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71B1 -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 Google Patents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71B1
KR101933571B1 KR1020180033216A KR20180033216A KR101933571B1 KR 101933571 B1 KR101933571 B1 KR 101933571B1 KR 1020180033216 A KR1020180033216 A KR 1020180033216A KR 20180033216 A KR20180033216 A KR 20180033216A KR 101933571 B1 KR101933571 B1 KR 10193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light
incident
light sour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피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피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피니티
Priority to KR102018003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71B1/en
Priority to PCT/KR2018/014756 priority patent/WO2019156321A1/en
Priority to US16/968,162 priority patent/US20210364149A1/en
Priority to CN201880092237.3A priority patent/CN111936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rface light emitting illumin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illumination, which allow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with point-illumination to be surface-illuminated in a large area. A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flective member (1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of 0 degree or more with respect to a light emitting surface (20) which is surface-illuminated; and a light source (30)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flective member (10) between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a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of the reflective member (10). The reflective member (10) includes: a film member (11) having a first surface having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14, 15) alternately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ember. An incident light (61)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 first reflected light (62) in which the incident light (61)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adjacent to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disposed to be closer to the light source (30) tha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lso, a second reflected light (63) in which the first reflected light (62) is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4) is emitted towar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while intersecting the incident light (61).

Description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면 발광 조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발광 다이오드)를 넓은 면적으로 면 발광 하는 조명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emitting illumin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surface emitting a wide area 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일반적인 전구에 비해 발광 효율이 매우 좋다는 장점이 있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사람들이 생활하는 영역을 비추는 조명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노광 장비 등의 산업 현장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Light emitting diod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y have an advantage of being very excellent in luminous efficiency as compared with general light bulbs. Light-emitting diodes (LEDs) are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semiconductor exposure equipment as well as lighting that illuminates areas where people live.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는 집중적인 점 조명에 가깝다. 이와 같은 점 조명은 휘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직접 조명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고, 사람이 이를 직접 바라볼 경우 시 신경이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점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간접적으로 면 발광하도록 하는 조명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However, LEDs are close to intensive point lighting. Such point lighting is very inadequate to use as direct illumination because of its high brightness, and it may cause damage to the visual nerve when viewed directly by a person. Accordingly, an illumination structure for indirectly illuminating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a point light is widely used.

이러한 종류의 면 발광 조명들은 대부분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여 발광 면적을 넓히고 발광 방향을 전방으로 유도하여 휘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Most of these kinds of surface emitting luminaires use a light guide plate and a prism sheet to widen the light emitting area and to forward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to increase the luminance.

또한 면 발광을 구현하기 위해, 발광하는 면에 대응하는 면적에 발광 다이오드를 골고루 분포시켜 실장하는 방법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Further, in order to realize surface emission, a method of evenly distributing light emitting diode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light emitting surface and mounting them is also used.

그러나 도광판 등의 광학부재나 프리즘 시트는 원가가 높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명의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고, 발광 면적에 대응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하는 것은 면 발광 면적이 늘어날수록 그만큼 발광 다이오드를 더 많이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optical members such as a light guide plate and a prism sheet have high c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of illumination increases as a whole, and arranging light emitting diodes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requires more light emitting diodes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를 모서리에 설치하고 측면으로 빛을 조사시킨 후 면 발광을 구현하는 구조도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이 역시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의 사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조명의 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Due to such a problem,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is installed at an edge and light is irradiated to a side surface and then light is emitted has been used. However, since the use of a light guide plate and a prism sheet is inevitable, .

등록특허공보 제1829098호Patent Registration No. 1829098 등록특허공보 제1193503호Patent Registration No. 119350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83741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48374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고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를생략하더라도 면 발광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sufficiently emitting light even whe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prism sheet ar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간편하고 컴팩트하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which is simple and compact to manufacture, and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cost.

또한 본 발명은 면 발광하는 발광표면을 플렉시블하게 변형하여 최적의 조명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flexibly deforms a light-emitting surface that emits light and can use the light in an optimal lighting state.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휘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면 발광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greatly increasing the brightness without using a prism shee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원(30)을 측면에 배치하고, 광원(30)의 입사 방향에 대해 거의 수평을 이루지만 아주 약간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반사부재(10)를 광원(30) 옆에 설치하며, 상기 반사부재(10)의 정면에 배치되는 소정의 가상 또는 실제 면이 면 발광하는 발광 면(20)을 구성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광원(30)을 측면에 배치하고, 광원(30)의 입사 방향에 대해 발광 면(20)과 반사부재(10)가 모두 평행을 이루도록 하면서도,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 없이 고휘도의 면발광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lective member (10) having a light source (30) arranged on a side surface and being inclined by a slight angle (a)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3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30), and a light emitting surface (20)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30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30, So as to provide a possible illumination device.

상기 발광 면(20)은 상기 광원(30)의 대표적인 광 출사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면(20)은 상기 반사부재(10)와 평행하고, 또는 아주 약간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채로 상기 반사부재(10)와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 면(20)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L)의 발광 면을 가지면서도, 전체적인 두께는 광원(20)의 두께(w)만큼 얇고, 가벼운 조명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a typical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30.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eflective member 10 or side by side with the reflective member 10 while being inclined at a slight angle a. Then, the illumination device has a light emitting surface having a large area L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the overall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w of the light source 2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light.

상기 반사부재(10)는 UV 경화 합성수지 필름의 제1면에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이 교호로 배치되는 반사 프로파일면(13)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반사율이 뛰어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하여 대략 0.05mm 내지 2.5mm 내외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내지 1mm 내외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면, 광원의 측면에 상기 필름을 비스듬히 부착하거나, 광원을 필름의 측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면 발광 조명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reflection member 10 is formed by forming a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in which a first reflection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on surface 15 are alternately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a UV cured synthetic resin film, It is possible to deposit a metal such as aluminum with a thickness of about 0.05 mm to 2.5 mm. And more preferably 0.25 mm to 1 mm.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urface emitting illumination simply by attaching the film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source diagonally or attaching the light source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lm.

상기 제1반사표면(14)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제2반사표면(15)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은 상기 제1반사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발광 면(20) 쪽으로 반사시킨다.Wherei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reflects light incident from a light source on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reflects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20).

상기 제1반사표면(14)은 상기 제1반사표면에 입사된 빛이 상기 제2반사표면으로 골고루 반사될 수 있는 프로파일로서, 볼록한 곡면이거나 오목한 곡면, 또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a profile that allows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to be uniformly reflected 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nd may include convex curved surfaces, concave curved surfaces, or planes.

상기 제2반사표면(15)은 상기 제1반사표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발광 면(20)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반사시킬 수 있는 오목한 곡면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may have a concave curved profile that can reflec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또한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 사이, 및/또는 제2반사표면(15)과 제1반사표면(14) 사이에는 빛의 반사와는 무관하면서도 제1반사표면과 제2반사표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둘 수 있도록 하는 연결면(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결면(16)은 상기 각도(a)를 더욱 작게 설정하거나, 광원으로부터 가까운 쪽과 먼 쪽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해준다.And also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 or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regardless of the reflection of light, And a connecting surface (16) for allow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s. Particularly, such a connecting surface 16 makes it possible to set the angle a to be smaller or make the luminance closer to the light source and farther to be uniform.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를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의 제1면, 즉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이 반사면으로 사용되거나, 이면이 반사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반사 프로파일면(13)이 광원을 바라보도록 설치하면 그 표면이 반사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제1면의 대향면인 제2면이 광원을 바라보도록 설치하고, 필름부재(11)를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하면,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裏面)이 반사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pplying a film-shaped reflecting member, the first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that is,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profile surface 13 may be used as a reflecting surface, or the back surface may be used as a reflecting surface. For example, if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light source, its surface can be used as a reflecting surface. On the contrary, if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light source and the film member 11 is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can be used as the reflecting surface .

물론 본 발명이 도광판 등의 광학부재와, 확산판 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광판과 확산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휘도의 면 발광 구현이 가능하고, 여기에 더하여 도광판과 확산판을 사용한다면, 당연히 더 고품질의 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조명장치가 도광판과 확산판을 사용해야 면 발광을 구현하는 것과는 명백히 구분되는 것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use of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plat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surface light emission of high brightness without us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diffusion plate, and if a light guide plate and a diffusion plate are used in addition to this, naturally higher quality surface light emission can be realized. This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illuminating device uses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diffusion plate to realize the light emission.

상기 광원(30)으로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light source 30, an LED may be us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 발광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면 발광하는 발광 면(20)에 대해 0도 이상 45도 미만의 소정 각도(a)로 배열되는 반사부재(10); 및 상기 발광 면과 반사부재(10)의 반사 프로파일면(13) 사이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3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 reflection member (1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of 0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a light source (30)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flection member (10) between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of the reflection member (10).

상기 반사부재(10)는: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비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는 필름부재(11); 및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에 교호로 구비되는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ve member (10) comprises: a film member (11) having a first surface having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lternat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ember.

상기 광원(30)에서 출사된 입사광(61)은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제1반사표면(14)에서 상기 입사광(61)이 반사된 1차 반사광(62)은,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인접하며 상기 제1반사표면(14)보다 상기 광원(30)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에서 상기 1차 반사광(62)이 반사된 2차 반사광(63)은, 상기 입사광(61)과 교차하며 상기 발광 면(20)을 향해 출사된다.The incident light 61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by the incident light 61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incident on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djacent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located closer to the light source (30) tha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reflected by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ntersects with the incident light 61 and is emitted towar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상기 필름부재(11)는 플렉시블한 광 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lm member 11 may be made of a flexible light-transmissive material.

상기 필름부재(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필름층(17)과, 상기 베이스필름(17)의 표면 상에 적층되어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성하는 반사패턴형상층(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m member 11 includes a base film layer 17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eflective pattern layer 18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7 to form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에 금속이나 반사잉크가 도포되어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을 구성할 수 있다.Metal or reflective ink may be applied to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to form a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교호로 배치되는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 사이에는 연결면(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connecting surface 16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rranged alternately.

상기 제1반사표면(14)은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하거나 평평하거나 오목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은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목한 곡면의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ncludes a convex, flat or concave surface profile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Profile. ≪ / RTI >

일 예로서, 상기 입사광(61)은 매질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매질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매질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hrough the medium toward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passes through the medium to the reflective profile 13,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surface of the surface 13 and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can be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medium.

여기서 상기 매질은 공기 또는 유체매질(70)일 수 있다.Wherein the medium may be air or a fluid medium 70.

이를 위해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30)의 출사면(36)이, 상기 발광 면(20)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단부와 발광 면에 멀게 위치하는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광원(30)이 고정되는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반사부재(10)가 상기 광원 설치부(81)에 설치된 광원(30)의 출사면(36)과 상기 발광 면(20)을 바라보도록 고정하는 반사부재 설치면(82)을 구비하는 하우징(8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llumination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the exit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is arranged between a first end located close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a second end distant from the light emitting surface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to which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is fixed and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to which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is fixed, And a housing 80 having a reflective member mounting surface 82 for fixing the light source.

그리고 상기 하우징(80)은, 상기 매질을 조명장치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투명한 재질 또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커버(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8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85 that separates the medium from the external space of the illumination device and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or a diffusion plate.

그리고 상기 커버(85)가 발광 면(20)을 이룰 수 있다.And the cover 85 may form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과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裏面)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와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the film member 11,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film member 11 and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can be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film member 11 and the second surface.

상기 면 발광 조명장치는 광학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member (50).

상기 광학부재(50)는: 광원(30)의 출사면(36)과 마주하여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원 설치부(81);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과 마주하는 반사부재 설치면(82); 및 상기 반사부재(10)에서 반사된 빛이 출사하는 상기 발광 면(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member (50) includes: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facing the light emitting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A reflective member mounting surface (82)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on which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ember 10 emits.

특히 상기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반사부재 설치면(82)이 서로 이웃하고, 상기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발광 면(20)이 서로 이웃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reflecting member mounting surface 8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측면을 통해 필름부재(11)에 입사되고, 상기 필름부재(10)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lm member 11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is direct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via the film member 10, 1 reflection surface 14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film member 11, The reflected light 63 may be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또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측면을 통해 상기 베이스필름층(17)에 입사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을 거쳐 상기 베이스필름층(17)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계면을 통해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에 입사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base film layer 17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base film layer 17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and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4),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The reflected light 63 may be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앞선 예들에서 상기 소정각도(a)는 0도일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s, the predetermined angle a may be 0 degrees.

또한 앞선 예들에서 상기 제2면이 발광 면(20)일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s, the second surface may be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그리고 상기 발광 면(20)은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may include a diffusion plate.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N1)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굴절율(N2)은 N1 = N2 의 수식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may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N1 = N2.

또한 이와 함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N2 - N1 = 0.69 의 수식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05 = N2 - N1 = 0.69.

본 발명의 면 발광 조명장치에 따르면, 도광판 등의 광학부재나 프리즘 시트와 같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고정밀의 반사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만으로 고휘도의 면 발광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expensive member such as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ight guide plate or a prism sheet is not used and a high-precision reflection surface is not provided, Can be implemen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면 발광 조명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염가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매우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ery light weight.

아울러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의 필름층이 도광판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함으로써, 발광 면을 플렉시블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film layer of the film-shaped reflection member to have the fun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it is possible to flexibly deform and use the light-emitting surfac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반사부재의 반사 프로파일면을 통해 점광원을 면광원화 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반사부재의 반사 프로파일면을 통해 점광원을 면광원화 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3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사부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반사부재를 사용하여 면 발광 조명장치를 구현한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도 14의 반사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a film-type reflection member used in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of converting a point light source into a surface light source through a reflection profile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and a fourth embodiment of the film-type reflection member used in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principle of converting a point light source into a surface light source through a reflection profile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used as a light source of th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shown in Fig.
8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shown in Fig.
10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14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reflective member used in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device is implemented using the reflection member shown in FIG.
1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Figs.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flection member of Fig. 14.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면 발광 구현 원리][Principle of surface emission realiz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면 발광 구현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surface emitting light emission of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좁은 폭으로 비스듬히 입사되는 광을 넓게 확산 반사하는 반사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재(10)는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on member (10) that diffuses and reflects light incident at a narrow width at an oblique angle. The reflective member 10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도 1에는 상기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10)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101, 102)는 반사 프로파일면(13)이 형성된 제1면과, 부착면(12)으로 활용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필름부재(11)를 포함한다.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eflective member 10 in the form of a film. The film-shaped reflecting members 101 and 102 shown in FIGS. 1A and 1B respectively have a first surface formed with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and a second surface used as the mounting surface 12 And a film member 11 provided thereon.

필름부재(11)는 플렉시블하면서도 광투과성이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이는 PE 재질의 UV 경화수지일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11)의 상부면(제1면)에 마련된 반사 프로파일면(13)은 합성수지로 필름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표면 가공을 통해 제작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필름부재(11)의 하부면(제2면)은 부착이 용이하고, 경우에 따라 하부면을 통해 필름부재(11)로 입사될 수 있는 광의 산란과 반사를 방지하도록 평평한 표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lm member 11 can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flexible and highly light transmissive. It may be a UV curable resin of PE material.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irst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can be manufactured or formed through surface processing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film with a synthetic resin. The lower surfac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can be made as a flat surface to prevent scattering and reflection of light which is easy to adhere and can possibly be incident on the film member 11 through the lower surface .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에는 은이나 알루미늄과 같이 반사율이 매우 높은 금속이 CVD 등을 통한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반사 프로파일면(13)에는 백색의 반사 잉크가 딥핑 등의 방식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A metal having a very high reflectance such as silver or aluminum may be coated on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by a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through CVD or sputtering. In addition, a reflection ink of white color may be applied to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by a dipping method or the like.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에 코팅된 금속 반사층은 도면 상 필름의 상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제1면의 표면에서 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의 하부에서 필름부재를 통해 유입된 빛을 제1면의 이면(裏面)에서 반사할 수도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필름은 제1면의 표면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을 예정한 구조이고, (b)에 도시된 필름은 제1면의 이면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을 예정한 구조이다. 이들의 반사 프로파일면은 모두 제작이 용이하다.The metal reflection layer coated on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can reflect light irradiated from the top of the film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s well as light refl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Back surface). The film shown in Fig. 1 (a) is a structure intended to reflect light at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film shown in (b) is a structure intended to reflect light at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 All of these reflection profile surfaces are easy to manufacture.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필름의 반사 프로파일면(13)에 의해 좁은 면적의 빛이 넓게 면 광원화 되는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the principle that the light of a narrow area is broadly surface-illuminated by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of the film shown in Fig.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은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이 교호로 배치되고, 이들 반사표면 간의 거리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연결면(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surface 16 for alternately arranging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adjusting the distance or position between these reflective surfaces have.

광원(30)은 상기 반사부재(10)의 측면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향해 비스듬히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10)는 상기 광원에 대해 약간의 각도(a)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광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반사부재(10)는 이를 반사하여 수직 상방으로 빛을 반사시켜 좁은 면적으로 조사되는 빛을 넓게 면 광원화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상기 광원(30)의 발광 면적 대비 상기 반사부재(10)의 발광 면적은 cot a 배 만큼 늘어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30 may irradiate the ligh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toward the reflecting member 10 at an angle. The reflective member 10 may be disposed at a slight angle (a)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2, the light source 30 irradiates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reflects the light to vertically upwardly reflect the light radiated in a narrow area. In theory,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reflective member 10 may be increased by cot a times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light source 30.

이와 같이 반사부재(10)는 그 반사 표면이, 광원(30)의 출사면(36)을 바라보고, 동시에 발광 면(20)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즉 반사부재(10)의 반사 표면은, 상기 광원(30)의 입사 방향에 대해서도 비스듬히 배치되고, 상기 발광 면(20)에 대해서도 비스듬히 배치되는 경사면의 형태로 배치된다.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10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emission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and also to face the emission surface 20. [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is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30 an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

상기 반사부재(10)를 a의 각도만큼 기울여서 상기 광원(30) 옆에 비스듬히 설치하면, 상기 광원(30)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수평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복수 개의 제1반사표면(14)들만이 노출된다. 그리고 도면 상 상부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수직 하방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복수 개의 제2반사표면(15)들만이 노출된다. When the reflecting member 10 is inclined at an angle of a and installed obliquely to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30, when the reflecting member 10 is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4) are exposed. When the reflective member 10 is view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only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15 are exposed.

도 2에는 광원(30)이 수평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부재(10)가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광원(30)이 수평에서 소정의 각도(a)만큼 하향 설치되고, 반사부재(10)가 수평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 2의 반사표면의 패턴 역시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도 17 참조).FIG. 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30 horizontally irradiates light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is provided in a shap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but this is a relative concept. That is, the light source 3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may be horizontal. And thus the pattern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Figure 2 may also be slightly inclined (see Figure 17).

상기 제1반사표면(14)의 볼록한 곡면은, 상기 광원(30)에서 상기 제1반사표면(14)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입사된 입사광(61; 611, 612, 613)을 상기 제2반사표면(15)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며 반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표면에서 반사된 1차 반사광(62)은 모두, 오목한 곡면의 상기 제2반사표면(15)에서 실질적으로 도면 상 수직 상방으로 반사된다. 즉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63; 631, 632, 633)은 보다 넓게 분포된 평행광이 된다.The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formed by projecting incident light 61 (611, 612, 613)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from the light source 30, 2 reflective surface 15 and reflects.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all reflected vertically upward in the figure substantially at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of the concave curved surface. That is,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631, 632, 633)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becomes more widely distributed parallel light.

상기 반사부재(10)의 설치각(a)이 작을수록 상기 면 발광 확대면적은 더 커지게 된다. 연결면(16)은 이러한 반사부재(10)의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의 거리를 더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도면 상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도 두 반사표면(14, 15)간의 거리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결면(16)은, 반사에 관여하거나 관여하지 아니하면서, 반사부재(10)의 설치각(a)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해준다. 도 2에는 연결면(16)은 의도된 반사면으로서는 기능하지 않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완전한 평행광은 아니므로, 결과적으로 연결면(16)의 표면도 반사에 관여할 수 있다.As the mounting angle (a) of the reflective member 10 is smaller, the surface emission enlargement area becomes larger. The connecting surface 16 can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5 of the reflecting member 10 to be wider and the two reflecting surfaces 15, (14, 15) can be set. Such a connection surface 16 makes it easier to make the installation angle a of the reflecting member 10 smaller, without involving or participating in reflection. In Figure 2, the connecting surface 16 is shown as not functioning as an intended reflecting surface. However, sinc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not a perfectly parallel light,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surface 16 may also be involved in reflection.

도 2에는 서로 반사광을 주고 받는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 사이에 연결면(16)이 위치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면(16)은 서로 반사광을 주고 받지 않지만 이웃하는 제2반사표면(15)과 제1반사표면(14) 간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두 군데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2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surface 16 is disposed between a first reflection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on surface 15 that receive and transmit reflection light from and to each other, But may be located between the neighboring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n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or both.

도 3에는 상기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10)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103, 104)도, 반사 프로파일면(13)이 형성된 제1면과, 부착면(12)으로 활용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필름부재(11)를 포함한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reflective member 10 in the form of a film. The film-shaped reflecting members 103 and 104 shown in Figs. 3A and 3B also have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is form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surface 12 is used, And a film member (11) provided with the film member (11).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에 코팅된 반사층 역시 도면 상 필름의 상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제1면의 표면에서 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의 하부에서 필름부재를 통해 유입된 빛을 제1면의 이면(裏面)에서 반사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필름은 제1면의 표면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을 예정한 구조이고, (b)에 도시된 필름은 제1면의 이면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을 예정한 구조이다. 이들의 반사 프로파일면은 모두 제작이 용이하다.The reflective layer coated on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can als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top of the film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s well as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reflect the ligh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film shown in Fig. 3 (a) is a structure intended to reflect light at th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film shown in (b) is a structure intended to reflect light at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 All of these reflection profile surfaces are easy to manufacture.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은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이 교호로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들 반사표면 간의 거리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연결면(16)이 구비되지 않은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면(16)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15 참조).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ltern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connecting surface 16 for adjusting the distance or position between these reflecting surfaces is not provid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necting surface 16 can be added (see FIG. 15 ).

도 4를 참조하면, 광원(30)은 상기 반사부재(1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광원(30) 옆에 비스듬히 설치된 반사부재(10)는 이를 반사하여 수직 상방으로 빛을 반사시켜 좁은 면적으로 조사되는 빛을 넓게 면 광원화하게 된다.4, the light source 30 irradiates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reflective member 10,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installed at an angle to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30 reflects the light to vertically upward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with a narrow area is broadly illuminated.

상기 반사부재(10)를 a의 각도만큼 기울여서 상기 광원(30) 옆에 비스듬히 설치하면, 상기 광원(30)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수평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복수 개의 제1반사표면(14)들만이 노출된다. 그리고 도면 상 상부에서 상기 반사부재(10)를 수직 하방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복수 개의 제2반사표면(15)들만이 노출된다.When the reflecting member 10 is inclined at an angle of a and installed obliquely to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30, when the reflecting member 10 is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4) are exposed. When the reflective member 10 is view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only a plurality of second reflective surfaces 15 are exposed.

도 4에는 광원(30)이 수평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부재(10)가 소정의 각도(a)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광원(30)이 수평에서 소정의 각도(a)만큼 하향 설치되고, 반사부재(10)가 수평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 4의 반사표면의 패턴 역시 약간 기울어질 수 있다(도 16 참조). 아울러 반사부재 자체가 도광 기능을 할 경우에는, 광원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반사부재가 수평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4 shows a form in which the light source 30 irradiates light horizontally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but this is a relative concept. That is, the light source 3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may be horizontal. And thus the pattern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Figure 4 may also be slightly tilted (see Figure 16). In addition, when the reflecting member itself performs the light guiding function, the light source may be horizontally arranged and the reflecting member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상기 제1반사표면(14)의 오목한 곡면은, 상기 광원(30)에서 상기 제1반사표면(14)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입사된 입사광(61; 611, 612, 613)을 상기 제2반사표면(15)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며 반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반사표면에서 반사된 1차 반사광(62)은 모두, 오목한 곡면의 상기 제2반사표면(15)에서 실질적으로 도면 상 수직 상방으로 반사된다. 즉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63; 633, 632, 631)은 보다 넓게 분포된 평행광이 된다.The concav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formed by projecting incident light 61 (611, 612, 613)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ight source 30 towar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2 reflective surface 15 and reflects. And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all reflected vertically upward in the figure substantially at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of the concave curved surface. That is,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633, 632, 631)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5 becomes more widely distributed parallel light.

서로 이웃하여 반사광을 주고 받는 두 반사표면(14, 15)은 하나의 단위로서 반복 설치되며, 이 단위들 사이에 연결면이 배치되거나, 이 단위 내부에 연결면이 배치되거나, 이 단위들 사이와 이 단위 내부에 모두 연결면이 배치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two reflective surfaces 14 and 15,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receive reflected light, are repeatedly installed as a unit, and a connection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units, a connection surface is disposed inside the unit, It is noted that the connecting surfaces can be disposed in the uni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표면은 볼록한 곡면이고 제2반사표면은 오목한 곡면인 경우,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표면과 제2반사표면이 모두 오목한 곡면인 경우에 관계 없이, 광원에서 조사된 입사광(61)이 제1반사표면(14)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각도(r1)와, 제1반사표면(14)에서 반사된 1차 반사광(62)이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각도(r2)의 합은 90도 내지 90도에 근접하도록 설정된다. 가령 1차 반사광(62)의 반사 각도(r1)가 89도라면(도 2의 613, 도 4의 611 참조), 이에 대응하는 2차 반사광의 반사 각도(r2)는 1도이고(도 2의 633, 도 4의 631 참조), 제1반사광의 반사 각도(r1)가 45도라면(도 2의 612, 도 4의 612 참조), 이에 대응하는 제2반사광의 반사 각도(r2)는 45도이며(도 2의 632, 도 4의 632 참조), 제1반사광의 반사 각도(r1)가 1도(도 2의 611, 도 4의 613 참조)라면 이에 대응하는 제2반사광의 반사 각도(r2)는 89도가 된다(도 2의 631, 도 4의 633 참조).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a concave curved surface, and bot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re both Irrespective of the concave curved surface, the angle r1 at which the incident light 61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and the angle r1 at which the reflected primary light 62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The sum of the angles r2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is set to approach 90 to 90 degrees. If the reflection angle r1 of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89 degrees (see 613 in Fig. 2 and 611 in Fig. 4), the reflection angle r2 of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corresponding thereto is 1 degree 631 and 631 in FIG. 4). When the reflection angle r1 of the first reflected light is 45 degrees (see 612 in FIG. 2 and 612 in FIG. 4), the reflection angle r2 of the second reflected light corresponding thereto is 45 degrees (See 632 in Fig. 2 and 632 in Fig. 4). When the reflection angle r1 of the first reflected light is 1 degree (see 611 in Fig. 2 and 613 in Fig. 4) ) Is 89 degrees (see 631 in Fig. 2 and 633 in Fig. 4).

이러한 규칙을 만족하기 위해, 가령 도 4를 참조하면, 입사광(61)이 입사되는 제1반사표면 영역(B1)의 제1점(b11)의 기울기는 90도이고, 제2점(b12)의 기울기는 -45도가 되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가지고, a의 각도를 매우 작게 하기 위해, 제1반사 표면이 오목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oint b11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rea B1 on which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is 9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point b12 It is preferred that the profile has a slope of -45 degrees so that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has a concave profile in order to make the angle of a very small.

또한 1차 반사광(62)이 입사되는 상기 제2반사표면 영역(B2)의 제1점(b21)의 기울기가 -45도이고, 제2점(b22)의 기울기가 0도가 되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가지고, a의 각도를 매우 작게 하기 위해, 제2반사표면이 오목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file has a profile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oint b21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area B2 on which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is -45 degrees and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point b22 is zero degrees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has a concave profile in order to make the angle of a very small.

이러한 반사표면의 프로파일은 도 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가 연구한 결과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1반사표면을 오목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제1반사표면을 볼록하게 형성하면, 제1반사표면을 더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반사표면이 볼록한 프로파일을 가지면, 이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광원(30)의 입사광의 평행 정도가 다소 덜하더라도, 제2반사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더 균일하게 퍼져 면 발광 효과를 더 쉽게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rofile of such a reflective surface may be set on the same principle in the case of FIG. As a result of research conducted by the inventors, wh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convexly formed as shown in FIGS. 1 and 2 as compared with the concave first reflective surfac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is made more compact . In addition, wh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has a convex profil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more uniformly spread even though the degree of parallelism of the incident light of the light source 30 is somewhat smaller than that of the concave profile. It is confirmed that it can be easier.

한편, 제1반사표면(14)이 볼록하거나 오목하지 않고 평평한 평면을 이루더라도,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면 발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명의 면 발광은 반드시 발광 면(20)에 수직하도록 빛이 조사되어야 구현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반사표면(14)이 평면이라 하더라도 면 발광을 구현하기 위한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성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forms a flat plane without being convex or concave, it is possible to realize plane light emission as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rface light emission of the illumination is not always realized by irradiating light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14 constitutes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for realizing surface light emission There is no problem with it.

위와 같은 반사각도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제1반사표면과 제2반사표면의 프로파일을 설정하면, 반사식으로 면 광원화 하면서도, 도광판이나 확산판과 같은 광학부재 없이, 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평행광 형태로 면 광원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며 상기 반사부재(10)의 경사 각(a)을 작게 형성하면, 조명장치를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고, cot a의 비율로 발광 면적을 확대하여 면 발광 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By setting the profil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so as to have such a reflection ang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lective light source in the form of a planar light source without any optical member such as a light guide plate or a diffusion plate, It is possible to make a surface light source. If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reflective member 10 is set to be small and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illumination device can be made slim and the light emitting area can be enlarged at the ratio of cot a, Do.

조명장치에서 상기 광원(30)과 반사부재(10)는 후술할 하우징(80)에 설치되어 상호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며 조립되거나, 광학부재(50)에 설치되어 상호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반사부재(10)에 광원(30)이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In the lighting apparatus, the light source 30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may be mounted on a housing 80 to be described later, fixed relative to each other, or assembled to the optical member 50, and their relative positions may be fixed.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3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reflecting member 10.

광원(30)은 기판(32)에 실장된 발광부(31)인 LED에서 조사된 빛이 직접 상기 반사부재(10)에 입사되기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34)이나 렌즈(35)와 같은 집광부(33)를 통해 어느 정도 평행광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반사부재(1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1)의 방향은 (b)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1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거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발광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반사부재(10)를 등지고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판(34)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에 마련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에 모두 마련될 수 있고, 렌즈(35)는 기판에 일체로 패키징 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that is the light emitting unit 31 mounted on the substrate 32 is directly incident on the reflector 34 or the lens 35 to form a parallel light to some extent and to be incident on the reflecting member 10. [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3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eflecting member 10 as shown in (b) or (c), or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urface emitting surface as shown in (a) ,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may be arranged back-to-back. The reflector 34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5 (a)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5 (b), and the lens 35 may be integrally packaged on the substrate .

집광되어 어느 정도 평행하게 된 광은 광원의 출사면(36)을 통해 출사되어 반사부재(10)에 입사하게 된다.The light that has been condensed and becomes somewhat parallel is emitted through the exit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and incident on the reflecting member 10.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 발광 구현 원리가 적용된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1의 (a)나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부재(101, 103), 즉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구조를 적용한 조명장치가 예시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lighting apparatus to which the principle of surface emitting light e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lluminating device apply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1, 103, that is, the reflecting profile surface 13 as shown in FIG. 1A or FIG. 3A .

상기 광원(30)과 반사부재(10)는 하우징(80)에 설치되며 그 위치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30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80 and their positions can be mutually fixed.

상기 하우징(80)은 상기 광원(30)이 설치되는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반사부재(10)가 설치되는 반사부재 설치면(8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 설치면(82)의 이면에 마련되는 대략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은, 상기 광원(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이 설치되는 수용부(84)가 될 수 있다.The housing 80 includes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on which the light source 30 is mounted and a reflecting member mounting surface 82 on which the reflecting member 10 is mounted. The space having a substantially right triangular-shaped cross sec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mounting surface 82 may be a receiving portion 84 in which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30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80)은 대략 L의 너비와 w의 깊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The housing 80 may defin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having a width of approximately L and a depth of w.

하나의 평평한 반사면은 입사광에 대해 반사각만큼 광의 입사 각도를 틀어줄 뿐 집광의 효과가 없다. 또한 볼록 거울과 같은 반사면은 입사광을 분산시켜 주지만 이는 평행광 형태가 아니므로 면 발광에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도광판 등의 광학부재를 이용한 면 발광 방식은 밀한 매질과 소한 매질 사이를 빛이 투과하면서 많은 부분이 반사되거나 소실되는 정도가 클 수 있고, 제조 비용과 조명의 무게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A single flat reflective surface changes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light by a reflection angle, and does not have a condensing effect. Reflective surfaces such as convex mirrors disperse incident light but are not suitable for surface emission because they are not parallel light types. In the surface emission type using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ight guide plate, a large amount of light may be reflected or lost while light is transmitted between the dense medium and the light medium,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weight of the light are increased.

그러나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cot a = L/w 만큼 광원의 발광 면적이 확대되는 구조가, 단순히 측방으로 조사되는 광원(10) 측면에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10)를 a의 각도로 비스듬히 부착 설치하는 것으로 완성된다.However, in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light source is enlarged by cot a = L / w is formed by attaching a film-shaped reflecting member 10 at a side of the light source 10, It is completed by installation.

또한 직각삼각형 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은 하우징(80)의 수용부(84)로 활용 가능하고, 이 부분에 제어부(40) 등의 각종 전장품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고 슬림한 면 발광 조명장치 설계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right triangular portion can be used as the receiving portion 84 of the housing 80, and various electric parts such as the control unit 40 can be installed at this portion, a compact and slim side- Device design is possible.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의 발광 면(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광원과 반사부재를 덮는 커버(85)가 더 설치되어, 반사부재의 표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85 for covering the light source and the reflec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of the illumination device,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상기 커버(85)는 단순히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간 유리와 같이 빛을 분산시켜주는 형태, 또는 확산판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확산판과 같은 구조의 커버(85)는 면 발광의 품질을 더 높여줄 수 있다. 물론 이미 반사부재에 의해 면 발광화된 상태이므로, 상기 커버(85)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ver 85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 light dispersing material such as a glass plate, or a diffusion plate material. The cover 85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diffusion plate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surface emission. Of course, since the surface is already illuminated by the reflecting member, the cover 85 can be omitt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 발광 구현 원리가 적용된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lighting apparatus to which the principle of surface emitting light e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더하여, 반사부재(10) 전면과 커버(85) 사이에 액체와 같은 유체 매질(70)을 채워 광학적 구조를 구현하였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an optical structure is implemented by filling a fluid medium 70 such as a liqui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ive member 10 and the cover 85. [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80)에 반사부재(10)를 설치한 후, 반사부재(10)의 전방 공간에 유체 매질(70)을 채워 넣으며, 상기 유체 매질(70)이 누설되지 않도록 커버(85)로 밀봉하게 된다. 그러면 유체 매질(36)은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의 패턴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여 채워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fter the reflection member 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80, the fluid space 70 is filled in the front space of the reflection member 10, and the fluid medium 70 is prevented from leaking The cover 85 is sealed. The fluid medium 36 then penetrates into and fill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상기 광원(30)은 상기 유체 매질(70)이 채워진 공간과 관계 없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30 may be interchangeab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pace filled with the fluid medium 70.

제2실시예에 따르면, 광원(30)의 빛은 유체 매질(70)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부재(10)의 제1반사표면(14)의 표면에 도달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30 passes through the fluid medium 70 and reaches th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of the reflective member 10.

제1반사표면(14)의 표면에 도달한 입사광은 반사되어 상기 유체 매질(70)을 통하여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이웃하는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으로 반사되며, 상기 유체 매질(70)을 통과하여 발광 면(20)을 통해 조명 광으로 출사된다.Incident light reaching th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reflected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djacent to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hrough the fluid medium 70.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is reflected by the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passes through the fluid medium 70, and is emitted as illumination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반사부재(10) 표면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광원(30)에서 약간 오차를 가지고 조사된 입사광도, 유체 매질(70) 또는 커버(85)의 발광 면(20)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반사부재(10)에 입사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도 12 참조). 무엇보다도 이러한 구조는, 도광판과 같은 고가의 광학부재 없이도 도광판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좋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10 from being contaminated. The incident light irradiated with a slight error in the light source 30 is also totally reflected by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of the fluid medium 70 or the cover 85 and is incident on the reflecting member 10 Reference). Above all, such a structure is more preferable in that it can hav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light guide plate without expensive optical members such as a light guide plate.

커버(85)와 유체 매질(70)의 경계에서 반사와 굴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유체 매질의 밀도는 서로 비슷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비슷한 밀도를 가지도록 각 매질의 재질을 채택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reflections and refraction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ver 85 and the fluid medium 70,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ity of the cover and the fluid medium are set to be similar to each other. That is, the material of each medium can be adopted so as to have similar densities.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 발광 구현 원리가 적용된 조명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도 1의 (b)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부재(102, 104), 즉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구조를 적용한 조명장치가 예시된다.10 to 12, a third embodiment of a lighting apparatus to which the principle of plane e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lluminating device 102 or 104 as shown in FIG. 1 (b) or FIG. 3 (b), that is, the illuminating device apply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flection occurs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ng profile surface 13 .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재(10)와 광원(30)이 마주하는 공간에 광학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광학부재에 광원 설치부(81)와, 반사부재 설치면(82)과 발광 면(20)이 모두 구비된다는 점에서 하우징(80)에 광원(30)과 반사부재(10)를 설치한 구조와 차이가 있다. 상기 광학부재(50)는 아크릴과 같이 광투과율이 좋은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광원(30)의 출사면(36)과 조명장치의 발광 면(20)이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길다란 직각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An optical member 50 is provided in a space in which the reflecting member 10 and the light source 30 face each other and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reflecting member mounting surface 82 are provided on the optical member, The light source 30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80 in that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re both provided. The optical member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light transmittance such as acrylic. And the emitting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and the emitting surface 20 of the illuminating devic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structure having a vertically long triang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광학부재(50)와 반사부재(10)의 접합 부위는 광학부재와 비슷한 밀도를 가지며 투과성이 좋은 광학 점착제(OCR/OCA)(90)를 개재하여 접합할 수 있다.The junction between the optical member 50 and the reflective member 10 can be bonded via an optical adhesive (OCR / OCA) 90 having a similar density to that of the optical member and having good permeability.

아울러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재(10)의 반사면이, 반사부재(10)의 표면이 아니라 반사부재(10)의 이면에서 일어남에 차이가 있다. 즉 제3실시예의 반사부재(10)를 구성하는 필름에서, 반사면은 제1면, 즉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이 된다. 광원(30)에서 출사된 빛은 광학부재(50), 광학 점착제(90) 및 의 필름부재(11)를 통과하여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 이면의 제1반사표면(14)에 도달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is formed not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but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10. In other words, in the film constituting the reflecting member 1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reflecting surface is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that is, the reflecting profile surface 13.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passes through the optical member 50, the optical adhesive 90 and the film member 11 and reaches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of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반사부재는 표면에 반사면 프로파일이 성형된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므로, 필름의 외부에서 직접 반사면 프로파일에 광이 조사될 경우는 물론, 필름의 이면 쪽에서 필름의 합성수지 부분을 통과하여 반사면 프로파일의 이면에 광이 조사되더라도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Since aluminum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film having the reflective surface profil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directly to the reflection surface profile from the outside of the film,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synthetic resin portion of the film, Reflection may occur even if light is irradi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rofile.

제1반사표면(14)의 이면에 도달한 입사광은 반사되어 상기 필름부재(11)의 합성수지 부분을 통하여 상기 제2반사표면(15)의 이면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의 이면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으로 반사되며, 상기 필름부재의 합성수지 부분, 광학 점착제(90) 및 광학부재(50)를 지나 상기 발광 면(20)을 통해 조명장치의 외부로 조사된다.The incident light reaching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reflected and is incide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hrough the synthetic resin portion of the film member 11.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is reflected by the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and passes through the synthetic resin portion of the film member, the optical adhesive 90 and the optical member 50, (20). ≪ / RTI >

필름부재와 광학 점착제의 경계, 그리고 광학 점착제와 광학부재의 경계 사이에서 반사와 굴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필름부재와 광학 점착제와 광학부재의 밀도는 서로 비슷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비슷한 밀도를 가지도록 각 매질의 재질을 채택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ities of the film member, the optical adhesive and the optical member are set to be close to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reflection and refraction between the boundary between the film member and the optical adhesive and between the optical adhesive and the optical member. That is, the material of each medium can be adopted so as to have similar densities.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부재(50)에 의해, 상기 광원(30)과 상기 반사부재(1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서 예시한 구성인 하우징(80)의 구성을 생략하거나, 이와 다른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light source 30 and the reflecting member 10 can be fixed by the optical member 50,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80, which is the structure exemplifi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mit it or to produce it in a different form.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광학부재(50)를 더 설치할 경우, 반사부재(10)의 반사표면이 되는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0)에서 약간 오차를 가지고 조사된 입사광도, 광학부재(50) 또는 커버(85)의 발광 면(20)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반사부재(10)에 입사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When the optical member 50 is further provided as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which is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 10, from being contaminated. 12, the incident light irradiated with a slight error in the light source 30 is totally reflected by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of the optical member 50 or the cover 85 and is incident on the reflecting member 10 .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는 소정 각도(a)가, 작은 예각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소정 각도는 0도일 수도 있다. 즉 반사부재(10)와 발광 면(20)이 평행한 경우라 하더라도, 광원(30)에서 조사되는 광이 태양광처럼 완전한 평행광이 아니고 확산하는 광이므로, 광원(30)에서 출사된 광은 결국 모두 반사부재(10)를 통해 반사되어 발광 면(20)을 통해 조명 광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third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ngle a is a small acute angle, but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0 degree. That is, even if the reflecting member 10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is not entirely parallel light like solar light but diffused, All of which can be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ng member 10 and used as illuminating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

즉 본 발명에서 광원(30)이 평행한 광을 출사한다는 것은, 직사광선과 같은 평행광을 의미한다기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0)으로부터 직접 발광 면(20)에 먼저 도달하는 광이 전반사되어 반사부재(10)로 되돌아갈 수 있을 정도, 즉 전반사 임계각 이상의 각으로 퍼지는 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 source 30 emits parallel light, it means parallel light such as direct sunlight, rather than light that reaches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directly from the light source 30, Is reflected back to the reflecting member 10, that is, the light spreads at an angl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제3실시예의 광학부재는 종래의 도광판과 달리 도광판 밑에 인쇄나 레이저 패터닝으로 패널 가공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질 자체는 종래의 도광판과 유사할 수 있지만, 가격 상승 요인이 되는 패널 가공을 전혀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the optical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does not undergo panel processing by printing or laser patterning under the light guide plate. Therefore, the material itself may b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panel processing which causes the price increase at all.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하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면 발광 구현 원리가 적용된 조명장치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도 1의 (b)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부재(102, 104), 즉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구조를 적용하되, 반사부재의 측면에서 광이 입사되어 반사부재를 구성하는 필름부재 자체가 도광 기능을 하는 조명장치가 예시된다.13 to 17, a fourth embodiment of a lighting apparatus to which the principle of plane e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fourth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reflection occurs at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members 102 and 104, that is,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as shown in FIG. 1 (b) or FIG. 3 There is exemplified a lighting apparatus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a side surface of a member and the film member itself constituting the reflecting member performs a light guiding function.

먼저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반사부재(10)는 필름부재(11)의 반사 프로파일면(13)에 반사층이 증착, 코팅 또는 도색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필름부재(11)는 2이상의 서로 다른 층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제조의 편리함은 물론, 서로 다른 재질의 층의 경계부에서 반사표면에 입사되는 빛의 굴절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발광 면(20)에서 발광하는 빛의 직진성을 더 높임으로써 휘도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Referring first to FIGS. 13 and 14, the reflective member 10 is fabricated in such a manner that a reflective layer is deposited, coated, or painted on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of the film member 11. The film member 11 may be made of two or more different layers. This is advantageous not only in manufacturing convenience but also in that the light is refracted at the boundary of th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and final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is further enhanced to further enhance the luminance I have.

필름부재(11)는 소정의 두께(약 0.5mm 정도)를 가지는 베이스필름층(17) 상에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성하는 반사패턴형성층(18)을 몰드 수지로 적층 성형하며 UV 경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은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필름부재(11)는 유연한 시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lm member 11 is formed by layering a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constituting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with a mold resin on a base film layer 17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bout 0.5 mm) . ≪ / RTI > The base film layer 17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Therefore, the film member 11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sheet.

상기 반사패턴형성층(18)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베이스필름층(17) 상에 성형한 후 UV 경화를 통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제1면에 반사패턴형성층(18)이 적층되어 마련되는 반사 프로파일면(13)에는 반사층이 코팅될 수 있다. 반사층(14, 15)은 반사 표면을 잘 형성하는 은이나 알루미늄 등을 증착하거나 반사잉크를 도포하여 코팅될 수 있다.The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may be formed by forming a soft synthetic resin on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n stacking the film by UV curing. A reflection layer may be coated on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where the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is lamina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17. The reflective layers 14 and 15 can be coated by depositing silver or aluminum or the like, which forms a reflective surface well, or by applying reflective ink.

베이스필름층(17)과 반사패턴형성층(18)은 서로 같거나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refractive index)(N1)이 반사패턴형성층(18)의 굴절율(N2) 이하가 되도록, 즉 N1 ≤ N2 가 되도록 각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each material can be selected so that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that is, N1? N2 have.

제4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표면의 이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는바, 만약 베이스필름층의 굴절율이 반사패턴형성층의 굴절율보다 더 크다면, 즉 N1 > N2이라면, 베이스필름층에서 반사패턴형성층으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임계각보다 더 커서 상기 반사패턴형성층에 입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이중반사면을 통해 빛을 발광 면(20)으로 반사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reflection occurs at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layer is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lective patterning layer, that is, N1 > N2,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pattern formation layer is larger than the critical angle and is not incident on the reflection pattern formation layer. Thus,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double reflection surface is reduced.

이와 같이 제작되는 필름부재(11)는 발광 면(20)에 대해 반사부재(10)가 이루는 소정의 각도(a)가 0도가 되더라도, 즉 필름부재(11)와 발광 면(20)이 평행하더라도 면 발광을 더 밝게 구현할 수 있다. 즉 앞서 실시예들에서 소정의 각도(a)를 2~3도 정도 둔 것은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는 빛의 각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베이스필름층과 반사패턴형성층 사이에서 굴절이 일어나고, 이러한 베이스필름층보다 반사패턴형성층의 굴절율이 더 큰 계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면, 계면에서의 굴절에 의해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는 빛의 각도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Even if the predetermined angle a formed by the reflecting member 10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becomes 0 degree, that is, even if the film member 11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Plane light emission can be implemented more brighter.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angle (a) is set to about 2 to 3 degrees in order to secure an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o some extent. If the refraction occurs at the interface whe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flective pattern forming lay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base film layer,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can be further secured by the refraction at the interface.

따라서 도 14와 같이 필름부재(11)의 제2면이 발광 면(20)을 이루고 필름부재(11)의 반사표면(14, 15)이 형성된 필름부재(11)의 제1면이 상기 제2면에 평행하며, 광원(30)이 이들 사이의 필름부재(11) 측면에서 제1면 및 제2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더라도, 굴절이 일어나므로, 마치 반사부재를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인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e first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in whic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constitutes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in which the reflective surfaces 14 and 15 of the film member 11 are formed, Even if the light source 30 irradiates ligh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t the side of the film member 11 therebetween, refraction occurs, so that the reflection member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similar to the inclination.

상기 광원(30)은 필름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얇은 광원일 수 있으며, 이는 LED로 구현 가능하다. 광원(30)은 완전히 평행한 광원이라기보다, 약간 확산되는 빛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들 중 필름부재(11)의 제2면에 먼저 다다르는 입사광(61)은 제2면에서 전반사되어 베이스필름층(17)과 반사패턴형성층(18)의 계면에 이르게 된다.The light source 30 may be a thin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lm member, which may be realized by an LED. The light source 30 irradiates slightly diffused light rather than a completely parallel light source. Incident light 61, which first reaches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is totally reflected on the second surface, 17 and the reflection pattern forming layer 18.

그리고 상기 계면에서, 입사광(61)은 도시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1반사표면(14)에 다다른다. 제1반사표면(14)에서 반사된 1차 반사광(62)은 다시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고,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63)은 발광 면(20)에 대해 직진성 높게 출사된다. 발광 면(20)에 대해 2차 반사광이 거의 수직으로 입사되면, 공기(제2면의 상부공간)와 필름부재의 제2면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필름부재(11) 내부로 되돌아가는 빛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휘도를 높이기 위해 빛의 굴절을 유도하여 빛의 직진성을 높이는 프리즘 시트(통상 프리즘 형상이 수직을 이루도록 2장이 적층됨)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휘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nd at the interface, the incident light 61 is refracted in the direction shown to reac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is again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5 and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5 is incident on the emitting surface 20 ) In a straight line. When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incident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light that is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upper space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and returns back to the inside of the film member 11 Can be minimized, and accordingly, the brightness can be greatly increas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rism sheet (usually two prisms are stacked so as to form a vertical prism shape) which induces refraction of light to enhance the straightness of light in order to increase brightness, do.

한편, 상기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N1)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굴절율(N2)의 차이는 0.69 이하, 즉 N2 - N1 = 0.69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층(17, 18)의 굴절율 차이(N2 - N1)가 0.69를 넘게 되면, 굴절이 크게 일어나 오히려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에서 이중 반사가 잘 일어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게 된다. 즉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는 입사광(61)의 굴절광이 지나치게 커진다. 아울러 두 층의 차이가 0.69를 넘게 되면, 두 매질의 계면에서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반사량이 급증하여 두 층의 계면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is preferably 0.69 or less, that is, N2 - N1 = 0.69. I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N2 - N1) of the two layers 17 and 18 exceeds 0.69, refraction will occur largely, but rather the range in which double reflections can occur i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 That is, the refracted light of the incident light 61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4 becomes excessively large. 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yers exceeds 0.69, the amount of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layers sharply decreases as the amount of reflection normally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media increases.

다음으로, 두 층(17, 18)의 굴절율 차이(N2 - N1)가 0.05보다 작으면, 두 층의 계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더라도 굴절의 각도가 확보되지 않아 도 14와 같이 제2면(20)과 제1면이 평행하고 광원(30)이 수평으로 빛을 비추는 경우 이중 반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Next, i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N2 - N1) between the two layers 17 and 18 is less than 0.05, even if the refraction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layers, the angle of refraction can not be secured, And the first surfac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light source 30 illuminates the light horizontally, double reflec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도 14에는 제1반사표면(14)이 평면으로 구성된 반사 프로파일면(13)이 제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반사표면(14)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제2반사표면(15)에 도달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취지가 면 발광을 구현하는 것임을 감안하면, 제1반사표면(14)이 평평하게 형성되더라도 이중 반사가 일어남에 큰 영향은 없다. 다만, 제1반사표면(14)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곡면을 가지는 경우보다, 제2반사표면(15)에서 반사된 2차 반사광(63)이 다소 확산되어 나가는 경향이 생기는데, 이는 아주 약간의 휘도 저하를 일으킬 뿐이다. 오히려, 제1반사표면(14)을 평평하게 구성하면 반사부재(10)의 제작이 더 용이하고, 제작 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Figure 14 shows a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in whic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plana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serves to reflec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to reach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Considering that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surface light emission, Even if the reflective surface 14 is formed flat, double reflections do not have a great influenc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is somewhat diffu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has a concave or convex curved surface, . Rather, i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made flat, the reflective member 10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5는 도 14와 대비하여, 앞서 설명한 연결부(16)가 서로 매칭되는 이중반사 패턴들(14, 15) 간에 형성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연결부(16)의 표면에도, 반사율이 높은 금속이 코팅될 수 있다. 연결부(16)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 등이 코팅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30)에서 조사된 입사광(61)이 연결부(16)에 다다르는 경우, 이는 다시 반사(금속 코팅이 있는 경우) 또는 전반사(금속 코팅이 없는 경우)되어 필름부재(11)의 제2면(20)에 다다르고, 다시 제2면에서 전반사되어 필름부재 하부의 반사 프로파일면으로 조사되어, 결국 이중 반사된다.Fig. 15 illustrates a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double reflection patterns 14 and 15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s 16 described abov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s compared with Fig. A metal having a high reflectance may also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 15, when the incident light 61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reaches the connection portion 16 even if the connection portion 16 is not coated with a metal or the like having a high reflectance, (In the absence of a metal coating), reaches the second surface 20 of the film member 11, is totally reflected again on the second surface, and is irradiated on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lm member, Reflection.

상기 연결부(16)는 이중반사 패턴의 분포를 조정하여 광분포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령 광원(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연결부(16)의 길이나 빈도를 줄임으로써, 광원에서 먼 곳이나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이중반사 량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nnection 16 can be used to adjust the distribution of the double reflective pattern to adjust the light distribution. By reducing the length or frequency of the connection part 16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30 is reduce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ouble reflection occurring at a place far from or near the light source can be minimized.

도 16에는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이 모두 오목한 구조의 필름부재(11)도 적용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제1반사표면(14)이 볼록한 면을 포함하고, 제2반사표면이 오목한 구조의 필름부재(11)도 적용할 수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16 illustrates that a film member 11 having a concave structure of both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is also applicable. In FIG. 17,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convex And the film member 11 having the concave structur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is also applicable.

제4실시예와 같이 필름부재 자체가 도광의 기능을 가지면, 면 발광 조명장치를 필름과 같이 얇게 할 수 있고, 면 발광하는 발광면 자체를 플렉시블하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조명의 활용 용도가 더욱 확장될 수 있다.If the film member itself has the function of light-guiding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urface-emitting illuminating device can be made thin as a film, and the light-emitting surface itself that is surface emitting can be flexibly deformed,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101, 102, 103, 104, 105: 반사부재(필름)
11: 필름부재
12: 부착면
13: 반사 프로파일면
14: 제1반사표면
15: 제2반사표면
16: 연결면
17: 베이스필름층
18: 반사패턴형상층
20: 발광 면
30: 광원
31: 발광부(LED)
32: 기판
33: 집광부
34: 반사판
35: 렌즈
36: 출사면
40: 제어부
50: 광학부재
61, 611, 612, 613: 입사광
62: 1차 반사광
63, 631, 632, 633: 2차 반사광
70: 유체매질
80: 하우징
81: 광원 설치부
82: 반사부재 설치면
84: 수용부
85: 커버
90: 광학 점착제
10, 101, 102, 103, 104, 105: reflection member (film)
11: Film member
12: Mounting surface
13: reflective profile face
14: first reflective surface
15: second reflective surface
16: connecting surface
17: base film layer
18: reflective patterned layer
20: light emitting surface
30: Light source
31: Light emitting portion (LED)
32: substrate
33: Collector
34: Reflector
35: Lens
36: exit surface
40:
50: optical member
61, 611, 612, 613: incident light
62: primary reflected light
63, 631, 632, 633: secondary reflected light
70: fluid medium
80: Housing
81: Light source installation part
82: Reflecting member mounting face
84:
85: cover
90: Optical adhesive

Claims (20)

면 발광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면 발광하는 발광 면(20)에 대해 0도 이상 45도 미만의 소정 각도(a)로 배열되는 반사부재(10); 및
상기 발광 면과 반사부재(10)의 반사 프로파일면(13) 사이에서 상기 반사부재(10)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30);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10)는: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비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는 필름부재(11); 및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에 교호로 구비되는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30)에서 출사된 입사광(61)은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제1반사표면(14)에서 상기 입사광(61)이 반사된 1차 반사광(62)은,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인접하며 상기 제1반사표면(14)보다 상기 광원(30)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에서 상기 1차 반사광(62)이 반사된 2차 반사광(63)은, 상기 입사광(61)과 교차하며 상기 발광 면(20)을 향해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1. An illuminating device for illuminating a surface, comprising:
The illumination device comprises:
A reflection member (1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of 0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at emits light; And
And a light source (30) for emitting light to the reflection member (10) between the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of the reflection member (10)
The reflective member 10 comprises:
A film member (11) having a first surface having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And a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lternat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ember,
The incident light 61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0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Wherein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reflected by the incident light 61 at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is adjacent to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is closer to the light source 30 tha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 Is incident on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Wherein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reflected by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crosses the incident light (61) and is emitted towar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Emitting luminescen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11)는 플렉시블한 광 투과성 재질로 제작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member (11) is made of a flexible light-transmitting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필름층(17)과,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표면 상에 적층되어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을 구성하는 반사패턴형상층(18)을 포함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m member 11 includes a base film layer 17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eflective pattern layer (18)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17) to form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에 금속이나 반사잉크가 도포되어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metal or reflective ink is applied to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to form a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청구항 1에 있어서,
교호로 배치되는 상기 제1반사표면(14)과 제2반사표면(15) 사이에는 연결면(1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surface (16)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and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alternately arra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표면(14)은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하거나 평평하거나 오목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반사표면(15)은 빛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목한 곡면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comprises a convex, flat or concave surface profile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comprises a profile of a concave curved surface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61)은 매질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매질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표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매질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hrough the medium towards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medium,
And the secondary reflected light (63) is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mediu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공기 또는 유체매질(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dium is an air or fluid medium (7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30)의 출사면(36)이, 상기 발광 면(20)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1단부와 발광 면에 멀게 위치하는 제2단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광원(30)이 고정되는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반사부재(10)가 상기 광원 설치부(81)에 설치된 광원(30)의 출사면(36)과 상기 발광 면(20)을 바라보도록 고정하는 반사부재 설치면(82)
을 구비하는 하우징(80)을 포함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The light source 30 is arranged such that the light exit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is disposed between a first end located close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nd a second end distant from the light emitting surface, A mounting portion 81,
The reflection member 10 includes an emission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provided in the light source attachment portion 81 and a reflection member installation surface 82 for fixing the emission surface 20 so as to face the light source 30,
And a housing (80) having a light emitting surfa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80)은,
상기 매질을 조명장치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투명한 재질 또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커버(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85)가 발광 면(2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ousing (80)
Further comprising a cover (85) that separates the medium from the exterior space of the illuminator and comprises a transparent material or a diffuser plate,
And the cover (85) forms a light emitting surface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과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裏面)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와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the film member 11,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film member 11,
And the second reflected light (63) is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film member (11) and the second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면 발광 조명장치는 광학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재(50)는:
광원(30)의 출사면(36)과 마주하여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원 설치부(81);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과 마주하는 반사부재 설치면(82); 및
상기 반사부재(10)에서 반사된 빛이 출사하는 상기 발광 면(20);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반사부재 설치면(82)이 서로 이웃하고,
상기 광원 설치부(81)와 상기 발광 면(20)이 서로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rface-emitting illumina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optical member (50)
The optical member (50) comprises: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on which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facing the emitting surface 36 of the light source 30;
A reflective member mounting surface (82)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from which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ember (10) is emitted,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reflecting member mounting surface 82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81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a light emit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측면을 통해 필름부재(11)에 입사되고, 상기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필름부재(11)를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film member 11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and is reflected by the film member 11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rofile surface 13 towar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film member 11,
And the second reflected light (63) is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61)은,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측면을 통해 상기 베이스필름층(17)에 입사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을 거쳐 상기 베이스필름층(17)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계면을 통해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에 입사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1반사표면(14)에 입사되고,
상기 1차 반사광(62)은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을 거쳐 상기 반사 프로파일면(13)의 이면 쪽으로 상기 제2반사표면(15)에 입사되며,
상기 2차 반사광(63)은 상기 필름부재(11)의 제2면을 거쳐 상기 발광 면(20)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cident light 61 is incident on the base film layer 17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is reflected by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lection pattern shape Is incident on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layer 18 and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14 toward the back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base film layer 17 ,
The primary reflected light 62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5 toward the back of the reflective profile surface 13 via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And the second reflected light (63) is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film member (11).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소정각도(a)는 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predetermined angle (a) is 0 degrees.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이 발광 면(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And the second surface is a light emitting surface (20).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발광 면(20)은 확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or 13 or 14,
Wherein the light emitting surface (20) comprises a diffusion pla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N1)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굴절율(N2)은
N1 ≤ N2
의 수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are
N1? N2
Lt; RTI ID = 0.0 > 1, < / RTI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N1)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굴절율(N2)은
N2 - N1 ≤ 0.69
의 수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are
N2 - N1? 0.69
Lt; RTI ID = 0.0 > 1, < / RTI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17)의 굴절율(N1)과 상기 반사패턴형상층(18)의 굴절율(N2)은
0.05 ≤ N2 - N1
의 수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발광 조명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base film layer 17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reflective pattern layer 18 are
0.05? N2 - N1
Lt; RTI ID = 0.0 > 1, < / RTI >




KR1020180033216A 2018-02-08 2018-03-22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KR101933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16A KR101933571B1 (en) 2018-03-22 2018-03-22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PCT/KR2018/014756 WO2019156321A1 (en) 2018-02-08 2018-11-28 Light-reflective-type profile surface for light diffusion and concentration, and surface-emitting lighting and light concentration apparatus using same
US16/968,162 US20210364149A1 (en) 2018-02-08 2018-11-28 Light-reflective-type profile surface for light diffusion and concentration, and surface-emitting lighting and light concentration apparatus using same
CN201880092237.3A CN111936784A (en) 2018-02-08 2018-11-28 Light-reflecting contoured surface for light diffusion and concentration and surface-emitting illumination and light-conden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16A KR101933571B1 (en) 2018-03-22 2018-03-22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42A Division KR20190111731A (en) 2018-12-21 2018-12-21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571B1 true KR101933571B1 (en) 2018-12-28

Family

ID=6500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16A KR101933571B1 (en) 2018-02-08 2018-03-22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55B1 (en) 2020-12-02 2021-07-13 (주) 룩서스 surface emitting LED ligh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3725A (en) 2006-11-08 2008-05-29 Sharp Corp Lighting apparatus
JP2012043772A (en) 2010-08-18 2012-03-01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3725A (en) 2006-11-08 2008-05-29 Sharp Corp Lighting apparatus
JP2012043772A (en) 2010-08-18 2012-03-01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55B1 (en) 2020-12-02 2021-07-13 (주) 룩서스 surface emitting LED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547B2 (en) Slim waveguid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96612B1 (en) Lighting apparatus
CN111509105B (en)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module and backlight module
JP2012504253A (en) Light guide device
US10754191B2 (en) Display light source module having encapsulated LEDs and reflective recess with reflective patterns
JP6339092B2 (en) Luminous arrangement using light guide
CN102893075A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56238U (en) Curved light guide illuminator
KR101933571B1 (en)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WO2013005151A1 (en) Lighting module
JP6418486B2 (en) Light guide plate and lighting device
KR20200101722A (en) Optical structures for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for lighting having the same
CN113050328B (en) Front module and display device
TWI666478B (en) A direct type backlight device
CN102859264A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90111731A (en)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KR20220111594A (en)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by Using Concentrating Device Without Light Guide Panel
JP3696095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20111595A (en) A Refractive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Without Light Guide Panel
KR20230023497A (en) A Reflection Type Surface Emitting Lighting by Using Concentrating Device Without Light Guide Panel
KR20240043195A (en) Light guide plate for backlight unit including internal micro-refl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20292A (en) Light mirro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KR20170020026A (en) Light mirro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KR20150108215A (en) Lighting member using side reflection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