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78B1 -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 Google Patents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78B1
KR101933378B1 KR1020180008981A KR20180008981A KR101933378B1 KR 101933378 B1 KR101933378 B1 KR 101933378B1 KR 1020180008981 A KR1020180008981 A KR 1020180008981A KR 20180008981 A KR20180008981 A KR 20180008981A KR 101933378 B1 KR101933378 B1 KR 10193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or belt
speed
fixed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자동화
Priority to KR102018000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belt shock absorber including a movable part moving for speed adjustment when colliding with an object moving along a conveyor belt, a fixing part fixing the movable part to one side, and an adjust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part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collides with the movable part. The movable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part to adjust the speed of the object while rotating when colliding with the object. The movable part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directly abutting against the object. The cushioning member includes a cushioning end part bent in the progressing direction of the object and can smoothly progress while adjusting the speed of the object. The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by the medium of a connecting member. The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object. The movable part is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and performs guiding about the moving path of the object.

Description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 "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부딪히면 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품과 가동부가 부딪힐 때 물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물품과 부딪히면 회전하며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동부는 물품과 직접 맞닿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물품의 진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완충단부를 포함하여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면서도 원만한 진행이 가능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완충부재는 연결부재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물품의 크기에 따라 완충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물품의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which comprises a movable part moving to adjust a speed of an impacted object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a fixing part fixing the movable part to one side,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unit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it hits the movable unit. The movable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unit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able unit hits the article, And the cushioning member includes a cushioning end portion b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rticle so that the speed of the cushioning member can be smoothly adjusted while the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via the connecting member The buffer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t various positions, And the movable part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so as to guide the conveyor belt about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컨베이어벨트(Conveyor Belt)란 활차에 의해 벨트를 순환시켜 벨트 위에 위치하는 물품을 운반하는 운반 장치를 지칭하는 말로, 주로 연속적인 운반이 요구되는 공장이나 택배 보관소, 백화점, 공항, 시공 현장 등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는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어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경로 뿐만이 아니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품을 운반하도록 경사진 컨베이어벨트도 존재한다.Conveyor Belt refers to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rticles placed on a belt by circulating the belt by pulleys. It is mainly used in factories, courier storage, department stores, airports, construction sites where continuous transportation is required . These conveyor belts have a very long history and are in various forms, and in some cases there are conveyor belts that are inclined to carry goods from high to low, as well as horizontal paths.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9932호(2012.02.17. 등록) "경사 컨베이어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19932 (Registered on Mar. 17, 2012) "Slope conveyor device"

상기 특허문헌에 도시된 발명은 경사진 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경사 컨베이어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The invention shown in the patent document discloses an inclined conveyor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loping area.

그러나 이러한 경사 컨베이어의 경우에는 벨트 위에 안착되어 움직이는 물품이 중력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이렇게 미끄러지게 되면 연속하는 두 물품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설사 두 물품이 충분히 멀리 배치되어 서로 충돌할 염려가 없다고 하더라도 경사가 끝나는 부분에서 빠른 속도로 미끄러지는 물품이 부딪혀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lant conveyo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moving article which is seated on the belt and slides in an oblique direction due to gravity may occur. If this slip occurs, two successive articles may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if there is no fear that they will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lippery article hit at the end of the slope may be impacted.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경사진 구역의 벨트(B) 위에 놓여 이동하는 물품(M)이 중력에 의해 빠르게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미끄러지는 속도는 물품(M1, M2)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연속한 두 개의 물품(M1, M2)이 충돌하게 된다. 혹은 같은 속도로 미끄러지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구역에서 충돌할 수도 있으며, 물품이 한 개뿐이거나 두 물품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넓더라도 수평 구역으로 진입하는 부분에서 강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This prior art can also be seen in FIG. 1, where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article M lying on the belt B in the sloping region quickly slides downward by gravity. At this time, the sliding speed may be different for each of the articles M1 and M2, thereby causing two successive articles M1 and M2 to collide with each other. Or slip at the same speed, it may collide in a horizontal zone in some cases, and even if there is only one item or the gap between the two items is wide enough, it may be subjected to a strong impact at the entry into the horizontal zone.

이렇게 큰 힘을 받게 되면 물품이 손상되어 상품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고, 혹은 물품의 파손에 의해 발생한 파편 등에 의해 컨베이어벨트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종래의 경사 컨베이어벨트는 그 경사나 길이에 있어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었고, 이는 곧 물품 이동경로의 설계에 있어 제한이 되는 문제가 되었다.If this force is applied, the product may be damaged and the value of the product may be lowered, or the conveyor belt may be damaged due to debris generated by the damage of the product. Due to such a problem, the conventional inclined conveyor belt has to be limited in terms of its inclination or length, which is a problem in desig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따라서 경사 구역에서 컨베이어벨트 상을 움직이는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여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된다.There is therefore a need to prevent damage to the article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article moving on the conveyor belt in the sloped are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여 물품이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capable of adjusting the speed of an article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impac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부를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물품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that can reduce the speed of an articl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vable portion including the adjus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which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speed of a movable part including elastic mea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부와 가동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함에 따라 물품마다 다른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which can flexibly cope with different sizes of articles as the adjuster and the movable section are combined at various positio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와 가동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함에 따라 물품마다 다른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capable of flexibly adapting to different sizes of articles as the fixed portion and the movable portion are combined at various positio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장치를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하여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움직이는 물품을 중심으로 안내함으로써 물품이 벨트로부터 떨어지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n article from falling off or colliding with a belt by guiding an article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hock absorber There i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것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부딪히면 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물품의 속도를 완화함으로써 물품 간 충돌을 방지하는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part moving to adjust a speed of an impacted article moving along a conveyor belt,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movable part to one side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articles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articl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완충장치가 물품과 가동부가 부딪힐 때 물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가동부가 물품과 충돌 후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서서히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djust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part so that the shock absorbing device can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able part hits the article, And can be moved slowly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after collision with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물품과 부딪히면 회전하며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rotate and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able part collides with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물품과 직접 맞닿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member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완충부재가 물품의 진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완충단부를 포함하여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면서도 원만한 진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includes a cushion end portion b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rticle so that the speed of the article can be adjusted while smoothly proceeding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와 조절부가 결합되는 부분이 가동부와 고정부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며, 상기 완충부재가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ion to which the movable portion and the adjuster are coupled, the movable portion being located forward of the conveying belt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buffer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완충부재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member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via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완충부재가 연결부재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물품의 크기에 따라 완충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ing member is combined at various positions with the connecting me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일측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이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며 완충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includes a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is formed in a slide groove shape so that the coupling member moves in a slide manner and is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ffer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조절부가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ing portion includes elastic means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movabl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조절부의 일측이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regulat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조절부의 타측이 가동부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물품의 크기에 따라 완충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adjuster is combined with the movable part at various position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이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며 완충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includes an engag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regulat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is formed in a slide groove shape so that the coupling member moves in a slide manner and is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ffer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물품의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part is guided around the moving path of the art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물품의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part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so as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about the movement pat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가동부가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part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여 물품이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rticle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impact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article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또한, 본 발명은 조절부를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물품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peed of the articl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vable portion including the adjus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peed of the moving part including the elastic means.

또한, 본 발명은 조절부와 가동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함에 따라 물품마다 다른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flexibly adapting to different sizes of articles as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moving portion are combined at various positions.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와 가동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함에 따라 물품마다 다른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xed portion and the movable portion are combined at various positions,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different sizes for each article.

또한, 본 발명은 완충장치를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하여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움직이는 물품을 중심으로 안내함으로써 물품이 벨트로부터 떨어지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rticle from falling off or colliding with the belt by guiding the article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shock absorb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사 구간의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와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와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conveyor belt of an inclined s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nd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position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nd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It follows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사 구간의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와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와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nd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position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nd a conveyor belt.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외측'은 컨베이어벨트(7)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뜻하며, '내측'은 컨베이어벨트(7)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뜻한다. 또한 '전측'은 컨베이어벨트(7) 상에서 물품(2)이 오는 방향을 뜻하며, '후측'은 물품(2)이 이동해 가는 방향을 뜻한다.As used herein, 'outer' refers to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nveyor belt 7 and 'inner' refers to the direction toward the conveyor belt 7. The 'fro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2 comes on the conveyor belt 7, and the 'rear'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ticle 2 moves.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3)는 컨베이어벨트(7)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35)와, 상기 고정부(35)에 가동적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가동부(31)와, 상기 가동부(31)의 이동을 조절하는 한 쌍의 조절부(37)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hock absorber 3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xed portions 35 coupled to one side of a conveyor belt 7, And a pair of regulating portions 37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31. As shown in FIG.

상기 각 고정부(35)는 컨베이어벨트(7)의 일측에 결합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3을 참고하면 고정몸체(355)와, 연결중심부재(351)와, 조절중심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3, each of the fixing portions 3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veyor belt 7 to provide a rigid supporting force. Referring to FIG. 3, the fixing body 355, 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1, 353).

상기 고정몸체(355)는 컨베이어벨트(7)의 일측과 직접 결합하는 구성으로, 도 3에는 컨베이어벨트(7)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355)는 연결중심부재(351)를 수용하기 위해 가운데 일정깊이 홈이 파인 형태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정중심부재(353)를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장치(3) 전체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ixed body 355 is direct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veyor belt 7, and 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ed body 355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or belt 7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this time, the fixed body 355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groove in the middle to accommodate 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1, and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outwardly to support the adjusting center member 353 can do.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shap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y shape capable of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to the entire shock absorber 3 is possible.

상기 연결중심부재(351)는 상기 고정몸체(355)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재(33)를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 구성이다. 이때 연결중심부재(351)의 위치에는 제한은 없으나, 연결부재(33)가 컨베이어벨트(7)와 충돌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355)의 외측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이를 중심으로 연결부재(33)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1 has a function of fixing a connecting member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fixing body 355 upward.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center member 351,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ember 33 is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fixing body 355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3 can rotate without colliding with the conveyor belt 7. [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3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the connecting member 33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ng member 33 can be easily rotated around the connecting member 33.

상기 조절중심부재(353)는 고정몸체(355)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후술할 조절부(37)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 봉 형상의 구성이다. 이때 조절중심부재(353)의 위치에는 제한은 없으나, 연결중심부재(351)보다 외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상에는 제한은 없으나, 적어도 조절부(37)와 결합되는 부분은 원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조절부(37)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adjusting centering member 353 is a bar-shaped member having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adjusting unit 3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side of the fixing body 355 upwar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center member 353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located outside 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1.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shape, bu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coupled with the adjusting portion 37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adjusting portion 37 can freely rotate.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동부(31)는 물품(2)과 직접 맞닿아 그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부재(32)와, 상기 완충부재(32)를 회전시키며 일측은 고정부(35)에 고정된 연결부재(33)와, 상기 완충부재(32)와 연결부재(33) 및 조절부(37)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4, 34')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movable part 31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32 which directly contacts the article 2 and adjusts the speed thereof, and a cushioning member 32 which rotates the cushioning member 32 and has one side fixed to the fixing part 35 And a coupling member 34 and 34 'for coupling the cushioning member 32 with the connecting member 33 and the adjusting portion 37. [

상기 완충부재(32)는 물품(2)의 속도를 조절하며 나아가 그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전후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구성으로, 완충몸체(321)와, 상기 완충몸체(32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수용수단(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32 has a cushioning body 321 and a cushioning member 321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ushioning body 321. The cushioning member 321 is form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2, Member receiving means 323.

상기 완충몸체(321)는 완충부재(32)를 이루는 주된 구성으로, 그 내측면은 물품(2)과 직접 접촉하게 되며, 외측면에는 결합부재수용수단(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말단에는 물품(2)의 이동방향은 안내하기 위해 물품(2)의 이동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완충단부(3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ing body 321 is a main constituent of the buffering member 32. Its inner surfac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rticle 2 and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23 is formed on its outer surface. At its distal e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rticle 2 may also include a cushioning end 3211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rticle 2 for guiding.

상기 완충단부(3211)는 상기 완충몸체(321)의 말단에서 물품의 이동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절곡되어 있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cushioning end 3211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rticle at the distal end of the cushioning body 321. The function of the cushioning end 3211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323)은 상기 완충몸체(321)의 외측에 결합되며, 완충부재(32) 전체와 결합부재(34, 34')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 형식의 홈으로 완충몸체(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길게 연장형성됨으로써 완충부재(32)에 결합부재(34, 34')를 결합시킬 때 슬라이드를 따라 전후로 위치를 조절해가며 다양한 지점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결합원리와 그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23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ing body 321 and includes a cushioning body 321 with a slide type groove for coupling the cushioning member 32 and the coupling members 34 and 34 ' As shown in Fig. When the coupling members 34 and 34 'are coupled to the buffer member 32 by being extended in the form of a slide groove,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s 34 and 34' can be adjusted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e, thereby being able to be coupled to various points. This coupling principle and its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연결부재(33)는 완충부재(32)와 고정부(35)를 매개하는 구성으로 고정부(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몸체(3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3 may include a connecting body 331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35 via a buffer member 32 and a fixing portion 35.

상기 연결몸체(331)는 막대 형태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일측은 연결중심부재(351)에 가동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결합부재(34)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결몸체(331)의 일측에는 연결중심부재(351)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부재수용공(3311)을 포함되며, 타측에는 결합부재(34)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공(3312)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on body 331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331 is mov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center member 35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34. For this purpose, a central body re-insertion hole 3311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center member 35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331, and a separate coupling hole 3312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34 is formed at the other side .

상기 중심부재수용공(3311)은 연결중심부재(351)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으로 연결부재(33)의 외측에 뚫려 있는데, 연결부재(33)가 연결중심부재(35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멍의 내경은 연결중심부재(351)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The center re-insertion hole 3311 is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33 with a hole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center member 351. The center member re-insertion hole 3311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center member 35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1, thereby inducing smooth rotation.

상기 결합부재(34, 34')는 상기 완충부재(32)와 연결부재(33)를 매개하거나, 혹은 완충부재(32)와 조절부(37)를 매개하는 구성으로, 아래에서는 완충부재(32)와의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재(34)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The coupling members 34 and 34 'are configured to mediate the cushioning member 32 and the coupling member 33 or mediate the cushioning member 32 and the control unit 37. Below the cushioning member 32 The coupling member 34 that mediates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3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결합부재(34)는 수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판(343)과, 상기 고정판(34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판(3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34 may include a support plate 343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nd a fixing plate 341 bent upward from the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41 and extending upward.

상기 받침판(343)은 결합부재(34) 전체를 연결몸체(33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연결몸체(331)와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342)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수용공(34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late 343 is configured to stably engage the entire engaging member 34 with the connecting body 331. The receiving plate 343 has an engaging receiving hole 342 into which a separate engaging means 342 for engaging with the connecting body 331 can be inserted, 3431 &lt; / RTI &gt;

상기 고정판(341)은 상기 받침판(343)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며 결합부재수용수단(32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결합부재수용수단(323)과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341)은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부재수용수단(323)의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데, 결합수단을 느슨하게 해제하여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원리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fixing plate 341 is bent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receiving plate 343 and extends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23. The fixing plate 341 has a separat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23, Can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fixing plate 341 is coupled to the slide groove of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23 through the coupling means, and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341 can be adjusted by loosely releasing the coupling means and moving it back and forth. The detailed principle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조절부(37)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34')는 연결부재(33)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34)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해 완충부재(32)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34 'for coupling with the regulating portion 37 is preferably located forward of the coupling member 34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33, Can rotate naturally.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37)는 일측은 가동부(31)에, 타측은 고정부(35)에 결합되어 가동부(31)의 이동을 제어하며 그 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탄성수단(371)과, 연결수단(373)과, 고정수단(375)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adjusting part 37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31 on one side and the fixed part 35 on the other sid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31 and adjust the speed of the movable part 31 Elastic means 371, connecting means 373, and fastening means 375. In this case,

상기 탄성수단(371)은 탄성력이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371)은 가동부(31)가 물품(2)과 충돌하여 완충부재(32)의 완충단부(3211)가 외측으로 회전하면 그 길이가 늘어나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외측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나아가 물품(2)이 빠져나간 뒤에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해 가동부(31)를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원리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elastic means 37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preferably a spring or the like. The elastic means 371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ushioning end portion 3211 of the cushioning member 32 when the movable portion 31 collides with the article 2 and generat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adjust the outer rotation speed And further has a function of restoring the movable portion 31 to the correct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fter the article 2 has escaped. A more detailed princi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연결수단(373)은 탄성수단(371)의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부재(34')의 받침판(34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가동부(31)과 조절부(37)를 연결시킨다.The connecting means 37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371 and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late 343 'of the coupling member 34'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hook shape. (37).

상기 고정수단(375)은 탄성수단(371)의 타측에 형성되며 조절중심부재(35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가동부(31)와 고정부(35)를 연결 시킨다.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동부(31)가 고정부(3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하여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형 고리는 조절중심부재(353)의 상측에 삽입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fixing means 37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ans 371 and is coupled to the adjusting center member 353 and connects the moving unit 31 and the fixing unit 35. The shape of the movable portion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portion 31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35. At this time, the circular ring is inse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justment central member 353 and rotatably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서술한 가동부(31), 고정부(35), 조절부(37)는 컨베이어벨트(7)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물품(2)의 이동방향을 중심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뒤에서 도 7을 참고하며 상세히 서술하겠다.The moving part 31, the fixing part 35 and the adjusting part 37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belt 7 to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rticle 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때 한 쌍의 완충부재(32)는 물품(2)이 다가오는 전측에서는 그 간격이 넓고, 물품(2)이 멀어지는 후측에서는 그 간격이 좁게 배치된다. 특히 전측에서 각 완충부재(32) 사이의 거리는 물품(2)의 너비보다 넓게 설정되고, 후측의 완충단부(3211) 사이의 거리는 물품(2)의 너비보다 좁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물품(2) 속도 저감 원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서술하겠다.At this time, the pair of buffer members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where the article 2 approaches, and narrow on the rear side when the article 2 moves away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shioning members 32 on the front side is se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rticle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ushioning end portions 3211 on the rear side is se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article 2. The speed reduction principle of the article (2) with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3)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겠다.Next,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3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5를 참고하면, 가동부(31)가 고정부(35)에 대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연결중심부재(353)를 중심으로 연결부재(33)가 외측으로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완충부재(32)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부(31)가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조절부(37)도 약간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탄성수단(371)의 길이가 약간 늘어나게 된다. 탄성수단(371)은 탄성력 있는 물질로 구성되므로 늘어나게 되면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데, 탄성복원력은 물품(2)의 충돌로 인해 완충단부(3211)가 외측으로 더욱 회전하려는 경향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물품(2)의 진행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동부(31)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물품(2)이 완충단부(3211)를 빠져 나가면 가동부(31)에 가해지던 물품(2)에 의한 힘이 사라지게 되고, 탄성수단(37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동부(31)가 다시 정위치로 돌아오게 된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ovable portion 3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35. That is, when the connecting member 33 rotates outward about the connecting center member 353, the buffer member 32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3 also rotates. When the movable part 31 rotates outwardly, the adjusting part 37 coupled to the movable part 31 rotates slightly, whereby the length of the elastic means 371 is slightly increased.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acts to resist the tendency of the cushioning end 3211 to rotate further outwar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article 2, so that the article 2 ) Can be reduced. And also has a function of guiding the movable part 31 so as not to rotate over a certain angle. When the article 2 exits the cushioning end portion 3211, the force of the article 2 applied to the movable portion 31 disappears, and the movable portion 31 is moved back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371 .

도 6을 참고하면, 결합부재(34')의 위치를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롤 확인할 수 있다. 즉, 조절부(37)와 완충부재(32)의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재(34')에 결합된 별도의 결합수단을 느슨하게 해제한 뒤, 결합부재(34')를 결합부재수용수단(323)의 슬라이드 홈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결합부재(34')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탄성수단(371)이 초기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로 가동부(31)가 이동하게 되어 가동부(31)의 초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7)를 따라 움직이는 물품(2)의 모양 및 크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그 크기에 따라 가동부(31)의 초기위치는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결합부재(34')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부(31)의 초기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물품(2)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그 조절과정이 슬라이드 홈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여 빠른 시간 안에 조절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는 비단 조절부(37)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4')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연결부재(33)에 결합된 결합부재(3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원리로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tate of the joining member 34 'can be confirm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joining member 34'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That is, after loosely releasing the separate engaging means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34 'that mediates the coupling between the regulating portion 37 and the cushioning member 32, the engaging member 34' ) Along the slide groov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Whe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34 'is thus adjusted, the movable unit 31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means 371 can maintain the initial length,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ovable unit 31 can be changed. The shape and size of the article 2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7 can vary widely,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31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thereof. Therefore, by chang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ovable portion 3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member 34 ',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various articles 2. In addition, since the adjustment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slide groove, it is very simple and quick, and the adjust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thereby saving time. This is not limited to the engaging member 34 'coupled to the non-regulating portion 37, and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engaging member 34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3 as well.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3)가 컨베이어벨트(7)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완충장치(3)는 컨베이어벨트(7)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벨트(7)의 중심선(J)을 기준으로, 양 완충장치(3)의 완충부재(32)가 이루는 각도는 각각 a로써 일정하다.Referring to FIG. 7, it is confirmed that the shock absorbe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7,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hock absorber 3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7. That i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J of the conveyor belt 7, the angle formed by the cushioning member 32 of both shock absorbers 3 is constant as a.

컨베이어벨트(7)는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길게 형성되며, 또한 복수 개의 컨베이어벨트(7)가 배치되는 현장에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물품(2)이 이동한다. 이렇게 긴 시간 동안 방향을 바꾸어가며 이동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물품(2)이 컨베이어벨트(7)의 외측으로 편향되어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물품(2)이 편향된 경로를 향해 계속 이동하면 컨베이어벨트(7) 밖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물품(2)이 파손되거나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다.The conveyor belt 7 is formed to be very long in some cases, and in the field where a plurality of conveyor belts 7 are arranged, the articles 2 move in various directions. When mov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case where the article 2 is unintentionally shift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belt 7 to move. If the article 2 is continuously moved toward the deflected path, it may fall off the conveyor belt 7. In this case, the article 2 may be broken or an accident may occur where people located in the vicinity are injur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부재(32)를 대칭으로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7) 위를 움직이는 물품(2)의 이동경로가 컨베이어벨트(7)의 중심선(J)을 벗어나더라도 완충장치(3)를 지나는 과정에서 중심선(J)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로 인해 물품(2)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컨베이어벨트(7) 위를 이탈하여 떨어지거나 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32 is symmetrically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so that even if the moving path of the article 2 moving on the conveyor belt 7 is out of the center line J of the conveyor belt 7, (J)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3). As a result, the article 2 can be stably moved,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conveyor belt 7 and being damaged.

또한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완충단부(3211)는 물품(2)의 진행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는바, 완충장치(3)를 지나는 물품(2)의 방향을 좀 더 용이하게 가이드하고, 나아가 완충부재(32) 사이에 껴서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7, the buffering end portion 3211 is b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rticle 2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article 2 passing through the buffering device 3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logging between the members 32.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구성 및 작동 원리를 바탕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3)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겠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3 for a conveyor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먼저 도 8을 참고하면, 컨베이어벨트(7)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위를 따라 물품(2)이 낙하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물품(2)은 컨베이어벨트(7) 상의 일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7)의 구동력을 바탕으로 천천히 이동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7)가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위를 지나는 물품(2)이 컨베이어벨트(7)의 구동력 외에, 중력의 영향을 받아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컨베이어벨트(7) 위를 한 번 미끄러지면 중력가속도에 의해 더욱 가속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미끄러지게 된다. 그런데 컨베이어벨트(7) 위에는 한 개의 물품(2) 만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복수 개의 물품(2)이 연속하여 배치되므로, 물품(2)이 빨라지게 되면 전후로 연속하게 배치된 다른 물품(2)과 충동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혹 물품(2) 간의 간격이 충분히 넓어 물품(2)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컨베이어벨트(7)의 경사가 끝나는 부분에서 수평한 컨베이어벨트(7)와 빠른 속도로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혹은 물품(2)이 중심선(J)에서 벗어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한 번 미끄러지면 아예 컨베이어벨트(7) 외측으로 낙하할 염려도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경사진 컨베이어벨트(7) 상을 움직이는 물품(2)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8, the conveyor belt 7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rticle 2 is falling along the upper side. The article 2 is usually slowly moved on the basis of the driving force of the conveyor belt 7 in a state of being stably stoo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or belt 7. 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conveyor belt 7 The article 2 passing over the article 2 slides and moves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in addition to the driving force of the conveyor belt 7. Once it slides over the conveyor belt 7, it is further accelerated by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slides at a very high speed. Since the plurality of articles 2 are continuously arranged on the conveyor belt 7 instead of only one article 2 being moved, when the article 2 is accelerated, There is a risk of breakage. Even if the gap between the articles 2 is sufficiently wide to prevent the articles 2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conveyor belt 7 can collide with the horizontal conveyor belt 7 at a high speed at the end of the inclination of the conveyor belt 7, . Or when the article 2 moves away from the center line J,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rticle 2 may fall off the conveyor belt 7 once it slips.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comprises a shock absorber 3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article 2 moving on the inclined conveyor belt 7.

이때는 완충부재(32)에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고 오직 탄성수단(371)의 외력만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완충부재(32)는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대칭으로 구비된 양 완충단부(3211) 사이의 거리는 물품의 너비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ffer member 32 and only the external force of the elastic means 371 is applied, so that the buffer member 32 is fixed in the fixed positio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symmetrically provided buffering end portions 3211 is preferably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rticle.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면, 컨베이어벨트(7) 위를 미끄러지는 물품(2)이 완충부재(32)와 접촉하여 속도가 저감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article 2 sliding on the conveyor belt 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ing member 32 to reduce the speed.

즉, 완충단부(3211) 사이의 거리는 물품(2)의 너비보다 작게 설정되므로, 완충장치(3)를 지나는 물품(2)은 그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고 완충부재(32)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완충부재(32)는 물품(2)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힘을 받게 되어 외측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완충부재(32)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조절부(37)도 같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탄성수단(371)의 길이가 다소 늘어나게 된다. 탄성수단(371)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탄성복원력이 작용해 다시 원래 길이로 돌아가려 하고, 이는 곧 완충부재(32)가 너무 빠른 속도로 외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힘이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32)는 탄성복원력의 영향으로 다소 천천히 외전하게 되고, 완충부재(32)에 접촉되어 있는 물품(2)의 속도 역시 줄어들게 된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ushioning end portions 3211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rticle 2, so that the article 2 passing through the cushioning device 3 can not pass therethrough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shioning member 32. In this case, the buffer member 32 receives for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article 2 and rotates outward. When the cushioning member 32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unit 37 coupled to the cushioning member 32 also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means 371.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means 371 is increased,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 return to the original length again, which is a force for preventing the buffer member 32 from abduction at a too high speed. Therefore, the buffer member 32 is slightly abducted slightly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speed of the article 2 in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32 is also reduced.

또한 물품(2)이 완충부재(32)를 거의 벗어나는 시점에서는 완충단부(3211)와 접하게 되는데, 완충단부(3211)는 컨베이어벨트(7)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도록 절곡연장되므로 물품(2)의 이동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한다.The cushioning end portion 3211 is bent and elongat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7 so that the cushioning end portion 3211 of the article 2 Guide the moving direction constantly.

나아가 완충부재(32)는 컨베이어벨트(7)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되어 있는바, 이를 지나는 물품(2)이 컨베이어벨트(7)의 중심선(J)에서 벗어나 있더라도 완충장치(3)를 통과하면 다시 중심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Furthermore, the buffer member 32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belt 7, and even if the article 2 passing therethrough passes the buffer device 3 even if it deviates from the center line J of the conveyor belt 7 And moves along the center again.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완충부재(32)에 의해 속도가 저감된 물품(2)이 완충단부(3211)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물품(2)의 속도는 이미 충분히 저감되어 있는바, 타 물품(2)과 충돌할 염려가 없어진다.Finally, referring to FIG. 10, it is confirmed that the article 2 whose speed is reduced by the cushioning member 32 completely disengages from the cushioning end 3211. At this time, since the speed of the article 2 is sufficiently reduc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other article 2.

또한 물품(2)이 빠져나간 완충부재(32)에는 더 이상 외력을 받지 않고, 오직 조절부(37)의 탄성수단(371)에 의한 탄성복원력만을 받게 된다. 따라서 외전된 완충부재(3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고, 다음 물품(2)을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The cushioning member 32 from which the article 2 has escaped is no longer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and only receives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means 371 of the adjustment portion 37. [ Therefore, the abducted cushioning member 32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is arranged to be able to receive the next article 2.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2: 물품
3: 완충장치
31: 가동부
32: 완충부재
321: 완충몸체
3211: 완충단부
323: 결합부재수용수단
33: 연결부재
331: 연결몸체
3311: 중심부재수용공
34: 결합부재
341: 고정판
343: 고정판
34': 결합부재
G: 결합수단
35: 고정부
351: 연결중심부재
353: 조절중심부재
355: 고정몸체
37: 조절부
371: 탄성수단
373: 연결수단
375: 고정수단
7: 컨베이어벨트
9: 작업대
97: 가이드부재
2: Goods
3: Shock absorber
31:
32: buffer member
321: Buffer body
3211: buffer end
323: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33: connecting member
331: Connecting body
3311: reheating center
34:
341: Fixing plate
343: Fixing plate
34 ': coupling member
G: Coupling Means
35:
351: connection center member
353: Adjusting center member
355: Fixing body
37:
371: Elastic means
373: Connection means
375: Fixing means
7: Conveyor belt
9: Workbench
97: guide member

Claims (16)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부딪히면 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품과 가동부가 부딪힐 때 물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물품과 부딪히면 회전하며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재와,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일측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은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며 완충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A moving part moving to adjust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when the moving object hits the conveyor belt, a fixing part fixing the moving part to one side,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part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ing part hits Comprising:
Wherein the movable part comprises a cushio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cushion member hits the article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ushioning member to the fixing unit, And a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The buffer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is formed in a slide groove type and the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moves in a slide form and is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ffer member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부딪히면 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품과 가동부가 부딪힐 때 물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물품과 부딪히면 회전하며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부재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탄성수단의 일측은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은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며 완충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A moving part moving to adjust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when the moving object hits the conveyor belt, a fixing part fixing the moving part to one side,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part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ing part hits Comprising:
Wherein the movable part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ile rotating when the product collides with the article,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adjusting unit,
The buffer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includes elastic means to regulate the speed of the article by regulating the speed of the moving portion,
Wherein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a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adjustment portion,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regulating portion,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is formed in a slide groove type, and the coupling member,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adjustment portion, is moved in a slide form and is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ffer member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과 부딪히면 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물품과 가동부가 부딪힐 때 물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물품과 부딪히면 회전하며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고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재와,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가동부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탄성수단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일측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이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보다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측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수용수단은 슬라이드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이 조절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일측이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이동하며 완충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A moving part moving to adjust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when the moving object hits the conveyor belt, a fixing part fixing the moving part to one side,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part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when the moving part hits Comprising:
Wherein the movable part comprises a cushio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o rotate when the cushion member hits the article and adjust the speed of the article, a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the cushioning member to the fixing unit, And an engaging membe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regulating portion,
The buffer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towar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includes elastic means to regulate the speed of the article by regulating the speed of the moving portion,
Wherein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a coupling member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adjustment portion,
The cushioning member includes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to which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to which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adjustment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regulating port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engaging membe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means may be formed in a slide groove shape and the coupling member in which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adjustment portion and the coupling member in which the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move in a slide manner and are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ffer member doing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물품의 진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완충단부를 포함하여 물품의 속도를 조절하면서도 원만한 진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a cushioning end portion bent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rticle so that the speed of the article can be adjusted while smoothly proceeding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물품의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part guides the movable part about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물품의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vable part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to guide the movable part about the movement path of the article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벨트용 완충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one of the movable parts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Shock absorbers for conveyor belts.
KR1020180008981A 2018-01-24 2018-01-24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KR101933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81A KR101933378B1 (en) 2018-01-24 2018-01-24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81A KR101933378B1 (en) 2018-01-24 2018-01-24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78B1 true KR101933378B1 (en) 2018-12-31

Family

ID=6495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81A KR101933378B1 (en) 2018-01-24 2018-01-24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3094A1 (en) * 2019-02-11 2020-08-12 WashZone s.r.o. A built-in pressure and fixing crate system designed for crate washing lines
CN113651037A (en) * 2021-07-30 2021-11-16 精准健合(惠州)生物技术有限公司 Bottled production line with bottle arranging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318A (en) 2000-06-28 2002-01-15 Shibuya Kogyo Co Ltd Converging device for art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318A (en) 2000-06-28 2002-01-15 Shibuya Kogyo Co Ltd Converging device for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3094A1 (en) * 2019-02-11 2020-08-12 WashZone s.r.o. A built-in pressure and fixing crate system designed for crate washing lines
CN113651037A (en) * 2021-07-30 2021-11-16 精准健合(惠州)生物技术有限公司 Bottled production line with bottle arrang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78B1 (en) Shock absorber for conveyor belts
US753710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pacing of conveyed objects
US4089404A (en) Tilting tray apparatus
AU655452B2 (en) Flowsplitting conveyor
US20200002097A1 (en) Extendible Fences for Extendible Conveyors
WO2017141862A1 (en) Conveyor apparatus
JP7069479B2 (en) Pallets for conveyor systems, conveyo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conveyor systems.
US3280962A (en) Guiding means for container handling conveyors
US10988325B2 (en) Brake device for a conveyor system
KR100756616B1 (en) Belt conveyor
US3036691A (en) Article conveyor
US6523671B2 (en) Conveyor escapement
JP2934755B2 (en) Pneumatic convey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weight bottle ramp and the reference road
JP6130213B2 (en) Bag-in-box input device
RU2318716C1 (en) Belt conveyer loading device
JP2934757B2 (en) Pneumatic convey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weight bottle ramp and the reference road
US20160159582A1 (en) Conveyor system for transporting items
JP2934756B2 (en) Pneumatic convey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weight bottle ramp and the reference road
PT881174E (en) TRANSPORTATION SUSPENSION FOR A SUSPENDED CONVEYOR DEVICE
JP2016183031A (en) belt conveyor
JP2957453B2 (en) Conveyance movement buffer
EP2807095B1 (en) A conveyor
KR102118360B1 (en) Conveyor device
JP6881085B2 (en) Input device
KR10192817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en ore of trippe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