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555B1 -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555B1
KR101931555B1 KR1020170143023A KR20170143023A KR101931555B1 KR 101931555 B1 KR101931555 B1 KR 101931555B1 KR 1020170143023 A KR1020170143023 A KR 1020170143023A KR 20170143023 A KR20170143023 A KR 20170143023A KR 101931555 B1 KR101931555 B1 KR 10193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machine tool
line
valve uni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범익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주) filed Critical 현대위아(주)
Priority to KR102017014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03Processes characterized by special sequencing of operations or the like, e.g. for optimizing tool changing time or capacity in tool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18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comprising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툴 교환중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CONTROL SYSTEM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툴 교환시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주축에 고정된 공구를 사용하여 정해진 형상 및 치수로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는 공작기계를 절삭 공작기계라 하고,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지 않는 공작기계를 비절삭 공작기계라고 한다.
여기서, 절삭 공작기계의 경우 주축에 가공물 또는 공구를 고정하는데, 주축의 성능에 따라 제작되는 가공물의 성능이 결정되므로 주축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주축은 절삭작업중에 공구 또는 가공물에 대한 위치조정을 할 뿐만 아니라 절삭운동에 필요한 구동력과 토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가공물의 중량 및 절삭저항이 작용되므로 정밀도와 강성을 함께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공작기계는 툴 스핀들이 베어링에 지지받도록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툴 스핀들의 내부에는 툴을 장착하기 위한 콜렛 및 드로우 바가 설치되고, 툴 클램프용 스프링, 유압 실린더, 위치감지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작기계의 작동방식은 클램프 동작, 언클램프 동작으로 구분되며, 클램프 동작시 기계적 스프링으로 작동 및 자립되어 클램프 동작이 수행되고, 언클램프 동작시 유압유닛에 의해 전달된 유압의 힘으로 유압실린더가 이동됨에 따라 클램프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 작동 방식에 있어서, 언클램프 동작시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작동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즉, 공작기계가 클램프 동작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기계적 스프링의 작동으로 인해 툴이 장착?을 때 위치보다 더 이동된 툴 없음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언클램프시 유압펌프에서 제공되는 유압의 힘이 최대치로 송출되어야 하며 지연시간이 발생되어 작동 효율이 저하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93257 A (2010.08.2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툴 교환중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받아 툴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작기계;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유압을 공작기계의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하거나 연료탱크측으로 리턴되도록 유압이동경로를 조절하는 메인밸브유닛; 및 메인밸브유닛을 제어하여 모든 경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작기계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공작기계의 언클램프시 공작기계에 제공되는 클램프 유압은 차단하고, 공작기계에 언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유압라인에는 유압이 리턴되는 경로에 설치되어 유압의 리턴을 허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는 서브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메인밸브유닛의 모든 경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서브밸브유닛을 제어하여 리턴되는 유압의 유량이 차단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라인은 유압펌프에서 제공받은 유압이 유통되는 입력측라인과, 순환된 유압이 연료탱크측으로 리턴되는 리턴라인으로 구분되고, 메인밸브유닛은 입력측라인, 공작기계, 리턴라인에 유압이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브밸브유닛은 리턴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밸브유닛은 입력측라인과 유통되는 제1유통라인, 공작기계의 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2유통라인,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3유통라인, 리턴라인과 유통되는 제4유통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밸브유닛은 제1유통라인, 제2유통라인, 제3유통라인, 제4유통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유압이 유통되도록 하는 4웨이 밸브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브밸브유닛은, 리턴라인에 설치되고 압력차에 따라 리턴라인을 개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리턴라인에서 연장되어 유량조절밸브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고 바이패스라인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서브밸브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공작기계가 툴 교체 위치로 이동 완료시, 공작기계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동작후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선택된 툴이 교환이 완료되면, 메인밸브유닛을 제어하여 공작기계에 언클램프 유압의 제공은 차단하고 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동작 신호 입력시 서브밸브유닛을 제어하여 유압의 리턴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툴 교환중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클램프 동작시 유압실린더(1)에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함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2)력을 이기고 피스톤(3)과 드로우바(4)가 전진하여 콜렛(5)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콜렛(5)에 장착된 툴(6)의 해체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툴(6)의 교체가 완료되면, 유압실린더(1)에 클램프용 유압을 제공하여 피스톤(3)이 후퇴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2)이 탄성복원됨에 따라 피스톤(3)과 드로우바(4)가 후진하여 콜렛(5)을 조작하게 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상태에서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시 피스톤(3) 및 드로우바(4)의 이동거리에 따른 동작시간이 증대된다. 즉,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상태가 유지될 경우 피스톤(3)은 스프링(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툴 없음 위치까지 최대로 이동됨으로써 다시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시 피스톤(3)의 이동거리가 증대됨에 따라 툴 교환 시간이 증대되어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증가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언클램프시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받아 툴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작기계(10); 유압라인(PL)에 설치되어 유압펌프(40)로부터 유압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유압을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하거나 연료탱크(50)측으로 리턴되도록 유압이동경로를 조절하는 메인밸브유닛(20); 및 메인밸브유닛(20)을 제어하여 모든 경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시 공작기계(10)에 제공되는 클램프 유압은 차단하고 공작기계(10)에 언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기(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라인(PL)과 연결되어 유압이 순환되는 공작기계(10), 메인밸브유닛(20)가 구성된다. 여기서, 공작기계(1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 피스톤(3), 드로우바(4), 콜렛(5) 등으로 구성되며, 유압실린더(1)에 제공되는 유압에 따라 클램프 동작 또는 언클램프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메인밸브유닛(20)은 유압라인(PL)에 설치되어 유압펌프(40)로부터 전달받은 유압이 다수의 경로에 선택적으로 유통되도록 구성되어 유압이 공작기계(10)의 클램프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되거나 연료탱크(50)측으로 리턴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밸브유닛(20)은 제어기(3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기(30)는 언클램프 동작 이전에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30)는 언클램프 동작전에 메인밸브유닛(20)을 제어하여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과 언클램프 유압을 동시 제공함으로써 공작기계(10)의 피스톤(3)이 툴 없음 위치에서 클램프 위치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대기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공작기계(10)가 클램프 동작 상태에서 대기상태가 되더라도, 클램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툴(6)의 고정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시 피스톤(3)이 언클램프측으로 일부 이동되어 있는바, 피스톤(3)의 이동거리가 축소되어 언클램프 동작 시간이 단축된다. 아울러, 유압펌프가 선행 활성화됨에 따라 초기 피스톤의 펌핑 지연시간이 축소되어 작동 효율성이 증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압라인(PL)에는 유압이 리턴되는 경로에 설치되어 유압의 리턴을 허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는 서브밸브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밸브유닛(60)은 유압이 리턴되는 경로에 설치되어 공작기계(10)를 순환한 유압이 유압탱크로 리턴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서브밸브유닛(60)이 마련됨에 따라 제어기(30)는 메인밸브유닛(20)의 모든 경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서브밸브유닛(60)을 제어하여 리턴되는 유압의 유량이 차단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과 언클램프 유압을 동시 제공된 상태에서, 유압모터의 동작이 중지더라도 유압라인(PL)상에 배압이 유지되어 공작기계(10)의 대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PL)은 유압펌프(40)에서 제공받은 유압이 유통되는 입력측라인(PL1)과, 순환된 유압이 연료탱크(50)측으로 리턴되는 리턴라인(PL2)으로 구분되고, 메인밸브유닛(20)은 입력측라인(PL1), 공작기계(10), 리턴라인(PL2)에 유압이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브밸브유닛(60)은 리턴라인(PL2)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유압라인(PL)을 통해 순환되는 유압은 메인밸브유닛(20)을 통해 공작기계(10)에 클램프 유압과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될 수 있고, 공작기계(10)를 순환 후 리턴되는 유압이 출구측라인을 통해 연료탱크(5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리턴라인(PL2)에는 서브밸브유닛(60)이 마련되며, 서브밸브유닛(60)을 통해 리턴라인(PL2)을 차단함으로써 유압라인(PL) 내에 배압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인밸브유닛(20)은 입력측라인(PL1)과 유통되는 제1유통라인(22),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2유통라인(24),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3유통라인(26), 리턴라인(PL2)과 유통되는 제4유통라인(28)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밸브유닛(20)은 제1유통라인(22)을 통해 유압펌프(40)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유압이 제2유통라인(24)을 통해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으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3유통라인(26)을 통해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제2유통라인(24)과 제3유통라인(26)을 순환한 유압은 제4유통라인(28)을 통해 리턴라인(PL2)으로 유통되어 연료탱크(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밸브유닛(20)은 제1유통라인(22), 제2유통라인(24), 제3유통라인(26), 제4유통라인(28)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유압이 유통되도록 하는 4웨이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밸브유닛(20)은 4웨이 밸브로 구성되어 제1유통라인(22)을 통해 공급받은 유압을 제2,3,4유통라인(24,26,28)에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유압의 이동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경로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체가 이동되게 조절하는 4웨이 밸브는 다양한 구조로 공지된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구조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밸브유닛(60)은, 리턴라인(PL2)에 설치되고 압력차에 따라 리턴라인(PL2)을 개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2)와, 리턴라인(PL2)에서 연장되어 유량조절밸브(62)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라인(64)에 설치되고 바이패스라인(64)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서브밸브(66)를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서브밸브유닛(60)은 유량조절밸브(62)와 서브밸브(66)로 구성되며, 유량조절밸브(62)의 경우 리턴라인(PL2)에 설치되어 작용되는 압력차에 따라 리턴라인(PL2)을 개방 또는 축소하도록 구성되고, 리턴라인(PL2)을 유동되는 유량의 축소시 메인밸브유닛(20)에 배압이 차도록 한다. 서브밸브(66)의 경우 리턴라인(PL2)에서 유량조절밸브(62)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라인(64)에 설치되어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해 바이패스라인(64)을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리턴라인(PL2)의 폐쇄가 필요할 경우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해 서브밸브(66)가 차단 동작되면, 바이패스라인(64)을 통해 유압이 통과되지 못함에 따라 유량조절밸브(62)측에 배기압력이 형성되고, 이때 유량조절밸브(62)는 배기압력차를 조절하기 위해 리턴라인(PL2)로 유동되는 유량이 축소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턴라인(PL2)으로 유압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서브밸브유닛(60) 전의 유압라인(PL)에는 일정의 압력이 유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리턴라인(PL2)의 개방이 필요할 경우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해 서브밸브(66)가 개방 동작되면, 바이패스라인(64)을 통해 유압이 통과되어 연료탱크(50)측으로 유압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가 툴(6) 교체 위치로 이동 완료시,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작기계(10)를 대기상태로 전환함은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제어는 언클램프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 이전이 되어야 하는바,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가 툴(6) 교체 위치로 이동 완료시,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렇게, 공작기계(10)의 툴(6) 교체 위치를 체크하는 방법은 주축대의 위치에 따른 것으로, 주축대가 툴 교체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을 체크하여 툴 교체 시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주축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 또는 센서를 통해 체크할 수 있으며, 주축대의 위치에 따른 신호 입력시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한편,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후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선택된 툴이 교환이 완료되면, 메인밸브유닛(20)을 제어하여 공작기계(10)에 언클램프 유압의 제공은 차단하고 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작기계(10)와 연동되는 것으로, 공구매거진에서 선택된 공구를 자동교환시키는 장치다. 이러한 자동공구교환장치는 다양한 공지문헌들 통해 공지된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였다.
이를 통해,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가 툴 교체 위치로 이동시 메인밸브유닛(20)을 제어하여 공작기계(10)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툴 교환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툴 교환이 수행되면, 툴이 고정되어야 하는바, 메인밸브유닛(20)을 제어하여 공작기계(10)에 클램프 유압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 이후 자동공구교환장치에 의해 툴이 교환 완료되면 공작기계(10)가 클램프 동작됨으로써 툴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30)는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 신호 입력시 서브밸브유닛(60)을 제어하여 유압의 리턴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공작기계(10)의 언클팸프 동작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서브밸브유닛(60)을 제어하여 유압의 리턴이 허용되도록 함으로써 다음 공작기계(10)의 클램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유압라인(PL)내의 유압이 정상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공작기계(10)의 클램프 동작시 유압실린더(1) 내의 언클램프시 사용된 유압이 리턴되어 정상적인 클램프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10)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툴 교환 신호가 입력되어 공작기계(10) 툴 교체 위치로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툴 교체 위치로 이동 완료되면, 메인밸브유닛(20)의 제어를 통해 모든 경로가 개방되도록 하고 서브밸브유닛(60)의 제어를 통해 유압의 리턴이 차단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공작기계(10)의 클램프 유압과 언클램프 유압이 동시 제공됨에 따라 피스톤(3)이 툴 없음 위치에서 클램프 위치에 인접하게 이동된 대기상태가 된다(S12a).
이후,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13)를 수행하고, 자동공구교환장치가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공작기계(10)의 작동 명령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게 알람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S14)를 수행한다. 반대로, 자동공구교환장치가 정위치에 위치된 경우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15)를 수행한다.
이때, 메인밸브유닛(20)의 제어에 의해 공작기계(10)에 언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고, 서브밸브유닛(60)밸브의 제어에 의해 유압의 리턴이 허용되도록 하는 단계(S16)을 수행함으로써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이 수행되어 언클램프 동작이 완료된다(S16a). 이렇게, 공작기계(10)의 대기상태에서 공작기계(10)의 언클램프 동작이 수행되면, 피스톤(3)이 언클램프측으로 일부 이동되어 있는바, 피스톤(3)의 이동거리가 축소되어 언클램프 동작 시간이 단축된다. 아울러, 유압을 형성하는 유압펌프가 선행으로 활성화되어 초기 펌핑 지연시간의 손실이 최소화된다.
이후,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툴을 교환하는 단계(S17)를 수행하고, 툴의 교환이 완료되면 메인밸브유닛(20)의 제어를 통해 공작기계(10)에 클램프 유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S18)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툴 교환된 후 해당 툴이 클램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공작기계(10)의 제어 시스템은 툴 교환중 언클램프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공작기계 20:메인밸브유닛
22:제1유통라인 24:제2유통라인
26:제3유통라인 28:제4유통라인
30:제어기 40:유압펌프
50:연료탱크 60:서브밸브유닛
62:유량조절밸브 64:바이패스라인
66:서브밸브 PL:유압라인
PL1:입력측라인 PL2:리턴라인

Claims (10)

  1.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받아 툴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작기계;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유압을 공작기계의 클램프 유압 또는 언클램프 유압으로 제공하거나 연료탱크측으로 리턴되도록 유압이동경로를 조절하는 메인밸브유닛;
    유압라인에는 유압이 리턴되는 경로에 설치되어 유압의 리턴을 허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는 서브밸브유닛; 및
    메인밸브유닛을 제어하여 모든 경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작기계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공작기계의 언클램프시 공작기계에 제공되는 클램프 유압은 차단하고, 공작기계에 언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유압라인은 유압펌프에서 제공받은 유압이 유통되는 입력측라인과, 순환된 유압이 연료탱크측으로 리턴되는 리턴라인으로 구분되고, 메인밸브유닛은 입력측라인, 공작기계, 리턴라인에 유압이 유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브밸브유닛은 리턴라인에 연결되고,
    서브밸브유닛은, 리턴라인에 설치되고 압력차에 따라 리턴라인을 개방하거나 차단 또는 축소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리턴라인에서 연장되어 유량조절밸브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고 바이패스라인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서브밸브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메인밸브유닛의 모든 경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서브밸브유닛을 제어하여 리턴되는 유압의 유량이 차단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밸브유닛은 입력측라인과 유통되는 제1유통라인, 공작기계의 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2유통라인,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유압을 제공하는 제3유통라인, 리턴라인과 유통되는 제4유통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메인밸브유닛은 제1유통라인, 제2유통라인, 제3유통라인, 제4유통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유압이 유통되도록 하는 4웨이 밸브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공작기계가 툴 교체 위치로 이동 완료시, 공작기계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동작후 자동공구교환장치를 통해 선택된 툴이 교환이 완료되면, 메인밸브유닛을 제어하여 공작기계에 언클램프 유압의 제공은 차단하고 클램프 유압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공작기계의 언클램프 동작 신호 입력시 서브밸브유닛을 제어하여 유압의 리턴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KR1020170143023A 2017-10-31 2017-10-31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KR10193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23A KR101931555B1 (ko) 2017-10-31 2017-10-31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23A KR101931555B1 (ko) 2017-10-31 2017-10-31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555B1 true KR101931555B1 (ko) 2018-12-21

Family

ID=6495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023A KR101931555B1 (ko) 2017-10-31 2017-10-31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611A (ja) * 2004-10-19 2006-05-11 Howa Mach Ltd 主軸工具の着脱装置
CN201799897U (zh) * 2010-09-06 2011-04-20 宁波海天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松拉刀液压泵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611A (ja) * 2004-10-19 2006-05-11 Howa Mach Ltd 主軸工具の着脱装置
CN201799897U (zh) * 2010-09-06 2011-04-20 宁波海天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松拉刀液压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754B2 (en) Fluid pressure unit and fluid pressure unit control method
US4507993A (en) Machine tool with two speed turret indexing
US5107730A (en) Workpiece spindle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KR101931555B1 (ko) 공작기계의 제어 시스템
US10589358B2 (en) Hydraulic chuck device
JP2009047259A (ja) 流体圧ユニット
JP7485525B2 (ja) 工作機械
EP3800522B1 (en) Auxiliary apparatus using four-way electronic valve to achieve temperature rise and fall effect on component of machine tool
KR101830361B1 (ko) 유압 유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압 장치
WO2024105774A1 (ja) 工作機械
KR100358188B1 (ko) 공작기계의 듀얼 공구 매거진 제어장치
JPH02256442A (ja) 高圧及び低圧の液圧系を有する工作機械
JP2010210072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システム
JP2019188562A (ja) 主軸装置
JP4165354B2 (ja) 油圧ユニット
KR101570248B1 (ko) 스핀들의 에어커튼 제어장치
KR20070070364A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클램프 압력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JP2007030109A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
KR100384747B1 (ko) 대향형 2주축 선반의 스핀들 칸막이장치
KR200164866Y1 (ko) 다단의 클램핑력을 갖는 척킹장치
KR102367575B1 (ko) 공작기계 자동공구교환방법
KR100996000B1 (ko) 절삭유 토출압 자동전환장치
JP7043566B1 (ja) 工作機械の扉開閉装置
KR100799254B1 (ko) 공작물 클램프 확인장치
JP2024038842A (ja) 暖機運転システムを備えた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