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524B1 -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524B1
KR101932524B1 KR1020160096186A KR20160096186A KR101932524B1 KR 101932524 B1 KR101932524 B1 KR 101932524B1 KR 1020160096186 A KR1020160096186 A KR 1020160096186A KR 20160096186 A KR20160096186 A KR 20160096186A KR 101932524 B1 KR101932524 B1 KR 10193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driver
check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066A (ko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젠
Priority to KR102016009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52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132 priority patent/WO2018021611A2/ko
Priority to EP18189456.9A priority patent/EP3425115A1/en
Priority to EP16186626.4A priority patent/EP3276082A1/en
Publication of KR2018001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검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검문 영역, 제1 타이어 파손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 차량 인식부, 운전자 인식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인가되는 차량 인식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하거나 운전자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하면, 제1 타이어 파손부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이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CHEC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죄의 용의자나 음주 운전 차량 등을 적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검문소나 주요 정보 기관 등에서 차량을 검문하기 위해서는 차량 주행을 일시적으로 저지하는 차량 일시 정지 장치인 장애물(barricade)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찰이나 보안 요원등과 같은 검문자는 육안이나 별도의 검문 장비 등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와 운전자의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하지만, 검문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장애물은 정지하지 않고 주행하는 차량과 충돌할 경우 파손되어 안전하게 차량의 중지 동작을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검문자는 도주 차량에 대해서 적절한 대응을 신속하게 행하지 못하고, 또한 도주 차량을 저지하기 위한 검문자에 대한 인명 피해의 위험성이 높다.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사건 이후 폭발물을 장착한 차량에 의한 테러가 증가하고 있고, 테러의 양상 또한 특정국가를 대상으로 하거나 군부대, 경찰서 등 주요 관공서에만 국한되어 행해지지 않고 불특정 다수인을 겨냥한 무작위 테러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각 국에서는 테러 방지를 위해 검문 검색을 강화하고 있지만 대부분 검문자에 위해 수동으로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순식간에 발생하는 폭발 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이나 폭발 시 발생하는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 2006-0101153호(공개일자: 2006년 09월 22일, 발명의 명칭: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검문 검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검문 검색 중 발생하는 시설물 피해와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제1 검문 영역, 상기 제1 검문 영역의 퇴출부 바닥에 설치되어 검문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키는 제1 타이어 파손부, 상기 제1 타이어 파손부 다음에 위치하는 제1 차량 진입 방지부, 상기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차량 인식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인식부, 상기 검문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운전자 인식부, 상기 차량 인식부와 상기 운전자 인식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파손부 구동기, 그리고 상기 제1 차량 진입 방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1 진입 방지부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인가되는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운전자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제1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한다.
상기 차량 인식부는 상기 검문 차량과 통신하여 검문 차량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태그 판독기나 상기 검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해 번호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인식부에 의해 획득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는 운전자의 안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검문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제2 검문 영역,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차량을 하강시키는 차량 방호 유닛,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차량 방호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방호 유닛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시켜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검문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하부 영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차량 내부 영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험물 영상이 상이하고, 상기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에 의해 상기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차량을 하강시켰던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의 동작을 해제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위치한 3차원 엑스레이(x-ray) 스캐너나,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한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퇴출구 바닥에 설치되어 검문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키는 제2 타이어 파손부,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차량 진입 방지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파손부 구동기,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차량 진입 방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1 진입 방지부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싸고 있거나 상기 방호 공간 내로 하강시킨 상기 차량 위험 방지부의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제2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동작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상승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위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하부에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결과를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인가되는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차량 인식 정보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하면, 제1 파손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와 상이하면, 운전자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독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하면, 제1 파손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상기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하면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방호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영상과 동일한 하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내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에 폭발 성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하부 영상과 동일한 하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존재하고,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과 상기 위험물 영상과 상이하며,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에 상기 폭발 성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시켜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켰던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의 동작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싸고 있거나 상기 방호 공간 내로 하강시킨 상기 차량 위험 방지부의 동작이 해제되면, 제2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구동 스위치가 동작하면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동작시켜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상승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위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하부에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결과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므로, 폭발물이나 총기 등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주변 시설이나 인명 피해가 방지되거나 줄어든다.
또한,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위험 차량으로 판정되면,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여 해당차량의 도주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차량 방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방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 선을 따라 잘라 획득된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4의 절단선 V-V선을 따라 잘라 획득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차량 방호 유닛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차량 방호 유닛에서 구동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에서 차량 방호 유닛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에서 차량 보호 유닛이 동작되어 방호벽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예에 따른 차량 검문 시스템은 제1 검문부(1)과 제2 검문부(2) 및 제1 및 제2 검문부(1, 2)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30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검문부(1)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구조를 갖고 있는 검문 영역(10), 검문 영역(10)의 양 측부에 각각 제1 방향(Y)으로 배열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가이드부(110), 제1 검문 영역(10)의 퇴출부 부분, 즉 퇴출측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타이어 파손부(101) 및 제1 타이어 파손부(101) 다음에, 즉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게이트(30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검문 영역(10)의 양 측면부 바닥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설치대(111)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가이드부(110)는 해당 측면부에 위치한 해당 제1 설치대(111) 위에 각각 위치한다.
도 1의 경우, 좌측에 위치한 제1 측면부(111)와 우측에 위치한 제1 측면부(111)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가이드부(110)가 위치하고 있지만, 제1 가이드부(110)의 설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된다.
복수의 제1 가이드부(110)는 철 등과 같이 차량과 충돌하여도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검문 영역(10)의 양 측부에 형성 제1 가이드부(110) 사이로 차량이 진입하여 1차로 검문을 받게 된다.
제1 타이어 파손부(101)는 퇴출부 부분의 해당 위치에 제2 방향(X)으로 뻗어 있는 설치판(도시하지 않음)과 설치판에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철침(121)을 구비한다.
이때 설치판은 제1 검문 영역(10)의 바닥 하부에 매립되어 있고, 구동기의 동작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따라서, 설치판이 하강하게 되면 복수의 철침(121)은 바닥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도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설치판이 상승하게 되면 복수의 철침(121)은 바닥 외부로 돌출되므로, 복수의 철침(121) 위에 위치한 차량의 타이어는 도출된 복수의 철침(121)에 의해 구멍이 발생하게 되어 정상적인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제1 타이어 파손부(101)가 위치하고 있는 바닥 부분에는 복수의 철침(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설치판이 상승할 때, 대응하는 구멍을 통과해 해당 철침(121)이 노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는 해당 구동기의 동작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하강 시 해당 위치의 바닥 내부에 매립되고 상승 시에는 바닥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1)는 복수의 차량 진입 방지용 말뚝(bollard)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가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제1 검문 영역(10)에 위치한 차량은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제2 검문부(2) 역시 대략 사각형의 평면 구조를 갖고 있는 제2 검문 영역(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2 검문 영역(20)은 검문 차량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제1 방향(Y)으로 제1 검문 영역(10)과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제2 검문부(2)는 또한 제2 검문 영역(20)의 양 측부에 각각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제2 가이드부(210), 제2 검문 영역(20)의 퇴출부 부분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타이어 파손부(201) 및 제2 타이어 파손부(201) 앞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가이드부(210), 제2 타이어 파손부(20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는 제1 검문 영역(10)에 설치된 복수의 제1 가이드부(110), 제1 타이어 파손부(101) 및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와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서로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제2 검문 영역(20)의 양 측면부 바닥에도 역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2 설치대(211)가 위치하고 있어 복수의 제2 가이드부(210)는 해당 측면부에 위치한 해당 제2 설치대(211) 위에 각각 위치하며, 각 제2 설치대(211)에 설치된 제2 가이드부(210)의 설치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가감된다.
따라서, 제2 검문 영역(20)의 양 측부에 형성 제2 가이드부(110) 사이로 차량이 진입하여 2차로 검문을 받게 된다.
검문 차량의 검문 결과에 따라 제2 타이어 파손부(201)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의 퇴출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2 검문 영역(20)에는 차량 방호 유닛(200)이 위치하고 있다.
이때, 차량 방호 유닛(200)의 한 구성요소인 방호벽(230)은 제2 검문 영역의 네 부분(즉, 좌측부, 우측부,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설치되어 제2 검문 영역(20) 내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쌀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방호 유닛(200) 역시 해당 구동기의 동작에 따라 제2 검문 영역(20)의 바닥면에서 상승하여 제2 검문 영역(20)의 네 부분을 에워싸거나 바닥면 속으로 하강하여 제2 검문 영역(20)의 네 부분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 방호 유닛(2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차량 방호 유닛(200)은 골조부(210), 방호부(220), 구동부(240) 및 베이스부(260)를 포함하며 검문할 차량이 격리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골조부(210)는 바닥부재(211)와 기둥부재(213)를 포함하며, 바닥부재(211)와 기둥부재(213)는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공간(210a)을 형성한다. 골조부(210)는 제2 검문 영역(20)을 이루는 지면에 매설될 수 있다. 골조부(210)는 지면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바닥부재(211)는 세로 바와 가로 바를 포함하며, 세로 바와 가로 바가 서로 연결되어 골조바닥(212)을 형성한다. 위 설명과 도 3에서 바닥부재(211)를 세로 바와 가로 바로 설명하였으나 바닥부재(211)는 이미 정해진 넓이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213)는 골조바닥(212)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바닥부재(211)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웃한 기둥부재(213)는 연결바로 서로 연결되어 보강되어 있다. 기둥부재(213)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213a)이 형성되어 있다.
방호부(220)는 수평 프레임(221), 수직 프레임(222) 및 방호벽(230)을 포함하며 설치 공간(210a)에 배치되어 검문할 차량이 진입하면 상승하여 차량을 가두는 격리공간(220a)을 형성한다.
수평 프레임(221)은 가로바와 세로바를 포함하며,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연결되어 방호바닥(221a)을 형성한다. 수평 프레임(221)은 정해진 넓이를 갖는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호바닥(221a)은 골조바닥(212) 위에 배치되어 기둥부재(213)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은 기둥부재(213)와 마주하며,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에는 레일홈(213a)의 둘레와 접한 롤러(221b)가 결합되어 있다. 롤러(221b)는 방호바닥(221a) 승강 시 레일홈(213a) 둘레를 따라 구르면서 수평 프레임(221)이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롤러(221b)는 생략될 수 있다. 기둥부재(213)와 수평 프레임(221) 사이에는 엘엠 가이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수직 프레임(222)은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방호바닥(221a) 외곽을 따라 배열되어 방호바닥(221a)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22)은 방호바닥(221a)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기둥부재(213)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 프레임(222a)과 이웃한 메인 프레임(222a) 사이에 배치된 서브 프레임(222b)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222b)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웃한 서브 프레임(222b) 사이에는 배치공간(222c)이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222b)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222d)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방호벽(230)은 충격흡수패널(231), 비산방지패널(232) 및 덮개(233)를 포함하며 격리공간(220a)에서 검문 차량이 폭발할 경우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격흡수패널(231)은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 충격분산층(231c), 비산방지층(231d) 및 결합층(231e)을 포함하며 배치공간(222c) 마다 위치하여 양단이 끼움홈(222d)에 끼워져 있다.
제1 충격흡수층(231a) 및 제2 충격흡수층(231b)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1 충격흡수층(231a) 및 제2 충격흡수층(231b)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제1 충격흡수층(231a)은 격리공간(220a) 내부 둘레를 형성하며 제2 충격흡수층(231b)은 충격흡수패널(231) 외형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제2 충격흡수층(231b)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은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분산층(231c)은 정해진 크기를 갖는 블록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제2 충격흡수층(231b) 사이에 위치하며 정해진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충격분산층(231c)은 알루미나(Alumina)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늄의 산화물이며 실리카(silica)와 더불어 세라믹스의 가장 중요한 재료이다. 알루미나의 녹는점이 2,050℃이며 다이아몬드 다음가는 경도를 가졌고, 순수한 것은 절연체이다. 알루미나는 내열성, 내약품성, 강도 등 세라믹스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성질을 거의 만족시키며 값이 싸므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나 용도는 자동차의 스파크플러그, IC용 기판의 재료, 포장재료, 연마연삭재, 글라인더 등이다. 알루미나에 산화크롬을 조금 더한 단결정은 루비로서 장식용 외에 레이저(laser)의 모재로도 쓰인다.
알루미나의 소결체인 알루미나 세라믹스는 공업적으로 제조ㆍ이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나를 고온 처리해 파이버상으로 만든 알루미나 섬유는 내화물이나 복합재료 강화섬유로서 기대가 크다.
알루미나의 순수한 것 중에는 루비, 사파이어, 코런덤 등이 있으며 경도는 다이아몬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낸다.
충격분산층(231c)은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로 제1 충격흡수층(231a)에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되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비산방지층(231d)은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와 제2 충격흡수층(231b)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에 위치하며 비산방지층(231d)은 결합층(231e)을 통해 제1 충격흡수층(231a), 충격분산층(231c) 및 제2 충격흡수층(231b)과 결합되어 있다.
비산방지층(231d)은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강도, 강인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강력ㅇ고탄성률을 갖고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불에 타거나 녹지 않으며, 500℃가 넘어야 비로소 검게 탄화(炭化)될 수 있다. 아라미드는 힘을 가해도 늘어나지 않아 가장 좋은 플라스틱 보강재(補强材)로 사용된다.
비산방지층(231d)은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충격분산층(231c)을 탄성 보강하며 제1 충격흡수층(231a), 제2 충격흡수층(231b), 충격분산층(231c)이 폭발물 폭발로 파손 시 그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층(231e)은 비산방지층(231d) 양측에 배치되어 비산방지층(231d)을 제1 충격흡수층(231a)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 제2 충격흡수층(231b)과 충격분산층(231c) 사이에 접착하는 동시에 폭발물 폭발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결합층(231e)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연질 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좋고 내노화성,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패널(231)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에 의한 충격(압력)을 견디며 폭발물의 파편이 격리공간(220a)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비산방지패널(232)은 비산방지층(232a) 및 결합층(232b)을 포함하며 롤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흡수패널(231)과 수직 프레임(222) 외측을 감싼다.
비산방지층(232a)은 복수 층으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결합층(232b)은 이웃한 비산방지층(232a)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비산방지층(232a)을 서로 결합한다.
비산방지패널(232)은 방호벽(230) 외형을 형성하고 격리공간(220a)에서 폭발물 폭발 시 충격흡수패널(231)이 손상될 경우 충격흡수패널(231)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층(232b)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비산방지패널(232)은 생략될 수 있다.
덮개(233)는 충격흡수패널(231)과 비산방지패널(232)은 상면을 감싸 덮는다. 덮개(233)는 충격흡수패널(231)과 비산방지패널(232) 사이로 빗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덮개(233)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구동부(240)는 리드 볼 스크류(241), 방호유닛 구동기(예, 모터)(243) 및 지지바(244)를 포함하며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치되어 방호부(220)를 승강시킨다.
리드 볼 스크류(241)는 볼 스크류(241a)와 볼 너트(241b)를 포함한다.
볼 스크류(241a)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메인 프레임(222a)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볼 스크류(241a) 하단은 골조바닥(212)에 배치된 받침대(250)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볼 너트(241b)는 볼 스크류(241a)와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222a)과 연결되어 있다. 볼 너트(241b)는 볼 스크류(241a) 회전 방향에 따라 볼 스크류(241a)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모터(243)는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력연결부(242)를 통해 볼 스크류(241a)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동력연결부(242)는 동력 샤프트, 감속기,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43)의 구동에 따라 볼 스크류(241a)는 정, 역회전할 수 있다. 모터(243)는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바(244)는 볼 스크류(241a)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받침대(250)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과 연결된 부싱(244a)을 관통한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 브래킷을 통해 볼 스크류(241a)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바(244)는 메인 프레임(222a) 내부에서 회전하는 볼 스크류(241a)을 지지하여 볼 스크류(241a)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지지바(244)와 부싱(244a)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방호부(220)가 하강한 상태에서 볼 스크류(241a)가 정 회전하면 방호부(220)는 상승할 수 있다. 상승된 방호부(220)는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차량 주변을 에워싸는 격리공간(220a)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 구동부를 모터, 리드 볼 스크류로 설명하였으나, 구동부는 전동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의 구조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베이스부(260)는 방호부(220)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부재(262) 및 베이스패널(261)을 포함하고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을 지지한다.
지지부재(262)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골조바닥(212) 상면에 배열되어 있다. 지지부재(262)는 수평 프레임(221)의 가로바 및 세로바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패널(261)은 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지지부재(262)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패널(261)의 상면은 지면과 동면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패널(261)은 검문을 위해 진입한 차량을 지지한다. 차량이 베이스패널(261) 위로 진입하면 구동부(240)의 작동으로 방호부(220)가 상승하며 방호벽(230)은 차량 주변을 에워싸 격리공간(220a)을 형성한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하면, 차량 도주 방지부(310)는 제2 검문 영역(20)의 해당 차량 정지 위치에 위치한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에 위치하는 부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roller)로 이루어 있다.
초기 상태일 때, 차량 도주 방지부(310)는 자신의 롤링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력으로 인해 비회전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구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전자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해제되면, 차량 도주 방지부(31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해당 검문 차량의 바퀴에 구동력이 인가되어도 바퀴는 헛바퀴를 돌게 되어 정상적인 주행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게이트(30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1 검문 영역(10)과 제2 검문 영역(20)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fram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게이트(300)에는 차량의 내부 영상과 차량의 하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부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호벽(310)에 의해 에워싸여지는 영역 내에는 제2 검문 영역 내에 위치한 차량, 제2 타이어 파손부(20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가 위치한다.
다음, 도 9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차량 검문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장치(이하,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장치를 '구동 장치'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함은 당연하다.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구동 장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인식부(31),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인식하기 위한 운전자 인식부(32), 차량이 설정 지점을 통과해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 차량이 설정 지점을 통과해 제2 검문 영역(20)에서 퇴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 내의 설정 지점인 차량 정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35), 차량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 차량 하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 차량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신 통신부(39) 및 이들 장치(31-39)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장치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50), 제어부(40)와 제1 타이어 파손부(10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파손부 구동기(611), 제어부(40)와 제2 타이어 파손부(201)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파손부 구동기(612), 제어부(40)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진입 방지부구동기(621), 제어부(40)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진입 방지부구동기(622),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신호등(631-633), 제어부(40)와 차량 도주 방지부(310)에 연결되어 있는 도주 방지부 구동기(64), 제어부(40)와 방호벽(250)에 연결되어 있는 방호유닛 구동기(243), 제어부(40)와 로봇암(320)에 연결되어 있는 로봇암 구동기(66), 그리고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는 경고부(67)를 구비하다.
차량 인식부(31)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제1 검문 영역(10)으로 진입한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차량에 부여된 식별 번호와 번호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다.
차량에 부여된 식별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차량 인식부(31)는 차량과 무선 통신하여 해당 차량에 부착된 태그(tag)로부터 해당 차량에 부여된 식별번호(즉, 차량 식별번호)를 전송하는 전자 태그 방식,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며 태그 판독기(예, RFID 판독기)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해, 차량 인식부(31)는 카메라(camera)와 같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후 촬영된 번호판 영상을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차량 인식부(31)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식별 번호와 번호판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데이터와의 비교 동작을 통해 제1 검문 영역(10)에 진입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운전자 인식부(32)는 제1 검문 영역(10) 내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얼굴 영상(즉, 운전자 얼굴 영상), 운전자의 지문 및 운전자의 홍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후 획득된 데이터인 운전자 생체 정보 즉, 운전자 얼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40)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입력된 운전자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검문 시스템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운전자인지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 인식부(32)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나 지문이나 홍채와 같이 인간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인식기와 홍채 인식기와 같은 생체 정보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인식부(31)와 운전자 인식부(32)는 제1 설치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와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는 해당 차량이 설정된 위치를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는 차량이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넘어서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는 제2 검문 영역(20)에서 2차 검문을 마친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을 완전히 빠져나갔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의 설치 위치는 제1 검문부(1)과 제2 검문부(2)와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는 제2 타이어 파손부(201)의 앞쪽, 즉 차량의 직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2 타이어 파손(201)를 넘어선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3)는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포토 센서(photo sensor)나 루프 센서(loop sen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제1 검문 영역(10)을 완전히 빠져나가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상태로 판정되면 하강 상태의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초기 위치인 상승 위치로 위치시킨다.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35)는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이 설정 위치, 즉, 방호벽을 상승시키기 위한 위치인 방호벽 상승 위치에 위치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35)는 제2 차량 진이 방지부(203) 뒤쪽,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의 앞바퀴가 위치하는 차량 도주 방지부(310)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역시 포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35)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이 방호벽 상승 위치에 위치하면 방호유닛 구동기(243)로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방호벽(250)이 설정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는 차량 검문 시스템으로 진입한 차량의 내부 영상(즉,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3차원 스캐너(3D scanner)인 3차원 엑스레이(x-ray) 스캐너나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는 3차원 스캐너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게이트(300)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고,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검문 영역(20)의 제2 설치대(211)에 위한 로봇암(3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로부터 차량 내부 영상이 획득되어 제어부(40)로 출력되면, 제어부(40)는 데이터베이스(5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과 획득된 차량 내부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폭탄이나 총기와 같은 위험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예와 달리,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가 게이트(300)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게이트(300)는 생략 가능하다.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는 차량의 하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원 스캐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의 제1 검문 영역(10)과 제2 검문 영역(20) 사이의 바닥, 예를 들어, 게이트(300) 아래에 위치하여, 게이트(300)를 통과하는 해당 차량의 하부 영상을 획득해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는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전자코 센서(electronic nose sens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는 로봇암(320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하부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의 차량 하부 영상(즉, 기준 차량 하부 영상)과 비교하여, 게이트(300)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부에 폭발물 등과 같은 별도의 물체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통신부(39)는 구동 장치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제어부(40)는 구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로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31-3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상태를 판정해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와 신호 또는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41)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저장부(41)는 제어부(40)와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어부(40) 외부에 제어부(40)와 연결되게 장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차량 검문 시스템에 의해 검문 동작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이다.
본 예의 경우, 데이터베이스(50)는 별도의 등록 동작을 통해 차량 검문 시스템에 등록된 차량의 식별번호와 번호판 영상, 각 차량의 하부면에 대한 영상(즉, 하부 영상),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 등록된 운전자의 안면 영상 등과 같은 등록된 운전자 생체 정보, 그리고 정해진 종류의 총기와 폭발물의 영상인 위험물 영상을 저장하고 있다.
제1 및 제2 파손부 구동기(611, 612)는 각각 제1 및 제2 타이어 파손부(101, 201)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4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정해져 해당 타이어 파손부(101, 20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이들 제1 및 제2 파손부 구동기(611, 612)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cylinder)나 모터(motor)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621, 622) 역시 제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4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정해져 해당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 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이들 제1 및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621, 622)는 역시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cylinder)나 모터(motor)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내지 제3 신호등(631-633)은 각각 적색 발광 다이오드(LED),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색상이 달라진다.
즉, 제1 신호등(621)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에 부착되어 있고, 제2 신호등(622)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3 신호등(623)은 게이트(30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신호등(621)과 제3 신호등(623)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점등 상태가 변하고, 제2 신호등(622)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점등 상태가 변한다.
본 예의 경우, 해당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가 최고 위치에 위치하면 적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며, 해당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가 최저 위치에 위치하면 녹색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고, 해당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가 최고 위치에서 최저 위치로 이동 중인 경우 또는 반대로 최저 위치에서 최고 위치로 이동 중인 경우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된다.
이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의 점등되는 이들 신호등(631-633)의 점등 상태를 확인한 후, 차량의 주행 또는 중지를 정하게 된다.
도주 방지부 구동기(64)는 차량 도주 방지부(310)이 회전 동작의 가능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도주 방지부 구동기(64)가 동작되면 차량 도주 방지부(310)의 회전 동작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차량 도주 방지부(31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2 검문 영역(20) 내에 위치한 차량이 정상 상태가 아닌 위험 요소를 갖고 있는 비정상 차량으로 판정되면 차량의 바퀴와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차량 도주 방지부(310)를 회전시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도주 방지부 구동기(64)는 차량 도주 방지부(310)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전자 브레이크로서 제어부(40)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호유닛 구동기(243)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방호벽(250)을 상승시키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로봇암 구동기(66)는 로봇암(320)을 정해진 이동 경로로 움직여 제2 검문 영역(20) 내에 위치한 차량의 내부로 로봇암(320로 진입시켜 로봇암(320)에 위치한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와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가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분석하여, 공기 중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되고,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영상을 획득해, 차량 내부에 총이나 폭탄, 숨어있는 탑승객이 존재하는지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고부(67)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하여 주변에 경고를 보낸다.
이러한 경고부(67)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주변 사람들이 검문 차량의 위험을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구동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구동 장치의 각 구동요소로 구동 전원이 인가되고 이로 인해 구동 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따라서, 구동 장치의 제어부(40)의 동작 역시 시작된다(S10).
이때, 제1 및 제2 타이어 파손부(101, 201)와 제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의 초기 상태는 정해진 최고 높이만큼 상승된 상승 상태로서, 노면 외부로 복수의 철침(121)이 노출되어 있고 차랑 진입 방지부(103, 203) 역시 정해진 최고 높이만큼 상승하고 있는 상승 상태가 된다.
이들과 연동하는 제1 내지 제3 신호등(631-633)의 점등 상태 역시 적색 발광 다이오드부가 점등된 상태가 된다.
또한, 차량 도주 방지부(310)의 초기 상태는 비회전 상태이고, 방호벽(250)의 초기 상태는 정해진 최저 높이만큼 하강한 하강 상태이다.
제어부(40)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40)는 먼저 설정 시간마다 차량 인식부(31)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인식 신호를 판독하여(S11), 검문 차량이 제1 검문 영역(10)의 지정된 위치까지 진입하여 검문 차량에 부여된 식별 번호와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인 번호판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었는지 판단한다(S12).
이때, 차량의 식별 번호와 번호판 영상은 차량 인식 정보라 하고, 제1 검문영역(10)의 지정된 위치는 해당 검문 차량에 대한 차량 인식 정보가 획득되는 위치이므로, 차량 인식부(31)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변경된다.
제1 검문 영역(10)에 검문 차량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1 검문 영역(10)의 지정된 위치까지 검문 차량이 진입하지 못한 경우이면, 차량 인식부(31)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해당 검문 차량의 식별 번호나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인식부(31)로부터 차량 인식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위에 기재한 것처럼 제1 검문 영역(10)의 지정된 위치에 검문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설정 시간마다 단계(S11)로 넘어가 차량 인식부(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게 된다.
하지만, 해당 검문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번호판 영상과 차량의 식별 번호 중 하나인 차량 인식 정보가 획득되면(S12), 제어부(40)는 획득된 차량 인식 정보를 저장부(41)에 저장한 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번호와 획득된 식별 번호를 비교하고, 차량의 번호판의 영상이 획득된 경우,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판의 영상과 획득된 번호판의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인식부(31)에 의해 인식된 검문 차량이 이미 본 예의 차량 검문 시스템에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정한다(S13).
한 예로, 번호판 영상의 비교 동작은 행렬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번호판 영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화소의 화소값(예, 계조값)을 비교해 획득된 검문 차량에 대한 번호판 영상과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이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처럼 검문 차량의 식별 번호와 번호판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등록된 차량에 대한 식별번호와 번호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게 되면, 제1 검문 영역(10)으로 진입한 검문 차량은 이미 등록된 차량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해당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차량 인식 정보를 얻기 위해, 본 예의 경우, 주기적으로 차량 인식부(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지만, 이와는 달리, 대안적인 예의 경우, 제1 검문 영역(10)의 지정된 위치에 장착된 차량 통과 감지부와 차량 정지 감지부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차량 통과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제1 검문 영역(10)으로 진입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1 검문 영역(10)의 지정 위치에 설치된 차량 정지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제1 검문 영역(10)의 해당 위치에 정지한 상태인지 판단한다.
검문 차량이 제1 검문 영역(10)의 해당 위치에 정차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40)는 차량 인식부(31)를 동작시켜 차량 인식부(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해 차량 인식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차량 통과 감지부와 차량 정지 감지부 역시 포토 센서나 루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단계(S13)로 넘어가, 검문 차량의 식별 번호나 번호판 영상이 등록된 차량에 대한 식별번호나 번호판 영상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해당 검문 차량이 본 예의 차량 검문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차량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운전자 인식부(32)를 구동시켜 운전자 인식부(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한 후(S14), 운전자의 생체 정보, 즉 운전자의 안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저장부(41)에 저장한다(S15).
이처럼, 안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검문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40)는 획득된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
획득된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운전자는 이미 차량 검문 시스템에 등록된 운전자로 판정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안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과 같은 복수의 생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획득된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처럼, 검문 차량의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로 판정되면(S16),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제1 파손부 구동기(611)와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621)를 해당 상태로 제어하여, 현재 상승 상태로서 노면 외부로 도출되어 있는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하강시켜 최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S17).
이때, 제어부(40)는 이들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연동하여 점등 상태가 변하는 제1 및 제2 신호등(631, 632)의 점등 상태 역시 제어한다(S17).
따라서, 제어부(40)는 제1 및 제2 신호등(631, 632)의 동작을 제어하여, 초기 상태인 적색 발광 다이오드부의 점등 상태에서 청색 발광 다이오드부를 점등시킨 후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가 최저 높이인 하강 위치에 도달하여 하강 상태가 되면 녹색 발광 다이오드부를 점등시킨다.
이러한 제어부(4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가 하강 상태가 되어 노면에 도출된 철침(121)과 차량 진입 방지부(103)가 완전히 노면 아래로 위치하게 되고, 제1 및 제2 신호등(631, 632)의 점등 상태가 적색에서 청색으로 다시 청색에서 녹색으로 변하게 되면, 검문 차량은 운전자에 의해 제1 검문 영역(10)에서 제2 검문 영역(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제어부(40)가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하강 상태로 제어할 때, 제어부(40)는 게이트(300)와 게이트(300)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와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를 구동시킨다.
이때,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가 게이트(300)에 장착되지 않고 제2 검문 영역(20)에 설치된 로봇암(32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0)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를 현 단계에서는 구동시키지 않는다.
다음, 제어부(40)는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하강 상태로 제어한 후, 제어부(40)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60)와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에서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과 하부 영상을 획득한 후 저장부(41)에 저장한다(S18, S19).
다음, 제어부(40)는 획득된 내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과 비교하여 획득된 내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상이 위험물 영상과 동일한지 판단한다(S20).
획득된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의 일부가 위험물 영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40)는 검문 차량 내부에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위험물 영상에 대응하는 총이나 폭탄이 실장되어 있는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내부 상태를 비정상 상태, 예를 들어, 검문 차량 내부에 총이나 폭탄과 같은 위험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한다(S21).
하지만, 획득된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이 상이하면,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내부에 위험물이 존재하지 않는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한다(S22).
다음, 제어부(40)는 획득된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하부 영상과 비교하여 획득된 하부 영상과 동일한 하부 영상이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3).
획득된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하부 상태를 비정상 상태, 예를 들어, 해당 검문 차량의 하부에 폭발물 등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데이터베이스(50)에 존재하지 않으면, 검문 차량의 하부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한다(S24).
하지만,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하부 영상 중에서 획득된 하부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존재하면, 제어부(40)는 검문 차량의 하부에 추가적으로 어떤 물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인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한다(S25).
이와 같이, 제어부(40)는 획득된 내부 영상과 하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영상과 비교하여, 차량 내부의 상태와 하부 상태를 판정한다.
이때, 영상의 비교 동작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화소의 계조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하강 상태로 제어한 후, 제어부(40)는 제1 차량 통과 감지부(33)에서 인가되는 제1 차량 통과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26),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했는지 판단한다(S27).
제1 차량 통과 감지 신호에 의해 해당 검문 차량이 설치 위치를 통과해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상태로 판단되면(S27), 제어부(40)는 제1 파손부 구동기(611)와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621)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를 설정된 최고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신호등(631, 632)의 점등 상태를 제어한다(S28).
이로 인해, 제1 검문 영역(10)에서 해당 검문 차량이 완전히 빠져나간 상태가 되면 제1 타이어 파손부(101)와 제1 차량 진입 방지부(103)는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제1 검문 영역(10) 내로 진입하는 다른 검문 차량에 대한 1차 검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신호등(631, 632)의 점등 상태 또한 녹색 점등 상태에서 청색 점등 상태를 거친 후 상승 상태를 표시하여 제2 진입 영역(20)으로의 진입 불가를 나타내는 적색 점등 상태로 바뀌게 된다.
다음, 제어부(40)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3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제2 검문 영역(20)으로 진입한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의 해당 위치, 즉 차량 정지 위치에 위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9, S30).
제1 검문 영역(10)을 통과한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S30), 제어부(40)는 도주 방지부 구동기(64)와 방호유닛 구동기9243)로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31).
이로 인해, 차량 도주 방지부(40)에 인가되는 제동력이 해제되어 검문 차량의 바퀴가 회전할 때 바퀴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도주 방지부(310)가 회전되며, 현재 최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방호벽(250)이 최고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러한 제어부(40)의 제어로 인해, 도 4와 같이 제2 검문 영역(20)에 위치한 검문 차량은 방호벽(250)으로 에워싸여지게 되므로, 해당 검문 차량에 실장되어 있는 폭발물이 터지거나 검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한 총기 공격 등으로부터 주변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검문 차량이 도주를 위해 앞바퀴나 뒷바퀴를 회전시키더라도 자유 상태의 롤러인 차량 도주 방지부(310)가 회전하게 되므로, 해당 검문 차량은 제자리에서 헛바퀴만 돌게 되어 검문 차량의 도주 위험을 차단한다.
이처럼, 차량 도주 방지부(310)와 보호벽(250)이 동작된 상태이면, 제어부(40)는 로봇암 구동기(66)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로봇암(320)이 정해진 경로로 이동하여 방호벽(250)으로 에워싸여진 검문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S32).
이때,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가 로봇암(32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0)는 로봇암 구동기(66)을 동작시키고 또한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를 동작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40)는 차량 내부 안에 위치하는 로봇암(320)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 내부상태 감지부(38)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내부 상태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차량 내부에 폭발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3, S34).
이미 설명한 것처럼, 차량 내부상태 감지부(38)는 전자코 센서로서 대기의 성분을 판정하여 대기 중에 폭발을 유발하는 성분의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40)는 차량 내부상태 감지부(38)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한다(S35).
이때,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이 로봇암(320)에 장착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판독하여 차량의 내부 영상을 획득한 후 저장부(41)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단계(S20 내지 S25)의 동작과 동일하게 검출된 내부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위험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41)에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36),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37) 및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38)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이들에 대한 판정 결과를 저장부(41)로부터 읽어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서 해당 검문 차량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 즉, 차량 내부에 위험물이 존재하거나 차량의 하부 영상에 어떤 물체가 부착되어 있거나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감지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36).
판단 결과, 검문 차량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S36), 제어부(40)는 경고부(67)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고부(67)를 동작시킨다(S37). 이러한 경고부(67)의 동작에 의해 경고음이 외부로 출력되어 해당 검문 차량의 위험성을 주변에 알려 신속한 대피 동작과 검문자에 의한 육안 조사 등과 같은 대응 조치가 현장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신부(39)를 이용하여 구동 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통제 시스템, 관리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과 같은 외부 단말로 검문 차량의 비정상 상태를 전송해(S38), 관리자에 의한 비상 시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검문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S36), 제어부(40)는 현재 최고 높이로 상승하고 있는 방호벽(250)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방호유닛 구동기(243)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39).
이로 인해, 제2 검문 영역(20)을 에워싸고 있던 방호벽(250)은 하강하여 노면 아래의 최저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 제2 검문 영역(20)에서 2차 검문까지 마친 정상 상태의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어부(40)는 제2 타이어 파손부(201)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해, 현재 노면 위로 도출되어 있는 제2 타이어 파손부(201)의 철침과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를 노면 밑으로 해당 위치까지 하강시킨다(S40).
이때, 제어부(40)는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에 부착되어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연동하는 제3 신호등(633)의 점등 상태를 제어한다(S40).
따라서, 제3 신호등(633)은 초기 적색 점등 상태에서 청색 점등 상태를 거쳐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가 최저 위치까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녹색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타이어 파손부(201)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하강 동작에 의해 검문 차량이 제2 타이어 파손부(201)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방해 없이 제2 검문 영역(20)을 빠져나갈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40)는 제동력이 해제된 차량 도주 방지부(310)의 상태를 초기 상태, 즉 제동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도주 방지부 구동기(64)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41).
이로 인해, 차량 도주 방지부(310)에 전자 브레이크가 작용하여 검문 차량의 바퀴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검문 차량의 구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검문 차량을 운전해 제2 검문 영역(20)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40)는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제2 검문 영역(20)을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인지 판단한다(S42, S43).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의 신호 상태를 이용하여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을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로 판단되면(S43), 제어부(40)는 제2 파손부 구동기(612)와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622)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하강 상태인 제2 타이어 파손부(201)와 제2 차량 진입 방지부(203)의 상태를 초기 상태인 상승 위치로 이동시킨다(S44).
하지만,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의 감지 신호에 의해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에서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0)는 계속해서 제2 차량 통과 감지부(34)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20)을 완전히 빠져 나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3).
본 예에서, 제1 및 제2 파손부 구동기(611, 621)와 제1 및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621, 622), 방호유닛 구동기(243) 및 로봇암 구동기(6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40)는 각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해당 구동기(611, 621, 621, 622, 243, 66)로 인가하거나 또는 각 제어 대상인 제1 및 제2 타이어 파손부(101, 201), 제1 및 제2 차량 진입 방지부(103, 203), 방호벽(25) 및 로봇암(320)가 설정 위치에 위치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예, 광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2 검출 영역(20)의 노면이나 노면에 매립되게 GPS 모듈과 같이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도 2 참조)가 위치하고, 이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제2 검출 영역(20)에 위치한 차량의 하부쪽으로 상승해 차량의 하부에 부착된 후 동작하여 해당 검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해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구동 장치는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동작되는 구동 스위치와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을 자신이 위쪽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하부 쪽으로 상승시켜 차량 하부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시키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구비한다. 이때,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에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가 연결되어, 위치 정보 획득부의 구동 동작에 따라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는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이때,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00)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검문 영역(10, 20)에서 각각 행해진 1차 및 2차 검문 동작이 모두 정상이더라고 해당 검문 차량의 상태가 의심적이므로 담당자나 관리자는 구동 스위치를 동작(즉, 온)시킨다.
구동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가 구동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면, 제어부(40)는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330)를 해당 검문 차량 쪽으로 상승시켜, 해당 검문 차량의 하부에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부착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안적인 예에서, 차량 검문 시스템은 노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제2 검문 영역(20)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싸는 차량 방호 유닛(200), 검문 차량을 지면 속으로 하강시켜 검문 차량을 방호하는 차량 방호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차량 방호 유닛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구성요소의 대부분 구비한다. 다만 본 예의 차량 방호 유닛은 도 2 내지 도 7의 방호 바닥(221a) 및 지지부재(262)는 생략되며 구동부(240)의 리드 볼 스크류(241)는 베이스패널(261)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240) 구동으로 베이스패널(261)은 승강할 수 있다.
차량이 베이스패널(261)에 진입하면 구동부(240)의 구동으로 차량 방호 유닛(200) 매설을 위해 지면에 형성되는 지하공간으로 베이스패널(261)이 하강할 수 있다(도 8 참조). 지하공간 둘레에 의해 격리공간(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지하공간 둘레에 방호벽(230)이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대안적인 예에서, 방호벽(2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차량 검문 시스템의 제어부(40)는 주기적으로 또는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각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결과(즉, 운전자의 정보, 차량의 정보, 검문 중 획득된 영상 등)를 통신부(39)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1: 차량 인식부 32: 운전자 인식부
33: 제1 차량 통과 감지부 34: 제2 차량 통과 감지부
35: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 36: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
37: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 38: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
40: 제어부 50: 데이터베이스
611: 제1 파손부 구동기 612: 제2 파손부 구동기
621: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 622: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
631-633: 신호등 46: 도주 방지부 구동기
243: 방호유닛 구동기 66: 로봇암 구동기
101: 제1 타이어 파손부 201: 제2 타이어 파손부
103: 제1 차량 진입 방지부 203: 제2 차량 진입 방지부
200: 차량 방호 유닛 230: 방호벽
40: 차량 도주 방지부 320: 로봇암

Claims (15)

  1. 제1 검문 영역,
    상기 제1 검문 영역의 퇴출부 바닥에 설치되어 검문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키는 제1 타이어 파손부,
    상기 제1 타이어 파손부 다음에 위치하는 제1 차량 진입 방지부,
    상기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차량 인식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인식부,
    상기 검문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운전자 인식부,
    상기 차량 인식부와 상기 운전자 인식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타이어 파손부 구동기,
    상기 제1 차량 진입 방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
    상기 검문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제2 검문 영역,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차량을 하강시키는 차량 방호 유닛,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 위치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차량 방호 유닛과 연결되어 있는 방호 유닛 구동기,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전자코 센서(electronic nose sensor)로 이루어져 있고, 차량의 내부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내부 공기 중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어 인가되는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운전자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제1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며,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을 상승시켜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키는
    차량 검문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인식부는 상기 검문 차량과 통신하여 검문 차량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태그 판독기나 상기 검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해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장치인 차량 검문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운전자 인식부에 의해 획득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는 운전자의 안면 영상, 지문 영상 및 홍채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 검문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하부 영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차량 내부 영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험물 영상과 상이하고, 상기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에 의해 상기 차량 내부에 폭발 성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차량을 하강시켰던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의 동작을 해제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차량 검문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1 검문 영역과 상기 제2 검문 영역 사이에 위치한 3차원 엑스레이(x-ray) 스캐너나,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한 열화상 카메라인 차량 검문 시스템.
  7. 제5항에서,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퇴출구 바닥에 설치되어 검문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키는 제2 타이어 파손부,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차량 진입 방지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파손부 구동기,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차량 진입 방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싸고 있거나 상기 지하 공간 내로 하강시킨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제2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
  8. 제1항에서,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동작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상승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위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하부에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부착시키는
    차량 검문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결과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
  10.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어 인가되는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차량 인식 정보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와 동일하면, 제1 파손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 인식 정보와 상이하면, 운전자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판독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동일하면, 제1 타이어 파손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1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제1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이 상기 제1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차량 정지위치 진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검문 차량이 제2 검문 영역의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전자코 센서(electronic nose sensor)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에서 차량의 내부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내부 공기 중에 폭발 성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의 상기 차량 정지위치에 위치하면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방호 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이 상승하여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서,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검문 차량의 하부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영상과 동일한 하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내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물 영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부 상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에 폭발 성분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하부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하부 영상과 동일한 하부 영상이 상기 저장 매체에 존재하고, 차량 내부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검문 차량의 내부 영상과 상기 위험물 영상이 상이하며, 상기 검문 차량의 내부에 상기 폭발 성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방호 유닛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방호벽을 상승시켜 검문 차량을 에워싸거나 노면 속에 형성된 지하 공간 내로 검문 차량을 하강시켰던 상기 차량 방호 유닛의 동작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검문 차량을 에워싸고 있거나 상기 지하 공간 내로 하강시킨 동작이 해제되면, 제2 파손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 타이어 파손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제2 진입 방지부 구동기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차량 진입 방지부가 노면 속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제2 검문 영역에 위치한 상기 검문 차량이 상기 제2 검문 영역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
  14. 제10항에서,
    구동 스위치가 동작하면 위치 정보 획득부 구동기를 동작시켜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상승시켜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 위에 위치한 검문 차량의 하부에 상기 차량 위치 정보 획득부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
  15. 제10항에서,
    통신부를 통해 검문 차량에 대한 검문 결과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60096186A 2016-07-28 2016-07-28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86A KR101932524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6/009132 WO2018021611A2 (ko) 2016-07-28 2016-08-18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18189456.9A EP3425115A1 (en) 2016-07-28 2016-08-31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6186626.4A EP3276082A1 (en) 2016-07-28 2016-08-31 Protection device against vehicle,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86A KR101932524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66A KR20180013066A (ko) 2018-02-07
KR101932524B1 true KR101932524B1 (ko) 2019-03-15

Family

ID=6101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86A KR101932524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2524B1 (ko)
WO (1) WO2018021611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1916A1 (en) 2013-01-31 2014-07-31 Rapiscan Systems, Inc. Portable Security Insp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1906A1 (en) * 2004-10-11 2006-05-26 Stratech Systems Ltd Intelligent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KR100754028B1 (ko) 2005-03-16 2007-09-03 (주) 코리아 마이크론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KR20090027874A (ko) * 2007-09-13 2009-03-18 정구관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KR101514444B1 (ko) * 2013-10-16 2015-04-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Ecu 제어를 통한 차량 검문 시스템 및 방법
KR101644787B1 (ko) * 2014-12-09 2016-08-12 이명식 차량 검문 시스템
KR101972966B1 (ko) * 2016-07-28 2019-08-26 주식회사 하이젠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1916A1 (en) 2013-01-31 2014-07-31 Rapiscan Systems, Inc. Portable Security Insp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66A (ko) 2018-02-07
WO2018021611A3 (ko) 2018-03-15
WO2018021611A2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787B1 (ko) 차량 검문 시스템
US11056004B1 (en) Traffic signal system for congested trafficways
US10424194B2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ing beacon signal
EP1803107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xterior and interior inspection of vehicles
CN1942385B (zh) 一种电梯轿厢
AU2017266731B2 (en) System for assisting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danger on an aerial lift
KR102146895B1 (ko) 자동 경비시스템
US20060287780A1 (en) Automated passenger boarding bridg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with aircraft-based emergency stop control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EP3276082A1 (en) Protection device against vehicle, system of inspecting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50137666A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EP2241675B1 (en) Security gates device
KR101932524B1 (ko) 차량 검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8612A (ko) 감시 로봇의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18846B1 (ko) 작업장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608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KR101972966B1 (ko)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
CN108861935B (zh) 一种矿井罐笼提升安全控制系统
KR101718635B1 (ko) 복수개의 볼라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식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CN108698788B (zh) 电梯访问控制系统
KR101505116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
KR101670729B1 (ko) 바닥센서를 이용한 승강장안전시스템
CN111081029A (zh) 机场道口集成控制综合管理系统及方法
KR101762749B1 (ko) 승강장 안전문 장애물 감지 시스템
KR102546979B1 (ko) 차량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