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30B1 - 자동차 후드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30B1
KR101934030B1 KR1020180111695A KR20180111695A KR101934030B1 KR 101934030 B1 KR101934030 B1 KR 101934030B1 KR 1020180111695 A KR1020180111695 A KR 1020180111695A KR 20180111695 A KR20180111695 A KR 20180111695A KR 101934030 B1 KR101934030 B1 KR 10193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frame
inclined portion
screw hole
sid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선익
Original Assignee
손선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선익 filed Critical 손선익
Priority to KR102018011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plates, doors, pan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를 수리할 때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후드를 바퀴로 이동하는 거치대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운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를 사용하면 후드의 2차 손상도 방지하고 엔진룸 수리 전후, 차체나 후드 판금작업 전후, 차체나 후드 도장작업 전후 혹은 차체나 후드 광택작업 전후에 후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장 내에서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 캐리어{Carrier for car hood}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후드는 보닛(bonnet)이라고도 불리며 엔진룸을 덮는 자동차 부속품의 일종이다.
자동차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여 후드를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정비사가 자동차로부터 후드를 탈거하여 수리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후드는 문제가 없고 엔진룸 내부를 수리해야 할 경우에도 후드를 자동차로부터 탈거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후드는 자동차의 전면에서 미관을 담당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사용자의 눈에 가장 잘 보이는 부분이라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이 없어야 한다.
한편, 자동차의 엔진룸 수리나 차체나 후드 판금작업 시 차체나 후드 도장작업 시 혹은 차체나 후드 광택작업시 통상 두 사람이 탈거한 후드를 들고 다니며 여기저기 옮겨 다니다가 많은 흠집과 손상이 발생하여 2차로 수리를 해야 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후드를 바닥에 내려 놓게 되면 후드에 2차적인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고, 자동차의 후드의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바닥의 아무 곳에 놓아 두면 손상되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KR 20-1997-0017671 U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를 수리할 때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후드를 바퀴로 이동하는 거치대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운반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는, 자동차를 수리할 때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후드를 거는 후드고리가 중앙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경사부와 우측경사부가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이고, 좌측경사부와 우측경사부에 좌측나사구멍과 우측나사구멍을 천공하며, 상기 좌측나사구멍과 우측나사구멍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거리를 조절하는 헤드가 달린 볼트 형상의 간격 조절용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경사부와 우측경사부의 말단이 가로 보강빔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된 거치대; 및 좌측전방경사부의 상단과 좌측후방경사부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좌측프레임과 우측전방경사부의 상단과 우측후방경사부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우측프레임 및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고 저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빔이 상기 좌측프레임의 상단과 우측프레임의 상단을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측경사부의 후면 일측 부위와 상기 우측경사부의 후면 일측 부위가 상기 지지빔의 일측 부위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좌측경사부와 우측경사부가 상기 지지빔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 보강빔의 양단이 상기 좌측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가로 보강빔이 상기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고정되고, 상기 거치대를 고정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바퀴로 이동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좌측경사부와 우측경사부의 중간 부위 혹은 하단 부위에는 후드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대에 걸린 후드와 거치대의 밀착을 방지하고 후드와 거치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 조절용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좌측경사부의 외면과 상기 우측경사부의 외면 및 상기 좌측경사부의 좌측나사구멍과 상기 우측경사부의 우측나사구멍에 결합되는 스토퍼의 헤드에는 후드와의 접촉 시 후드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는 완충패드(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의 일측 단부에는 엘(L) 자형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좌측전방경사부의 외면, 상기 우측전방경사부의 외면 및 상기 손잡이의 외면에는 각각 후드와의 접촉 시 후드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는 완충패드(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를 사용하면 후드의 2차 손상도 방지하고 엔진룸 수리 전후, 차체나 후드 판금작업 전후, 차체나 후드 도장작업 전후 혹은 차체나 후드 광택작업 전후에 후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장 내에서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a는 스토퍼의 간격 조절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4b는 스토퍼의 간격 조절 작동을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에 후드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100)는 거치대(110) 및 지지대(12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10)는 자동차를 수리할 때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후드(200)를 거는 후드고리(111)가 중앙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가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이고,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의 말단이 가로 보강빔(114)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의 중간 부위 혹은 하단 부위에는 후드(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대(110)에 걸린 후드(200)와 거치대(110)의 밀착을 방지하고 후드(200)와 거치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좌측경사부(112)에 천공된 좌측나사구멍(112a)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에 천공된 우측나사구멍(113a)과 각각 결합하고 해당 나사구멍(112a,113a)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헤드가 달린 볼트 형상의 간격 조절용 스토퍼(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외면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외면 및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좌측나사구멍(112a)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우측나사구멍(113a)에 결합되는 스토퍼(115)의 헤드에는 후드(200)와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00)(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20)는 좌측전방경사부(121a)의 상단과 좌측후방경사부(121b)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좌측프레임(121)과 우측전방경사부(122a)의 상단과 우측후방경사부(122b)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우측프레임(122) 및 상기 좌측프레임(121)과 우측프레임(122)의 하단을 연결하고 저부에 바퀴(123a)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일측 단부에 손잡이(124a)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빔(124)이 상기 좌측프레임(121)의 상단과 우측프레임(122)의 상단을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후면 일측 부위와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후면 일측 부위가 상기 지지빔(124)의 일측 부위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이 상기 지지빔(124)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가로 보강빔(114)의 양단이 상기 좌측프레임(121)의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22)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가로 보강빔(114)이 상기 좌측프레임(121)과 우측프레임(122) 사이를 가로질러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거치대(110)를 고정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바퀴(123a)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빔(124)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엘(L) 자형 손잡이(1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전방경사부(121a)의 외면, 상기 우측전방경사부(122a)의 외면 및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는 각각 후드(200)와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00)(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300)를 미도시하고 있지만, 후드(200)의 크기가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 닿을 만큼 큰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도 완충패드(30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자동차의 엔진룸 수리나 차체나 후드 판금작업 시 차체나 후드 도장작업 시 혹은 차체나 후드 광택작업시, 후드(200) 탈거가 필요한 경우 정비사는 자동차로부터 탈거한 후드(200)를 상기 거치대(110)의 후드고리(111)에 걸어 놓는다.
이때, 후드(20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쇠고리나 걸쇠홈에 상기 후드고리(111)가 걸린 상태로 상기 후드(200)가 거치대(110)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된다.
상기 후드(200)가 거치대(110)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기 전에, 정비사는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외면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외면 및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좌측나사구멍(112a)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우측나사구멍(113a)에 결합되는 스토퍼(115)의 헤드에 완충패드(300)(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를 부착함으로써 거치대(110)와 후드(200)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한다.
또한, 정비사는 상기 좌측전방경사부(121a)의 외면, 상기 우측전방경사부(122a)의 외면 및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도 완충패드(300)(예컨대, 밸크로 형태로 탈착이 용이한 부직포패드 등)를 부착함으로써 거치대(110)와 후드(200)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예컨대, 접촉 부분의 흠집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후드(200)가 거치대(110)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에서, 후드(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대(110)에 걸린 후드(200)와 거치대(110)의 밀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정비사는 상기한 헤드가 달린 볼트 형상의 간격 조절용 스토퍼(115)를 회전시켜 후드(200)와 거치대(11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한다.
예컨대, 도 4a와 같이 후드(200)가 거치대(110)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구멍(112a,113a)과 결합된 스토퍼(115)를 좌회전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200)와 거치대(1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반대로 스토퍼(115)를 우회전하면 다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200)와 거치대(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상기와 같이 후드(200)가 거치대(110)와 밀착되지 않도로고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거치대(110)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에서, 정비사가 상기 지지빔(124)의 손잡이(124a)를 잡고 밀면 상기 지지대(120)의 바퀴(123)가 움직이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100)를 정비사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캐리어(100)를 사용하면 후드(200)의 2차 손상도 방지하고 엔진룸 수리 전후, 차체나 후드 판금작업 전후, 차체나 후드 도장작업 전후 혹은 차체나 후드 광택작업 전후에 후드(200)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장 내에서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다.
100: 자동차 후드 캐리어 110: 거치대
111: 후드고리 112: 좌측경사부
112a: 좌측나사구멍 113: 우측경사부
113a: 우측나사구멍 114: 가로 보강빔
115: 간격 조절용 스토퍼 120: 지지대
121: 좌측프레임 121a: 좌측전방경사부
121b: 좌측후방경사부 122: 우측프레임
122a: 우측전방경사부 122b: 우측후방경사부
123: 하부프레임 123a: 바퀴
124: 지지빔 124a: 손잡이
200: 후드 300: 완충패드

Claims (5)

  1. 자동차를 수리할 때 자동차로부터 탈거된 후드(200)를 거는 후드고리(111)가 중앙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가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이고, 상기 좌측경사부(112)과 우측경사부(113)에 좌측나사구멍(112a)과 우측나사구멍(113a)을 천공하며, 상기 좌측나사구멍(112a)과 우측나사구멍(113a)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거리를 조절하는 헤드가 달린 볼트 형상의 간격 조절용 스토퍼(115)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의 말단이 가로 보강빔(114)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된 거치대(110); 및
    좌측전방경사부(121a)의 상단과 좌측후방경사부(121b)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좌측프레임(121)과 우측전방경사부(122a)의 상단과 우측후방경사부(122b)의 상단이 정해진 사잇각을 이루며 굴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우측프레임(122) 및 상기 좌측프레임(121)과 우측프레임(122)의 하단을 연결하고 저부에 바퀴(123a)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프레임(123)으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 손잡이(124a)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빔(124)이 상기 좌측프레임(121)의 상단과 우측프레임(122)의 상단을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후면 일측 부위와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후면 일측 부위가 상기 지지빔(124)의 일측 부위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이 상기 지지빔(124)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 보강빔(114)의 양단이 상기 좌측프레임(121)의 일측과 상기 우측프레임(122)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가로 보강빔(114)이 상기 좌측프레임(121)과 우측프레임(122) 사이를 가로질러 고정되고, 상기 거치대(110)를 고정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바퀴(123a)로 이동하는 지지대(1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경사부(112)와 우측경사부(113)의 중간 부위 혹은 하단 부위에는 후드(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대(110)에 걸린 후드(200)와 거치대(110)의 밀착을 방지하고 후드(200)와 거치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 조절용 스토퍼(1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외면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외면 및 상기 좌측경사부(112)의 좌측나사구멍(112a)과 상기 우측경사부(113)의 우측나사구멍(113a)에 결합되는 스토퍼(115)의 헤드에는 후드(200)와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124)의 일측 단부에는 엘(L) 자형 손잡이(12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전방경사부(121a)의 외면, 상기 우측전방경사부(122a)의 외면 및 상기 손잡이(124a)의 외면에는 각각 후드(200)와의 접촉 시 후드(2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3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캐리어.
KR1020180111695A 2018-09-18 2018-09-18 자동차 후드 캐리어 KR10193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95A KR101934030B1 (ko) 2018-09-18 2018-09-18 자동차 후드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95A KR101934030B1 (ko) 2018-09-18 2018-09-18 자동차 후드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030B1 true KR101934030B1 (ko) 2018-12-31

Family

ID=6495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695A KR101934030B1 (ko) 2018-09-18 2018-09-18 자동차 후드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67B1 (ko) * 2023-10-11 2024-05-14 주식회사 성산자동차 도장용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714B1 (ko) * 2008-05-26 2010-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해체용 서브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714B1 (ko) * 2008-05-26 2010-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 해체용 서브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67B1 (ko) * 2023-10-11 2024-05-14 주식회사 성산자동차 도장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949B1 (en) Holder for a power-operated screwdriver and the like
US5694468A (en) Cradle for radiotelephone
US2632619A (en) Gun carrier
KR101934030B1 (ko) 자동차 후드 캐리어
JPH024771B2 (ko)
US6148738A (en) Steering wheel mountable laptop table
US2546459A (en) Automobile tray for instrument panels
US10682766B2 (en) Dust cleaning climbing robot
US20060145043A1 (en) Display device with a foldable suspension arm
US2463410A (en) Headrest for creepers
US2901303A (en) Auto mechanic's tray
CA2191371A1 (en) Bumper holder
US11518004B2 (en) Bumper apparatus
US7237781B2 (en) Mechanics chair with side tray
US1476758A (en) Bracket for supporting mirrors, glass plates, and the like
CN109639872B (zh) 一种吸盘式手机支架
US20050121579A1 (en) Multifunctional mounting device for automobiles
US20060107878A1 (en) Portable desktop for suppoting items
US20080067311A1 (en) Multi-position work stand
US5564683A (en) Rotatable repair apparatus for snowmobiles
CN216151967U (zh) 一种安全气囊下壳体加工用打磨设备
US9085204B2 (en) Attachment for tire mounting machine
US20210347035A1 (en) Tool tray
US2606735A (en) Display rack
US20210053204A1 (en) Wheel detailing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