장부(30b)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확장부(30b)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중심부(30a)는 레그(20)와 선체(10)를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로, 레그(20)의 하부에 고정 배치된다. 중심부(30a)의 상부에는 레그(20)가 고정되며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해저면에 안착 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중심부(30a)의 측면은 8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30a)의 측면에는 확장부(30b)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확장부(30b)는 해저지반과 접하는 스퍼드캔(30)의 면적 분포를 넓혀 레그(20)와 선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로, 중심부(30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확장부(30b)는 중심부(30a)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확장부(30b)의 내측면이 중심부(30a)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확장부(30b)는 하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가 형성되어 해저지반으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레그(20)와 선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확장부(30b)는 내부에 수용공간(34)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30b)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34)에는 확장부(30b) 내부의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32)가 배치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32)는 확장부(30b)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퍼드캔(30)이 해저면에 안착 시 해수를 유입하여 무게 효율을 극대화 하여 레그(20)와 선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32)의 일측에는 펌프(33)가 연결되며, 펌프(33)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의 항해모드 시에 밸러스트 탱크(32) 내부의 해수를 유출하고, 잭업모드 시에 밸러스트 탱크를 유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스퍼드캔(30)에는 레일부(40)와 이동돌기(41)가 형성되어 중심부(30a)와 확장부(30b)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심부(30a)의 외주면과 확장부(30b)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레일부(4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레일부(4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4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레일부(40)는 중심부(30a)에 형성되고, 이동돌기(41)는 확장부(30b)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레일부(40)가 확장부(30b)에 형성되고 이동돌기(41)가 중심부(30a)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다른 이동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레일부(40)와 이동돌기(41)가 형성된 중심부(30a)와 확장부(30b)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중심부(30a)는 확장부(30b)가 해저면에 안착된 후에 확장부(30b)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스퍼드캔(30)의 작동과정은 도 4 및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퍼드캔(30)의 중심부(30a)와 확장부(30b)를 고정하는 고정부(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42)는 스퍼드캔(30)이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일종의 고정나사일 수 있다. 고정부(42)는 스퍼드캔(30)의 중심부(30a)와 확장부(30b)를 고정시키거나 레일부(40)와 이동돌기(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42)는 스퍼드캔(30)의 중심부(30a)와 확장부(30b)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부분을 클램프로 고정시키거나, 레일부(40)와 이동돌기(41)의 일측을 관통하는 고정바와, 고정바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2)는 스퍼드캔(30)이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다양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스퍼드캔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레그(20)가 하강하여 해저면에 인착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잭업 모드(Jackup Mode)로 변경되었을 때, 레그(20)의 자중을 이용하여 레그(20)를 하강시킨다. 스퍼드캔(30)이 레그 웰(11)의 내측면으로부터 해저에 진입하여 하강하면서 펌프(33)의 구동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32)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스퍼드캔(30)이 해저면에 하강한 후에 펌프(33)를 구동하여 모래 및 진흙이 유입되어 스퍼드캔(30)의 무게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스퍼드캔(30)은 해저면에 하강한 후 선체(10)의 무게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스퍼드캔(30)은 중심부(30a)와 확장부(30b)가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스퍼드캔(30)의 넓은 하부 면적이 해저면에 분포하여,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살펴보면, 도 5는 스퍼드캔(30)의 중심부(30a)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강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스퍼드캔(30)이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한 후에 고정부(42)의 결합을 제거한다. 고정부(42)가 중심부(30a)와 확장부(30b)의 결합부로부터 분리되면 스퍼드캔(30)의 중심부(30a)는 더 깊은 해저면에 관입하게 된다. 즉, 중심부(30a)는 고정부(42)가 중심부(30a)와 확장부(30b)로부터 분리되면 해저면에 자연스럽게 관입되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더 깊은 해저면으로 관입하게 된다. 확장부(30b)는 고정부(42)로부터 분리된 후 해저면에 자연스럽게 관입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설치되거나 스퍼드캔(3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기의 압력에 의해 해저면에 더 깊숙하게 관입될 수 있다. 중심부(30a)는 해저면의 더 깊은 하부로 관입 시에 확장부(30b)가 중심부(30a)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중심부(30a)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지층이 압밀(壓密)로 인해 지층의 분자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해 레그(20) 및 선체(10)가 전도되는 OTM(Overturning Moment) 현상이나 기본전단(Base Shear) 현상 발생 시 수평반동력(horizontal reaction force)을 최소화 하여 레그(20)의 구조적인 손상이나 부유식 해양구조물(1)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부유식 해양구조물 10: 선체
11: 레그 웰(leg well) 20: 레그
30: 스퍼드캔 30a: 중심부
30b: 확장부 31: 돌출부
32: 밸러스트 탱크 33: 펌프
34: 수용공간 40: 레일부
41: 이동돌기 42: 고정부

Claims (7)

  1. 해상에 부유하며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레그 웰(leg well)이 형성된 선체;
    상기 레그 웰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레그; 및
    상기 레그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그의 하부에 고정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중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퍼드캔은, 해저면에 안착된 후에 상기 중심부가 상기 확장부 중앙을 관통하여 레그의 자중에 의해 상기 레그와 함께 하부로 상기 중심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분리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과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레일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된 부유식 해양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와 상기 이동돌기, 또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확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하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0170079828A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93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28A KR101934389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28A KR101934389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389B1 true KR101934389B1 (ko) 2019-01-02

Family

ID=6502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28A KR101934389B1 (ko) 2017-06-23 2017-06-23 부유식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987A (zh) * 2020-08-31 2020-12-18 广东工业大学 配备自扩斜支撑式桩靴的海上风机安装船
CN115588276A (zh) * 2022-09-08 2023-01-10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地质灾害远程监测预警站及监测预警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29B1 (ko) * 2012-06-29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488290B1 (ko) * 2013-11-15 2015-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 리그용 스퍼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29B1 (ko) * 2012-06-29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488290B1 (ko) * 2013-11-15 2015-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 리그용 스퍼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987A (zh) * 2020-08-31 2020-12-18 广东工业大学 配备自扩斜支撑式桩靴的海上风机安装船
CN112092987B (zh) * 2020-08-31 2021-12-03 广东工业大学 配备自扩斜支撑式桩靴的海上风机安装船
CN115588276A (zh) * 2022-09-08 2023-01-10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地质灾害远程监测预警站及监测预警方法
CN115588276B (zh) * 2022-09-08 2023-11-14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地质灾害远程监测预警站及监测预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7439B (zh) 具有外置柱的离岸平台
EP1808369B1 (en) Truss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CA2407139C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7934462B2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with motion dampers
DK2601355T3 (en) Installations for load bearing platform on an offshore platform
EP1725446B1 (en) Single column extendable draft offshore platform
EP2867112B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AU683596B2 (en) Offshore platform with buoyant rig supplemental support
KR101934389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945523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US3946684A (en) Semi-submersible jackup apparatus
US4505615A (en) Method of supporting a shallow water drilling barge
US5593250A (en) Hyjack platform with buoyant rig supplemental support
US5741089A (en) Method for enhanced redeployability of hyjack platforms
AU4084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k installation on an offshore substructure
US2900794A (en) Offshore equipment suppor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5551801A (en) Hyjack platform with compensated dynamic response
WO2010096376A2 (en) Skid beam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US3974657A (en) Modular offshore structure system
US9022693B1 (en) Rapid deployable floating production system
Xu et al. An introduction to extendable draft platform (EDP)
JP2020097472A (ja) 昇降装置および該昇降装置を備える作業台船
MXPA97004642A (en) Non-coastal platform with supplementary support for fleet drilling tower
OA16697A (ko)
OA16537A (en) Deck-to-column connection for offshore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