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977B1 - Seabed mooring type vessel - Google Patents

Seabed mooring type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977B1
KR101933977B1 KR1020160135270A KR20160135270A KR101933977B1 KR 101933977 B1 KR101933977 B1 KR 101933977B1 KR 1020160135270 A KR1020160135270 A KR 1020160135270A KR 20160135270 A KR20160135270 A KR 20160135270A KR 101933977 B1 KR101933977 B1 KR 10193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seabed
anchoring structure
anc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2740A (en
Inventor
김승종
안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13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977B1/en
Publication of KR2018004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6Suction cups, or the like, e.g. for mooring, or for towing or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해저 정박형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은 선체; 및 선체의 선저부에 형성되고, 해저에 삽입되어 선체를 정박시키는 정박구조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박구조물은 선체의 선수 측에 설치되고, 선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선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케그형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정박 시설을 건조하지 않고, 천해 해저와의 마찰력에 의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다.An undersea vessel is launched. An underwater anchored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p; And an anchoring structu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inserted into the sea bed to anchor the hull. In one embodiment, the anchoring structure may include skeg-type structures that are installed on the forward side of the hull, are vertically fixed to the hull,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p can be anchored by frictional force with the undersea sea without drying an additional berth.

Description

해저 정박형 선박{SEABED MOORING TYPE VESSEL}{SEABED MOORING TYPE VESSEL}

본 발명은 해저 정박형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저부에 마련된 정박구조물을 천해의 해저에 삽입시켜 선체를 정박시키는 해저 정박형 선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sea-type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sea-type vessel that anchors structures provided at a bottom of a ship are inserted into a seabed of a deep sea to anchors the vessel.

바지형 파워플랜트(barge type power plant)는 비용, 장소 등의 문제로 육상에 발전소 설치가 어려운 경우, 전기가 부족한 곳의 연안 부근 해상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소 개념의 해상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연안 부근의 해상에서 작업하는 바지형 파워플랜트와 같은 선박은 인도네시아나 인도 등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 태풍 발생시 피항을 위한 정박 설비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연안 부근 해상의 일정 지역에서 작업하는 해상 구조물의 경우 투입 지역의 특성상 정박을 할 제반 시설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 정박을 위한 제반 시설 건조에 추가적으로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A barge-type power plant is a marine structure of a power plant concept to supply electricity in offshore coastal areas where power is difficult to install on land because of cost and location problems. In this way, ships such as pant power plants that work on the coast near the sea require berths for cruising in the event of typhoons in areas where frequent typhoons such as Indonesia or India are encountered. However, in the case of offshore structures operating in coastal areas, there are many cases where maritime structures to be anchored are lacking due to the nature of the marine area.

본 발명은 별도의 정박 시설을 건조하지 않고, 천해 해저와의 마찰력에 의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해저 정박형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sea mooring vessel capable of anchoring a ship by a frictional force with an undersea sea without drying a separate mooring fac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형성되고, 해저에 삽입되어 상기 선체를 정박시키는 정박구조물을 포함한다.An underwater anchored ship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p; And an anchoring structu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inserted into the sea bed to anchor the hull.

상기 정박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선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케그(skeg)형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choring structure may include skeg-type structures that are installed on the forward side of the hull, are vertically fixed to the hull,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상기 정박구조물은, 상기 정박구조물의 횡방향 구조 강도를 확보하도록, 인접한 스케그형 구조물들 간을 연결시키는 보강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chor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structure connecting the adjacent skeg-type structures to secure the lateral structural strength of the anchoring structure.

상기 해저 정박형 선박은, 밸러스팅에 의해 상기 선수부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정박구조물의 상기 해저로의 침투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선체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underwater anchored vessel can increase the anchoring strength of the hull by applying a load to the forehead by ballasting to increase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anchoring structure into the seabed.

상기 해저 정박형 선박은, 상기 선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해저 측에 부압을 가하여 상기 선체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는 석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marine anchorage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increasing a berthing strength of the hull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sea bottom.

상기 해저 정박형 선박은, 상기 선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정박 종료시 상기 해저 측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정박구조물을 상기 해저에서 분리시키는 유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water anchorage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fluid injection uni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separating the anchoring structure from the sea floor by injecting fluid to the bottom of the hull at the end of the anchor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정박 시설을 건조하지 않고, 천해 해저와의 마찰력에 의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해저 정박형 선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sea vessel capable of anchoring a ship by a frictional force with an undersea sea without drying a separate anchoring facility is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Unless stated, the effec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밸러스트부(14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이 연안 부근 해양에 위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ballast portion 140 of the submarine anchorage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undersea type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coastal ocean.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Although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the generic art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 general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any as possible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configurations in the figures may be shown somewhat exaggerated or reduc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ther or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mplied by the accompanying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은 연안 부근의 해저 토양(토사물)에 삽입되어 선체를 정박시키는 정박구조물이 선저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박구조물은 선체의 선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선체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케그(skeg)형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An underwater anchorag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underwater anchor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a submarine soil (a slope) near the coast and anchors the hull. In one embodiment, the anchoring structure may include skeg-like structures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hull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정박 시설을 건조하지 않고, 천해 해저와의 마찰력에 의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다. 또한 해저에 삽입되는 정박구조물에 의해 파랑에 의한 선체 움직임을 줄여, 선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효율성,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ip can be anchored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seabed underside without drying an additional berth. Also, by the anchoring structure inserted into the sea floor, the movement of the hull by the waves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work performed on the ship can be improved.

일 실시 예에서, 해저 정박형 선박은 해저 측에 부압을 가하여 선체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는 석션부 및/또는 해저 측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정박구조물을 해저에서 분리시키는 유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선박의 정박 강도를 조절하거나, 정박구조물을 해저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marine anchor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ortion for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sea floor side to increase the anchor strength of the hull and / or a fluid injection portion for spraying fluid to the sea floor side to separate the anchorage structure from the sea fl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erth strength of the ship or effectively separate the berth structure from the sea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은 선체(110), 정박구조물(120), 석션부(130), 및 밸러스트부(140)를 포함한다.1 is a side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n underse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an underwater shi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ull 110, an anchorage structure 120, a suction portion 130, and a ballast portion 140.

일 예로, 해저 정박형 선박(100)은 바지형 파워플랜트(barge type power plant), 부유식 가스저장 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unit) 등의 부유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다양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undersea vessel 100 may be a float, such as a barge type power plant, a 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unit,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provided as a variety of ships or offshore structures.

선체(110)에는 전력 생산 설비, 가스 저장 설비, 재기화 설비 등 다양한 기능을 위한 설비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거주구, 추진기, 엔진룸, 조타실 등 선박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선저부(112)에 마련된 정박구조물(120)에 의해 선체(110)를 정박시키기 위하여, 선체(110)는 낮은 경사도를 갖는 선수 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hull 110 may be provided with facilities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a gas storage facility, and a regeneration facility, and various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 such as a residence, a propeller, an engine room, . The hull 110 may be provided in a bow-line shape having a low inclination in order to anchor the hull 110 by the anchoring structure 120 provided at the bottom 112. [

정박구조물(120)은 선체(110)의 선저부(112)에 형성되며, 해저(10)에 삽입되어 선체(110)를 정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일 실시 예에서, 정박구조물(120)은 선체(110)의 선수 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anchoring structure 120 is formed on the bottom 112 of the hull 110 and inserted into the sea bed 10 to anchor the hull 110. In one embodiment, in one embodiment, anchoring structure 120 may be installed on the forward side of hull 110.

일 실시 예에서, 정박구조물(120)은 선저부(110)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스케그형 구조물들(122)과, 인접한 스케그형 구조물들(122) 간을 연결시키는 보강 구조물(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choring structure 120 includes skeg-shaped structures 122 vertically fixed to the bottom 110 and reinforcing structures 124 connecting the adjacent skeg-shaped structures 122 And the like.

스케그형 구조물들(122)은 선체(110)의 종방향(X)으로 연장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케그형 구조물(122)은 선박의 자항에 의해 해저(10)의 토사물에 삽입 가능한 구조, 및 두께(수mm 내지 수cm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The skeg-shaped structures 122 may extend parallel to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hull 110. The skeg type structure 122 can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seabed 10 by the self-propulsion of the ship, and a thickness (several mm to several cm thickness).

보강 구조물(124)은 스케그형 구조물들(122) 간에 고정 설치되어, 정박구조물(120)의 횡방향(Y) 구조 강도를 확보하고, 선박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structure 124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keg shaped structures 122 to secure the lateral (Y) structural strength of the anchoring structure 120 and to suppres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ip.

석션부(130)는 선저부(112)에 형성되고, 해저(112) 측에 부압을 가하여 선체(110)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석션부(130)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2 and can increase the anchoring strength of the hull 110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sea bottom 112 side. 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luid.

석션부(130)의 흡입 노즐은 스케그형 구조물들(122) 사이에 마련되어 해저(112) 측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다. 석션부(130)는 선체(110)의 선저부(112)를 관통하여 선체(110) 내부로 연장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에 유체를 빨아들이는 압력(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흡입부, 흡입관에 설치되어 선체(110) 내부로 토사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of the suc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keg-type structures 122 to form a negative pressure on the sea floor 112 side. The suction part 130 includes a suction pipe extending through the bottom part 112 of the hull 110 and extending into the hull 110, a suction part forming a pressure (fluid flow) for sucking fluid to the suction pipe, And a filt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such as a foreign object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hull 110.

밸러스트부(140)는 선박 정박시, 밸러스팅에 의해 선체(110)의 선수부 측에 하중을 가하여, 선수부 측의 선저부(112)에 마련된 정박구조물(120)이 해저(10)로침투하는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선체(110)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ballast portion 140 applies a load to the bow portion side of the hull 110 by balusturing when the ship is anchored so that the depth of the anchoring structure 120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112 of the bow portion side penetrates into the sea bed 10 The anchoring strength of the hull 110 can be increa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밸러스트부(14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러스트부(142)는 선체(110)의 종방향(선수미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142,144,146)로 이루어질 수 있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ballast portion 140 of the submarine anchorage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ballast portion 14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llast tanks 142, 144, 14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0 (forward direction).

밸러스트부(140)는 선미측 밸러스트 탱크(146)와 선수측 밸러스트 탱크(142)의 평형수 유량을 조절하여, 선박 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밸러스트부(140)는 예컨대, 선박 정박시 선수측 밸러스트 탱크(142)의 평형수 유량을 증가시켜 선박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선박 정박 종료시 선미측 밸러스트 탱크(146)의 평형수 유량을 증가시켜 선저부(112) 측의 선박 정박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ballast portion 140 can adjust the ballast water strength by adjusting the ballast water flow rate between the stern side ballast tank 146 and the forward ballast tank 142. The ballast unit 140 may increase the ballast water flow rate of the forward ballast tank 142 by increasing the ballast water flow rate of the forward ballast tank 142 or increase the ballast water flow rate of the aft side ballast tank 146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rth strength on the ship bottom 112 side.

일 실시 예에서, 선저부(112)에는 석션부(130) 외에, 유체 분사부(도시생략)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분사부는 선박 정박 종료시 해저(10) 측으로 유체(공기, 평형수, 물, 해수 등)를 분사하여, 정박구조물(120)이 해저(10)에서 보다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ttom 112 may be formed with a fluid ejection portion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suction portion 130. The fluid jetting unit can jet the fluid (air, ballast water, water, sea water, etc.) to the side of the sea bed 10 when the vessel is moored, so that the anchoring structure 1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a floor 10.

일 실시 예에서, 유체 분사부는 석션부(130)와 통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석션부(130)에서 유체를 흡입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여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유체를 선체 외부로 분사하도록 하여 정박구조물(120)을 해저(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uid ej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uction portion 130.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s sucked by the suction unit 130 can be adjusted. If necessary, the fluid can be sucked to increase the anchoring strength, or the fluid can be jett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 floor (10).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정박형 선박(100)이 연안 부근 해양에 위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undersea-type vess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view showing an undersea type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coastal ocean.

평상시, 해저 정박형 선박(100)은 연안 부근의 해상에서 발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태풍 발생시, 피항을 위하여 해양에서 연안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해저 정박형 선박(100)은 추진기(thruster)의 추력에 의해 육상 측을 향하여 피항할 수 있다.Normally, an undersea vessel (100) performs the mission of power generation and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coast, and can move from the ocean to the coast side for the purpose of the tug of war. For example, the submarine anchorage vessel 100 may approach the shore side by the thrust of the thruster.

해저 정박형 선박(100)이 연안 부근의 해저(10)로 접근하면, 관성에 의해 토사물로 이루어진 해저(10)에 정박구조물(1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선수부(112) 발라스팅을 통해 하중을 조절하거나, 석션부(130)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여 선박의 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seabed vessel 100 approaches the seabed 10 in the vicinity of the coast, the anchoring structure 12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eabed 10 made of the earth by inertia.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oad through the ballasting of the bow portion 112 or adjust the berth strength of the ship by sucking the fluid by the suction portion 130.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정박 시설을 건조할 필요 없이 낮은 수심에서 정박구조물(120)과 해저토양 간의 마찰력에 의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다. 또한, 피항시, 선체(110)의 선수 측 바닥이 해저(10) 측에 닿아있게 되므로, 파랑이나 바람 등에 의한 선체 움직임이 작아져 작업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hip can be anchored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anchoring structure 120 and the seabed soil at a low water depth without drying the separate anchoring facility.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bow of the ship 110 touches the sea floor 10 side at the time of capture, movement of the boat by waves, winds, and the like is reduced, and workability is improved.

태풍이 사라지면 선박 정박이 종료되며, 유체 분사부에 의해 선체(110)의 선저부(112)로부터 해저(10) 측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정박구조물(120)을 해저(10)에서 분리시키며, 선박 추진기를 역방향으로 가동하여, 선박을 해상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typhoon disappeared, the vessel anchoring is terminated. The fluid jetting portion ejects the fluid from the bottom 112 of the hull 110 to the sea bottom 10 to separate the anchoring structure 120 from the sea floor 10, So that the ship can be moved to the sea work position.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terary description of the claims, To the invention of the invention.

10: 해저 100: 해저 정박형 선박
110: 선체 112: 선저부
120: 정박구조물 122: 스케그형 구조물
124: 보강 구조물 130: 석션부
140: 밸러스트부
10: Submarine 100: Submarine vessel
110: Hull 112: Bottom portion
120: anchoring structure 122: skaged structure
124: reinforced structure 130:
140:

Claims (6)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저부에 형성되고, 해저에 삽입되어 상기 선체를 정박시키는 정박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정박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선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케그형 구조물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그형 구조물들은, 상기 선체가 선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해저에 삽입되어 상기 선체를 상기 해저에 정박시키도록, 상기 선체의 선수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해저 정박형 선박.
hull; And
And an anchoring structure which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ull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a bed to anchor the hull,
The anchoring structure includes:
A skeg type structure installed on the forward side of the hull and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hull bottom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Wherein the skeg-type structures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ow of the hul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abed as the hull moves in the bow direction to moor the hull to the seab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박구조물은,
상기 정박구조물의 횡방향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인접한 스케그형 구조물들 간을 연결시키는 보강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해저 정박형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choring structur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structure connecting adjacent skeg-type structures to secure lateral structural strength of the anchoring stru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형성되어 평형수 유량을 조절하는 밸러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부는 평형수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정박구조물의 상기 해저로의 침투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선체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는 해저 정박형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llast unit formed on the hull to adjust a ballast water flow rate,
Wherein the ballast portion increases the ballast strength of the hull by increasing the ballast water flow to increase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anchoring structure into the seabed by applying a load to the forward portion of the hu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해저 측에 부압을 가하여 상기 선체의 정박 강도를 증가시키는 석션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 정박형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to increase the anchoring strength of the hull by apply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bottom of the sea botto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정박 종료시 상기 해저 측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정박구조물을 상기 해저에서 분리시키는 유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 정박형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uid jetting uni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hip and jetting a fluid to the bottom of the ship when the ship is docked, thereby separating the jetty structure from the seabed.
KR1020160135270A 2016-10-18 2016-10-18 Seabed mooring type vessel KR101933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70A KR101933977B1 (en) 2016-10-18 2016-10-18 Seabed mooring typ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70A KR101933977B1 (en) 2016-10-18 2016-10-18 Seabed mooring type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40A KR20180042740A (en) 2018-04-26
KR101933977B1 true KR101933977B1 (en) 2018-12-31

Family

ID=6208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70A KR101933977B1 (en) 2016-10-18 2016-10-18 Seabed mooring type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97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82B2 (en) * 1989-04-13 1996-09-04 鹿島建設株式会社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adhesion between pontoon and seab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82B2 (en) * 1989-04-13 1996-09-04 鹿島建設株式会社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adhesion between pontoon and sea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40A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060B2 (en) Hull for mov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mov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using the hull
RU2422320C2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hydrocarbons in waters predisposed to ice formation
CN201406013Y (en) Offshore floating body with positioning, adjusting and anti-collision functions
US8974143B2 (en) Offshore atoll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446825B1 (en) Self-propelled, catamaran-type, dual-application, semisubmersible ship with hydrodynamic hulls and columns
GB2498652A (en) Multi-hulled vessel with position control system
KR20110068962A (en) Marine propulsion system
CN2923511Y (en) Connection device pilot-ship and barge
KR101933977B1 (en) Seabed mooring type vessel
CN104002931B (en) U-shaped ocean engineering installation ship and catheterostat upper module installation method
US6305877B1 (en) Breakwater/attenuation device for high speed vessel wake
RU2446982C1 (en) Method of piloting ships in channels and shallow inland waters and device to this end
FI119115B (en) Method for collecting oil from water
KR101895372B1 (en) Multipurpose mobile mooring device
KR102393443B1 (en) Ocean float structure
RU2380274C1 (en) Underwater tanker
JP2023067297A (en) Thrust generation system of sailing body, sailing body, and drag reduction method of sailing body
JP2008149819A (en) Vessel
CN100402373C (en) Side-pushing tugboat at stem with lifting transverse propulsion unit
JP201311664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pproach of small drifting object
RU2540156C1 (en) Wave propulsor sail-mesh
RU2779768C1 (en) Underwater gas carrier for transport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from the arctic regions
RU2712721C1 (en) Coastal sea wave-resistant floating dock and method of its installation along the coastline
JP6332333B2 (en) Small stream approach prevention method and small stream approach prevention apparatus
Verheij et al. Guidance on the design of berthing structures related to the flow velocities in ship thru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