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15B1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Google Patents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415B1 KR101932415B1 KR1020180057529A KR20180057529A KR101932415B1 KR 101932415 B1 KR101932415 B1 KR 101932415B1 KR 1020180057529 A KR1020180057529 A KR 1020180057529A KR 20180057529 A KR20180057529 A KR 20180057529A KR 101932415 B1 KR101932415 B1 KR 101932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ction
- steel plate
- perforation hole
- hole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있어서, 지반(G)에 천공기(200)를 이용하여 천공홀(H)을 형성하는 천공홀(H) 형성 단계(S100); 천공홀(H) 내부의 천공홀(H) 형성시 발생된 슬라임을 제거하는 슬라임 제거 단계(S200); 천공홀(H) 내부를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로 다지는 천공홀(H) 다짐 단계(S300);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제거하고 천공홀(H) 내부에 철근망(300)을 삽입하는 철근망(300) 삽입 단계(S400); 천공홀(H) 내부에 콘크리트(40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400) 타설 단계(S500); 천공홀(H) 및 콘크리트(400) 타설 부위 상면을 정리하는 마감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관한 기술이다.
특허문헌 01은 유압식 해머를 이용한 지반 다짐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를 가동하여 개량할 대상의 지층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이동된 굴삭기로부터 다짐판을 개량할 대상의 지면에 밀착시킨 후 유압해머를 가동시켜 유압해머 내부의 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단계, 유압해머에 의해 상승된 추를 연속 반복적으로 낙하시켜 다짐판에 충격을 가하여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로 지반을 개량 다짐하는 것이다.
아울러, 무한궤도를 갖는 굴삭기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리더와 리더로부터 안내되어 와이어에 의해 이동되며 내부에 추가 설치된 유압해머와 유압해머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추에 의해 가격되는 다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지반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구조물 근접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성, 적용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유압식 해머를 이용한 지반 다짐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02는 하부에 쇄석말뚝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강관파일이나 콘크리트 파일 등을 시공하여 쇄석말뚝과 깊은 기초의 장점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복합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의 소정 지점까지 케이싱 오거를 회전시켜 지반을 천공 및 굴착하는 단계와 천공 및 굴착된 구멍의 하부에 다짐재를 일정높이로 충전하는 단계와 충전된 다짐재에 해머를 낙하시켜 다지는 단계와 다짐재의 충전 및 해머에 의한 다짐을 반복하여 쇄석말뚝의 구근을 형성하는 단계와 구근의 상부에 기성파일을 관입하고 기성파일과 천공 및 굴착된 구멍과의 사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전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양호한 지반의 깊이가 길고 슬라임 등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짐굴착에 의해 하부에 쇄석말뚝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강관파일이나 콘크리트 파일 등을 시공하여 연약지반의 필요구간에 선단지반을 개량하고 기성파일의 이음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기성파일의 선단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03은 매립지에 공기 주입정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고, 가스 추출정을 통해 가스를 추출하며 추출한 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여과후 공기 재주입정을 통하여 별도의 공기를 혼합 희석한 후 매립지 내로 재주입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호기성 조건에 의한 유기물을 분해하고 침출수 및 폭발성 유해가스를 최소화시켜 매립지 내부를 사전에 안정화시키고 매립지 안정화 후 매립지의 연약지반이나 공극이 형성된 지반에 수십톤의 다짐추를 수십미터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낙하시켜 순간적인 다짐에너지를 이용하여 토립자의 재배치로 다짐을 유도하여 강도를 증진시키는 다짐공법으로 연약지반이 침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문제점인 복잡한 다짐장치로 인해 조립과 해체가 불편하고, 이에 따른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천공홀의 깊이, 선단 및 외주면의 특성에 관계없이 다양하면서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천공홀에 삽입된 다짐장치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통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있어서, 지반(G)에 천공기(200)를 이용하여 천공홀(H)을 형성하는 천공홀(H) 형성 단계(S100); 천공홀(H) 내부의 천공홀(H) 형성시 발생된 슬라임을 제거하는 슬라임 제거 단계(S200); 천공홀(H) 내부를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로 다지는 천공홀(H) 다짐 단계(S300);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제거하고 천공홀(H) 내부에 철근망(300)을 삽입하는 철근망(300) 삽입 단계(S400); 천공홀(H) 내부에 콘크리트(40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400) 타설 단계(S500); 천공홀(H) 및 콘크리트(400) 타설 부위 상면을 정리하는 마감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강관본체(110), 강관본체(110) 상부를 덮는 상부철판(120), 강관본체(110) 하부를 덮는 하부철판(130), 강관본체(110)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로 구성되되, 상부철판(120) 상면에는 크레인(C)의 연결 와이어(W)와 연결할 수 있도록 인양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강관본체(110),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이루어진 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기둥의 높이는 2,000 ~ 3,000mm,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구성된 상하부철판(115)은 직경 600 ~ 70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강관본체(110) 내부 내면에 구리스(grease)를 바르는 구리스(grease) 도포 단계(S310); 강관본체(110)에 채움 콘크리트(140)를 채우는 콘크리트 채움 단계(S320); 상부철판(120) 또는 하부철판(130)을 고정을 하는 철판 고정 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철판(130) 하부에 하방향 중심부로 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하는 원추형 돌기(131) 또는 하부철판(13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군(132)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150)는 상부철판(120) 상부에 용접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2철판(151, 152)이 직교하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정면에서 볼 때 제1철판(151)은 상부 꼭지점이 둥근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철판(151)에는 원형의 인양고리부(153)가 관통 형성되며, 원형의 인양고리부(153) 주변은 보강철판(154)이 양측에 형성되며, 제2철판(152)은 인양고리부(153)가 형성된 제1철판(151)보다 높이가 낮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양부(150)에는 크레인(C)으로부터 연결된 진동해머(6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원추형 돌기(131) 또는 돌출된 돌기군(132)에 의한 1차 다짐, 일반 하부철판(130)에 의한 2차 다짐, 진동해머(600)에 의한 3차 다짐을 통해 이루어진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적층이 가능하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 본체(105) 상부에 중앙부에 관통홀(512)이 형성된 하부 다짐 블록(510)을 적층하고, 하부 다짐 블록(510) 상부에 중앙부에 관통홀(522)가 형성된 상부 다짐 블록(520)을 적층한다.
본 발명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관한 것으로, 강관본체(110), 강관본체(110) 상부를 덮는 상부철판(120), 강관본체(110) 하부를 덮는 하부철판(130), 강관본체(110)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로 구성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적용하여 천공홀의 선단과 외주면의 특성에 따라 무게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하여 1차 다짐, 2차 다짐, 3차 다짐 등 여러 다짐 형태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부 다짐 블록 및 상부 다짐 블록을 이용한 적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은 비교적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여 시공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천공홀의 깊이, 선단 및 외주면의 특성에 상관없이 다양하면서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천공홀에 삽입된 다짐장치의 제거를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공홀 형성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공홀 다짐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망 삽입 단계와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감 단계와 공법에 의해 완성된 현장 타설 말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하부철판(상부철판, 하부철판)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부 다짐 블록 및 상부 다짐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케이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진동해머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가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공홀 형성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공홀 다짐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망 삽입 단계와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감 단계와 공법에 의해 완성된 현장 타설 말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하부철판(상부철판, 하부철판)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부 다짐 블록 및 상부 다짐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케이싱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진동해머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가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있어서, 지반(G)에 천공기(200)를 이용하여 천공홀(H)을 형성하는 천공홀(H) 형성 단계(S100); 천공홀(H) 내부의 천공홀(H) 형성시 발생된 슬라임을 제거하는 슬라임 제거 단계(S200); 천공홀(H) 내부를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로 다지는 천공홀(H) 다짐 단계(S300);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제거하고 천공홀(H) 내부에 철근망(300)을 삽입하는 철근망(300) 삽입 단계(S400); 천공홀(H) 내부에 콘크리트(40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400) 타설 단계(S500); 천공홀(H) 및 콘크리트(400) 타설 부위 상면을 정리하는 마감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이다.
천공홀 형성 단계(S100)은 현장 타설 말뚝이 형성되는 지반(G)을 하방향으로 천공하는 것으로, 하기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상하부철판 직경(600 ~ 700mm)보다 크게 형성한다. 따라서 천공홀은 700mm 이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오거스크류(210)와 케이싱 스크류(미도시)를 함께 사용된다. 또한 지반의 토질에 따라 굴착 및 배토시 천공홀이 붕괴될 수 있으므로, 케이싱 스크류(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거스크류(210)와 케이싱 스크류(미도시)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진하며, 굴진과 동시에 오거스크류(210)의 스크류부를 통해 굴작된 토사가 지상으로 배출됨으로서 천공홀(H)이 형성된다.
슬라임 제거 단계(S200)는 에어펌프 또는 수중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하는 천공홀(H) 다짐 단계는 선단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강관본체(110), 강관본체(110) 상부를 덮는 상부철판(120), 강관본체(110) 하부를 덮는 하부철판(130), 강관본체(110)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철판(120) 상면에는 크레인(C)의 연결 와이어(W)와 연결할 수 있도록 인양부(150)가 구비된다.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관본체(110),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이루어진 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는 2,000 ~ 3,000mm,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구성된 상하부철판(115)은 직경 600 ~ 700mm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경비는 최대 2.86 ~ 5가 되는데, 이러한 장경비를 통해 천공홀(H)의 선단과 외주면을 다짐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원기둥 형상에 한정하는 것이라, 본 발명은 상하부철판(115)의 형상이 팔각형,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강관본체(110)의 형상도 변경이 가능하다.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또한 강관본체(110)에 채움 콘크리트(140)를 채우는 콘크리트 채움 단계(S320)을 포함하는데, 콘크리트를 채우기 전에 강관본체(110) 내부 내면에 구리스(grease)를 바르는 구리스(grease) 도포 단계(S310)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를 마친 후에 내부에 있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굳은 콘크리트를 제거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인양부(150)를 구비한 상부철판(120)과 강관본체(110)를 일체화하여 하부철판(130)을 나사결합 등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거나, 강관본체(110)와 하부철판(130)을 일체화하여 상부철판(120)을 나사결합 등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거나, 상부철판(120)과 하부철판(130) 모두 일체화하지 않고 나사결합 등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면이 개방된 본체(105)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상부철판(120) 또는 하부철판(130)을 고정하는 철판 고정 단계(S330)을 거치게 된다. 이는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천공홀(H)의 선단 및 외주면의 특성에 따라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의 양과 함께 콘크리트의 종류를 달리하여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경우를 대비해, 강관본체(110),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이루어진 본체(105)에 일정 무게를 가진 채움 콘크리트(140)를 채워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철판(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부철판(130) 하부에 하방향 중심부로 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하는 원추형 돌기(13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하부철판(130)의 형상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군(1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원추형 돌기(131) 및 돌기군(132)이 돌출된 하부철판(130)은 연약지반과 같이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에 1차 다짐을 실시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것이다.
원추형 돌기(131) 및 돌기군(132)은 하부철판(130)에 일체형 또는 분리되어 결합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다짐 후에 평평한 형상의 하부철판(130)을 가진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통해 2차 다짐을 실시한다. 이러한 원추형 돌기(131) 또는 돌기군(132)으로 인해 전달된 충격력과 진동력에 의해 연약지반의 상부나 내부에 있는 자갈이나 쇄석 등을 분쇄시키며,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본체(105)가 지반(G)을 전체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원추형 돌기(131) 또는 돌기군(132)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됨에 따라 분쇄율이 높아지게 되고, 공극이 작아짐으로써 연약지반을 충분히 다질 수 있게 된다.
돌기군(132)의 경우도 여러 경우로 변경이 가능한데, 천공홀(H) 내부의 특성에 따라 돌기군(132)을 하부철판(130)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여 사용하거나, 하부철판(130)의 일정 면적에 집중된 돌기군(132)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원추형 돌기(131) 또는 돌출된 돌기군(132)에 의한 1차 다짐, 일반 하부철판(130)에 의한 2차 다짐, 마지막으로 하기 진동해머(600)에 의한 3차 다짐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1차 다짐 및 3차 다짐은 선택적 적용을 할 수 있다.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본체(105)의 두께는 14mm로 할 수 있다. 낙하의 높이, 지반의 종류, 다짐의 정도에 따라 본체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적인 경우 13 ~ 15mm의 강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임계적, 기술적 의의를 가질 수 있는 13 ~ 15mm에서 안전율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14mm의 강철을 적용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천공홀(H)의 깊이가 5 ~ 22m일 경우에 최적의 다짐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최적화한 것이다.
인양부(150)는 상부철판(120)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2철판(151, 152)이 직교하는 십자형상(‘+’형상)으로 형성되며, 정면에서 볼 때 제1철판(151)은 상부 꼭지점이 둥근 각진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철판(151)에는 원형의 인양고리부(153)가 관통 형성되며, 원형의 인양고리부(153) 주변은 보강철판(154)이 양측에 형성되어 인양고리부(153)가 파손되어 끊어지는 것 등을 방지한다.
제2철판(152)은 인양고리부(153)가 형성된 제1철판(151)보다 높이가 낮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인양고리부의 형성 공간을 확보하면서, 제1철판(151)의 인양고리부(153)에서 받는 하중을 보강하고, 직접적 하중이 없는 점을 고려한 경제적인 구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또 다른 특징은 적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 본체(105) 상부철판(120)에 형성된 인양부(150)의 형상에 맞도록 하부에 홈부(511)를 형성하되, 중앙부에 관통홀(512)을 형성한 하부 다짐 블록(510)을 적층한다. 상기 관통홀(512)은 하부에 형성된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의 상부철판(120) 인양부(150)에 연결되는 크레인(C)의 연결 와이어(W)가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 상부에 구비된 하부 다짐 블록(510) 상부에는 또 다른 상부 다짐 블록(5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는 상하부철판이 평평하게 형성하되, 하부 다짐 블록(510)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522)을 형성하여 크레인(C)의 와이어(W)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및 상부 다짐 블록(510, 520)의 내부에도 채움 콘크리트(530)가 채워진다.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와 하부 및 상부 다짐 블록(510, 520)의 결합 시에는 각각의 사이에 고무판(미도시)이 구비되어 각각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512, 522)에는 연결 와이어(W)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케이싱부(540)가 설치가 되는데, 케이싱부(54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원기둥의 형상이며, 상부와 하부는 연결 와이어(W)가 통과하는 연직홀(541)이 형성되어 있다. 연직홀(541) 내측에는 연결 와이어(W)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부(542)를 구비하는데, 경질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다짐 블록(520)은 그 상부에 또 다른 상부 다짐 블록(520)을 계속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인양부(150)에는 크레인(C)으로부터 연결된 진동해머(600)를 연결할 수 있다. 진동해머(600)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로 다짐한 후 진동을 통해 천공홀(H) 내부를 마무리 다짐하는 것이다. 인양부(150)와 진동해머(500)를 연결하기 위해 진동해머 하부에는 인용고리부(153)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고, 집게 형식을 통해 인양부(150)를 집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단일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가격이 저렴하며, 무게 조절이 용이하고, 제작이 쉬운 장점이 있다.
S100 : 천공홀 형성 단계 S200 : 슬라임 제거 단계
S300 : 천공홀 다짐 단계 S400 : 철근망 삽입 단계
S500 : 콘크리트 타설 단계 S600 : 마감단계
100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 105 : 본체
110 : 강관본체 115 : 상하부철판
120 : 상부철판 130 : 하부철판
131 : 원추형 돌기 132 : 돌기군
140 : 채움 콘크리트 150 : 인양부
160 : 고정장치 151 : 제1철판
152 : 제2철판 153 : 인양고리부
154 : 보강철판 200 : 천공기
210 : 오거 스크류 300 : 철근망
400 : 콘크리트 510 : 하부 다짐장치 블록
511 : 홈부 512 : 관통홀
520 : 상부 다짐장치 블록 522 : 관통홀
530 : 채움 콘크리트 540 : 케이싱부
541 : 연직홀 542 : 마찰감소부
600 : 진동해머 C : 크레인
G : 지반 H : 천공홀
P : 현장 타설 말뚝 W : 연결 와이어
S300 : 천공홀 다짐 단계 S400 : 철근망 삽입 단계
S500 : 콘크리트 타설 단계 S600 : 마감단계
100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 105 : 본체
110 : 강관본체 115 : 상하부철판
120 : 상부철판 130 : 하부철판
131 : 원추형 돌기 132 : 돌기군
140 : 채움 콘크리트 150 : 인양부
160 : 고정장치 151 : 제1철판
152 : 제2철판 153 : 인양고리부
154 : 보강철판 200 : 천공기
210 : 오거 스크류 300 : 철근망
400 : 콘크리트 510 : 하부 다짐장치 블록
511 : 홈부 512 : 관통홀
520 : 상부 다짐장치 블록 522 : 관통홀
530 : 채움 콘크리트 540 : 케이싱부
541 : 연직홀 542 : 마찰감소부
600 : 진동해머 C : 크레인
G : 지반 H : 천공홀
P : 현장 타설 말뚝 W : 연결 와이어
Claims (9)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있어서,
지반(G)에 천공기(200)를 이용하여 천공홀(H)을 형성하는 천공홀(H) 형성 단계(S100);
천공홀(H) 내부의 천공홀(H) 형성시 발생된 슬라임을 제거하는 슬라임 제거 단계(S200);
천공홀(H) 내부를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로 다지는 천공홀(H) 다짐 단계(S300);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제거하고 천공홀(H) 내부에 철근망(300)을 삽입하는 철근망(300) 삽입 단계(S400);
천공홀(H) 내부에 콘크리트(40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400) 타설 단계(S500);
천공홀(H) 및 콘크리트(400) 타설 부위 상면을 정리하는 마감단계(S600);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강관본체(110), 강관본체(110) 상부를 덮는 상부철판(120), 강관본체(110) 하부를 덮는 하부철판(130), 강관본체(110)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 콘크리트(140)로 구성되되, 상부철판(120) 상면에는 크레인(C)의 연결 와이어(W)와 연결할 수 있도록 인양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강관본체(110),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이루어진 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기둥의 높이는 2,000 ~ 3,000mm, 상부철판(120), 하부철판(130)으로 구성된 상하부철판(115)은 직경 600 ~ 70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강관본체(110) 내부 내면에 구리스(grease)를 바르는 구리스(grease) 도포 단계(S310); 강관본체(110)에 채움 콘크리트(140)를 채우는 콘크리트 채움 단계(S320); 상부철판(120) 또는 하부철판(130)을 고정을 하는 철판 고정 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철판(130) 하부에 하방향 중심부로 경사지는 원추형으로 하는 원추형 돌기(131) 또는 하부철판(13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군(132)이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150)는 상부철판(120) 상부에 용접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2철판(151, 152)이 직교하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정면에서 볼 때 제1철판(151)은 상부 꼭지점이 둥근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철판(151)에는 원형의 인양고리부(153)가 관통 형성되며, 원형의 인양고리부(153) 주변은 보강철판(154)이 양측에 형성되며, 제2철판(152)은 인양고리부(153)가 형성된 제1철판(151)보다 높이가 낮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양부(150)에는 크레인(C)으로부터 연결된 진동해머(6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천공홀(H) 다짐 단계(S300)는 원추형 돌기(131) 또는 돌출된 돌기군(132)에 의한 1차 다짐, 일반 하부철판(130)에 의한 2차 다짐, 진동해머(600)에 의한 3차 다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는 적층이 가능하되,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 본체(105) 상부에 중앙부에 관통홀(512)이 형성된 하부 다짐 블록(510)을 적층하고,
하부 다짐 블록(510) 상부에 중앙부에 관통홀(522)가 형성된 상부 다짐 블록(520)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낙하식 다짐장치(100)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529A KR101932415B1 (ko) | 2018-05-20 | 2018-05-20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529A KR101932415B1 (ko) | 2018-05-20 | 2018-05-20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415B1 true KR101932415B1 (ko) | 2018-12-26 |
Family
ID=6500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7529A KR101932415B1 (ko) | 2018-05-20 | 2018-05-20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41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250Y1 (ko) * | 2002-01-02 | 2002-03-29 | (주)둔산건설 | 지반다지기용 후트 |
KR100927324B1 (ko) * | 2007-10-26 | 2009-11-19 | 진창곡 | 크레인에 말뚝 항타용 유압해머를 이용하여 지반을 다지는공법 및 장치 |
KR101657183B1 (ko) * | 2015-02-27 | 2016-09-30 | (주)서현컨스텍 | 다짐장치를 활용한 현장 타설 말뚝 공법 |
-
2018
- 2018-05-20 KR KR1020180057529A patent/KR1019324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0250Y1 (ko) * | 2002-01-02 | 2002-03-29 | (주)둔산건설 | 지반다지기용 후트 |
KR100927324B1 (ko) * | 2007-10-26 | 2009-11-19 | 진창곡 | 크레인에 말뚝 항타용 유압해머를 이용하여 지반을 다지는공법 및 장치 |
KR101657183B1 (ko) * | 2015-02-27 | 2016-09-30 | (주)서현컨스텍 | 다짐장치를 활용한 현장 타설 말뚝 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26004B2 (en) | Apparatus for providing a rammed aggregate pier | |
US8043028B2 (en) | Apparatus for providing a support column | |
US9091036B2 (en) | Extensible shells and related methods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er | |
US9567723B2 (en) | Open-end extensible shells and related methods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er | |
US9243379B2 (en) | Method of providing a support column | |
KR100762991B1 (ko) | 고강도 몰탈을 충진하는 기성말뚝 매입공법 | |
CN104074186A (zh) | 一种建筑地基中成孔的护筒装置及其施工方法 | |
JP2017095880A (ja) | 鋼管杭の施工方法 | |
CN105714773A (zh) | 一种地基处理方法 | |
CN104153355B (zh) | 混凝土桩的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 |
KR101932415B1 (ko) | 자유낙하식 다짐장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공법 | |
JP2000170149A (ja) | 地中杭の成形方法及び装置 | |
KR20160104923A (ko) | 다짐장치를 활용한 현장 타설 말뚝 공법 | |
JP6212147B2 (ja) | 砕石杭 | |
CN215052842U (zh) | 柱锤夯扩法成孔增强体桩复合地基结构 | |
CN102619218B (zh) | 后插钢筋笼水泥粉煤灰碎石桩及其成桩方法 | |
CN1076064C (zh) | 地基处理方法 | |
GB2132667A (en) | Method of installing precast concrete piles | |
JPH10219683A (ja) | 地中杭の成形方法及び装置 | |
CN104153356A (zh) | 混凝土桩的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 |
RU2139975C1 (ru) |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набивных свай и укрепления их оснований | |
JPH03208908A (ja) | 砂地盤の液状化防止工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掘削締固め装置 | |
CA2993469C (en) | Open-bottom extensible shells and related methods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er | |
JP6549407B2 (ja) | 杭建込工法 | |
JP6126265B1 (ja) | 埋立地の埋立物減容処理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