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644B1 -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 Google Patents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644B1
KR101931644B1 KR1020170127700A KR20170127700A KR101931644B1 KR 101931644 B1 KR101931644 B1 KR 101931644B1 KR 1020170127700 A KR1020170127700 A KR 1020170127700A KR 20170127700 A KR20170127700 A KR 20170127700A KR 101931644 B1 KR101931644 B1 KR 10193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layer
place
recognition
c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호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주)가치교육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치교육컨설팅 filed Critical (주)가치교육컨설팅
Priority to KR102017012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세트는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로서, 다수개의 블록으로 구획되어 특정 마을을 나타내고, 상기 다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일부는 주택 또는 상점을 나타내는 장소 블록 및 플레이어 말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블록을 포함하는, 맵 보드판; 각 플레이어에게 소정 수량 공급되는 플레이어 카드; 매 턴마다 상기 주택 또는 상기 상점의 경쟁력을 유지 또는 감소시키는 낯선 이의 투자카드; 상기 장소 블록에 놓여지며, 기존 주택 또는 기존 상점을 나타내는 제1면과 낯선이의 주택 또는 낯선이의 상점을 나타내는 제2면이 각각 독립적으로 인쇄되어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장소 타일; 및 상기 주택 또는 상점의 경쟁력을 나타내며, 상기 플레이어 카드 또는 상기 낯선 이의 투자카드에 의해 상기 장소 블록에 할당되거나 상기 장소 블록으로부터 반납되는 큐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GENTRIFICATION EDUCATIONAL BOARD GAME SE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젠트리피케이션 사회 환경을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보드게임에 관한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란,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주민들의 평균 소득이 향상되는 등의 일부 장점이 있긴 하지만, 재활성화된 지역의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원래의 거주자들 또는 상인들이 대부분 오랫동안 살아왔던 동네를 떠날 수 밖에 없어 기존 지역 생태계가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과거에는 흥미 또는 재미 위주의 보드게임이 주로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재미뿐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드게임이 점차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4600호, 2013.08.0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의 플레이어들이 특정 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화를 억제하도록 협력/소통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 사회 환경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보드게임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세트는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로서, 다수개의 블록으로 구획되어 특정 마을을 나타내고, 상기 다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일부는 주택 또는 상점을 나타내는 장소 블록 및 플레이어 말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블록을 포함하는, 맵 보드판; 각 플레이어에게 소정 수량 공급되는 플레이어 카드; 매 턴마다 상기 주택 또는 상기 상점의 경쟁력을 유지 또는 감소시키는 낯선 이의 투자카드; 상기 장소 블록에 놓여지며, 기존 주택 또는 기존 상점을 나타내는 제1면과 낯선이의 주택 또는 낯선이의 상점을 나타내는 제2면이 각각 독립적으로 인쇄되어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장소 타일; 및 상기 주택 또는 상점의 경쟁력을 나타내며, 상기 플레이어 카드 또는 상기 낯선 이의 투자카드에 의해 상기 장소 블록에 할당되거나 상기 장소 블록으로부터 반납되는 큐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면이 노출되는 장소 타일은 상기 큐브가 상기 장소 타일에 남지 않게 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2면이 노출되도록 놓여지며, 상기 맵 보드판에서 제2면이 노출된 장소타일의 종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게임이 종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게임세트는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단계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각 인지도 단계에 따라 낯선 이의 투카카드를 뽑아야 하는 개수의 텍스트가 인쇄되는 인지도 표시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게임세트는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에 끼워지는 인지도 지시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지도 지시 클립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가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제2 지시부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도 지시 클립은,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에 인쇄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과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게임세트는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단계가 소정 단계에 도달 시,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게임이 종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어 카드는, 상기 장소 블록에 대응되는 장소카드,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등급의 상승을 지시하는 인지도 상승 카드, 및 특정 지령이 적혀 있는 이벤트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큐브는 플레이어가 소지한 장소카드의 반납에 의해 플레이어 말과 인접한 장소 블록에 대하여 소정 개수만큼 추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카드는 큐브 추가 카드 및 큐브 제거 면제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큐브는 플레이어가 소지한 상기 큐브 추가 카드의 반납에 따라 임의의 장소 블록에 소정 개수만큼 놓여지며, 플레이어가 소지한 상기 큐브 제거 면제카드의 반납에 따라 상기 낯선 이의 투자 카드가 해당 턴에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게임세트는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은 플레이어가 소지한 동일한 종류의 장소카드가 한 턴에 소정 개수 이상 반납되는 경우, 플레이어 말과 인접한 장소 블록 중 상기 동일한 종류의 장소카드에 해당되는 장소 블록에 놓여지며,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이 놓여진 장소 블록의 종류 및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이 놓여진 총 개수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되지 않은 것으로 게임이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세트에 의해 사용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젠트리피케이션 사회 환경을 익힘으로써 자연스럽게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학습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어들이 상호 협력해서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인식뿐만 아니라 협력과 소통을 통한 가치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맵 보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소타일과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 중 장소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 중 인지도 상승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 중 이벤트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미션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낯선 이의 투자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도 표시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인지도 지시 클립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게임세트(10)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협력 및 소통하여 특정 마을에서 발생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저지하는 것을 게임의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보드게임세트이다. 게임은 다수의 플레이어가 서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며, 공통된 과업을 달성하는 경우 게임을 클리어하는 것으로 구성 및 정의된다. 즉, 젠트리피케이션을 저지하는 소정의 조건을 달성한 경우에는 모든 플레이어들이 이긴 것으로 게임이 종료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플레이어들이 모두 진 것으로 게임이 종료된다. 이러한 보드게임세트(10)는 맵 보드판(100), 플레이어 카드(200), 낯선이의 투자카드(300), 장소타일(400), 게임 미션 카드(450), 큐브(500), 인지도 표시 카드(600),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 플레이어 말(800), 그리고 주사위(9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보드게임세트(10)의 각 구성에 대해 이하의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맵 보드판(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맵 보드판(100)은 다수개의 블록으로 구획되는 하나의 특정 마을을 나타낸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맵 보드판(100)은 가로 10블록 세로 7블록을 포함하여 총 70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온새미로 마을”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맵 보드판(100)의 상기 다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일부는 주택 또는 상점을 나타내는 장소 블록(110) 및 플레이어 말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블록(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소 블록(110)은 4개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예공방’, ‘음식점’, ‘카페’, ‘주택’을 나타내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쇄된 장소 블록(110)이 각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성될 수 있다. ‘공예공방’, ‘음식점’, ‘카페’는 특정 마을의 상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게임에서 주택과 함께 프랜차이즈화 되는 현상으로부터 지켜야 할 대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소 블록(110)의 4개의 종류로 한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른 종류의 장소 블록이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경로 블록(120)은 플레이어가 던지는 주사위(900)의 숫자에 따라 플레이어 말(800)이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는 블록이다. 플레이어 말(800)은 특정 방향과 관계없이 주사위(900)가 던져진 수 이하만큼 이동하여 경로 블록(120)에 놓여지거나, 플레이어의 의지에 따라 별도 이동 없이 기존에 위치한 경로 블록(120)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맵 보드판(100)은 부가 블록(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블록(130)은 플레이어 말이 이동할 수 없으며,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장소 블록(110)과도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향후 개인 미션 카드(450)의 지령과 관계되어 득점 획득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부가 블록(130)은 공원이 그려진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개인 미션 카드(450) 중 적어도 일부는 “공원 옆에 있기”라는 텍스트가 인쇄되어 게임 종료 시 해당 카드에 인쇄된 점수를 득점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소타일(400)과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소타일(400)은 게임 시작 시 맵 보드판(100)에 세팅된다. 구체적으로, 장소타일(400)은 맵 보드판(100)에 포함된 장소블록(110)에 대응되어 올려진다. 예를 들어, ‘공예공방’의 장소블록(110)에는 공예공방에 해당하는 장소타일(400)이 올려지며, ‘주택’의 장소블록(110)에는 주택에 해당하는 장소타일(400)이 올려진다. 이러한 장소타일(400)의 제1면(예: 앞면)에는 해당 특정 마을의 기존 주택 또는 기존 상점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인쇄되며, 장소타일(400)의 제2면(예: 뒷면)에는 해당 특정 마을에 들어선 낯선이의 주택 또는 낯선이의 상점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인쇄된다. 낯선이의 주택 또는 낯선이의 상점은 해당 주택 또는 상점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기존 마을에 있던 고유의 카페가 체인점 내지 프랜차이즈 점으로 바뀌는 경우, 해당 마을의 고유상권이 외부 요인에 의해 잠식된 것으로 본 게임에서 해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소타일(400)에는 주택 또는 상점의 경쟁력을 의미하는 큐브(500)가 올려진다. 큐브(500)는 사용자가 가진 플레이어 카드(200) 중 장소카드(210)의 사용에 따라 소정 개수(예: 2개)만큼 장소타일(400)에 올려지며,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의 지령에 따라 소정 개수만큼 회수된다. 이러한 큐브(500)가 장소타일(400)에 하나도 남지 않게 되는 경우, 해당 장소타일(400)은 제2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어 프랜차이즈화 됨을 인식하게 한다.
주택 또는 상점이 프랜차이즈화 되지 않도록 상기와 같은 큐브(500)를 이용하여 경쟁력을 키워줌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사례를 학습할 수 있다. 이는 부동산 투자 협동조합이 마을의 상점들을 직접 소유하여 외부자본에 의해 마을 상점들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사례 중 하나를 표현한 것으로, 소유라는 개념을 넣기보다는 경쟁력 큐브의 추가를 통해 마을의 상점에 힘을 불어넣는다는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은 주택 또는 상점의 임차인이 임대인과 공정하게 임대를 체결함으로써 기존마을의 상권 또는 주택이 유지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게임에서 해석된다.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은 해당 장소블록(110)과 인접한 영역에 플레이어 말이 위치할 때, 플레이어가 상기 장소블록(110)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예: 3장)의 장소 카드(210)를 반납하게 되는 경우 장소블록(110)에 올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공정임대료 협약은 성동구청이 2016부터 시행하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지속가능발전 정책 중 하나로서, 건물주가 상권의 활성화에 따라 급격하게 임대료를 올리지 않고 임차인과의 상생을 위해 단계적인 협의에 따른 임대료 결정을 하도록 독려하는 정책이다. 성동구청에서는 이에 대한 조례를 신설하고 성수동 인근의 건물주 및 임차인에게 권고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여러 기관 및 단체들과도 MOU를 체결하고 있는 점을 본 게임에 반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소타일(400)과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은 젠트리피케이션 사회적 현상과 가장 관련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본 게임에서의 승리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도구들이 된다. 예컨대, 본 게임에서 한 종류의 모든 장소타일(400)이 모두 제2면이 노출되는 이벤트가 발생되거나(즉, 어느 한 업종이라도 모두 프랜차이즈화 된 경우), 제2면이 노출된 장소타일(400)의 개수가 소정 개수(예: 8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게임이 종료된다. 이와 반대로, 마을에 있는 모든 업종(공예공방, 카페, 음식점, 주택)이 모두 1개 이상씩, 소정 개수(예: 7개)의 장소에서 공정임대료 협약을 체결하게되면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되는 것으로부터 지켜지게 되어 게임이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200) 중 장소 카드(2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소 카드(210)는 음식점(211), 카페(213), 공예공방(215), 주택(217)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해당 카드에는 같은 장소카드를 총 3장 모으면 공정임대로 계약을 맺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인쇄된다. 이러한 장소 카드(210)는 장소 별로 소정 배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플레이어 카드 40장 중 음식점 7장, 카페 7장, 공예공방 7장, 주택 7장으로 총 28장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200) 중 인지도 상승 카드(230A, 230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지도 상승 카드(230)는 마을의 인지도 단계를 상승시킨다. 마을의 인지도가 상승하게 되어 소정 단계를 넘어가게 되면 본 게임은 종료된다. 마을이 너무 평범해져 관광객의 흥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도 상승 카드(230)가 플레이어 카드 더미에서 뽑히게 되는 경우, 어떤 플레이어가 뽑게 되든 관계없이 효력이 발생되고 인지도 상승 카드(230)에 인쇄된 지령 내용에 따라 본 게임에서 이를 반영하게 된다. 인지도 등급을 반영하는 방법은 후술할 인지도 지시 클립(650)의 구조로서 지시되어 플레이어들에게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인지도 상승 카드(230)는 전체 플레이어 카드(200) 개수 중 비교적 소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 카드가 총 40장이라면, 인지도 상승 카드(230)는 2장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어 카드(200) 중 이벤트 카드(2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카드(250)는 경쟁력 큐브 추가 카드(251), 큐브 제거 면제 카드(253) 및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2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은 예로서, 경쟁력 큐브 추가 카드(251)는 총 4개, 큐브 제거 면제 카드(253)는 총 3개,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255)는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경쟁력 큐브 추가 카드(251)에는 원하는 위치에 큐브(500)를 추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쇄된다. 플레이어는 경쟁력 큐브 추가 카드(251)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장소타일(400)에 큐브(500)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에 의해 회수된 큐브(500)를 특정 장소타일(400)에 추가함으로써 해당 장소가 프랜차이즈화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큐브 제거 면제 카드(253)에는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의 효력을 1회에 한해 상실시키는 기능을 지령하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쇄된다. 즉, 플레이어가 큐브 제거 면제 카드(253)를 사용하여 플레이어 카드 더미에 반납하면, 낯선이의 투자카드(300)를 해당 턴에 뒤집지 않게 함으로써 큐브(500)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마을의 장소가 프랜차이즈화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프랜차이즈화 복원 카드(255)에는 프랜차이즈화된 건물을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지령하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쇄된다. 즉, 플레이어가 프랜차이즈화 복원 카드(255)를 사용하여 플레이어 카드 더미에 카드를 반납하면, 플레이어 말(800)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2면이 노출되어 있는 특정 장소타일(400)을 제1면이 노출되도록 해당 장소타일(400)을 뒤집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면이 노출된 장소타일(400)에는 하나의 큐브(500)가 올려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미션카드(4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인미션카드(450)는 다양한 지령이 인쇄된 카드들(450A, 450B, 450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미션카드(450)는 협력게임에서 좀처럼 발생되기 힘든 플레이어간의 경쟁을 자극하는 엔터테인적인 요소로 사용되어진다. 즉, 플레이어들은 게임정책에 따라 초기에 개인미션카드(450)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 게임 종료시 소지하고 있는 개인미션카드(450)에 인쇄된 지령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각 플레이어별로 스코어가 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는 플레이어들의 매 턴마다 효력이 발생하여 게임에 적용된다. 즉, 플레이어(300)는 해당 턴에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 더미에서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뒤집어야 한다. 다만, 플레이어는 큐브 제거 면제 카드(253)를 사용함으로써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뒤집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는 마을이 프랜차이즈화되도록 유도하는 패널티 카드이다. 즉, 플레이어들은 매 턴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에 의해 발생되는 패널티 효과를 플레이어 카드(200)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억제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는 큐브를 제거하는 업종의 종류 및 큐브제거의 개수를 지령하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는 특정 업종의 경쟁력을 제1 수치(예: 1)만큼 줄어들게 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된 카드(300A), 특정 업종의 경쟁력을 제2 수치(예: 2)만큼 줄어들게 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된 카드(300B), 경쟁력의 감소를 유예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된 카드(300C) 및 여러 업종의 경쟁력을 제3 수치(예: 1)만큼 줄어들게 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된 카드(300D)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에서의 경쟁력 감소는 주택 또는 상점 중 가장 경쟁력이 약한 곳부터 줄어들도록 하는 지령이 인쇄될 수 있다. 즉,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가 적용되어 큐브(50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장소 타일(400)에 놓여진 큐브(500)들의 개수가 가장 적은 곳의 큐브(500)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의 도입은 가장 경쟁력이 약한 상점부터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학습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는 마을 고유 상점의 경쟁력을 낮추어 쉽게 프랜차이즈화 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낯선 이의 투자”라는 단어는 마을과 전혀 관련이 없던 자본이 마을의 유명세 때문에 상권이 활성화되는 모습만 보고 들어오는 현상을 표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도 표시 카드(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지도 표시 카드(600)는 마을의 인지도를 표시하는 카드이며, 일 영역(601)에 소정의 인지도 단계(예: 0단계부터 7단계)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각 인지도 단계에 따라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뽑아야 하는 개수의 텍스트가 인쇄된다. 이러한 인지도 표시 카드(600)는 인지도 지시 클립(650)와 결합되어 현재의 인지도 단계를 노출시킴으로써 플레이어들에게 인지도 단계를 인식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계는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영역들은 단계에 따라서 각 단계별로 색상 또는 명암이 구별되어 인쇄될 수 있다.
인지도 표시 카드(600)는 인지도 표시 단계가 높아질수록 마을은 점점 유명해지고 그에 따라 낯선 이의 투자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현상을 학습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인지도 단계가 높아질수록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뽑아야 하는 개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마을이 유명해질수록 외지인들의 자본 투자가 더욱 급격하게 이루어짐을 학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와 같은 인지도 지시 클립(65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지도 지시 클립(65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에서는 상부면에서 바라본 인지도 지시 클립(650A)과 측면에서 바라본 인지도 지시 클립(650B)이 동시에 도시된다. 이러한 인지도 지시 클립(650)은 본체부(651), 제1 지시부(653), 제2 지시부(655) 및 홈부(657)를 포함한다.
제1 지시부(653)는 본체부(651)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시부(655)는 본체부(651)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지시부(65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지시부(653)와 제2 지시부(655)의 간격에 의해 홈부(657)가 형성되어 도 10 하단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지도 표시 카드(600)가 끼워진다. 이러한 인지도 지시 클립(650)의 구조에 의해, 플레이어는 제1 지시부(653) 또는 제2 지시부(655)를 취사 선택하여 인지도 표시 카드(600)에 끼움으로써 인지도 단계를 인식할 수 있고, 무의식적으로 끼워도 상기와 같은 인지도 지시 클립(650) 구조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인지도 단계를 지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지도 지시 클립(650)의 색상은 인지도 표시 카드(600)에 인쇄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구별되는 색(예: 빨간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레이어들이 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현재 마을의 인지도 단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각 게임수행의 방법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플레이어들이 정한 임의의 규칙에 의해 수행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11에 개시된 각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거나 상호간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게임의 시작을 위해, 맵 보드판(100), 장소타일(400) 및 큐브(500)가 셋팅된다. 예를 들어, 맵 보드판(100)상의 각 장소블록에는 해당 장소블록과 매칭되는 장소타일(400)이 놓여지게 되며, 각각의 장소타일(400)에는 소정 개수(예: 2개)의 큐브(500)가 놓여지게 된다.
그러면,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각 플레이어들이 주사위(900)를 던져 플레이어 말(800)을 이동시킨다(S1110). 이 경우, 플레이어들은 주사위(900)에 의해 던져진 숫자 또는 그 보다 더 적은 수만큼 경록 블록상에서 플레이어 말(800)을 이동시킬 수 있으나 아예 이동시키지 않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음으로, 플레이어들은 기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행동은 상점 경쟁력 추가,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 교환 및 공정 임대료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점 경쟁력 추가는, 플레이어 말(800)과 인접한 장소블록(예: 상하좌우)에 해당하는 장소카드(210)를 내고 해당 장소에 소정 개수(예: 2개)의 큐브(500)를 추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큐브(500) 추가에 의해 해당 장소블록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프랜차이즈 복원은, 해당 플레이어가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255)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플레이어 말(800)과 인접한 영역에 프랜차이즈화된 장소를 복원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는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255)를 플레이어 카드 더미에 반납하고 제2면이 노출된 장소타일(400)을 제1면이 노출되도록 뒤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변경에 의해, 프랜차이즈화된 상점 등을 기존의 상점으로 되돌림으로써 마을의 프랜차이즈화를 저지할 수 있다.
카드 교환은, 플레이어 말(800)의 이동에 따라 다른 플레이어 말(800)가 동일한 블록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중복되어 위치한 플레이어 말(800)에 해당하는 플레이어간에 카드를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드를 교환하는 것은 카드를 주거나 받는 행동 중 1가지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번에 1장만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공정 임대로 계약은, 플레이어가 동일한 종류의 장소카드(210)를 소정 개수 제출하고 인접한 장소블록에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을 놓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본 게임에서 해당 장소가 건물주와 공정한 협약을 맺었기 때문에 해당 장소가 프랜차이즈화에서 자유로워지게 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게임의 제1 종료조건이 충족되는지가 확인될 수 있다(S1130). 예컨대,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이 놓여진 장소 블록들이 모든 업종별로 하나 이상씩 구비되고, 총 7개의 장소에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700)이 놓여지게 되면 마을을 젠트리피케이션화로부터 지킨 것으로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게임이 종료된다. 이러한 종료는 상기와 같은 제1 종료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제1 종료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본 행동을 수행한 플레이어는 플레이어 카드를 배당받는다(S1140). 예컨대, 플레이어는 플레이어 카드(200) 더미에서 플레이어 카드(200) 2개를 지급받을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1명의 플레이어가 소지한 플레이어 카드(200)가 5장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선택에 의해 5장을 초과하지 않도록 플레이어 카드(200)를 반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플레이어는 낯선 이의 투자 카드를 발동시킨다(S1150). 즉, 플레이어는 플레이어 카드(200) 배당이 끝난 뒤, 낯선 이의 투자 카드(300)를 한장 빼서 뒤집게 된다. 만약, 플레이어가 큐브 제거 면제카드(253)를 사용했다면 낯선 이의 투자카드(300)를 해당 턴에는 뒤집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게임이 종료되기 위한 제2 종료조건이 충족되는지가 확인된다(S1160). 예를 들어, S1140 단계에서 플레이어 카드(200) 지급에 따라 인지도 상승 카드(230)가 개시되었고, 인지도 표시 카드(600)에 기재된 소정의 인지도 단계(예: 7단계)를 넘어서게 되는 인지도 단계(예: 8단계)로 진입되는 경우라면 본 게임은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이 종료된다. 또한, 낯선 이의 투자 카드(300)의 개시에 따라 큐브(500)가 제거되어 어느 한 업종이라도 모두 프랜차이즈화 된 경우 또는 프랜차이즈화된 장소가 소정 개수(예: 8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종료조건 충족 판단단계는 S115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S1140 단계 이후 또는 S1150 단계 이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제2 종료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본 게임은 다음 플레이어 턴에 따라 S1110 단계부터 S1150단계의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11에 의해 개시되는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10)에 의해, 플레이어들은 협력하여 쉽고 재미있게 젠트리피케이션 사회 환경을 익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보드게임세트 100: 맵 보드판
200: 플레이어 카드 210: 장소카드
230: 인지도 상승 카드 250: 이벤트 카드
251: 큐브 추가 카드 253: 큐브 제거 면제카드
255: 프랜차이즈 복원 카드 300: 낯선 이의 투자카드
450: 게임 미션 카드 400: 장소타일
500: 큐브 600: 인지도 표시 카드
650: 인지도 지시 클립 651: 본체부
653: 제1 지시부 655: 제2 지시부
700: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 800: 플레이어 말
900: 주사위

Claims (10)

  1.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로서,
    다수개의 블록으로 구획되어 특정 마을을 나타내고, 상기 다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일부는 주택 또는 상점을 나타내는 장소 블록 및 플레이어 말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블록을 포함하는, 맵 보드판;
    각 플레이어에게 소정 수량 공급되는 플레이어 카드;
    매 턴마다 상기 주택 또는 상기 상점의 경쟁력을 유지 또는 감소시키는 낯선 이의 투자카드;
    상기 장소 블록에 놓여지며, 기존 주택 또는 기존 상점을 나타내는 제1면과 낯선이의 주택 또는 낯선이의 상점을 나타내는 제2면이 각각 독립적으로 인쇄되어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장소 타일; 및
    상기 주택 또는 상점의 경쟁력을 나타내며, 상기 플레이어 카드 또는 상기 낯선 이의 투자카드에 의해 상기 장소 블록에 할당되거나 상기 장소 블록으로부터 반납되는 큐브를 포함하는, 보드게임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이 노출되는 장소 타일은 상기 큐브가 상기 장소 타일에 남지 않게 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2면이 노출되도록 놓여지며,
    상기 맵 보드판에서 제2면이 노출된 장소타일의 종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게임이 종료되는, 보드게임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단계를 나타내는 텍스트 및 각 인지도 단계에 따라 낯선 이의 투카카드를 뽑아야 하는 개수의 텍스트가 인쇄되는 인지도 표시 카드를 더 포함하는, 보드게임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에 끼워지는 인지도 지시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지도 지시 클립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지시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가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제2 지시부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도 지시 클립은, 상기 인지도 표시 카드에 인쇄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과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되는, 보드게임세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단계가 소정 단계에 도달 시,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된 것으로 게임이 종료되는, 보드게임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카드는,
    상기 장소 블록에 대응되는 장소카드, 상기 특정 마을의 인지도 등급의 상승을 지시하는 인지도 상승 카드, 및 특정 지령이 적혀 있는 이벤트 카드를 포함하는, 보드게임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는 플레이어가 소지한 장소카드의 반납에 의해 플레이어 말과 인접한 장소 블록에 대하여 소정 개수만큼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게임세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카드는 큐브 추가 카드 및 큐브 제거 면제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큐브는 플레이어가 소지한 상기 큐브 추가 카드의 반납에 따라 임의의 장소 블록에 소정 개수만큼 놓여지며,
    플레이어가 소지한 상기 큐브 제거 면제카드의 반납에 따라 상기 낯선 이의 투자 카드가 해당 턴에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보드게임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게임세트는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은 플레이어가 소지한 동일한 종류의 장소카드가 한 턴에 소정 개수 이상 반납되는 경우, 플레이어 말과 인접한 장소 블록 중 상기 동일한 종류의 장소카드에 해당되는 장소 블록에 놓여지며,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이 놓여진 장소 블록의 종류 및 상기 공정임대료 협약 타일이 놓여진 총 개수가 소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마을이 젠트리피케이션화 되지 않은 것으로 게임이 종료되는, 보드게임세트.
KR1020170127700A 2017-09-29 2017-09-29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KR10193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00A KR101931644B1 (ko) 2017-09-29 2017-09-29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00A KR101931644B1 (ko) 2017-09-29 2017-09-29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644B1 true KR101931644B1 (ko) 2018-12-21

Family

ID=6495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00A KR101931644B1 (ko) 2017-09-29 2017-09-29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6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550A (zh) * 2018-12-29 2019-05-07 福建天晴在线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中多物块拼接体的绘制方法及终端
CN111554152A (zh) * 2020-05-29 2020-08-1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学前心理学教学辅助装置
KR20210065578A (ko) * 2019-11-27 2021-06-04 (주)가치교육컨설팅 남북 화합 관련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KR20210103130A (ko) 2020-02-13 2021-08-23 (주)가치교육컨설팅 정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KR20220091949A (ko) * 2020-12-24 2022-07-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교육을 위한 보드 게임 세트
KR20220106459A (ko) * 2021-01-22 2022-07-29 홍원희 공동체 의식을 함양 시키기 위한 게임룰을 갖는 보드게임 세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550A (zh) * 2018-12-29 2019-05-07 福建天晴在线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中多物块拼接体的绘制方法及终端
CN109718550B (zh) * 2018-12-29 2022-04-12 福建天晴在线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中多物块拼接体的绘制方法及终端
KR20210065578A (ko) * 2019-11-27 2021-06-04 (주)가치교육컨설팅 남북 화합 관련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KR102351625B1 (ko) * 2019-11-27 2022-01-14 (주)가치교육컨설팅 남북 화합 관련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KR20210103130A (ko) 2020-02-13 2021-08-23 (주)가치교육컨설팅 정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CN111554152A (zh) * 2020-05-29 2020-08-1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学前心理学教学辅助装置
CN111554152B (zh) * 2020-05-29 2021-09-14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学前心理学教学辅助装置
KR20220091949A (ko) * 2020-12-24 2022-07-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교육을 위한 보드 게임 세트
KR102529232B1 (ko) * 2020-12-24 2023-05-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교육을 위한 보드 게임 세트
KR20220106459A (ko) * 2021-01-22 2022-07-29 홍원희 공동체 의식을 함양 시키기 위한 게임룰을 갖는 보드게임 세트
KR102588074B1 (ko) 2021-01-22 2023-10-12 홍원희 공동체 의식을 함양 시키기 위한 게임룰을 갖는 보드게임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644B1 (ko) 젠트리피케이션 교육용 보드게임세트
Lewis Africa: Dilemmas of development and change
DeLuca Political savvy: Systematic approaches to leadership behind-the-scenes
Grove Only the paranoid survive: How to exploit the crisis points that challenge every company
McQuaig et al. The Trouble with Billionaires: How the Super-Rich Hijacked the World (and How We Can Take It Back)
Cross et al. Work and the enterprise culture
Morgan et al. Labile labour–gender, flexibility and creative work
van Beemen Heineken in Africa: A multinational unleashed
Okigbo et 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in Africa
Hargreaves Are chief executives overpaid?
Levene et al. Grand thieves & Tomb Raiders: How British video games conquered the world
Scherer et al. The Cold War and the (re) articulation of Canadian national identity: The 1972 Canada–USSR Summit Series 1
US20080290599A1 (en) Wealth development game
CN102012904A (zh) 一种棋谱文件的生成方法及系统
Miles Small city–big ideas: Culture-led regeneration and the consumption of place
Hughson et al. Transnational football’s male elite: The unsustainability of FIFA?
Hiltscher et al. eSports Yearbook 2019/20
US20100283203A1 (en) Itinerary fulfillment travel game and method of play
US7320466B2 (en) New York mafia board game
Scheinrock et al. The Agile start-up: Quick and dirty lessons every entrepreneur should know
Bauer Black Africa: free or oppressed?
Schwenker et al. Europe’s hidden potential: How the ‘old continent’could turn into a new superpower
Potholm This splendid game: Maine campaigns and elections, 1940-2002
Weeds Applying options games: When should real options valuation be used
Sorg Imperial Neighbors: Empires and Land Allotment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