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52B1 -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 Google Patents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52B1
KR101932452B1 KR1020180053594A KR20180053594A KR101932452B1 KR 101932452 B1 KR101932452 B1 KR 101932452B1 KR 1020180053594 A KR1020180053594 A KR 1020180053594A KR 20180053594 A KR20180053594 A KR 20180053594A KR 101932452 B1 KR101932452 B1 KR 10193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de
plates
support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순우
조종주
김종익
손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Priority to KR102018005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3Holders for electrodes; Positioning of the electrodes
    • C25B9/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apparatus with electrode fixture with changeable structure. The electrolytic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comprises: a reactor taking a treatment target material; and an electrode fixture inside the reactor and equipped with the electrode plates. The electrode fixture includes: a pair of outer plat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fixture; a support bar having an end combined with one of the outer plates and having the other end combined with the other outer plate to keep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outer plates; and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The unit assembly plates are installed by being consecutively placed along the support bar while being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plates are supported by the unit assembly plates.

Description

구조변경이 가능한 전극고정틀을 구비한 전기분해장치{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a structure,

본 발명은 전극판이 고정되는 구조변경이 용이한 전극고정틀을 구비한 전기분해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판과 외판 사이에 지지바를 위치시키고, 지지바에 장착되되, 서로 간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단위조립판을 구비시킨 상태에서, 전극판이 다수의 단위조립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극고정틀을 구비시켜, 전극판의 개수, 배열 또는 크기, 나아가 반응조의 크기 등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전극판이나 반응조에 맞게 전극고정틀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in which an electrode plate is easily fixed, to an electrode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 support bar placed between an outer shell and an outer she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de fixture in which an electrode plate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in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plate is provided so that even if the number, arrangement or size of the electrode plates, To an electrolytic device capable of easily changing an electrode fixing frame.

수처리에 적용되는 전기분해장치에 의한 처리방법은 반응조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설치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에 전압을 인가하여 음극판에서의 환원 작용과 양극판에서의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산화제, 환원제 및 금속수산화물 등이 처리 대상물 중의 성분과 2차 반응을 일으켜서 금속 이온이 석출되도록 하거나, 각종 유기오염물질 및 무기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불용성 물질로 변환시켜서 응집 처리시키는 방법이다.A treatment method using an electrolytic apparatus applied to a water treatment is a method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provided in a reaction tank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o perform a reducing action i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n oxidizing agent, Hydroxides or the like is caused to undergo a secondary reaction with components in the object to be treated to precipitate metal ions or to decompose or convert various organic contaminants and inorganic contaminants into insoluble substances and perform coagulation treatment.

이러한 전기분해장치에 의한 오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전기분해(Electrolysis)와 전기응집(electro- coagulation) 또는 전기부상(elecro-flotation) 등이 있다.Electrolysis, electro-coagulation, and elecro-flotation are methods of treating contaminants in wastewater by the electrolysis apparatus.

전기응집은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용해성 전극판에서 용출되어 2가 또는 3가의 금속성 양이온이 물속에 남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용출된 이온이 폐수 중의 오염물과 응집 및 흡착하여 수소가스 등에 의해 부상되거나 때로는 침전되어 물과 분리된다. Electrolytic aggregation is eluted from dissolvable electrode plates such as iron or aluminum, leaving divalent or trivalent metallic cations in the water. In this process, the eluted ions flocculate and adsorb with the contaminants in the wastewater, It is precipitated and separated from water.

전기분해는 양극에서 직접 오염물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직접산화법과 중간 생성물에 의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간접 산화법이 있다. Electrolysis is a direct oxidation process that oxidizes and removes contaminants directly from the anode, and an indirect oxidation process that removes contaminants from the intermediate product.

오폐수처리시설에 이용되는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48039호를 살펴본다.A conventional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8039, which is related to an electrolytic apparatus used in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ill be described.

종래기술은 전기분해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분해 처리 후 여과장치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침전에 필요한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전체설비크기를 작게 하며, 반응조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하여 전기분해 효과를 높이고, 또 전극판을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고, 그로 인하여 전극판의 수명을 길게함과 동시에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by electrolysis, an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lytic treatment is performed after passing through a filtration apparatus to shorten the treatment time required for precipitation, And the electrode plate is integrally formed, thereby facilitating management, thereby prolonging the life of the electrode plate and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전극판의 효율적인 관리와 수명 연장을 위한 구조 개선에 한정되어 있을 뿐, 이러한 전극판을 고정하는 틀이나 케이스의 구조변경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prior art is limi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lectrode plate and extension of the life span, and does not mention the structure change of the frame or case for fixing the electrode plate.

즉, 종래기술의 전극판은 이미 구조가 변경 불가능한 상태로 형성된 전극고정틀에 장착되며, 이에 따라 전극고정틀에 적합한 전극판을 장착시킬 수 있을 뿐, 오폐수 처리용량이나 전극판의 배열 등의 변경에 따라 전극고정틀을 변경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electrode plate of the prior art is mounted on an electrode fixtu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can not be chan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unt an electrode plate suitable for the electrode fixture,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 The electrode fixing frame can not be changed.

변경된 전극판을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다시 새로운 전극고정틀을 제작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전극고정틀 제작을 위한 새로운 금형 등을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따르게 된다. In order to mount the modified electrode plate, a new electrode fixture must be fabricated. Accordingly, it is inefficient to manufacture a new mold for fabricating the electrode fixture.

오폐수 처리장소와 오폐수의 처리용량이 변경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전기분해장치에서, 처리용량에 따라 전극판의 길이, 폭, 배열, 장착되는 전극판의 개수 또는 전극판과 전극판 간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전극판의 변경을 수용할 수 있는 전극고정틀에 대해서 종래기술에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In the electrolytic apparatus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here the wastewater treatment area and the treatment capacity of wastewater can be changed, the length, width, arrangement, number of electrode plates to be mounted or the number of electrode plates There is no disclosure in the prior art for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such changes of the electrode plate.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의 사용은 이미 규격화된 전기분해장치가 장착될 구조를 갖춘 오폐수 처리시설에만 한정되는 바, 다른 오폐수 시설에 사용될 수 없어 전기분해장치의 활용성이 제한적이다.Therefore, the use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imited to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ndardized electrolytic apparatus can be mounted, and thus the utilization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is limited because it can not be used in other wastewater facilities.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처리용량이나 처리장소가 변경되더라도 사용될 수 있는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처리용량이나 처리장소가 변경되면 이에 따라 전극판의 구조 또는 전극판의 배열 구조가 변경되는데, 이러한 전극판의 변경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전극고정틀을 구비한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apparatus that can be used even if the processing capacity or the processing site is chang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Specifically, when the processing capacity or the processing site is changed,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o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is changed, and an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applicable to the modification of the electrode plate is provided I want to.

나아가, 변경될 수 없는 일정한 형태에 한정된 종래기술과 달리, 기존 장착된 전극판과 달리 크기나 배열이 달라진 전극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구조변경이 가능한 조립식 전극고정틀을 구비한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which is limited to a certain form that can not be changed, an electric plate with a prefabricated electrode fixture that can easily be changed in structure so that an electrode plate having a different size or arrangement from the previously- Decomposition device.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장치는, 다수의 전극판(300)을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처리대상 물질이 위치된 반응조(100); 및 상기 반응조(10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의 전극판(300)이 장착되는 전극고정틀(2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고정틀(200)은, 상기 전극고정틀(200)의 양단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외판(220);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외판(220) 중 어느 하나의 외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판에 결합되어 한 쌍의 외판(2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바(240); 및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240)를 따라 연속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되며, 상기 전극판(300)이 상기 단위조립판(260)에 의해 지지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lectroly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300), comprising: a reaction tank (100) in which a substance to be treated is placed; And an electrode fixing frame 200 on which the electrode plate 300 is moun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action tank 100.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is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A pair of outer shells 220; A support bar 240 coupled at one end to one of the outer sheaths 220 of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coupled to the other outer sheath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attached to the support bars 240. 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support bars 24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And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by the unit assembly plate (260).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조립판(260)은 단위스페이스판(262); 및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되어 전극판(300)을 지지하는 전극지지판(264)을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전극판(300)은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을 사이에 두고 장착된다.Preferably,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ncludes a unit space plate 262; And an electrode support plate 264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supporting the electrode plate 300.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300 are mounted with the unit space plate 262 interposed therebetween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바(240)는, 상기 한 쌍의 외판(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바(242); 및 상기 한 쌍의 외판(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바(244)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지지판(264)은 상기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상부전극지지판(264a); 및 상기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되는 하부전극지지판(264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지지판(264a)의 측면은 일자 형태이며, 상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측면은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의 일자 형태이다.Preferably, the support bar 240 includes an upper support bar 24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a lower ground support bar 24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ath 220.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ncludes an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a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plate 244.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re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are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측면은, 소정의 수평길이를 갖는 일자 형태이되, 상기 상부전극지지판(264a)의 측면의 소정의 수평길이보다 더 긴 수평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의 일자 형태인 상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하부의 수평길이와 동일한 수평길이로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space plate 262 is in the form of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and is formed to have a longer horizontal length than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equal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which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조립판(260)에는 조립판관통홀(2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상기 조립판관통홀(265)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이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된다.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are formed i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and the support bars 240 are passed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And the plate 26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조립판(260)에는 조립판관통홈(2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상기 조립판관통홈(266)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이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된다.Preferably,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s formed with an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 240 passes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And the plate 26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외판(220)에는 다수의 외판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관통되는 상기 외판관통홀(222)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전극고정틀(200)의 구조가 변경된다.A plurality of outer plate through holes 222 are formed i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and the outer plate through holes 222 through which the support bars 240 pass are changed, 200 are changed.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전극판의 크기나 전극판의 배열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구조를 변경하여 달라진 전극판을 장착시킬 수 있는 전극고정틀을 구비하고 있어, 전기분해장치의 활용성이 증대된다.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electrolytic apparatus because the electrode fixture can easily mount the different electrode plates by changing the structure even when the sizes of the electrode plates and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plates are changed due to the above- do.

나아가, 조립에 의해 전극고정틀의 구조를 변경하여 변경된 전극판을 장착시킬 수 있는 바, 변경된 처리시설에 따라 용이하게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시킬 수 있어 비용이 저감되며, 나아가 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된다.Further, since the modified electrode plate can be mount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by assembling,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processing facility,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

도 1은 반응조에 장착된 전극고정틀 및 전극고정틀에 장착되는 전극판을 분해하여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극고정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극판이 전극고정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극고정틀의 구조변경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극고정틀을 관통하는 물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조립판의 배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조립판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조립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fixture mounted on a reaction tank and an electrode plate mounted on an electrode fixtu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fixt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is mounted on the electrode fixing fram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can be changed.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electrode fixt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unit assembly pl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hape of a uni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ni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장치는 전기분해장치가 사용되는 수소 발생시설, 폐액 처리시설, 슬러지감량 처리시설, 오폐수 처리시설 등 모든 처리시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분해장치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electroly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processing facilities such as a hydrogen generating facility, a waste liquid treatment facility, a sludge reduction treatment facility, and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n which an electrolytic apparatus is used. An electrolytic apparatus used for treating a substance to be treated containing a pollutant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장치는 반응조(100), 반응조(100)의 내측에 장착되는 전극고정틀(200) 및 전극고정틀(200)에 장착되는 전극판(300)을 포함한다.The electroly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tank 100, an electrode fixing frame 200 mounted inside the reaction tank 100, and an electrode plate 300 mounted on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이 반응조(100)로 유입된다. 전극판(300)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반응조(100)로 유입된 처리대상 물질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분해되거나 또는 응집되어 침전되거나 수소나 산소기체와 함께 부상된다.The substance to be treated containing the contaminant is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tank 100. As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00,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treatment target material flowing into the reaction tank 100 are decomposed or flocculated and floated together with hydrogen or oxygen gas.

반응조(100)의 내측에 전극고정틀(200)이 장착된다. 전극고정틀(200)에 전극판(300)이 장착되어 고정된다.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is mounted inside the reaction tank 100. The electrode plate 30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전극고정틀(200)은 한 쌍의 외판(220), 한 쌍의 외판(2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바(240) 및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fixture 200 includes a pair of outer plates 220, a support bar 240 for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outer plates 220 and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support bars 240, .

한 쌍의 외판(220)은 전극고정틀(200)의 양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지지바(240) 및 조립된 단위조립판(260)이 장착되는 틀을 형성한다.The pair of outer plates 220 constitute both end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and forms a frame on which the support bar 240 and the assembled unit assembly plate 260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한 쌍의 외판(220)에는 다수의 외판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판관통홀(222)로 후술할 지지바(240)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다수의 외판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지지바(240)가 관통되는 홀이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바(240) 사이의 간격이나 지지바(240)의 높이 등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plurality of outer plate through holes 222 are formed i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The support bar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and is fixed to the outside plate through-hole 222. Holes through which the support bars 240 are inserted can be selec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s 24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bars 240 can be adjusted Of course.

전극판(300)의 크기나 배열이 변경되는 경우 전극판을 고정하는 전극고정틀(300) 또한 변경되어야 하는데, 변경된 전극판에 따라 새로운 금형 등으로 새로운 전극고정틀을 제작해야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변경된 전극판(300)에 맞게 지지바(240) 사이의 간격이나 지지바(240)의 높이 등을 변경하여 변경된 전극판(300)에 맞게 전극고정틀(300)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plate 300 is changed in size or arrangement, the electrode fixture 300 for fixing the electrode plate must be changed.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a new electrode fixture is manufactured using a new mold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changed electrode plate,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fixture 300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electrode plate 300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s 24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bar 240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de plate 300.

기존 반응조(300)에 사용되었던 한 쌍의 외판(220)의 크기가 새로운 반응조(300)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외판관통홀(222)이 형성된 새로운 크기의 한 쌍의 외판(22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후술할 지지바(240)나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교체하지 않고, 한 쌍의 외판(220)만을 변경하고, 변경된 한 쌍의 외판(220)에 지지바(240) 및 단위조립판(260)을 조립하여 새로운 전극고정틀(200)로 변경할 수 있다.When a size of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used in the existing reaction tank 300 does not fit the new reaction tank 300, only a pair of outer plates 220 of a new size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er plate through- Of course, can be used. That is, only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is changed without replacing the support bars 240 and 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upport bars 240 and the unit The assembly plate 260 can be assembled and changed to a new electrode fixture 200.

지지바(240)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외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외판(2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다. The support bar 240 maintain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in a state where one end is coupled to one outer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nother outer plate.

지지바(2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단면이 원형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지지바(240)는 한 쌍의 외판(2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후술할 단위조립판(260)이 서로 간에 밀착되어 연속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ing bar 240 preferably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a certain length. The support bar 240 is configured to not only mainta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outer sheathing plates 220, but also to mount a unit assembly plate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지지바(240)는 한 쌍의 외판(220)의 상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부지지바(242) 및 한 쌍의 외판(220)의 하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하부지지바(244)를 포함한다.The support bar 240 includes an upper support bar 242 penetrating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and a lower support plate 244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through the lower support plate 244.

상부지지바(242)는 한 쌍의 외판(220) 상부의 일단에서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하 2개의 상부지지바(242)와 한 쌍의 외판 상부의 타단에서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하 2개의 상부지지바(242)로 구분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bar 242 includes upper and lower upper support bars 242 penetratingly connect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upper and lower upper support bars 242, (242).

하부지지바(244)는 한 쌍의 외판(220) 하부의 일단에서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하 2개의 하부지지바(244)와 한 쌍의 외판 하부의 타단에서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하 2개의 하부지지바(24)로 구분될 수 있다.The lower jig 244 includes two upper and lower lower jig supports 244 which are inserted through one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ath 220 and two upper and lower jig 24 which are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ath, .

일예로, 전극판(30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전극판(300)의 하부의 양단을 지지하고, 전극판(300)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구조체가 필요하다. 전극판(300)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체는 후술할 단위조립판(260)인데, 이러한 단위조립판(260)에 형성된 2개의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조립판관통홈(266)에 상부지지바(242)가 상하로 관통되어 단위조립판(260)이 움직이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전극판(300) 상부의 일단은 2개의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판(300) 상부의 타단은 2개의 나머지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극판(300) 하부의 일단은 2개의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판(300) 하부의 타단은 2개의 나머지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plate 30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structure supporting both ends of the electrode plate 300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required.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nit assembly plate 2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wo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formed i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or the assembly plate through- The support bars 242 may be vertically penetrated to mount the unit assembly plate 260 so as not to move. That is,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two upper support bars 242,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by two remaining upper support bars Can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base plate (242). One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two lower support bars 244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by two remaining lower support bars 244 And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지지바(240)는 단위 바끼리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바가 다른 어느 하나의 바에 삽입되는 방식 등으로 길이 변경이 가능한 바 형태일 수 있다. 길이 변경이 가능한 바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극판(300)의 변경에 따라 전극고정틀(200)에서 한 쌍의 외판(220)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되어, 변경된 전극판(300)에 따라 새로운 전극고정틀(200)을 제작해야 하는 비용 소모성을 최소화한다.The support bars 240 may be bar-shaped units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by connecting one of the bars to one of the other bar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form of bar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is possibl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in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new electrode fixing frame 200 according to the changed electrode plate 300 Minimize consumption.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은 지지바(240)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이렇게 고정된 단위조립판(260) 사이에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are mounted and fixed to the support bars 240 and the electrode plates 300 are inserted between the unit assembly plates 260.

지지바(240)가 한 쌍의 외판(220)에서 어느 하나의 외판에서 다른 하나의 외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은 어느 하나의 외판과 다른 하나의 외판 사이에서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지지바(240)에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ay be formed of one outer plate and the other outer plate 22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ar 240 maintains a gap between one outer plate and the other outer plate i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The support bar 240 is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단위조립판(260)에는 상하로 2개의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조립판관통홈(266)이 형성될 수 있다. 1개만 형성될 경우, 지지바(240)에 장착되더라도 지지바(240)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판(300)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과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wo unit plate through-holes 265 or plate-plate through-holes 266 may be formed i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upport bar 240 around the support bar 240 to be in an unstable state so that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mounting the electrode plate 300 may be difficult .

상하로 형성된 2개의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조립판관통홈(266)은 단위조립판(260)의 측면을 기준으로 한 쪽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단위조립판(260)의 측면을 기준으로 다른 한 쪽으로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wo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or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s 266 formed up and down can be biased toward the side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so that the electrode plate 300 can be mounted and supported.

지지바(240)가 조립판관통홀(265)에 관통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bar 240 penetrates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5 will be described.

단위조립판(260)은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단위 판으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이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지지바(240)에 장착되어 한 쌍의 외판(22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지지바(24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지지바(240)를 한 쌍의 외판(22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지지바(240)에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 일부를 분리시키거나 단위조립판(260)을 추가할 수 있다. 단위조립판(260) 일부를 분리시키거나 추가하여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전극고정틀(2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도 6 (a) 참조).The unit assembly plate 260 is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and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unit assembly plate 260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 That is, even after the support bar 240 is separated from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40, a part of 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240 The unit assembly plate 260 can be added.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fixture 200 to which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attached can be changed by separating or adding a part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refer to FIG. 6 (a)).

지지바(240)가 조립판관통홈(266)에 관통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support bar 240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266 of the assembly plate.

지지바(240)에 연속적으로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을 지지바(240)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어느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을 잡아당겨 조립판관통홈(266)에서 개방된 부분으로 지지바(240)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다시 어느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이 분리됨에 따라 생성된 공간을 채우기 위해 한 쌍의 외판(220) 양단 또는 일단에서 압력을 가하여 지지바(240)에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밀착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eparate one of the unit assembly plates 260 from the support bar 24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bars 240, one of the unit assembly plates 260 is pulled out, The supporting bar 240 may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portion of the groove 266 so as to be separated. Thereafter,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not shown)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are attached to the support bars 240 by applying pressure at both ends or one end of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in order to fill the space generated as one unit assembly plate 260 is separated. 26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반대로, 밀착된 다수의 단위조립판(260)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고, 생성된 공간에 어느 다른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을 같은 방식으로 추가할 수 있다.Conversely,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y other unit assembly plate 260 may be added to the generated space in the same manner.

단위조립판(260) 일부를 분리시키거나 추가하여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전극고정틀(20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도 6 (c) 참조).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fixture 200 to which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attached can be changed by separating or adding a part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see FIG. 6 (c)).

조립판관통홀(265)과 조립판관통홈(266)이 혼합되어 배열되는 경우는 후술한다(도 6 (b) 참조).The case where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5 and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groove 266 are arranged in a mixed manner will be described later (see FIG. 6 (b)).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장치가 변경된 처리시설에 사용되기 위해서, 변경된 처리시설(변경된 전극판의 크기나 배열)에 맞게 별도로 새로이 전극고정틀을 제작해야만 했던 종래기술과 달리, 한 쌍의 외판(220)에서 분리된 지지바(240)에 단위조립판(260)을 몇몇을 분리하거나 추가한 다음, 다시 한 쌍의 외판(220)에 지지바(240) 장착함으로써 변경된 처리시설(변경된 전극판(300)의 크기나 배열)에 맞출 수 있다.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electrode fixture had to be fabricated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ed treatment facility (size or arrangement of the modified electrode plate),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Modified electrode plate 300) by separating or adding some unit assembly plates 260 to the support bars 240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s 240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s 240 and then mounting the support bars 240 o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 The size or the arrangement of the cells).

단위조립판(260)은 단위스페이스판(262) 및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되어 전극판(300)을 지지하는 전극지지판(264)을 포함한다. 전극판(300)는 다수 또는 하나의 단위스페이스판(262)을 사이에 두고 전극지지판(264)에 지지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The unit assembly plate 260 includes an electrode support plate 264 dispos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the unit space plate 262 to support the electrode plate 300. The electrode plate 300 may be moun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with a plurality of unit space plates 262 interposed therebetween.

단위스페이스판(262)은 전극판(30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The unit space plate 262 serves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300.

전극지지판(264)에 전극판(300)이 지지된다. 전극지지판(264)은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상부전극지지판(264a) 및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되는 하부전극지지판(264b)을 포함한다.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on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ncludes an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a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bar 244. [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단위스페이스판(262)과 하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단위스페이스판(262)는 분리된 각각의 소정의 단위 판일 수 있으며,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상부전극지지판(264a)과 하부지지바(344)에 장착되는 하부전극지지판(264b)은 분리된 각각의 소정의 단위 판일 수 있다(도 6 참조).The unit space plate 262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the unit space plate 262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bar 24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unit plate and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ounted on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the lower electrode support 344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부전극지지판(264a)의 측면은 일자 형태이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측면은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의 일자 형태일 수 있으며, 일례로 "ㄴ"자 형태일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may b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ay b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have.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됨에 있어서, 전극판(300)의 상부 일측면은 상부전극지지판(264a)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측면이 "ㄴ"자 형태인 경우, 전극판(300)의 하부면의 일부는 "ㄴ" 형태의 하부전극지지판(264b)에서 수평면에서 밀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전극판(300)의 하부 일측면은 "ㄴ" 형태에서 수직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When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mounte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is "C " shape,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in the"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in the "?" Shape.

전극판(300)의 두께와 전극지지판(264)의 두께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전극판(300)의 두께가 다양한 상태에서, 어느 한 전극판의 두께가 전극지지판(264)과 같은 경우, 하나의 전극지지판(264)을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시키고 전극판(300)을 지지할 수 있다. 어느 한 전극판의 두께가 전극지지판(264)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경우, 다수의 전극지지판(264)을 연속으로 밀착시켜 위치시켜서 전극판의 두께에 대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One of the electrode support plates 26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ing plates 262 and the electrode plate 30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 ≪ / RTI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one of the electrode plates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the plurality of electrode support plates 264 can b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plate.

전극판(300)과 전극판(300)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경우에는 전극지지판(264) 사이에 위치된 단위스페이스판(262)에 몇몇 단위스페이스판(262)을 추가하거나 분리해서 전극판(300)과 전극판(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When a spa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is widened or narrowed, some unit space plates 262 are added to or separated from the unit space plates 262 located between the electrode support plates 264,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can be adjusted.

단위스페이스판(262)과 전극지지판(264a)의 크기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izes of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will be described.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측면은 소정의 수평길이를 갖는 일자 형태이되, 상부전극지지판(264a) 측면의 소정의 길이의 수평길이보다 더 긴 수평길이이며, 하부전극지지판(264b) 측면 하부의 수평길이와 동일한 수평길이이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측면 상부의 수평길이보다 더 긴 수평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ide surface of the unit space plate 262 is in the form of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and is a horizontal length longer than a horizontal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side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that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side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전극판(300)의 상부는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된 상부전극지지판(264a)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되, 전극판(300)의 상부 양측면은 양쪽에 위치된 단위스페이스판(262) 각각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 전극판(300)의 하부는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된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하부 수평부분 위와 수직부분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되, 전극판(300)의 하부 양측면은 양쪽에 위치된 단위스페이스판(262) 각각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도 3 참조).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Both upper surfaces of the electrode plate 300 are covered with the unit space plates 262 To limit move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suppo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The lower both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30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by contacting one side of each unit space plate 262 (see FIG.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고정틀의 구조 변경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tructure change of the electrod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 쌍의 외판(220)에서 외판과 외판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지지바(240)에 장착된 몇몇 단위스페이스판(262), 상부전극지지판(264a) 및 하부전극지지판(264b)을 제거한 후, 나머지 단위조립판(260)을 밀착시킴으로써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전극판(300)과 전극판(300)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거나 전극판(300)의 두께가 변경되는 경우, 단위스페이스판(262)이 가감되어 조절되거나 전극지지판(264)이 가감되어 조절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plate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remaining unit assembly plate 260 is closely contacted to reduce the interval. Further,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is changed or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changed, the unit space plate 262 is adjusted and adjusted or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s adjusted It can be regulated as described above.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폭을 좁히고자 하는 경우, 기존 지지바(240)가 삽입되어 장착된 외판관통홀(222)에서 지지바(240)를 분리시킨 후, 좁히고자 하는 폭에 대응하는 외판관통홀(222)에 지지바(240)를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폭을 변경할 수 있다.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When the width of the electrode plate 300 to be inserted is narrowed, the supporting bar 24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late through-hole 222 in which the conventional supporting bar 240 is inserted, The width can be changed by inserting and mounting the support bar 240 in the corresponding outer plate through-hole 222.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height at which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mount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이에 따라, 다양한 처리시설 각각에 적합한 전극고정틀(200)을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내재된 종래기술과 달리, 하나의 전극고정틀(200)로 다양한 처리시설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기분해장치의 효용성이 증대된다.Accordingly,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inefficiency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ixture 200 suitable for each of various treatment facilities is buil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reatment facilities using one electrode fixture 200, Is increased.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이 전극고정틀(200) 내측으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stance to be treated containing contaminants flows into the electrode fixture 200.

도 5(a)는 전극고정틀(200) 내측에서 처리대상 물질이 상하로 그리고 좌우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하로 유동됨과 동시에 좌우로 처리대상 물질이 유동되면서 전극판(300)과의 접촉되도록 하여 전기분해에 의한 처리대상 물질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처리될 수 있다.5 (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stance to be treated flows upward, downward, and rightward and leftward from the inside of the electrode fixture 200. That is, while flowing upward and downward, the object to be treated flows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plate 300, so tha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bject to be treated by electrolysis can be treated.

도 5(b)는 전극고정틀(200)의 양측면이 유동제어판(230)으로 차단된 상태로 처리대상 물질이 상하로만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의 유동이 제어되지 않아 전극판(300)에 접촉되는 시간 등이 일률적이지 않고, 이에 따라 전기분해에 의한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경우,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이 한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to be treated flows vertically only in a state where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are blocked by the flow control plate 230. FIG. As shown in FIG. 5 (a), since the flow of the process target material containing contaminants is not controlled and the contact time with the electrode plate 300 is not uniform, the treatment of contaminants by electrolys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fficiency may vary. When such a problem occurs, the treatment target material containing the pollutant can flow only in one direction, and uniform treatment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도 5(c)는 전극고정틀(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유동제어판(230)으로 차단된 상태로 처리대상 물질이 좌우로만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대상 물질이 한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처리효율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5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to be treated flows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being blocked by the flow control plate 230. FIG. As described in FIG. 5 (b), the treatment target material containing contaminants can flow only in one direction to maintain uniform treatment efficiency.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단위조립판(260)에서 단위스페이스판(262)과 전극지지판(264)의 배열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조립판(2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바(240)가 관통되는 곳은 홀 형태의 조립판관통홀(265)이거나 또는 홈 형태의 조립관통홈(266)일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r 24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and may be a hole-lik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5 or a groove-like assembly through-hole 266.

조립판관통홀(265)에서, 지지바(24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력이 조립판관통홈(266)보다 더 강하지만, 지지바(240)에 장착된 단위조립판(260)을 분리하거나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바(2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단위조립판(260)에 밀착된 나머지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지지바(240)에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The fixing force to be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bar 240 in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5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groove 266, but the unit assembly plate 260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can be separated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attached to the unit assembly plate 260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240 from the support bar 240. [

조립판관통홈(266)에서, 지지바(24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력이 조립판관통홀(265)보다 약하지만, 지지바(240)에 장착된 단위조립판(260)을 분리하거나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단위조립판(260)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단위조립판(260)을 분리하거 추가하는 경우 편리성이 증대된다.The fixing force to be moun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bar 240 is weaker than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5 in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groove 266, but the unit assembly plate 260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can be separated or added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only the unit assembly plate 260, so that convenience is improved when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s separated or added.

도 6(a)은 단위조립판(260) 전체가 조립판관통홀(266)로 지지바(240)가 관통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can penetrate the support bar 240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In FIG.

도 6(b)는 단위조립판(260) 중 단위스페이스판(262)에만 조립판관통홈(266)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극지지판(264)에는 조립판관통홀(265)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극판(3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위스페이스판(262)만 분리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6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plate through-groove 266 is formed in only the unit space plate 262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FIG.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unit space plate 262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300 in the state where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are formed.

도 6(c)는 단위조립판(260) 전체가 조립판관통홈(266)으로 지지바(240)가 관통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해당 단위스페이스판(262)뿐만 아니라 전극지지판(264)도 지지바(240)에서 그 자체만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6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ar 240 can penetrate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as a whole of the unit assembly plate 260. Not only the unit space plate 262 but also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can be easily separated or added to the support bar 240 itself.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극판(300)이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된 상부전극지지판(264a)으로 형성된 간격 및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된 하부전극지지판(264b)으로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경우, 이러한 간격이 전극판(300)의 두께에 맞는 간격이라면 형성된 간격에 전극판(300)을 맞춰 삽입해야 하는 바, 삽입하는 과정이 어려워진다.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mounted in an interval formed by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locat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and a gap formed by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locat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The electrode plate 300 must be inserted in a gap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 300 and the electrode plate 30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sert the plat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간격이 전극판(3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이 유지하도록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다수 여유의 상부전극지지판(264a)을 장착시킴으로써 삽입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전극판(300)이 이러한 간격에 삽입된 이후에 좌우로 움직일 여지가 있어 불안정하게 전극판(300)이 장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따른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upper electrode supporting plates 264a are mounted between the unit spacing plates 262 so that the interval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plate 300,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de plate 300 may be unstably mounted because the electrode plate 300 is left to move laterally after being inserted in such an interval.

따라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전극지지판(264a)에 접촉되는 양쪽의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상부 중 간격을 형성하는 부분 및 하부전극지지판(264b)에 접촉되는 양쪽의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상부 중 간격을 형성하는 부분은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즉,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상부의 두께에 있어서, 상단면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아래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일정한 길이만큼 아래 방향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는 일정한 두께가 유지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전극판(300)이 상술한 간격으로 유입됨에 있어서 넓은 유입구가 확보되도록 하여 삽입과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refore, in order to easily insert the unit spacer 262, both the unit spacer plate 262 contacting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the unit spacer plate 262 contacting both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Th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forming the gap may be in a tapered shape.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space plate 262 may be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hape that maintains a constant thickness in a down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Lt; / RTI > So that a wide inlet is secured when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troduced at the above-mentioned intervals,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process.

일단 테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상부와 상부전극지지판(264a)으로 형성된 간격 및 테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상부와 하부극지지판(264b)으로 형성된 간격으로 전극판(300)이 삽입된 이후, 전극판(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일 여지가 없도록 양쪽 단위스페이스판(262)에 밀착되는 탄력부(301)가 전극판(300)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space plate 262 formed in the tapered shape and the gap formed by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the spaces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 plates 264b of the unit space plate 262, After the plate 300 is inserted, the elastic portions 301 that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nit space plates 262 so that there is no room for moving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plates 300 are inserted, Can be formed on one side.

이에 따라, 전극판(300)의 삽입과정이 용이하고, 삽입된 이후에는 탄력부(301)가 양쪽의 단위스페이스판(262)에 밀착됨에 따라 전극판(3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easy, and after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plate 300, the elastic part 30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the unit space plates 262,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plate 300.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단위조립판(260)과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되는 단위조립판(260)이 분리된 상태를 설명한 상술한 일실시예와 달리, 다른 실시예는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된 단위조립판(260)과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되는 단위조립판(260)이 일체형으로 된 상태이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unit assembly plate 260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the unit assembly plate 260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bar 24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unit assembly plate 260 mounted on the bar 242 and a unit assembly plate 260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bar 244 are integrally formed.

이에 따라,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이 상부지지바(242) 및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위조립판(260)의 상하로 형성된 2개의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2개의 조립판관통홈(266)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에 형성된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조립판관통홈(266)에 상부지지바(242)가 관통되며, 하부에 형성된 조립판관통홀(265) 또는 조립판관통홈(266)에 하부지지바(244)가 관통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unit assembly plate 26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the lower support bar 244. [ That is, two assembly plate through holes 265 or two assembly plate through-holes 266 formed above and below the unit assembly plate 260 can be formed. The upper support bar 242 penetrates through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5 or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6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late support plate 242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5 or the assembly plate through- (244) can be penetrat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유동제어판(230)이 없는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만 처리대상 물질이 흘러가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체형으로 상부지지바(242) 및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극고정틀(200)의 양측면이 차단되고, 이 상태에서 전극고정틀(200)을 회전하면 상하부면이 차단됨으로써, 처리대상 물질이 흘러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eatment target material can be controlled to flow only in one direction without the flow control plate 230 described above. That is,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are cut off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the lower ground support 244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blocked when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is rotated in this state, You can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the target material.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전극판(300)이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의 전극고정틀(200)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무거운 중량의 다수의 전극판(300)을 고려하였을 때, 이동 중 전극고정틀(200)이 휘어지거나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바, 전극고정틀(200)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전극고정틀(200)을 강성이 높은 재질의 소정의 이동틀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이동틀 자체를 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 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electrode fixture 200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mounted in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300 having a heavy weight are considered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may be bent or deformed during the movement so that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may be moved to a predetermined moving frame of high rigidity rather than lifting and moving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predetermined moving frame itself.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반응조
200: 전극고정틀
220: 외판
222: 외판관통홀
230: 유동제어판
240: 지지바
242: 상부지지바
244: 하부지지바
260: 단위조립판
262: 단위스페이스판
264: 단위전극지지판
264a: 상부전극지지판
264b: 하부전극지지판
265: 조립판관통홀
266: 조립판관통홈
300: 전극판
100: Reactor
200: Electrode holder
220: Outside
222: Outer plate through hole
230: Flow control panel
240: Support bar
242: Upper support bar
244:
260: Unit assembly plate
262: Unit space plate
264: Unit electrode supporting plate
264a: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5: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6: Assembly plate through groove
300: electrode plate

Claims (7)

다수의 전극판(300)을 포함하는 전기분해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처리대상 물질이 위치된 반응조(100); 및 상기 반응조(10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의 전극판(300)이 장착되는 전극고정틀(2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고정틀(200)은,
상기 전극고정틀(200)의 양단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외판(220);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외판(220) 중 어느 하나의 외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외판에 결합되어 한 쌍의 외판(2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바(240); 및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240)를 따라 연속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되며,
상기 단위조립판(260)은 단위스페이스판(262); 및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 위치되는 전극지지판(264)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에서 상기 전극지지판(264)이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에 밀착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와 상기 전극지지판(264)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전극판(300)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기 전극지지판(264)의 하부의 의해 지지되면서 장착되되,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및 상기 전극지지판(264)이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사이와 상기 전극지지판(264)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외판(220)에 상기 지지바(2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 및 상기 전극지지판(264)은 상기 지지바(240)에서 착탈 가능한 전기분해장치.
In an electrolytic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300)
A reaction tank 100 in which a substance to be treated is located inside; And an electrode fixture 200 on which the electrode plate 300 is mounted while being mounted inside the reaction tank 100,
The electrode fixture 200 includes:
A pair of outer plates 22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fixing frame 200;
A support bar 240 coupled at one end to one of the outer sheaths 220 of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coupled to the other outer sheath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And a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mounted on the support bars 240,
The plurality of unit assembly plates 260 are mounted in a state of being continuously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bars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ncludes a unit space plate 262; And an electrode support plate (264)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s position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and the unit space plate 262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One end of the electrode plate 300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protruding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 240 is mounted on the support bar 240, the support bar 240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unit space plates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Wherein the unit space plate (262) and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are detachable from the support bar (24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 (240) is coupled to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40)는 상기 한 쌍의 외판(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바(242); 및 상기 한 쌍의 외판(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바(244)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지지판(264)은 상기 상부지지바(242)에 장착되는 상부전극지지판(264a); 및 상기 하부지지바(244)에 장착되는 하부전극지지판(264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지지판(264a)의 측면은 일자 형태이며, 상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측면은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의 일자 형태인 전기분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ar 240 includes an upper support bar 242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sheaths 220; And a lower paper jig (24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The electrode support plate 264 includes an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mounted on the upper support bar 242; And a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bar (244)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is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protrudes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스페이스판(262)의 측면은, 소정의 수평길이를 갖는 일자 형태이되, 상기 상부전극지지판(264a)의 측면의 소정의 수평길이보다 더 긴 수평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이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의 일자 형태인 상기 하부전극지지판(264b)의 하부의 수평길이와 동일한 수평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분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space plate 262 is in the form of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and is formed in a horizontal length longer than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a, And a horizontal length equal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which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lectrode support plate 264b.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립판(260)에는 조립판관통홀(2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상기 조립판관통홀(265)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이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전기분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s formed with an assembly plate through hole 265. The unit assembly plate 260 has a through hole 265 formed in the support plate 24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립판(260)에는 조립판관통홈(2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상기 조립판관통홈(266)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단위조립판(260)이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상기 지지바(240)에 장착되는 전기분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nit assembly plate 260 is formed with an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The support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plate through-hole 266, Is attached to the support bar (24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판(220)에는 다수의 외판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240)가 관통되는 상기 외판관통홀(222)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전극고정틀(200)의 구조가 변경되는 전기분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outer plate through holes 222 are formed in the pair of outer plates 220 and the outer plate through holes 222 through which the support bars 240 pass are changed, Is changed.
KR1020180053594A 2018-05-10 2018-05-10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KR101932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94A KR101932452B1 (en) 2018-05-10 2018-05-10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94A KR101932452B1 (en) 2018-05-10 2018-05-10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452B1 true KR101932452B1 (en) 2018-12-26

Family

ID=6500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94A KR101932452B1 (en) 2018-05-10 2018-05-10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042B1 (en) * 2023-01-16 2023-08-29 유한회사 성화실업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qu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26Y1 (en) * 2002-05-22 2002-09-05 이천열 Apparatus to dispose dirty and waste water by electrolyz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26Y1 (en) * 2002-05-22 2002-09-05 이천열 Apparatus to dispose dirty and waste water by electroly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042B1 (en) * 2023-01-16 2023-08-29 유한회사 성화실업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273B1 (en) Non-fouling electrolysis device applicable to wastewater and sewage treatment
KR101932452B1 (en) A water treatment electrolytic apparatus having an electrode fixture capable of changing the structure
DE202005003720U1 (en) System for the disinfection of liquids with a low conductivity
KR20160126010A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electrochemically treating a liquid
KR100319022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Electrolytic Injury Method
JP2009034625A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278914B1 (en) Electrolysis equipment for treatment of sewage
KR20130099709A (en) Electrolysis apparatus for nitrate nitrogen or ammonia nitrogen or phosphorus comprised in waste water or polluted water
JP3342394B2 (en) Jig for electroplating
KR20220037884A (en) Method for treating pollutant and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ant
KR101210841B1 (en) Non-aeration organic matter removing apparatus
KR100840529B1 (en) Apparatus to Remove Electrochemically Organic Materials in Waste Water Using Electrodes
KR970010667A (en) Bipolar Electrolytic Equipment
JPH11128946A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758726B1 (en) Water Breakdown Generator Core and Sterilized Water Supplying System Utilizing Water Breakdown Mechanism
CN214880416U (en) Three-dimensional electro-catalytic treatment device
US4248684A (en) Electrolytic-cell and a method for electrolysis, using same
KR102603704B1 (en) Apparatus for electro-coagulative treatment
KR20190064659A (en) Electrode support structure for coaxial electrolytic cells
CN112811532A (en) Three-dimensional electro-catalytic treatment device
KR100431117B1 (en) Electrolytic treatment apparatus of liquid
US20060138032A1 (en) In-water discharging core and sterilizing water supplying system using said core
US20120160701A1 (en) Disposable Electrolytic Cell having Bipolar Electrod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20118757A1 (en) Disposable Electrolytic Cell with Bi-polar Electrod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12174540U (en) Duckweed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