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828B1 -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828B1
KR101933828B1 KR1020180068605A KR20180068605A KR101933828B1 KR 101933828 B1 KR101933828 B1 KR 101933828B1 KR 1020180068605 A KR1020180068605 A KR 1020180068605A KR 20180068605 A KR20180068605 A KR 20180068605A KR 101933828 B1 KR101933828 B1 KR 10193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blocking
wi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복
Original Assignee
오세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복 filed Critical 오세복
Priority to KR102018006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8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structing method of a vertical pipe and a worktable used therefor. The constructing method of a vertical pipe includes the steps of: (a) locating a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 combining a bracket with the pipe and fixing the bracke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 combining a worktable to the pipe; and (d) welding the pipe by a worker who is located on a worktable. The worktable used for the constructing method of a vertica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on a pipe vertically located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includes: a seating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and located to horizontally cross the pipe; a first joining part extended from an edge of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joined to the pipe and supported on a bracket; a second joining part extended and inclin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ing part, and joined to the pipe; a support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ed toward an upper side from an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a hold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joining part and located to cross the second join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construct the pipe on the bui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본 발명은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건물에 입상 배관으로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nd a worktable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nd a workbench used for stably installing a piping in a building using granular piping.

빌딩,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등과 같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에는 입상 배관이 시공될 수 있다. 입상 배관은 다층 구조 건물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난방, 급수, 배수 등을 제공할 수 있고, 각 층을 연결하여 각각 층에 대하여 난방, 급수, 배수 등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Buildings with multi-layer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partments, villas, and townhouses, may be constructed with granular piping. The granular piping can be positioned vertically in a multi-story building to provide heating, water supply, drainage, etc., and can be used to connect each floor and provide heating, water supply, drainage, etc. to each floor.

예를 들어, 입상 배관을 시공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에서 바닥면이 시공될 때 철근 및 거푸집이 설치되며, 거푸집에는 입상 배관을 위한 관통 슬리브가 장착되고 시멘트가 타설되어 관통 슬리브를 매립한다. 여기서, 거푸집에 타설되는 시멘트가 관통 슬리브에 유입되면, 관통 슬리브가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관통 슬리브의 상단 및 하단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시멘트가 굳으면 덮개는 관통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이 관통 슬리브를 통과하도록 시공됨으로써, 건물에는 입상 배관이 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onstruct a granular pipeline,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s are installed when a floor is constructed in a building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rough sleeves for granular piping are installed, and cement is embedded to fill the penetrating sleeves . Here, if the cement poured into the formwork flows into the penetrating sleeve, the penetrating sleeve can be clogged. As a result, a lid is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enetrating sleeve, and the lid can be removed from the penetrating sleeve if the cement is hardened. Here, by installing the pipe so as to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sleeve, the granular pipe can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한편, 입상 배관은 상기와 같이 관통 슬리브를 이용하지 않고 시공될 수 있다. 입상 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직접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상 배관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기 위하여, 작업자는 건물의 외벽에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작업자는 건물의 외벽에서 복수 개의 배관을 상호 간에 연결하여 입상 배관을 형성하거나, 입상 배관을 각 층에 대응하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 작업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추락할 위험 속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용접 작업에 따른 스파크(spark)는 화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anular piping can be constructed without using the penetrating sleeve as described above. The granulation piping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standing vertically. In order for such granular piping to be secur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operator must be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the operator performs welding work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ipes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each other to form a granular pipe, or connect the granular pipe to the pipe corresponding to each layer. As a result, the operator performs the welding work in danger of falling, and the spark due to the welding work may cause a fir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상 배관을 안전하게 건물의 외벽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chnical task to be accomplish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nd a work stand to be used for safely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에게 향상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work platform used therein is to provide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nd a worktable to be used for providing an improved stability to an operator.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granular pip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task to be performed by the work platform us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is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은, (a) 배관이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단계; (b) 브래킷이 배관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단계; (c) 작업대가 배관에 결합되는 단계; 및 (d) 배관이 작업대에 위치된 작업자에 의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the method comprising: (a) placing a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pipe and secur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 the workbench is coupled to the piping; And (d) welding the pipe by an operator located on the workbench.

또한, (c) 단계는, (c1) 작업대의 제 1 결합부가 배관에 결합되고 브래킷에 지지되어, 작업대의 안착부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작업대의 지지부가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배관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c2) 작업대의 제 2 결합부가 배관에 결합되고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d) 단계는, (d1) 작업자의 하네스의 안전 고리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연결 고리에 체결되는 단계; 및 (d2) 작업자의 엉덩이가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등부분이 지지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includes the steps of: (c1)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workbench to the pipe and being supported by the brackets so that the seating part of the workbench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upport part of the workbench is positioned ; And (c2) a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workbench is coupled to the piping and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d) includes the steps of: (d1) inserting the safety collar of the operator's harness into the coupling ring ; And (d2) the hip of the operato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back portion faces the support portion.

또한, (c) 단계는, (c3) 차단 베이스부가 제 1 결합부와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 사이의 배관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차단 몸체부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켜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는 단계; 및 (c4) 고정 와이어가 고정 고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을 감으면서 고정 고리들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체결 고리에 의해 고정 고리에 체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d) 단계는, (d3) 작업자가 시야부를 통해 차단 몸체부의 내부를 관찰하고, 개폐부를 이용하여 투입 개구를 개방한 이후에 투입 개구를 통해 손을 차단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관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c3) placing the cut-off bas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joining the shut-off base portion to the pipe betwee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to be horizontally positioned, A surrounding step; And (c4) inserting a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rings while winding the pipe while the fixing wire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xing rings, and fastening the fixing wire to the fixing ring by the fixing ring, (d3) The operator further observes the inside of the cut-off body portion through the visual field, and after opening the cut-in opening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hand is inserted into the cut-off body through the cut-in opening to weld the pipe .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작업대는,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배관에 설치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으로 배관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안착부; 안착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배관에 결합되고 브래킷에 지지되는 제 1 결합부;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울어져 제 1 결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배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부; 및 제 2 결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2 결합부와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table used in the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ich is installed in a pipe positioned vertically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 seating portion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pipe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A first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and being coupled to the pipe and supported by the bracket;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tilted to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ipe; A support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positioned to intersec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작업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결합부와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 사이의 배관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table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pip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작업자의 엉덩이가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될 때, 작업자의 등부분은 지지부에 지지되고 작업자의 발은 받침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hip of the operato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of the operator can be positioned on the support portion.

또한, 작업대는, 제 1 결합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관에 결합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bench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ipe to surrou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또한, 차단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결합부와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 사이의 배관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차단 베이스부; 차단 베이스부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면서 배관 주위에 위치되며, 하부 양측에는 투입 개구가 형성되는 차단 몸체부; 투입 개구에 대응하도록 차단 몸체부에 설치되고, 투입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차단 몸체부에서 투입 개구들 사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부; 및 배관과 차단 몸체부의 내측면을 연결하면서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의 상측에 위치되는 차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blocking base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the blocking base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pip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to be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locking body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top surface edge of the cut-off bas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ing, the blocking body portion being formed around the piping, An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in the blocking body part to correspond to the charging opening and opening / closing the charging opening; A viewing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viewing portion being formed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ide between the charging openings in the blocking body portion; And a blocking fixture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while connecting the pip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ut-off body portion.

또한, 차단 고정부는, 차단 몸체부의 상부 내측면에서 배관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 복수 개의 고정 고리들; 제 1 종단이 고정 고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와이어 탄성부가 형성된 고정 와이어; 및 고정 와이어의 제 2 종단에 연결된 체결 고리를 포함하되, 고정 와이어가 배관을 감고 고정 고리들을 통과하며, 고정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져 와이어 탄성부가 수축되려는 복원력을 가진 상태에서, 체결 고리는 고정 고리에 체결될 수 있다.Further, the blocking fixture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pipe at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A fixed wir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one of the fixed rings and having a wire elastic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end; And a fastening ring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wire, wherein the fastening wire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rings and the fastening wire is tensioned on the fastening wire so that the fastening ring has a restoring force to retract the wire-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granular pip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table used therefor have the following effects.

(1) 입상 배관이 건물의 외벽에 안전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1) Make sure that the granular piping can be safely installed on the outside wall of the building.

(2) 작업자에게 향상된 안정감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2) Provide the operator with an improved sense of stability.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작업대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granular pi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that can be achieved by the work platform us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용접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작업대에 작업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작업대에 작업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작업대의 차단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herein.
1 is a flowchart showing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vertically position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fixed by a bracket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a pipe weld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er placed on a workbench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or positioned on another workbench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cut-off portion of another work platform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n element represented by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ments are combined into one element, or one elem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a finer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mponent itself,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performed entirely by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 배관이 용접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작업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작업대(100)에 작업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piping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fixed by a bracket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100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operator is placed on a workbench 100 used in the metho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10)을 수직 방향으로 건물(1)의 외벽에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배관(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연결됨으로써 건물(1)에 대한 난방, 급수, 배수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건물(1)의 각각의 층에 설치된 배관에 연결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granula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piping 10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plurality of pipelin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heat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to the building 1, and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우선, 배관(10)이 수직 방향으로 건물(1)의 외벽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진다. S101 단계에서, 배관(10)이 건물(1)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배관(10)은 상호 간에 연결되되, 연결부재(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관(10)은 지면 상에서 상호 간에 연결된 이후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배관(10)의 길이는 건물(1)의 층고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First, a step S101 is performed in which the piping 10 is position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pip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11 so that the pipe 10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1 in step S101. Further, the piping 10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fter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ground,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each being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pipe 10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1.

또한, S101 단계는 윈치(winch) 형태로 이루어진 양중부 및 인장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101 may be carried out by a positive central portion and a tension portion which are in the form of a winch.

양중부는 건물의 옥상에 위치되고, 양중 로프를 감은 상태이다. 양중부는 양중 로프를 풀고, 양중 로프는 배관의 일종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양중 로프는 양중부와 배관을 연결한 상태로 유지한다. The central part is locat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the rope is wrapped around it. Both ends of the rope can be loosened, and the ropes in the middle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In other words, the double rope keeps the piping connected to both central parts.

인장부는 지면에 위치되고, 인장 로프를 감은 상태이다. 인장부는 인장 로프를 풀어 양중 로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인장 로프는 인장부와 메인 로프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서, 인장부는 인장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인장 로프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한다.The tension part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the tension rope is wound. The tensioning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two-way rope by releasing the tensioning rope. That is, the tension rope keeps the tension rope connected to the main rope. Here, the tensioning portion winds or unwinds the tension rope to provide a constant tension to the tension rope.

양중부가 양중 로프를 감으면, 배관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점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점점 건물(1)의 외벽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인장부가 인장 로프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기에, 인장 로프는 양중 로프 및 이에 연결된 배관(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both central portions close the two ropes, the piping is position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gradually while being vertically positioned while being moved upward. Here, since the tensile section provides a constant tensile force to the tensile rope, the tensile rope can prevent the double rope and the shaking of the pipe 10 connected thereto.

이어서, 브래킷(20)이 배관(10)에 결합되어 건물(1)의 외벽에 설치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진다. S102 단계에서, 브래킷(20)은 배관(10)의 일부를 배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면서, 건물(1)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20)은 건물(1)의 외벽에 고정되어, 배관(10)을 수직 방향으로 건물(1)의 외벽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0)은 배관(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1)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 step S102 is performed in which the bracket 20 is coupled to the piping 10 and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Fig. In step S102, the bracket 20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while enclosing a part of the pipe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10. Here, the bracket 20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and the pipe 1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20 is positioned below the connecting member 11 connecting the pipe 10.

이어서, 작업대(100)가 배관(10)에 결합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업대(100)는 작업자가 건물(1)의 외벽에 위치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안착부(101), 제 1 결합부(102), 제 2 결합부(103), 지지부(104) 및 받침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a step S103 is performed in which the workbench 100 is coupled to the pipe 10. Here, the workbench 100 can be used for an operator to be plac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and includes a seat portion 101, a first engagement portion 102, a second engagement portion 103, a support portion 104 And a receiving part 105. [

안착부(10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관(10)과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안착부(101)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The seat portion 10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pipe 10. Here, the seat portion 101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결합부(102)는 안착부(10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배관(10)에 결합되고, 브래킷(20)에 지지된다. 여기서, 제 1 결합부(102)는 배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관(1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유지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02 extends from one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101 and is coupled to the pipe 10 and supported by the bracket 20. Here, the first engaging part 102 is held in a form of wrapping a part of the pipe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10.

제 2 결합부(103)는 안착부(10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울어지고 제 1 결합부(102)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제 1 결합부(102)가 배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결합부(103)는 건물(1)의 외벽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제 1 결합부(102)가 배관(10)에 결합되면서, 제 2 결합부(10)도 배관(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중이 안착부(101)에 가해질 때, 제 1 결합부(102)와 제 2 결합부(103)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3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1 and is inclined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2.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03 extends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02 is coupled to the piping 10. This allow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0 to be coupled to the piping 10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02 is coupled to the piping 10. Further,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eat portion 101,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102 and 103 can be mutually combined to distribute the load.

지지부(10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101)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The support portion 104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s upward from the other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101.

받침부(105)는 제 2 결합부(103)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2 결합부(103)와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The receiving portion 105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3 and is positioned to intersect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3.

상기와 같은 작업대(100)는 제 1 결합부(102) 및 제 2 결합부(103)가 배관(10)에 결합됨으로써 배관(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01)는 배관(10)에 인접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고, 지지부(104)는 안착부(101)를 사이에 두고 배관(10)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The worktable 100 may be coupled to the pipe 10 by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02 and 103 to the pipe 10. The support portion 104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pipe 10 with the seat portion 101 therebetween. The support portion 104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ipe 10.

작업대(100)가 배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엉덩이를 안착부(101)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등부분을 지지부(104)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며, 발을 받침부(105)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대(100)에 위치되어 건물(1)의 외벽 및 배관(10)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특히 발이 받침부(105)에 위치됨으로써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The worker places the hi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01 and positions the back portion to face the support portion 104 while the work table 100 is coupled to the piping 10, Respectively. This allows the operator to be positioned in the workbench 100 to face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and the pipe 10, and in particular, the feet can feel a sense of security by being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05.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대(100)는 차단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ork platform 1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106.

차단부(10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결합부(102)와 연결부재(11) 사이의 배관(10)에 결합되어, 건물(1)과 교차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The blocking portion 106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pipe 10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2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intersecting the building 1.

이어서, 배관(10)이 용접되는 단계(S104)가 이루어진다. S104 단계에서, 배관(10)들은 각각 연결부재(11)와 용접되어 상호 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작업대(100)에 위치된 상태이다. 특히, 작업자는 하네스(harness)(200)를 착용하고, 하네스(200)에는 안전 고리(201)가 연결된다. 작업자가 작업대(100)에 위치되기 이전에, 안전 고리(201)는 건물(1)의 외벽에 설치된 연결 고리(1a)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대(100)에 위치된 상태에서 건물(1)의 외벽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작업대(100)에 위치되어 배관(10)을 용접할 수 있되, 건물(1)의 외벽으로부터 추락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배관(10)을 용접할 수 있다.Subsequently, a step S104 in which the pipe 10 is welded is performed. In step S104, the pipes 10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worker is placed on the workbench 100. In particular, a worker wears a harness 200 and a safety collar 201 is connected to the harness 200. Before the worker is placed on the workbench 100, the safety collar 201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loop 1a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 Thus, the worker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a stat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on the workbench 100. Here, the worker can weld the pipe 10 located in the workbench 100, but can securely weld the pipe 10 without collaps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상기와 같은 S104 단계는 배관(10)의 손상된 부분을 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고, 연결 부재(11) 없이 배관(10)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 S104 may be used for repairing a damaged portion of the pipe 10, and may be used to connect the pipes 10 to each other without the connecting member 11. [

한편, S104 단계에서 용접에 따른 스파크(spark)는 작업대(100)의 차단부(106)를 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즉, 차단부(106)는 용접에 따른 스파크를 차단하여 스파크의 비산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04, a spark due to the welding can be guided toward the blocking portion 106 of the work bench 100. That is, the blocking portion 106 can prevent sparks due to welding,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fire that may occur due to spark scattering.

상기와 같은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은 배관(10)을 수직 방향으로 건물(1)의 외벽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작업대(100)에 위치되고 착용한 하네스(200)의 안전 고리(201)를 건물(1)의 외벽에 설치된 연결 고리(1a)에 연결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건물(1)의 외벽에서 배관(10)을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다. 용접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는 작업대(100)의 차단부(106)에 의해 차단되어 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입상 배관 시공 방법은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the pipe 10 connected to the building 1 in a state where the pipe 1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safety ring 201 of the harness 200, which is located in the work platform 100 and worn, to the connection ring 1a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The pipe 10 can be welded and connected. Sparks that may be generated in welding may be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106 of the work table 100 and may not be scattered. Therefore, the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afely performed withou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작업대(300)에 작업자가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작업대(300)의 차단부(306)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er placed on another workbench 300 used in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ocking portion 306 of the other work platform 300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상 배관 시공 방법에서는 작업대(100)를 대신하여 다른 작업대(300)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작업대(300)는 안착부(301), 제 1 결합부(302), 제 2 결합부(303), 지지부(304), 받침부(305) 및 차단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301), 제 1 결합부(302), 제 2 결합부(303), 지지부(304) 및 받침부(305)는 작업대(100)의 안착부(101), 제 1 결합부(102), 제 2 결합부(103), 지지부(104) 및 받침부(1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차단부(306)는 제 1 실시예의 차단부(106)와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다른 작업대(300)는 차단부(306)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in the granular pi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other work platforms 300 can be used in place of the work platform 100. The other workbench 30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301, a first engaging portion 302, a second engaging portion 303, a supporting portion 304, a receiving portion 305 and a blocking portion 306. Here, the seating part 301, the first engaging part 302, the second engaging part 303, the supporting part 304, and the receiving part 305 are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01 of the work table 10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03, the support portion 104, and the receiving portion 105,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portion 306 has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ing portion 106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the other workbench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ing unit 306 as a center.

차단부(306)는 제 1 결합부(302)의 상측에 위치되고, 연결부재(11)를 둘러싸도록 배관(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차단부(306)는 연결부재(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차단부(306)와 배관(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306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2 and is coupled to the pipe 1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ng member 11. Here, the blocking portion 30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member 11, and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306 and the pipe 10.

또한, 차단부(306)는 차단 베이스부(361), 차단 몸체부(363), 개폐부(365), 시야부(367) 및 차단 고정부(369)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306 may include a blocking base portion 361, a blocking body portion 363,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65, a viewing portion 367, and a blocking portion 369.

차단 베이스부(3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결합부(302)와 연결부재(11) 사이의 배관(10)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The blocking base portion 361 has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pipe 10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2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차단 몸체부(363)는 차단 베이스부(36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차단 몸체부(363)는 연결부재(11)를 둘러싸면서 배관(10) 주위에 위치된다. 차단부(306)와 배관(10)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서 차단 베이스부(361)는 하면을 형성하고, 차단 몸체부(363)는 측면을 형성하며, 상면만이 개방된다.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blocking base portion 361. Here,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is positioned around the pipe 10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11. The blocking base portion 361 forms a lower surface in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306 and the pipe 10,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forms a side surface, and only the upper surface is opened.

또한, 차단 몸체부(363)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투입 개구(306a)가 형성된다. 작업자가 다른 작업대(3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은 투입 개구(306a)를 통해 차단 몸체부(363)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10)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a closing opening 306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respectively. The worker's hand can be inserted into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through the charging opening 306a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iping 10 while the worker is positioned in the other workbench 300. [

개폐부(365)는 투입 개구(306a)에 대응하도록 차단 몸체부(363)에 설치되고 투입 개구(306a)를 개폐할 수 있다. 즉, 투입 개구(306a)는 개폐부(365)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작업자의 손이 삽입되기 위하여 개폐부(365)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65 may be installed in the blocking body part 363 to correspond to the charging opening 306a and may open and close the charging opening 306a. That is, the closing opening 306a is kept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365, and can be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365 to insert the operator's hand.

시야부(367)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차단 몸체부(363)에서 투입 개구(306a)들 사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작업자가 작업대(3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시야부(367)를 통해 배관(10) 및 연결부재(11)를 비롯한 차단 몸체부(363)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The visual field portion 367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between the closing openings 306a in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 The worke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including the pipe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through the visual field portion 367 while the worker is positioned on the workbench 300. [

차단 고정부(369)는 배관(10)과 차단 몸체부(365)의 내측면을 연결하면서 연결부재(11)의 상측에 위치된다. 차단 몸체부(365)는 차단 고정부(369)에 의해 연결부재(11)를 둘러싸면서 배관(10) 주위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단 고정부(369)는 고정 고리(369a)들, 고정 와이어(369b) 및 체결 고리(369c)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369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1 whil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365 with the pipe 10. The blocking body portion 365 can be held around the pipe 10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11 by the blocking fixing portion 369. [ In addition, the blocking fixture 369 may include fixed hooks 369a, a fixed wire 369b, and a locking hook 369c.

고정 고리(369a)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차단 몸체부(363)의 상부 내측면에서 배관(10)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The fixing rings 369a are formed of a plurality and ar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pipe 10 at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고정 와이어(369b)는 고정 고리(369a)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 와이어(369b)의 제 1 종단은 차단 몸체부(363)의 일측에서 건물(1)에 인접한 고정 고리(369a)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 와이어(369b)는 배관(10)을 감은 상태에 고정 고리(369a)들에 삽입되어 통과한다.The fixing wire 369b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xing rings 369a. Here, the first end of the fixing wire 369b is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369a, which is adjacent to the building 1, at one sid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The fixing wire 369b passes through the fixing rings 369a while the pipe 10 is wound.

한편, 고정 와이어(369b)에는 고정 와이어(369b)의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와이어 탄성부(369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와이어(369b)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와이어 탄성부(369b')는 신장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와이어(369b)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되면, 와이어 탄성부(369b')는 복원력에 의해 수축된다.On the other hand, a wire elastic portion 369b 'may be formed on the fixed wire 369b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fixed wire 369b.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wire 369b, the wire elastic portion 369b 'can be stretched. Further, when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fixed wire 369b is removed, the wire elastic portion 369b 'is contracted by the restoring force.

체결 고리(369c)는 고정 와이어(369b)의 제 2 종단에 연결된다. 고정 와이어(369b)가 배관(10)을 감고 고정 고리(369a)들을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 고리(369c)는 고정 고리(369a)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 고리(369c)가 체결되는 고정 고리(369a)는 차단 몸체부(363)의 타측에서 건물(1)에 인접한 고정 고리(369a)일 수 있다. The fastening ring 369c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xed wire 369b. With the fixing wire 369b wound around the pipe 10 a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rings 369a, the fixing ring 369c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369a and fastened. Here, the fastening ring 369a to which the fastening ring 369c is fastened may be a fastening ring 369a adjacent to the building 1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

또한, 체결 고리(369c)가 고정 고리(369a)에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 와이어(369b)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고 와이어 탄성부(369b')는 신장되어 복원력을 갖는다. 이로 인해, 고정 와이어(369b)는 배관(10)을 감은 상태에서 배관(10)에 밀착될 수 있고, 차단 몸체부(363)를 연결부재(11)를 둘러싸면서 배관(10) 주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ring 369c is fastened to the fixing ring 369a,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wire 369b, and the wire elastic portion 369b 'is stretched to have a restoring force. The fixing wire 369b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ipe 10 while the pipe 10 is wound and the blocking body 363 can be positioned around the pipe 10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11 can do.

다른 작업대(300)가 배관(10)에 결합될 때, 상기와 같은 차단부(306)의 구성으로 인하여, 차단 베이스부(361)가 제 1 결합부(302)와 연결부재(11) 사이의 배관(10)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차단 몸체부(363)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켜 연결부재(11)를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고정부(369)에서 고정 와이어(369b)가 제 1 종단이 고정 고리(369a)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배관(10)을 감으면서 고정 고리(369a)들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고정 와이어(369b)의 제 2 종단에 연결된 체결 고리(369c)가 고정 고리(369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와이어(369b)는 배관(10)을 감은 상태에서 배관(10)에 밀착될 수 있고, 차단 몸체부(363)를 연결부재(11)를 둘러싸면서 배관(10) 주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단부(306)는 연결부재(11)를 둘러싸면서 배관(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other workbench 300 is coupled to the piping 10,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portion 306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base portion 36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2 and the connecting member 11 And may be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iping 1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ng member 11 by vertically positioning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Here, in the blocking fixture 369, the fixed wire 369b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xed hooks 369a at the first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oks 369a while passing through the pipe 10, A fastening ring 369c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xed wire 369b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ing 369a and fastened. The fixing wire 369b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ipe 10 while the pipe 10 is wound and the blocking body 363 can be positioned around the pipe 10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11 can do. That is, the blocking portion 306 may be hel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pipe 10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11. [

또한, 차단부(306)가 연결부재(11)를 둘러싼 상태에서, 작업자는 다른 작업대(300)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안착부(301)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등부분을 지지부(304)를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시야부(367)를 통해 차단 몸체부(363)의 내부에 위치된 연결 부재(11)를 관찰할 수 있고, 개폐부(365)를 이용하여 투입 개구(306a)를 개방하고, 개방된 투입 개구(306a)를 통해 손을 차단 몸체부(363)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차단부(306)와 배관(10)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서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에 따른 스파크는 차단 베이스부(361) 및 차단 몸체부(363)에 유도되어 작업자 뿐 아니라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306 surrounds the connecting member 11, the worker can be placed on the other workbench 300. [ Here, the worker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301 and the back portion can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support portion 304. Particularly,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connecting member 11 located inside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through the visual field portion 367, open the closing opening 306a using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365, The hand can be inserted into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through the inserted opening 306a. Thus,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elding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306 and the pipe 10. [ Here, the spark due to the welding may be induced in the blocking base portion 361 and the blocking body portion 363, and may not be scattered around as well as the operator.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300: 작업대
101, 301: 안착부
102, 302: 제 1 결합부
103, 303: 제 2 결합부
104, 304: 지지부
105, 305: 받침부
106, 306: 차단부
100, 300: worktable
101, 301:
102, 302: first coupling portion
103, 303:
104, 304:
105, 305:
106, 306:

Claims (9)

(a) 배관이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단계;
(b) 브래킷이 배관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단계;
(c) 작업대가 배관에 결합되는 단계; 및
(d) 배관이 작업대에 위치된 작업자에 의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c) 단계는,
(c1) 작업대의 제 1 결합부가 배관에 결합되고 브래킷에 지지되어, 작업대의 안착부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작업대의 지지부가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배관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단계;
(c2) 작업대의 제 2 결합부가 배관에 결합되고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단계;
(c3) 차단 베이스부가 제 1 결합부와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 사이의 배관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차단 몸체부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켜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는 단계; 및
(c4) 고정 와이어가 고정 고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을 감으면서 고정 고리들에 삽입되어 통과하며, 체결 고리에 의해 고정 고리에 체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d) 단계는,
(d1) 작업자의 하네스의 안전 고리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연결 고리에 체결되는 단계;
(d2) 작업자의 엉덩이가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등부분이 지지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d3) 작업자가 시야부를 통해 차단 몸체부의 내부를 관찰하고, 개폐부를 이용하여 투입 개구를 개방한 이후에 투입 개구를 통해 손을 차단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관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 배관 시공 방법.
(a) the piping is positioned vertically adjacent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b)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pipe and secur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 the workbench is coupled to the piping; And
(d) the piping is welded by an operator located on the workbench,
(c)
(c1) a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workbench is coupled to the piping and is supported on the brackets such that the seating portion of the workbench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workbench is positioned to face the pipe across the seating portion;
(c2) a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workbench is coupled to the piping and is located below the first coupling portion;
(c3) enclosing a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by vertically positioning the cut-off base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joined to the pipe betwee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And
(c4) a step of inserting and passing the fixing wire through the fixing ring while winding the pipe while the fixing wire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xing rings, and fixing the fixing wire to the fixing ring by the fixing ring,
(d)
(d1) securing the safety collar of the operator's harness to a connection ring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2) the hip of the operato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back portion faces the support portion; And
(d3) a step of observing the inside of the cut-off body part through the visual field part and inserting the hand into the cut-off body part through the cut-in opening after opening the cu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물의 외벽에 인접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배관에 설치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으로 배관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안착부;
안착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배관에 결합되고 브래킷에 지지되는 제 1 결합부;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울어져 제 1 결합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배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지지부;
제 2 결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 2 결합부와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받침부; 및
제 1 결합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관에 결합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차단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결합부와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 사이의 배관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차단 베이스부;
차단 베이스부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을 둘러싸면서 배관 주위에 위치되며, 하부 양측에는 투입 개구가 형성되는 차단 몸체부;
투입 개구에 대응하도록 차단 몸체부에 설치되고, 투입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차단 몸체부에서 투입 개구들 사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부; 및
배관과 차단 몸체부의 내측면을 연결하면서 배관에서 용접될 부분의 상측에 위치되는 차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A worktable installed in a pipe positioned vertically adjacent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 seating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ositioned to intersect the pi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and being coupled to the pipe and supported by the bracket;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tilted to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ipe;
A support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edge of the seat portion;
A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positioned to intersec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nd a block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pipe so as to surrou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The blocking portion,
A cut-off base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ut-off base portion being coupled to a pipe between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locking body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top surface edge of the cut-off bas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ing, the blocking body portion being formed around the piping,
An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in the blocking body part to correspond to the charging opening and opening / closing the charging opening;
A viewing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viewing portion being formed to be positioned on an upper side between the charging openings in the blocking body portion; And
And a blocking fixture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to be welded in the pipe while connecting the piping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ut-off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엉덩이가 안착부의 상면에 위치될 때, 작업자의 등부분은 지지부에 지지되고 작업자의 발은 받침부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of the operator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hip of the operato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차단 고정부는,
차단 몸체부의 상부 내측면에서 배관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 복수 개의 고정 고리들;
제 1 종단이 고정 고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제 2 종단에 인접하도록 와이어 탄성부가 형성된 고정 와이어; 및
고정 와이어의 제 2 종단에 연결된 체결 고리를 포함하되,
고정 와이어가 배관을 감고 고정 고리들을 통과하며, 고정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져 와이어 탄성부가 수축되려는 복원력을 가진 상태에서, 체결 고리는 고정 고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A plurality of retaining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at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body portion;
A fixed wire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one of the fixed rings and having a wire elastic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end; And
And a fastening ring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tationary wire,
Wherein the fastening wire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wire is wrapped around the pipe and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rings and the fastening wire has a restoring force to which a tensil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wire elastic part is contracted.
KR1020180068605A 2018-06-15 2018-06-15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KR101933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05A KR101933828B1 (en) 2018-06-15 2018-06-15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05A KR101933828B1 (en) 2018-06-15 2018-06-15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828B1 true KR101933828B1 (en) 2018-12-28

Family

ID=6500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605A KR101933828B1 (en) 2018-06-15 2018-06-15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82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645Y1 (en) * 2004-03-18 2004-06-05 (주)문화종합설비 Vertical gas pipes attached to outer wall of build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645Y1 (en) * 2004-03-18 2004-06-05 (주)문화종합설비 Vertical gas pipes attached to outer wall of build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28B1 (en)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and scaffold used therein
US20170028232A1 (en)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JP2019052477A (en) Safety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KR20220106657A (en) Non-disband beam mold
KR101785409B1 (en) Fixing device for perforated drainpipes of tunnel side wal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perforated drainpipes therefor
JP2010121394A (en) Gondola for demolishing tower-like structure and method for demolishing tower structure using the gondola
KR101811001B1 (en) Steel pipe strut with safty working plate
JP7265259B2 (en) Gate-shaped parent rope support
KR100952991B1 (en) Sleeve pipe holder
JP5639349B2 (en) Tremy tube connection structure
KR102334766B1 (en) Valve chamber that does not block the pipelin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0386867Y1 (en) Horizontal safety nets equipment
JP6309671B1 (en) Manhole guard fence
KR101852743B1 (en) Two-step through sleeves in which the refractory filler is embedded
KR101893860B1 (en) Fall prevention chief cover
KR101707037B1 (en) A structure for assembled system scaffold and erecting method thereof
KR101886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asic support for fence installed in wall
KR101885638B1 (en) Socket type steel pipe and water pip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20200121612A (en) piping structure
JP6180350B2 (en) 竪 pipe installation stand, construction plant structure and 竪 pipe installation method
JP2020063611A (en) Piping member, pipe fitting for connecting piping member, temporary piping conduit using th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piping conduit
KR102526362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downward vertical structure
KR102438637B1 (en) earth-blocking apparatus for piping construction
JP3701073B2 (en) Filling method of filling material in secondary lining such as tunnel
JP7145781B2 (en) MEMBRANE INSTALLATION METHOD AND ROOF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