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54B1 -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54B1
KR101931754B1 KR1020160181159A KR20160181159A KR101931754B1 KR 101931754 B1 KR101931754 B1 KR 101931754B1 KR 1020160181159 A KR1020160181159 A KR 1020160181159A KR 20160181159 A KR20160181159 A KR 20160181159A KR 101931754 B1 KR101931754 B1 KR 10193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image
water quality
breast cancer
im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702A (ko
Inventor
김종기
한성미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8Details of detection or image processing, including general computer contro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02B21/08Condensers
    • G02B21/14Condensers affording illumination for phase-contrast observ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모발을 이용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는 광원, 시료홀더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모발의 구조를 길이 방향에 따라 영상화하는 영상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화된 모발의 구조 이미지를 정상인의 모발 구조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정상인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 영역의 이미지와 영상화된 상기 모발의 구조 중 대응되는 수질 영역의 이미지를 비교하고,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모발 중 수질 요소의 비율 변화에 따라 유방암 여부 또는 진행을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IN VITRO BREAST CANCER DIAGNOSIS DEVICE USING IMAGE SCREENING OF HAIR STRUCTURE}
본 발명은 유방암의 체외 스크리닝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체로부터 획득 가능한 모발을 이용하여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체외진단 기술은 혈액, 호기, 분비물, 생검조직 등을 이용하여 특정 성분의 변화를 질병의 분자적 마크로 삼아 진단하는 방법이다. 머리털, 음모를 비롯한 사람의 종모(terminal hair)는 호르몬 등 유방암의 발병 병인적 요소와 연관되어 성분 및 구조적 변화가 야기될 수 있어 이들 변화를 검출하는 물리적, 화학적반응, 생물학적 방법은 유방암 조기 진단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6,718,007, PCT공개특허 WO 03/060513 및 WO 2008/134800 등과 같이 종래의 진단방법은 X-선 회절법, X-선 형광법, 적외선 분광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털 내 케라틴 단백질구조, 피질지질의 성분 및 미세구조변화, 칼슘 등 광물질의 변화, 지질의 성분변화 등을 각각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머리털 등의 모발은 일반적으로 표피(cuticle), 피질(cortex) 및 수질(medulla)로 크게 구분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나, 상기의 종래 방법들은 모발의 전체조직 성분의 변형을 평균적으로 반영하므로 특정 위치에 기반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기엔 비 효율적이고, 유방암의 전개양상에 따른 머리털의 구조적 변화를 모두 검색하는데 적용하기 어려워 허위음성(False negative) 등으로 인한 진단의 특이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또한, 머리털은 한 달에 약 2cm 이상 자라고, 상기 방법들은 한 번에 머리털 가닥내 특정 부분만을 검색할 수 있으므로 검색전 확인이 안된 실제 유방암 발병 시의 물질대사가 반영된 머리털 부위에 대한 검색을 무한정으로 할 수 없는 제약이 따르므로, 유방암의 발병에 따른 구조적 변화 와 발병시 부위를 국한(localize)할 수 있고, 한 번에 부위 전체구조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영상학적 진단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X-선 회절을 이용한 모발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X-선 회절에 의한 분석 대상은 모발전체라기 보다는 거대섬유다발(macro fibril) 및 미세섬유다발(micro fibril)보다 훨씬 작은 영역의 피질세포막(cell membrane)의 지질이며, 케라틴 단백질 내의 미세한 변화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진단방법은 분석 대상이 너무 협소하고 제한적이어서 전체 구조 변화를 검출할 수 없다는 것과 발병 시기적 정보를 얻기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6,718,007호 PCT공개특허 WO 03/060513호 PCT공개특허 WO 2008/134800호
Maryakhina V.S, Scheglova L.S., Anenkova K.A. Change of optical properties of hair cells during malignant tumour development. J of Biomedical photonics & Eng 1, 59-63 (2015). Corino G.L. and French P.W. Int.Diagnosis of breast cancer by X-ray diffraction of hair. J. Cancer: 122, 847-856 (2008). Mistry D.A.H, Haklani J and French P.W. Identification of Breast Cancer-Associated Lipids in Scalp Hair. Breast Cancer: Basic and Clinical Research 6, 113-123 (2012) Lyman D.J. and Fay S.G, The effect of breast cancer on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attenuated total reflection spectra of human hair ecancer 8, 405 (2014).
본 발명은 모발의 전체적인 변화를 통해 유방암을 체외에서 진단할 수 있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을 포함한 현장진단적(POCT;point of care technology)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외 진단의 보편화를 위해서라도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진단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체외 유방암 POCT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험대상자로부터 얻어진 머리털 시료로부터 유방암 판정의 특이성과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료 후 예후판정 등의 바이오 표지자로 활용될 수 있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모발을 이용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는 광원, 시료홀더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모발의 구조를 길이 방향에 따라 영상화하는 영상 획득부, 및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화된 모발의 구조 이미지를 정상인의 모발 구조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정상인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 영역의 이미지와 영상화된 상기 모발의 구조 중 대응되는 수질 영역의 이미지를 비교하고,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모발 중 수질 요소의 비율 변화에 따라 유방암 여부 또는 진행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이라 함은 머리털, 음모, 기타 체모를 포함하는 종모(terminal hair)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단방법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지점만 검색하는 X-선 회절법과는 달리, 모발 중 특정 요소의 구조를 영상화하고, 영상화된 요소의 증감에 따라 유방암 여부 또는 진행 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화된 요소라 함은, 일 예로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이 될 수 있으며, 영상화된 요소는 단일 요소 또는 복합 요소로 정의될 수가 있다. 유방암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모발의 구조 중 수질의 부분적으로 상실되거나 끊기는 정도가 심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그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모발의 구조 중 수질 영역을 영상화하고, 영상화된 수질(medulla) 구조의 상실된 비율을 계산하고, 정상인 모발의 구조와 대비하여 수질이 상실된 정도에 따라 유방암을 초기에 발견하거나 진행 상황을 예측하도록 할 수가 있다.
모발의 수질 영역을 영상화함에 있어서,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모발의 뿌리부분부터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예를 들어 2~5cm 단위의 규칙적인 간격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모발의 수질 구조를 영상화할 수 있다. 아니면,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모발 중 두피에 인접한 뿌리 부분, 끝 부분 및 그 중간 부분에 대응하여 모발의 구조 중 수질 영역을 영상화할 수도 있다.
모발의 구조를 길이 방향에 따라 영상화하는 단계에서, 영상 획득부의 시료홀더는 모발을 소정의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선에 노출하고, 영상 획득부는 광선에 노출된 모발에 의해서 회절된 회절광과 회절되지 않은 직접광 간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모발 내의 수질 구조를 영상화할 수가 있다. 가시 광선만으로는 직접 노출시켜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단면 구조를 파악할 수 없으며,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을 이용하되 위상차를 이용하여 단면 구조를 영상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정상인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r) 구조와 영상화된 모발의 구조 중 수질 구조를 비교함에 있어서, 수질(medulla)에서의 회절과 모발의 수질-표질 간의 굴절지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위상차 대조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에 추가하여 모발의 수질-표질 간 적외선 광선의 흡수 및 투과차이 효과를 더 부가하여 모발 내의 수질 구조를 영상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는 모발을 이용하되 종래와 같이 나노 단위의 성분 분석을 통해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유방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모발 중 수질 구조를 이용하고, 모발 단면내 피질지질의 전체적인 변화를 통해 유방암을 간단하게 체외에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는 적외선 등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단면 구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방사광 X-선과 같이 휴대가 불가능한 장비가 아닌 스마트폰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장비로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시험대상자로부터 얻어진 머리털 시료로부터 유방암 판정의 특이성과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료 후 예후판정 등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머리털의 끝 부분, 뿌리 부분, 중간 부분에서 2D 또는 3D 방사광 X-선 나노스코피, 마이크로 단층영상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광학적 위상차 현미경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 영상법을 이용하여 시험대상자의 머리털로부터, 수질의 상실(medulla loss) 등 구조변형을 검출하여, 정상인의 머리털과 비교시 유방암 판정 특이성과 감도가 크게 향상 됨을 보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X-선 회절을 이용한 모발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단색광 X-선을 이용해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구현한 결과에 따라 정상인 모발과 유방암 환자의 모발 구조를 비교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정상인 모발의 수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유방암 환자 모발의 수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중 시료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적외선 스펙트로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100)는 영상 획득부 및 비교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영상 획득부는 적외선 광원(110), 집광렌즈-고리조리개(120), 집광렌즈(130), 시료 홀더(140), 대물렌즈(150), 위상판(160) 및 이미지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소정의 지지체 또는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집광렌즈-고리조리개(120)는 링 형상의 개구를 가지며, 적외선 광원(110)에서 발생된 빛은 고리조리개(120)에 도달하기 전에, 집광 렌즈 등의 광학소자(미도시)에 의해 미리 평행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고리조리개(120)에서 링 형상의 개구를 통과한 빛은 링 형상의 광선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집광렌즈(130)는 고리조리개(120)에 의해서 링 형상으로 변환된 광선을 시료 홀더(140)에 있는 모발에 집광시킬 수 있다. 집광렌즈(130)에 의해서 집광된 광선은 시험의뢰인의 모발에 결상될 수 있다. 고리조리개(120)는 집광렌즈(130)의 초점 평면 앞에 놓여 있으며, 투시하는 광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110)은 적외선 다이오드로 약 700~1000000 nm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것으로, 이 광선으로 머리털을 충분히 투과할 수 있도록 결정되었다. 대상이 되는 머리털이 적외선 흡수가 적은 실리콘 모세관에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머리털에 의한 굴절된 광과 시료주변을 통과한 광이 충분히 투과되도록 하였다. 고리조리개(120)와 위상판(160) 기구를 통해 위상차 영상대조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발로 조사된 광선은 모발의 내부를 투과하는 직접광과 모발 내의 위상 물체에 의해서 회절된 회절광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회절광은 모발의 위상 물체에 의해서 회절함과 동시에, 위상이 원래 파장의 약 4분의 1만큼 늦어질 수 있다.
모발에 의해서 분리된 직접광과 회절광의 진행 방향에는 대물렌즈(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위상판(160)이 광학계의 눈 위치 즉, 대물렌즈(150)의 후측 초점위치에 배치되어 고리조리개(120)와 공역 관계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절광은 시료를 통과하는 직접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면서 위상을 약 λ/4 만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쾰러(Kohler) 조사 조건에서는 직접광이 대물렌즈(150)의 후방 초점 평면에서 밝은 고리로 초점이 맞추어 질 수 있다. 모발을 통과해서 회절된 회절광은 D-wave로서 대물렌즈(150) 후방 조리개상 회절평면에서 모발 내부의 위상물체의 광산란구조의 크기, 숫자, 굴절지수에 따라 다른 분포를 이루며, 위상판(160)의 영향을 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진단장치(100)는 모발 내의 수질(medulla)에서의 회절과 수질-표질(medulla-cortex) 간의 굴절지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위상차 대조 효과를 생성하여, 특허 모발 내의 수질 구조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모발 내의 위상물질, 즉 수질(medulla)의 구조를 검출하기 위해서, 적외선 광원 외에도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광 가속기의 모노크로매타를 통해 생성된 단색광 X-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르리움 복합굴절렌즈, 디퓨저(diffuser), 핀홀(pin hole) 시료홀더-고니오미터, 동심구역판 대물렌즈(zone plate), 위상판, 섬광계-렌즈-CCD 영상검출기 등이 광학계를 구성할 수가 있다.
도 3은 단색광 X-선을 이용해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구현한 결과에 따라 정상인 모발과 유방암 환자의 모발 구조를 비교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체외 유방암 진단을 위한 모발 위상차 영상법은 모발, 즉 피실험자의 머리털에 의해 회절되는 빛과 주변의 비회절 빛을 구분하여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르니케(Zernike) 위상차 대조를 구현하기 위해, 구멍난 알루미늄 필름 위상판은 동심원구역판 대물렌즈의 후방 초점 평면 부근에 두고 회절된 빛이 π/2의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두께를 결정해서 명시야(bright filed)에서 시료의 영상이 어둡게 보이도록 했다.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나노스코피 머리털 구조 영상진단기는 제르니케(Zernike) 위상차 광학계를 사용하여 머리털 내 수질(medulla)에서의 회절과 수질-표질 간의 굴절지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위상차 대조 효과에, 수질-표질 간 X-선 흡수 및 투과차이 효과를 부가하여 영상 대조 효과를 생성 머리털 내부 구조, 특히 수질(medulla)의 구조를 검출함으로써 유방암을 진단하게 할 수 있다.
방사광 X-선 나노스코피 실험을 위해서, 20 mm-주기의 언듈레이터(undulator)형 전자가속기에서 나온 고휘도 X-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 이중결정 단색광 장치를 통해 약 6.78 KeV의 X-선 이 도출될 수 있다. FOV를 확대시키기 위해 시료는 복합굴절렌즈의 초점 평면에서 약간 떨어져 위치하였으며, 머리털 시료로부터 회절된 빛이 동심원 회절판(zone-plate) 대물렌즈의 의해 초점이 위상판에 맺어지도록 하였다. 약 6.78 keV에서, 대물렌즈의 첫째 초점거리는 40 mm로 FOV는 약 110㎛이며, 해상도는 100 nm 이었다. 영상 검출기는 18㎛ 두께의 10㎛ 크기의 LSO:TB 섬광계, 20 x 3 대물렌즈 와 4096 x 4096 개 화소를(9㎛) 가진 CCD 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X-선 또는 가시광선 주변 영역의 빛에 의해서 머리털 구조내 수질(medulla) 조직, 표질(cortical) 조직간의 굴절 지수, 산란 등의 광학적 특성 변화에 의한 효과를 영상적으로 대조화 함으로써, 시험의뢰인의 머리털 시료에서 수질 조직 손상, 표질 세포간 특정 지질 형성 등을 검출하여 유방암을 스크리닝진단하는 새로운 체외 현장진단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상인 및 유방암 환자의 모발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발 중 일부(약 2mm) 샘플을 대상으로 횡방향 단면도, 종방향 단면도 및 3D 렌더링을 도시하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좌), 수질이 완전히 원통은 아니지만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이며 선명하게 보였다. 하지만, 유방암 환자의 경우 연속되지 않고 끊어져 보이는 부위(중간)와 함께, 아예 수질이 완전하게 상실된 경우(우)도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모발 중 중간 부분이나 끝 부분에서 수질이 완전히 상실된 경우(CML: complete medulla loss)는 말기 암환자의 모발에서 발견되었으며, 모발의 뿌리 부분에서 완전히 상실되지는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끊긴 수질 구조가 발견되었다. 반면, 유관 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초기 단계의 환자의 경우에서는 끝 부분에서만 완전 상실된 경우(CML)이 발견되고 뿌리 부분에서는 수질이 존재하였지만, 중간 부분에서 수질과 표질 간의 약한 대비(weak contrast)가 발견되었다.
도 4는 정상인의 모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유방암 환자의 모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모발 가닥 중 뿌리 부분(0.5cm), 중간 부분(5.0cm), 끝 부분(8.5cm)을 약 2mm 정도의 길이로 관찰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체외 유방암 진단장치를 이용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상인의 경우 직선 또는 섬과 같이(island-like) 비연속적, 점선(dotted) 형상의 수질 구조가 발견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인에게서는 전형적인 연속된 수질 구조를 보여준다. 물론, 대상의 연령이 노령에 근접할수록 비연속적인 영역이 존재하지만, 완전히 상실된 영역(CML)은 발견되지 않을 수 잇다.
하지만, 도 5를 참조하면, 환자의 경우 수질이 상실되어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no-line), 섬과 같은 비연속적 또는 점선 형상의 수질 구조가 발견될 수 있다. 암 환자의 경우, 정상인의 비슷한 연령과 비교할 때, 수질이 완전히 상실된 경우(CML), 비연속적으로 상실된 경우(DML: discontinuous medulla loss) 또는 자취만 남아 있는 경우(TML: trace medulla loss)의 비율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인의 경우, 80세 이상의 고령이라고 해도, 완전히 상실된 경우(CML)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암환자의 경우 60세 이하에서도 완전히 상실된 경우(CML)이 발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상인의 건강한 모발의 경우 수질과 표질이 비교적 잘 대비가 되며, 나이가 들수록 조금씩 수질의 지름이 줄어들거나 표질과의 구분이 흐릿해지는 것은 발견될 수 있다. 하지만, 유방암 환자의 경우 특히 뿌리 부분에서 수질 상실(medulla loss)의 가능성이 증가하며, 모발내 수질 상실의 위치는 암 발생 시기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중 시료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료홀더(240)는 광학 윈도우(244)가 형성된 실린더(242)를 포함하며, 실린더(242)는 모발(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U-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실린더(242) 내부에는 모발(10)의 단부가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가 형성된 가이드(246)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246)는 별도의 슬라이드 장치 또는 수동 작업에 의해서 모발(10)을 이동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발의 뿌리 부분, 중간 부분 및 끝 부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가이드(246)는 모발(10)의 단부를 고정시킨 후, 실린더(242) 내부를 이동하면서 촬영되는 영역이 광학 윈도우(244)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적외선 스펙트로 영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300)는 적외선 광원(310), 가시광선 광원(312), 제1 회전 거울(turning mirror)(320), 슈바르츠쉴트 콘덴서렌즈(330), 시료 홀더(340), 슈바르츠쉴트 대물렌즈(350), 제2 회전 거울(360), 제3 회전 거울(365) 및 이미지센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소정의 지지체 또는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모발의 배치 상태 등을 확인하기 광원으로는 가시광선 광원(312)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면 구조나 스펙트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광원(31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펙트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2 회전 거울(360)이 적외선 광원(310)으로 방출되어 시료를 통과한 적외선을 적외선 스펙트로미터(375)로 안내할 수가 있다.
적외선 광원(310)은 적외선 다이오드로 약 700nm 이상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체외 유방암 진단장치 110 : 광원
120 : 고리조리개 130 : 집광렌즈
140 : 시료 홀더 150 : 대물렌즈
160 : 위상판 170 : 이미지 센서

Claims (9)

  1.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모발을 이용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에 있어서,
    광원, 시료홀더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모발의 구조를 길이 방향에 따라 영상화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영상화된 상기 모발의 구조 이미지를 정상인의 모발 구조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정상인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 영역의 이미지와 영상화된 상기 모발의 구조 중 대응되는 수질 영역의 이미지를 비교하고, 상기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모발 중 수질 요소의 비율 변화에 따라 유방암 여부 또는 진행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영상화된 상기 모발의 구조 중 수질(medulla) 요소의 상실된 비율을 계산하고, 유방암 여부 또는 진행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모발의 뿌리부분부터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상기 모발의 구조 중 수질 영역을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상기 모발의 뿌리부분, 중간 부분 및 끝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모발의 구조 중 수질 영역을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홀더는 상기 모발을 상기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선에 노출시키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광선에 노출된 상기 모발에 의해서 회절된 회절광과 회절되지 않은 직접광 간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모발 내의 수질 구조를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정상인 모발 중 수질(medulla) 영역의 이미지와 영상화된 상기 모발 중 수질 영역의 이미지를 비교함에 있어서, 수질(medulla)에서의 회절과 상기 모발의 수질-표질 간의 굴절지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위상차 대조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모발 내의 수질 영역을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모발의 수질-표질 간 상기 광선의 흡수 및 투과차이 효과를 더 부가하여 상기 모발 내의 수질 구조를 영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700~1000000 nm의 파장대를 갖는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홀더는 광학 윈도우가 형성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모발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모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U-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실린더 내부를 이동하면서 고정된 상기 모발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KR1020160181159A 2016-12-28 2016-12-28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KR10193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59A KR101931754B1 (ko) 2016-12-28 2016-12-28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59A KR101931754B1 (ko) 2016-12-28 2016-12-28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02A KR20180076702A (ko) 2018-07-06
KR101931754B1 true KR101931754B1 (ko) 2018-12-24

Family

ID=629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159A KR101931754B1 (ko) 2016-12-28 2016-12-28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457A1 (en) * 2020-06-15 2021-12-23 Bragg Analytics, Inc. Diffraction-based global in vitro diagnosti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34536A (zh) 2020-06-15 2023-05-16 布拉格分析股份有限公司 基于衍射的全局体外诊断系统
CN115769069A (zh) 2020-06-15 2023-03-07 Eos诊断公司 基于衍射仪的全局原位诊断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457A1 (en) * 2020-06-15 2021-12-23 Bragg Analytics, Inc. Diffraction-based global in vitro diagnost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02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laway et al. Advanc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Raman spectroscopy for cancer diagnostics
US80782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luorescent light images
JP5986670B2 (ja) マルチスペクトルフォトニック画像化方法及び装置
AU2015284810B2 (en) Raman spectroscop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characterizing, and/or diagnosing a type or nature of a sample or a tissue such as an abnormal growth
US20090326385A1 (en) Obtaining optical tissue properties
Seidenari et al. Multiphoton laser tomography and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of basal cell carcinoma: morphologic features for non‐invasive diagnostics
JP2003527916A (ja) 診断用マルチスペクトルデジタル画像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362983B2 (en) Near infrared photonic prostatoscopy analyzer
US20080076985A1 (en) Raman Spectral Analysis Of Sub-Surface Tissues And Fluids
EP232562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roscopy of biological tissue
EP368220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a sample using raman spectroscopy
KR101931754B1 (ko)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장치
US20090326359A1 (en) Method of in vivo detection and/or diagnosis of cancer using fluorescence based dna image cytometry
JP2009504303A (ja) 皮膚上の癌前駆体、母斑及び腫瘍を検知するとともに識別し、早期診断に利用可能な視覚光学と受動赤外線を用いた複合技術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20140163389A1 (en) In vivo detection of eosinophils
Zhao et al. Real-time Raman spectroscopy for noninvasive in vivo skin analysis and diagnosis
CA2674559C (en) Biometric diagnosis
KR101905975B1 (ko) 플라즈몬 라만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장치
KR101931755B1 (ko) 모발 구조의 영상 스크리닝을 통한 체외 유방암 스크리닝 진단용 소형 모듈
Zhao et al. Auxiliary diagnosi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based on spectral phenotype
US202200995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ancerous tissue and tumor margin using raman spectroscopy
KR20190079187A (ko) 다중 모달 융합 내시경 시스템
JP2017029533A (ja) 光学測定方法及び光学測定装置
Zakharov et al. Combined autofluorescence and Raman spectroscopy method for skin tumor detection in visible and near infrared regions
US20170164837A1 (en) Intraoperative guidance system for tumor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