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01B1 - 배전반 내진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내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01B1
KR101932401B1 KR1020180089749A KR20180089749A KR101932401B1 KR 101932401 B1 KR101932401 B1 KR 101932401B1 KR 1020180089749 A KR1020180089749 A KR 1020180089749A KR 20180089749 A KR20180089749 A KR 20180089749A KR 101932401 B1 KR101932401 B1 KR 10193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plate
elastic
earthquake
monitor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곤
Original Assignee
이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곤 filed Critical 이현곤
Priority to KR102018008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10); 및 상기 배전반(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내진패드(130)와, 상기 탄성내진패드(130)의 둘레에 설치되는 쐐기(140)를 포함하는 탄성받침유닛(100);을 포함하는 배전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 내진 장치{Switchboard earthquake proof equipment}
본 발명은 지진에 의한 배전반의 파손을 대처하기 위한 배전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반이나 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등은 전력을 공급하는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를 수전하여 이를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설비로 배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표면상으로는 큐비클이라는 칸막이 구조물로 되어 있으며 제어반의 내부에는 고압 개폐기, 계기용 변류기, 고압차단기, 변압기, 저압배전용차단기, 마그네트 등의 전력기기와 전력계통 보호 및 감시를 위한 계전기 및 계기 등의 전기 부품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 때, 큐비클 내부에는 전력기기 외에 전력 계통에 따라 전력기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부스바와 전력기기의 계측 및 감시를 위한 배선이 배치되어 있으며, 큐비클 외부는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그 바닥에는 전력기기 상호간의 감시 배선 및 부하설비 배선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반이 지면에 설치되는 이유로 지진발생에 의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면 제어반의 내부의 전력기기 및 이러한 전력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배선 그리고 보호계 전기 등의 전기부품이 손상 또는 파손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발생된 장애에 의해 전력공급의 중단 및 화재가 야기될 수 있다.
배전반에 대한 지진을 대처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878917호는 배전반 함체 하부면에 결합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배전반 함체로 진동이 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주는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하부면은 설치면에 고정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하부 구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구면홈의 둘레에 소정깊이의 코일 스프링 하부 안착홈이 구비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부는 배전반 함체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되고, 하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구면홈에 대향되게 상부 구면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구면홈의 둘레에 소정깊이의 코일 스프링 상부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상부 가동플레이트;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의 각 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소정직경으로 형성되는 강구; 하부측이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코일 스프링 하부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 하부 안착홈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부 안착홈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며, 상측에 구비되는 가동잭의 상측면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측면과 접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가동잭이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측을 상기 코일 스프링 상부 가이드 홈으로부터 분리 이탈시키고, 지진발생시에는 상기 가동잭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측을 상기 코일스프링 상부 가이드홈에 삽입 결합시키는 코일 스프링 가동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와 상부 가동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해 고압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의 각 구면에 점착된 미세 분진 및 돌출물을 제거하여 상기 강구가 각 구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 상기 점착된 미세 분진 및 돌출물에 의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고압 공기 분사부; 및, 상기 고압 공기 분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압 공기 분사부에서 분사된 고압 공기로 인해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의 각 구면에서 분리 이탈된 미세 분진 및 돌출물을 진공 흡입하는 돌출물 진공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압 공기 분사부는, 소정주기의 펄스 파동으로 고압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이 개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배전반의 하중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압축되면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스프링이 지속적으로 압축되면 결국 원래 크기로 복원되지 못하여 탄성력이 저하된다) 지진 내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878917호(2018.07.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에 대한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진에 의한 배전반의 변형 상태를 파악하여 배전반의 전력공급 안전도와 내부기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 내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는 배전반(10); 및 상기 배전반(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내진패드(130)와, 상기 탄성내진패드(130)의 둘레에 설치되는 쐐기(140)를 포함하는 탄성받침유닛(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외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전력공급 안전도를 표시하는 제1감시센서(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감시센서는 변형센서이다.
또한,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기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제2감시센서(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감시센서는 위치센서이다.
또한, 상기 탄성내진패드(130)는 고무 재질의 고무판(131)과, 상기 고무판(13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보강강판(13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는 지진에 대한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진에 의한 배전반의 변형 상태를 파악하여 배전반의 전력공급 안전도와 내부기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는 배전반(10), 탄성받침유닛(100), 제1감시센서(200), 제2감시센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10)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받침유닛(100)은 지진에 의한 배전반(10)의 내진을 대처하는 것으로, 상부플레이트(110), 하부플레이트(120), 탄성내진패드(130), 쐐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판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반(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판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이트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내진패드(1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진을 완충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쐐기(140)는 상기 탄성내진패드(130)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내진패드(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제1감시센서(200)는 변형센서로서,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외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전력공급 안전도를 표시한다. 이 때, 상기 배전반(10)의 외부 변형율은 LED 램프의 색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LED 램프의 색상에 있어서, 초록색은 0% 내지 10%, 노란색은 10 내지 30%, 빨간30% 내지 100%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시센서(300)는 위치센서로서,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기기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변형율이 30% 내지 100%면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내진 장치는 지진에 대한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지진에 의한 배전반(10)의 변형 상태를 파악하여 배전반(10)의 전력공급 안전도와 내부기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탄성내진패드(130)는 고무 재질의 고무판(131)과, 상기 고무판(13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보강강판(13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내진패드(130)는 탄성력을 저하되나 내구성은 강화되어 상기 배전반(10)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판(131)은 외주면에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는 탄성밀착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고무판(131)은 지진 발생시 상기 탄성밀착부에 의해 자바라 구조로 압축 및 팽창되면서 면진 효과를 일부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강판(132)은 계란판처럼 굴곡진 구조(미도시)로 형성되어 지진진동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배전반
100 : 탄성받침유닛
110 : 상부플레이트
120 : 하부플레이트
130 : 탄성내진패드
131 : 고무판
132 : 보강강판
140 : 쐐기
200 : 제1감시센서
300 : 제2감시센서

Claims (6)

  1. 배전반(10);
    상기 배전반(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내진패드(130)와, 상기 탄성내진패드(130)의 둘레에 설치되는 쐐기(140)를 포함하는 탄성받침유닛(100); 및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외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전력공급 안전도를 표시하는 제1감시센서(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감시센서(200)는 변형센서로서, 상기 배전반(10)의 외부 변형율을 LED 램프의 색상으로 표시하되, 초록색은 0% 내지 10%, 노란색은 10 내지 30%, 빨간30% 내지 100%로 표시하며,
    상기 탄성내진패드(130)는 고무 재질의 고무판(131)과, 상기 고무판(13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보강강판(132)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판(131)은 외주면에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는 탄성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강판(132)은 계란판처럼 굴곡진 구조로 형성되는 배전반 내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지진에 의한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변형율에 따라 상기 배전반(10)의 내부 기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제2감시센서(300);를 포함하는 배전반 내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시센서는
    위치센서인 배전반 내진 장치.
  6. 삭제
KR1020180089749A 2018-08-01 2018-08-01 배전반 내진 장치 KR10193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49A KR101932401B1 (ko) 2018-08-01 2018-08-01 배전반 내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49A KR101932401B1 (ko) 2018-08-01 2018-08-01 배전반 내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401B1 true KR101932401B1 (ko) 2018-12-31

Family

ID=6495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749A KR101932401B1 (ko) 2018-08-01 2018-08-01 배전반 내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962A (ja) * 2009-02-05 2010-08-19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KR101139226B1 (ko) 2011-10-13 2012-04-26 (주) 에스아이이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551195B1 (ko) * 2014-11-18 2015-09-08 (주)한국이엔씨 변위량 센서를 이용한 배전반의 지진 감시진단 시스템
KR101729118B1 (ko) 2016-11-07 2017-04-24 (주)와이제이솔루션 하중분포 특성 연동 최적설계 기반 내진형 고내구성 수배전반 및 하중분포 분석 기반 내진형 수배전반 내구성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962A (ja) * 2009-02-05 2010-08-19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KR101139226B1 (ko) 2011-10-13 2012-04-26 (주) 에스아이이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551195B1 (ko) * 2014-11-18 2015-09-08 (주)한국이엔씨 변위량 센서를 이용한 배전반의 지진 감시진단 시스템
KR101729118B1 (ko) 2016-11-07 2017-04-24 (주)와이제이솔루션 하중분포 특성 연동 최적설계 기반 내진형 고내구성 수배전반 및 하중분포 분석 기반 내진형 수배전반 내구성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640B1 (ko)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3411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11388B1 (ko) 내진설계 플레이트 및 내진설계 플레이트 수배전반
KR101139226B1 (ko)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495094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20190009393A (ko) 판스프링과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724102B1 (ko) 지진력을 감쇠하고 수직변위를 제어하는 내진 배전반
KR101742301B1 (ko)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
KR101797438B1 (ko) 면진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181892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860922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80036926A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913068B1 (ko) 배전반용 내진 구조물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632867B1 (ko)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17652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101742306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수배전반
KR101699303B1 (ko) 3축 지진 감지형 내진 수배전반
KR101294605B1 (ko) 내진 및 방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101394535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20210042791A (ko) 배전반 접속함 등 전기관련장비의 내진장치
KR101341152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834473B1 (ko)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
KR20200009813A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