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66B1 -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666B1
KR101933666B1 KR1020160064284A KR20160064284A KR101933666B1 KR 101933666 B1 KR101933666 B1 KR 101933666B1 KR 1020160064284 A KR1020160064284 A KR 1020160064284A KR 20160064284 A KR20160064284 A KR 20160064284A KR 101933666 B1 KR101933666 B1 KR 10193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us bar
connection
bar groove
bar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3161A (en
Inventor
김복범
윤석순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6006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666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202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홀더는 하나의 결합면, 2개의 적층면, 및 하나의 단자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면과는 베어셀(bare cell)과 결합하고, 상기 적층면으로는 상기 베어셀의 적층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어셀의 전극에 결합된 연결전극(extended terminal)을 상기 단자면 측으로 노출시키는 부스바홈이 형성된 홀더본체(holder body); 및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고, 적층된 베어셀에서 상층의 노출된 연결전극과 하층의 노출된 전극을 서로 결합시켜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연결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스바는, 베어셀의 전극을 노출시키는 연결전극 및 부스바홈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구조와 독립되게 상기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one coupling surface, two lamination surfaces, and one terminal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to a bare cell, A holder body having a bus bar groove formed therein for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nd exposing an extended terminal coupled to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to the terminal face side; And a connection bus ba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completing serial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by coupling the exposed connection electrode of the upper layer and the exposed electrode of the lower laye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is completed independently of the stacked structure by using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bus bar groove exposing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Description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holder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holder,

본 발명은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극 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베어셀 단위의 증설, 교체, 감축이 용이하며, 센싱터미널, 파워터미널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holder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battery holder capable of connecting electrodes without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 facilitating expansion, To a battery holder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holder.

최근 대용량 전기 장치의 등장으로 배터리의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셀로 구성되는 소용량 배터리부터 복수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한 패키지 형태의 배터리까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the use of batteries has been expanded due to the advent of large-capacity electric devices.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batteries are used, ranging from a small capacity battery made up of a single cell to a packaged batter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이 중 배터리 패키지는 과거에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와 같은 형태로 이용되어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하거나,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된 전력의 저장 및 보충전력의 공급용으로 한정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소형 장치의 전원용량 확대, 동력기기용 동력원으로의 이용이 확대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패키지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mong them, the battery package is used in the form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n the past to supply an emergency power supply during a power failure, or to store the generated power of the renewable energy and to supply the supplementary power. Respectively. In recent years, however, various types of battery packag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expanding the capacity of small- and mid-sized devices and expanding their use as power sources for power devices.

이러한 배터리 패키지는 주로 금속산화물을 이용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or rechargeable battery)를 복수개 패키징하여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에 전극만을 노출한 베어셀을 복수개 적층하고, 이 전극을 부스바(bus bar)와 같은 도전체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직병렬로 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키지에 보호회로, 충방전회로를 구성하여 하나의 패키지를 구성하게 된다.Such a battery package mainly us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or rechargeable batteries using metal oxides. Specifically, a plurality of bare cells, in which only the electrodes are exposed, are stacked on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odes are interconnected by a conductor such as a bus bar to constitute a series-parallel circuit. Then, a protection circuit and a charge-discharge circuit are formed in such a package to constitute one package.

이러한 기존의 배터리 패키지는 전극의 연속 연결시 용접 또는 볼트(또는 스크류) 체결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패키지 생산과정이 복잡하고, 볼트와 같은 결합 소자의 누락이 발생하거나, 용접시 또는 볼트 체결시 베어셀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솔더링을 통해 전극간의 연결 또는 전극과 부스바를 연결하는 경우 조립 공정에서 전극을 통해 전달되는 열 또는 베어셀의 금속 케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 내무 고분자수지막이 손상되거나, 전해액이 열변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팟 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약하게 결합되는 용접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battery package is complicat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ackage by using a method such as welding or bolt (or screw) fastening in the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electrodes, and the missing of the coupling element such as a bolt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ll is damaged.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or when the electrodes and the bus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lymer resin film is damaged due to the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electrode or the metal case of the bare cell during the assembling process, . In addition, when performing spot we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ing is not performed or the welding defect is weakly combined frequently.

이로 인해, 용접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베어셀 중 어느 하나의 베어셀만을 분리하고 교체 또는 재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or impossible to separate, replace or reuse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bare cells connected by welding.

또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체결수단을 이용한 고정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며, 합선, 감전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케이싱 및 절연 작업이 필요하였다.Further, in case of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he bus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facilitate fixing and assembling using the fastening means, and separate casing and insulation work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short circuit and electric shock.

이외에도 기존의 패키지 수단들은 미리 정해진 수의 베어셀을 하나의 패키징으로 제작함으로 인해 부스바, 케이스와 같은 수단이 미리 정해진 수의 베어셀을 한번에 연결하거나 케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용량 증설 또는 설치환경에 따른 형태 변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ackage means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bare cells formed in one package, the means such as the bus bar and the case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or c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bare cells at a tim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deformation is difficult.

더욱이 기존의 패키지 수단들은 센서의 설치, 각 베어셀의 상태확인을 위한 센싱터미널 또는 전원터미널 설치 및 확장이 불편하였으며 특히 부스바와의 합선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ckage means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sensor, to install or extend a sensing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for checking the status of each bare cell,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separate means for prevent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bus bar and the bus bar.

한국등록특허 10-1480284(등록일 2015.01.0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80284 (Registration date 2015.01.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극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베어셀 단위의 증설, 교체, 감축이 용이하며, 센싱터미널, 파워터미널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holder which can be connected between electrodes without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 facilitates expansion, replacement, and reduction in units of bare cells, And a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홀더는 하나의 결합면, 2개의 적층면, 및 하나의 단자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면과는 베어셀(bare cell)과 결합하고, 상기 적층면으로는 상기 베어셀의 적층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어셀의 전극에 결합된 연결전극(extended terminal)을 상기 단자면 측으로 노출시키는 부스바홈이 형성된 홀더본체(holder body); 및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고, 적층된 베어셀에서 상층의 노출된 연결전극과 하층의 노출된 전극을 서로 결합시켜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연결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스바는, 베어셀의 전극을 노출시키는 연결전극 및 부스바홈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구조와 독립되게 상기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홀더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적층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one coupling surface, two lamination surfaces, and one terminal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with a bare cell A holder body having a laminated surface formed with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nd a bus bar groove formed on the bare cell to expose an extended terminal coupled to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to the terminal surface side; And a connection bus ba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completing serial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by coupling the exposed connection electrode of the upper layer and the exposed electrode of the lower laye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is completed independently of the stacked structure by using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bus bar groove exposing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The battery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holder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and a convex portion for coupling ar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적층면들 사이의 단자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의 수에 대응되게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s bar groove is formed on a terminal surface between the lamination surfaces, and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electrodes.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홀더본체의 적층시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형성된 상기 부스바홈과 연결되어 부스바홈이 구성되도록 일측종단이 적층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us bar groove is formed by extending one end of the bus bar groove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ion surface so that the bus bar groov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us bar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holder body when the holder body is stacked.

상기 연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홈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연결전극에 결합되는 한쌍의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sheath includes a pair of socket portions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bus bar groov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ocket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상기 소켓부는 상기 연결전극와 접촉하는 부분에 결합을 위한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소켓부의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recess or a recess corresponding to a recess or a recess of the socket. The socket may have a recess or a recess for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안착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홀과의 결합후 가열가압되어 형태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ing par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has a first hole in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and the protrusion is heated and pressed after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ole to be transformed.

상기 연결전극은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고, 전극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on electrode has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and having a gap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electrod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베어셀과 결합하여 베어셀의 적층 구조 및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상기 베어셀이 포함된 셀조립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홀더는, 하나의 결합면, 2개의 적층면, 및 하나의 단자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면과는 베어셀(bare cell)과 결합하고, 상기 적층면으로는 상기 베어셀의 적층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어셀의 전극에 결합된 연결전극(extended terminal)을 상기 단자면 측으로 노출시키는 부스바홈이 형성된 홀더본체(holder body); 및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고, 적층된 베어셀에서 상층의 노출된 연결전극과 하층의 노출된 전극을 서로 결합시켜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연결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스바는, 베어셀의 전극을 노출시키는 연결전극 및 부스바홈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구조와 독립되게 상기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Also,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holder for coupling with a bare cell to complete a stacked structure of bare cells and a series / parallel connection of bare cells; And a battery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cell assembly including the bare cell, wherein the battery holder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one coupling surface, two lamination surfaces, and one terminal surface, and a bus bar groove is formed in the laminated surface to form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nd expose an extended terminal coupled to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to the terminal surface side. a holder body; And a connection bus ba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completing serial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by coupling the exposed connection electrode of the upper layer and the exposed electrode of the lower layer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And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is completed independently of the stacked structure by using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bus bar groove exposing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상기 홀더본체는 적층면이 이웃하는 홀더본체와 대면하도록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older body is laminated and joined to the neighboring holder body so that the laminated surface faces the neighboring holder body.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적층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and a convex portion for coupling ar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적층면들 사이의 단자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의 수에 대응되게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s bar groove is formed on a terminal surface between the lamination surfaces, and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electrodes.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홀더본체의 적층시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형성된 상기 부스바홈과 연결되어 부스바홈이 구성되도록 일측종단이 적층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us bar groove is formed by extending one end of the bus bar groove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ion surface so that the bus bar groov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us bar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holder body when the holder body is stacked.

상기 연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홈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연결전극에 결합되는 한쌍의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sheath includes a pair of socket portions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bus bar groov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ocket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상기 소켓부는 상기 연결전극와 접촉하는 부분에 결합을 위한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소켓부의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recess or a recess corresponding to a recess or a recess of the socket. The socket may have a recess or a recess for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연결부스바는 적층되는 서로 다른 상기 셀조립체의 전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ng section bars connect the electrodes of the different cell assemblies stacked.

상기 안착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홀과의 결합 후 가열가압되어 형태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ing par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has a first hole in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and the protrusion is heated and pressed after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ole to be transformed.

상기 연결전극은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고, 전극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on electrode has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and having a gap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electrode main body.

상기 단자부는 상기 부스바홈에 의해 노출되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상기 부스바홈을 관통하여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by the bus bar groove and a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through the bus bar groove.

상기 단자부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에 형성되는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ncave or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terminal for coupling with a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he outside.

상기 부스바는 서로 이웃하는 셀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전극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2전극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s bar interconnects the first electrode of one of the neighboring cell assemblies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other.

상기 셀조립체는 상기 홀더본체와 상기 베어셀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 body and the bare cell.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패키지는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극간의 연결이 가능하고, 베어셀 단위의 증설, 교체, 감축이 용이하며, 센싱터미널, 파워터미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attery holder and the battery package having 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welding or bolt fastening means, and can be easily expanded, replaced, and reduced in units of a bare cel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조립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홀더본체의 정면사시도.
도 4는 홀더본체의 배면사시도.
도 5 및 6은 연결전극과 터이널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example of a battery holder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main body.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main body.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onnection between a connection electrode and a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의 조립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example of a battery holder and a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예시로서 7 개의 셀조립체(20)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10)이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셀조립체(20)는 베어셀(11)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1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100)는 결합면을 통해 베어셀(11)과 결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battery pack 10 including seven cell assemblies 20 is shown as an example. One cell assembly 20 includes a bare cell 11 and a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lder 100 is coupled to the bare cell 11 through a coupling surface.

하나의 베어셀(11)은 하나의 홀더(100)와 결합하여 하나의 셀조립체(20)를 구성하고, 복수의 셀조립체(20)들이 적측되어 배터리백(10)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베어셀(11)은 내부에 양극판, 음극판과 이 극판 사이에 게재되는 세퍼레이트와 전해액이 케이스(12) 내부에 수용되고, 잉 극판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전극이 케이스(12) 외부로 노출된 채 밀봉된다. 이러한 베어셀(11)의 케이스(12)는 전해액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합성수지를 복합층으로 형성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베어셀(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태의 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면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파우치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 단면 형상의 베어셀(11)을 예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베어셀(11)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니켈-카드뮴(Ni-Cd), 리튬이온(Li), 니켈 수소(Ni-H)와 같은 금속산화물 이차전지, 알카라인 전지, 망간전지와 같은 다양한 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베어셀(11)은 복수개 마련되고, 각각의 베어셀(11)은 각각의 홀더에 결합되어, 베어셀(11)과 홀더(100)가 결합된 셀조립체(20)가 복수개 적층되어 하나의 배터리 팩(10)을 구성하게 된다.One bare cell 11 is combined with one holder 100 to constitute one cell assembly 20 and a plurality of cell assemblies 20 are mounted to constitute a battery back 10. Specifically, in the bare cell 11,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dis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housed in the case 12,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s shown in Fig. The case 12 of the bare cell 11 may b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without reacting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or a material formed of a composite layer of metal and synthetic res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bare cell 11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 cross-sectional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uch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will be given taking the bare cell 11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an example. The bare cell 11 may be formed of a metal oxide secondary battery such as nickel-cadmium (Ni-Cd), lithium ion (Li) or nickel hydride (Ni-H), an alkaline battery, Can be used. Each of the bare cells 11 is coupled to each of the holders and a plurality of cell assemblies 20 in which the bare cell 11 and the holder 100 are coupled are stacked, Thereby constituting the pack 10.

이러한 배터리팩(10)은 용량의 증량, 감량 및 출력전압의 높고 낮음에 따라 셀조립체(20)의 수를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attery pack 10 can be configur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cell assemblies 20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apacity, and the high and low output voltages.

홀더(100)는 베어셀(11)의 전극단자가 노출된 일단에 결합되어 베어셀(11)이 터미널(101, 102), 다른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셀조립체(20) 끼리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100)는 홀더본체(110), 연결부스바(180), 연결전극 및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lder 1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are cell 11 exposed to the electrode terminal so that the bare cell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101 and 102 and the other bare cells, Mechanically. To this end, the holder 100 includes a holder main body 110, a connecting section bar 180, a connecting electrode, and a buffer member.

홀더(100)는 베어셀(11)의 전극단자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연결전극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에 안착된 연결전극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부스바홈(111)이 형성된다. 연결부스바(180)는 이 부스바홈(111)에 삽입됨과 아울러 부스바홈(111)에 의해 노출되는 연결전극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베어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The holder 100 is formed with a seating part on which a connection electrode fo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upling with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re cell 11 is seated and a bus bar groove 111 for exposing a part of the connection electrode seated on the seating part is formed do. The connection part sheath 180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111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exposed by the bus bar groove 11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neighboring bare cell 11. [

또한, 이 부스바홈(111)은 연결전극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101, 102)이 삽입된다. 터미널(101, 102)은 배터리 팩(10)의 전원을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터미널(101 : 101a, 101b)와 각 베어셀(11)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회로와 연결되는 센싱터미널(102 : 102a,10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터미널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인 전원터미널(101)과 센싱터미널(102)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터미널(101)과 센싱터미널(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110)의 측면에서 부스바홈(111)에 삽입되어 연결전극에 결합될 수 있으나, 홀더본체(110)의 정면에서 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bus bar groove 111, terminals 101 and 102 for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outside are inserted. The terminals 101 and 102 are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101 (101a and 101b)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battery pack 10 to the outside and a sensing terminal 102 : 102a, 102b.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terminal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will be given taking as an example a case where a typical power supply terminal 101 and a sensing terminal 102 are provided. The power supply terminal 101 and the sensing terminal 102 may be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111 at the side of the holder body 110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홀더본체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4는 홀더본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연결전극과 터미널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ell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main body,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main body.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terminal.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셀조립체(20)를 적층하여 배터리팩(10)을 구성하며, 이때, 베어셀(11)과 결합되는 배터리홀더(100)에 의해 셀조립체(20) 간의 기계적,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2 to 5, a battery pa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ell assemblies 20 stacked to form a battery pack 10. A battery holder 100, which is coupled to the bare cell 11,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ell assemblies 20 are achieved.

이러한 배터리홀더(100)는 홀더본체(110), 연결전극(130), 연결부스바(180) 및 완충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터미널(101)과 센싱터미널(102)이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holder 100 includes a holder main body 110, a connecting electrode 130, a connecting piece 180 and a cushioning member 190. The battery holder 100 includes a power terminal 101 for connection with the outside, (Not shown).

홀더본체(110)는 베어셀(11)을 다른 베어셀(11)과 결합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베어셀(11)과 다른 베어셀(11)의 전기적 연결, 베어셀과(11)과 외부 장치 또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전극(130), 연결부스바(18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본체(110)는 베어셀(11) 간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수단, 연결전극(130)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수단, 연결전극(130)과 연결부스바(180)의 연결을 위한 수단, 연결전극(130)과 터미널(101, 102)의 연결을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The holder main body 110 fixes and fixes the bare cell 11 to and from the other bare cell 11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bare cell 11 to the other bare cell 11, A connecting electrode 130 for connecting an apparatus or a circuit, and a connecting section sheath 180. [ To this end, the holder body 110 includes means for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bare cells 11, mean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means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to the connecting piece 180, Means for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and the terminals 101, 102 are provided.

구체적으로 홀더본체(110)에는 셀조립체(20) 간의 기계적 결합을 통해 이웃하는 홀더본체(110)들 간의 연결을 위한 요부(116)와 철부(118)가 마련된 이 요부(116)와 철부(118)는 다른 홀더본체(110)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해당하는 두면(118a, 118e)면에 마련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베어셀(11)과 홀더본체(110)가 결합되는 결합면(118f)과 모서리가 맞닿은 면 중 상면을 제1면(118a)(적층면), 상면과 이웃하는 면중 하면과의 사이에 면을 제2면(118b)(단자면), 두 측면을 각각 제3면(118c) 및 제4면(118d), 하면을 제5면(118e)(적층면), 베어셀(11)과 마주하는 면을 제6면(118f)(결합면)이라 정의할 때, 요부(116)와 철부(118)는 각각 제1면(118a)와 제5면(118e)에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hold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116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116 and a recessed portion 118 for connection between adjacent holder main bodies 110 through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cell assemblies 20, Are provided on two surfaces 118a and 118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s that contact the other holder main body 110.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surface 118f, to which the bare cell 11 and the holder main body 110 are coupl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ed surface is defined as a first surface 118a (laminated surface), a surf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adjacent lower surface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118b (terminal surface), a second surface is referred to as a third surface 118c, The surface facing the bare cell 11 is defined as the sixth surface 118f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recess 116 and the fourth surface 118d are defined as the fifth surface 118e The convex portions 118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8a and the fifth surface 118e, respectively.

이 요부(116)와 철부(118)는 철부(118)가 요부(116)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면(118a)과 제5면(118e)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일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118a)에 요부(116)가 복수로 형성되고, 제5면(118e)에 철부(118)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면에 요부(116)와 철부(118)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요부(116)와 철부(118)의 형태 및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요부(116)와 철부(118) 외에도 홀더본체(110)의 표면 형상을 변경하거나, 홀더본체에 결합을 위해 고정되는 수단, 예를들어, 푸쉬홀더(push holder)와 같이 철부의 종단에 걸림턱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걸림턱이 안착되는 단부를 가지는 요부에 의해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16 and the convex portion 118 are formed in corresponding shapes so that the convex portion 118 can be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116, And one or more are formed on each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16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8a,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18 may be formed on the fifth surface 118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cave portion 116 and the convex portion 118 may be formed by mixing on one side,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concave portion 116 and the convex portion 118 may be changed. Particularly, in addition to the recessed portion 116 and the protruding portion 118, the surface shape of the holder main body 110 may be changed, or a means fixed to the holder main body, for example, a push holder may be used It can also be constituted by a recess having one or more stopping jaws and having an end on which the stopping jaw is seated. That is, a well-known technique capable of easily bonding and separating and maintaining a mechanically stable bond is a technology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홀더본체(110)에는 연결전극(130)의 안착을 위한 전극안착부(113)가 형성된다. 이 전극안착부(113)는 베어셀(11)로부터 인출되는 셀전극(13 : 13a, 13b)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형성위치와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셀전극이 도 2에서와 같이 베어셀(11)의 일측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 인출된 예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극 위치에 따른 안착부(113)의 위치 조정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가능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de seat 113 for seating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110.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electrode seating portion 113 may vary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cell electrode 13 (13a, 13b) drawn out from the bare cell 11. 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cell electrode is biased toward one side edge of the bare cell 1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can be easily modified.

안착부(113)는 제1면(118a)의 표면보다 낮은 높이로 연결전극(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전극(130)은 제1면(118a)과 수직인 방향에서 결합되어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홀더본체(110)와 결합된다. 이 안착부(113)는 베어셀(11)에 구성되는 제1 및 제2전극(13 : 13a, 13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 안착부(1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전극(130)의 제1홀(131)에 끼움결합되어 연결전극(130)을 안착부(113)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 돌기(114)는 연결전극의 고정후 가열가압되어 연결전극(1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14)와 제1홀(131)에 의한 결합방법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돌기(114)와 제1홀(131)의 수와 형태뿐만 아니라 결합 방식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The seating part 11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at a lower level than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18a.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is coupled to the holder body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18a and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3. [ The seating portion 11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 (13a and 13b) formed in the bare cell 11,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ting part 113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14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hole 131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and is firmly fixed to the seating part 113 .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114 may be heated and pressed after fixing the connection electrode to prevent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from being detached. Here, the coupling method using the protrusion 114 and the first hole 131 is exemplarily shown, and not only the number and shape of the protrusion 114 and the first hole 131 but also the coupl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

한편, 홀더본체(110)의 제1면(118a)가 연접하는 면인 제2면(118b)에는 부스바홀(111 : 111a, 111b)이 형성된다. 부스바홀(111)은 안착부(113)의 표면의 연장선에 형성되며, 안착부(113)에 안착된 연결전극(130)의 가장자리 일부가 노출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부스바홀(111)은 일측 종단이 이웃하는 홀더본체(110)의 부스바홀(111)과 연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일부가 사선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부스바홀(111)은 같은 홀더본체(110)에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부스바홀(111a)와 제2부스바홀(111b)로 구분된다. 이때, 제1부스바홀(111a)과 제2부스바홀(111b)의 종단 특히 홀더본체(110)의 중앙측 종단은 이웃하는 홀더본체(110)로 홀이 연결되도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부스바홀(111a)의 홈은 제1면(118a)에 맞닿는 다른 홀더본체(110)의 제2부스바홀(111b)과 이어지게 되고, 제2부스바홀(111b)의 홈은 제5면(111e)에 맞닿는 홀더본체(110)의 제1부스바홀(111a)과 이어지게 된다. 이 부스바홀(111)에는 연결부스바(180)가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베어셀(11)의 극성이 다른 전극(13)을 연결하여 베어셀(11)간의 직렬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부스바홀(111)의 형상은 베어셀(11) 간의 직렬연결을 위한 것으로 병렬 연결의 경우 부스바홀(111)의 형상 및 배치를 변경하여 구성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명을 기재하지 않더라도 당업자에 의한 변형은 용이한 사항이다.On the other hand, a bus barhole 111 (111a, 111a, 111b)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8b,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surface 118a of the holder main body 110 is connected. The bus barhole 111 is formed on an extension of th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3 and allows a part of the edge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3 to be exposed. Particularly, the booth barhole 111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oth barhole 111 of the neighboring holder body 110. Specifically, the booth barhole 111 is divided into a first busbarhole 111a and a second busbarhole 111b,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holder body 110 and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nds of the first booth barhole 111a and the second booth barhole 111b and particularly the end of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110 are formed diagonally so that the holes are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holder body 110. The groove of the first booth barhole 111a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oth barhole 111b of the other holder body 110 abutting against the first surface 118a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booth barhole 111b is connected to the And the first bus barhole 111a of the holder body 110 which abuts the surface 111e. The bus bars 11 are connected to the bus bars 11 through the connection part bars 180 so that the neighboring bare cells 11 have different polarities. Here, the shape of the bus barhole 111 is for serial connection between the bare cells 11, and in the case of parallel connection,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busbarhole 111 can be changed.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readily apparent.

한편, 부스바홀(111)은 제2면(118b)으로부터 연접하는 측면인 제3 및 제4면(118c, 118d)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부스바홀(111)은 연결부스바(180)와 터미널(101, 102)의 결합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결합 작업시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터미널(101, 102)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라인이 배터리팩(10)의 측면을 통해 일률적으로 정렬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미널(101, 102)를 제2면(118b)에 수직인 방향에서 연결전극(130)에 결합되게 하는 경우 부스바홀(111)이 제3 및 제4면(118c, 118d)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bus barhole 111 is formed to extend to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118c and 118d, which are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second surface 118b. The bus barhole 111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the coupling operation by making the bus barhole 111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scuba 180 and the terminals 101 and 102, So that the lines can be uniformly aligned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pack 10.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when the terminals 101 and 102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rface 118b, It is not necessary to extend to the surfaces 118c and 118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전극(13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도전체로 형성되어, 베어셀(11)의 제1 및 제2전극(13a, 13b)와 연결부스바(180) 또는 터미널(101, 102)의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과, 베어셀(11)과 홀더본체(1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is formed of a plate-shaped conductor as shown in FIGS. 2 and 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a and 13b of the bare cell 11, 102 and coupling the bare cell 11 and the holder main body 110 to each other.

이를 위해 연결전극(130)은 안착부(113)에 안착되어 안착부(1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되는 플랜지(135)가 형성되며, 안착부(113)에 이에 대응되게 단턱부가 형성되어, 연결전극(130) 및 이와 연결된 베어셀(11)이 홀더본체(1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전극(130)은 베어셀(11)의 제1 및 제2전극(13a, 13b)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전극(13a, 13b)과 용접,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베어셀(11)의 제1 및 제2전극(13a, 13b)의 종단부가 연결전극(130)의 역할을 하도록 일체형을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이 연결전극(130)은 홀더본체(110)의 안착부(113)에 형성되는 돌기(114)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1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electrode 130 is formed with a flange 135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art 113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113. The seating part 113 has a step corresponding thereto, The electrode 130 and the bare cell 11 connected thereto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main body 110. The connection electrodes 13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hap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a and 13b of the bare cell 11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a and 13b by welding, Or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a and 13b of the bare cell 11 serve as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may be formed with a first hole 131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114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3 of the holder body 110 can be fitted.

이러한 연결전극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01, 102) 및 연결부스바(180)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132)가 형성된다. 단자부(132)는 연결전극(13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며, 연결부스바(180)와 터미널(101, 102)에 형성되는 제2 및 제3돌기와의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2 및 제3홀(133, 134)가 형성된다.The connection electrode is formed with a terminal portion 132 for connection with the terminals 101 and 102 and the connection portion bar 180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portion 132 is formed by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projections 180 and 18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80 and the second and third projections formed on the terminals 101 and 10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ree holes 133 and 134 are formed.

특히 단자부(132)는 일부가 연결전극(130)의 판과 이격되어 간극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터미널(101, 102)의 말단에 사용되는 소켓(103) 형태의 연결부재가 별도의 변형 없이 연결전극(1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부(132)의 일부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극은 터미널(101, 102)의 끼움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terminal portion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of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to have a gap. That is, as shown in FIG. 5, a gap is formed in a part of the terminal portion 132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in the form of the socket 103 used at the ends of the terminals 101 and 102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without any modification And this gap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terminals 101,

연결부스바(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긴 도전체로 형성되고, 연결부(182)와 소켓부(181: 181a, 181b)로 구성될 수 있다. 소켓부(181)는 연결부(182)의 양단에 형성되고, 연결전극(130)과 전기/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특히 소켓부(181) 중 어느 하나의 소켓(181a)은 현재단의 제1전극(13a)에 연결되고, 다른 소켓(181b)은 다음단 또는 이전단의 제2전극(13b)에 연결된다(직렬 연결시). 이러한 연결부스바(180)는 부스바홈(111)과 같이 소켓부(181)의 소켓들(181a, 181b) 사이를 연결부(182)가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on section bar 180 is formed of a long conductor in one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f a connection portion 182 and a socket portion 181 (181a, 181b). The socket portion 18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182 and electrically / mechanic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The socket 181a of one of the socket portions 181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3a of the current stage and the other socket 181b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3b of the next stage or the previous stage When connected in series). The connection part bar 180 is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182 is connected between the sockets 181a and 181b of the socket part 181 like the bus bar groove 111 in an oblique direction.

그리고 소켓부(181)는 단면 형상이 일측이 개구된 'ㄷ'로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연결전극(130)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소켓부(181)의 내측에는 제2돌부(183)가 형성되어 연결전극(130)에 형성된 제2홀(133)이 끼움결합되고 이를 통해 연결부스바(180)와 연결전극(130) 필요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socket portion 181 is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shape 'c' having one side opened, and is fitted into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 second protrusion 18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ocket 181 so that a second hole 133 formed in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80 and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and firmly coupled.

터미널(101, 102)은 전원터미널(101)과 센싱터미널(102)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터미널(1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연결되는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전압에 부합되는 위치의 연결전극(13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팩(10)에서 단일 출력을 얻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첫번째 셀조립체(20)의 연결전극(130)과 제일 마지막 셀조립체(20)의 연결전극(130)에 전원터미널(101)이 연결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셀조립체(20)는 홀더본체(1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스바(180)가 부스바홈(111)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홀더본체(110)를 가로질러 이웃하는 셀의 전극(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배터리 팩(10)이 구성된다.The terminals 101 and 102 may be composed of a power supply terminal 101 and a sensing terminal 102. The power supply terminal 10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oltage to be outputted when the power supply terminal 101 is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when a single output is obtained from one battery pack 10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ng electrode 130 of the first cell assembly 20 and the connecting electrode (not shown) of the first and last cell assemblies 20 130, and the intermediate cell assembly 20 is mechanically connected by the holder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ortion scuba 180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11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s 13 of neighboring cells across the neighboring holder main body 110, do.

센싱터미널(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셀조립체(20)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센싱터미널(102)에 의해 보호회로와 같은 회로와 연결되어 셀조립체(20) 별 베어셀(11)의 상태를 외부회로에서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회로는 베어셀(11)의 온도, 전압, 출력상태와 같은 상태정보를 센싱터미널(102)에 의해 연결되는 센싱라인과 전원터미널(101)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전원터미널(101)과 센싱터미널(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110)의 측면(118c, 118d)을 통해 결합되어 정렬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terminal 102 may be configured for each of the cell assemblies 20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nnected to a circuit such as a protection circuit by the sensing terminal 102, The state of the individual bare cell 11 is detected by an external circuit. The external circuit collects and analyzes state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voltage, and output state of the bare cell 11 through a sensing line connected by the sensing terminal 102 and a power line connected by the power source terminal 1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sensing terminal 102 may be coupled and aligned through the side surfaces 118c and 118d of the holder body 110 as show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완충부재(190)는 베어셀(11)과 홀더본체(110)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베어셀(11)의 전극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본체(110)와 베어셀(11)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완충부재(190)는 충격흡수가 가능하면서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와 같은 물질로 제조되어, 베어셀(11)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전극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홀더본체(110)와 베어셀(11)의 간격이 외부 압력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uffer member 190 prevents damage to the bare cell 11 due to contact between the bare cell 11 and the holder body 110 and prevents the electrode of the bare cell 11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re inserted between the bare cells (11). The buffer member 19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absorbing shock and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and protects the relatively thin electrode portion of the bare cell 11, The gap between the holder body 110 and the bare cell 11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by external pressure. To this end, the cushioning member 190 may be manufactured as a long rod as shown, but this is not a limitation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the lik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배터리 팩 11 : 베어셀
12 : 케이스 13 : 전극
20 : 셀조립체 101 : 전원터미널
102 : 센싱터미널 100 : 홀더
110 : 홀더본체 111 : 부스바홈
113 : 안착부 114 : 돌기
116 : 요부 118 : 철부
130 : 연결전극 180 : 연결부스바
190 : 완충부재
10: Battery pack 11: Bare cell
12: Case 13: Electrode
20: Cell assembly 101: Power terminal
102: sensing terminal 100: holder
110: holder body 111: busbar groove
113: seat part 114: projection
116: recess 118:
130: connecting electrode 180: connecting portion
190: buffer member

Claims (23)

하나의 결합면, 2개의 적층면, 및 하나의 단자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면과는 베어셀(bare cell)과 결합하고, 상기 적층면으로는 상기 베어셀의 적층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어셀의 전극에 결합된 연결전극(extended terminal)을 상기 단자면 측으로 노출시키는 부스바홈이 형성된 홀더본체(holder body); 및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고, 적층된 베어셀에서 상층의 노출된 연결전극과 하층의 노출된 전극을 서로 결합시켜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연결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스바는,
베어셀의 전극을 노출시키는 연결전극 및 부스바홈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구조와 독립되게 상기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battery holder).
Dimensional shape having one coupling surface, two laminated surfaces, and one terminal surface,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to a bare cell, and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 holder body having a bus bar groove formed therein for exposing an extended terminal coupled to an electrode of the bare cell to the terminal surface side; And
And a connection bus bar inserted in the bus bar groove and completing the serial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by connecting the exposed connection electrode of the upper layer and the exposed electrode of the lower layer in the stacked bare cell,
The connecting section bar
Using a connecting electrode and a bus bar groove for exposing electrodes of the bare cell,
And completing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independently of the lamination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홀더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holder includes:
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electrode formed in a plate sha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적층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main body
And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for coupling ar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적층면들 사이의 단자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의 수에 대응되게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s bar groove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s between the lamination surfaces,
And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electrod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홀더본체의 적층시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형성된 상기 부스바홈과 연결되어 부스바홈이 구성되도록 일측종단이 적층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s bar groove
Wherein one end of the holder body is extended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ion surface so that the bus bar groove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us bar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holder body when the holder body is stack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홈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연결전극에 결합되는 한쌍의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socket portions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bus bar groov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ocket part,
Wherein the battery holder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연결전극와 접촉하는 부분에 결합을 위한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소켓부의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ocket portion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for coupling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ncave or convex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연결전극이 안착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홀과의 결합후 가열가압되어 형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main bod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at portion on which the connecting electrode is seated,
The seat porti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formed with a first hol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fitted,
Wherein the protrusions are heated and compress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고,
전극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electrode is elongated from one side edge,
And a terminal portio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holder and the electrode body.
베어셀과 결합하여 베어셀의 적층 구조 및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배터리 홀더; 및
상기 베어셀이 포함된 셀조립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홀더는,
하나의 결합면, 2개의 적층면, 및 하나의 단자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면과는 베어셀(bare cell)과 결합하고, 상기 적층면으로는 상기 베어셀의 적층 구조를 형성시키고, 상기 베어셀의 전극에 결합된 연결전극(extended terminal)을 상기 단자면 측으로 노출시키는 부스바홈이 형성된 홀더본체(holder body); 및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고, 적층된 베어셀에서 상층의 노출된 연결전극과 하층의 노출된 전극을 서로 결합시켜 베어셀의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연결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스바는,
베어셀의 전극을 노출시키는 연결전극 및 부스바홈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구조와 독립되게 상기 직렬/병렬 결선을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 battery holder for coupling with the bare cell to complete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nd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And
At least one cell assembly including the bare cell,
The battery holder includes:
Dimensional shape having one coupling surface, two laminated surfaces, and one terminal surface,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to a bare cell, and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re cell A holder body having a bus bar groove formed therein for exposing an extended terminal coupled to an electrode of the bare cell to the terminal surface side; And
And a connection bus bar inserted in the bus bar groove and completing the serial / parallel connection of the bare cell by connecting the exposed connection electrode of the upper layer and the exposed electrode of the lower layer in the stacked bare cell,
The connecting section bar
Using a connecting electrode and a bus bar groove for exposing electrodes of the bare cell,
And the series / parallel connection is completed independently of the laminated structu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적층면에서 이웃하는 홀더본체와 대면하도록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lder main body
Wherein the holder body adjacent to the adjacent holder body on the laminated surface is stacked and coupl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적층면에 결합을 위한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holder main body
And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for bonding ar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적층면들 사이의 단자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의 수에 대응되게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us bar groove
A plurality of electrode layer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s between the lamination surfaces,
And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electrod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홈은
상기 홀더본체의 적층시 이웃하는 상기 홀더본체에 형성된 상기 부스바홈과 연결되어 부스바홈이 구성되도록 일측종단이 적층면의 표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s bar groove
Wherein one end of the holder body is extended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ion surfa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groove formed in the neighboring holder body when the holder body is stacked to form a bus bar groov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스바는
상기 부스바홈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연결전극에 결합되는 한쌍의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socket portions coupl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bus bar groov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ocket part,
And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to the bus bar groov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연결전극와 접촉하는 부분에 결합을 위한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소켓부의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ocket portion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for coupling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electrode,
Wherein the connecting electrode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ncave or convex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스바는
적층되는 서로 다른 셀조립체의 전극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portion
And electrodes of different stacked cell assembl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연결전극이 안착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1홀과의 결합 후 가열가압되어 형태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lder main bod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at portion on which the connecting electrode is seated,
The seat porti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Wherein the connection electrode is formed with a first hol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fitted,
And the projections are heated and press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holes to be transform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고,
전극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on electrode is elongated from one side edge,
And a terminal portio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body and the electrode bod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부스바홈에 의해 노출되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상기 부스바홈을 관통하여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by the bus bar groove,
And a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through the bus bar groov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에 형성되는 요부 또는 철부에 대응하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ncave or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terminal for coupling with a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he outsi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서로 이웃하는 셀조립체 중 어느 하나의 제1전극과 다른 하나의 제2전극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bus bar interconnects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neighboring cell assemblies.
제 10 항에 있어서,
셀조립체는
상기 홀더본체와 상기 베어셀 사이에 게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ell assembly
And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 main body and the bare cell.
KR1020160064284A 2016-05-25 2016-05-25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101933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84A KR101933666B1 (en) 2016-05-25 2016-05-25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84A KR101933666B1 (en) 2016-05-25 2016-05-25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61A KR20170133161A (en) 2017-12-05
KR101933666B1 true KR101933666B1 (en) 2018-12-28

Family

ID=6092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284A KR101933666B1 (en) 2016-05-25 2016-05-25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6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472B1 (en) * 2017-12-27 2022-1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concave por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962A (en) * 2008-09-03 2010-03-18 Tokai Rika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962A (en) * 2008-09-03 2010-03-18 Tokai Rika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61A (en)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968B2 (en) Battery module with guide coupl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it
CN105914315B (en) Battery pack
JP6795708B2 (en) Bus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it
JP7045591B2 (en) Battery module with busbar assembly
KR100905393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TW201729447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0114932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JP2014527688A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KR102211192B1 (en) Unit battery modu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14538B1 (en)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CN111433938B (en) Battery module,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US20220037707A1 (en) Battery Pack and Holder
KR2012007442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20120074415A (en) Unit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80132338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4270595B (en) Battery module using non-welded structure as connection structure of bus bar and voltage sensing member
KR101933666B1 (en) Battery holder and battery package including the same
EP3255702B1 (en) Battery pack
KR101957403B1 (en) Cell Lead Connecting Apparatus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0870095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211455756U (en) Lithium battery module
KR20180020716A (en)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KR20220012037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imp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ell lead and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936418B1 (en) Battery package including battery holder
KR102090310B1 (en) Housing for Pouch cell and Pouch cell unit having the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