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77B1 -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 Google Patents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77B1
KR101931077B1 KR1020120043165A KR20120043165A KR101931077B1 KR 101931077 B1 KR101931077 B1 KR 101931077B1 KR 1020120043165 A KR1020120043165 A KR 1020120043165A KR 20120043165 A KR20120043165 A KR 20120043165A KR 101931077 B1 KR101931077 B1 KR 10193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delete delete
noise
input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134A (ko
Inventor
양준혁
최정민
김용석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2004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077B1/ko
Priority to US13/869,784 priority patent/US20130300690A1/en
Publication of KR2013012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2개의 감지라인의 출력에 대해 주파수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 된 2개의 전하의 차이를 적분함으로써, LCD 디스플레이 잡음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삼파장 램프 잡음, 60Hz 잡음 및 배터리 충전 잡음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를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설치된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구동라인 및 상기 구동라인과 일정한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감지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의 차이 값인 델타값을 생성하는 차동센싱부 및 상기 차동센싱회로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Touch screen Readout circuit removing a nois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유입되는 다양한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및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최근에는 중형 및 소형 모바일 제품군에서 뛰어난 가시성과 멀티 터치 기능 등에 장점이 있는 정전용량 방식 특히 상호 정전용량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유입되는 다양한 형태의 잡음 때문에 신호대 잡음 비(Sinnal to Noise Ratio; SNR)가 낮은데, 이때 문제가 되는 잡음은 형광등으로부터 유기되는 60Hz 잡음, 삼파장 인버터 램프로부터 유기되는 삼파장 잡음, LCD 자체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잡음 및 배터리 충전시 발생하는 충전 잡음(charger noise) 등이다. 이들 잡음은 터치스크린의 감지라인의 신호를 처리하는 리드아웃회로가 감지라인에 포함된 전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게 되고, 결국 리드아웃회로의 출력을 처리하는 컨트롤러가 터치스크린 패널에의 터치 여부에 대해 오판단을 하도록 하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2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의 차이를 적분함으로써, LCD 디스플레이 잡음과 같이 2개의 감지라인에 공통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2개의 감지라인의 출력에 대해 주파수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 된 2개의 전하의 차이를 적분함으로써, LCD 디스플레이 잡음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삼파장 램프 잡음, 60Hz 잡음 및 배터리 충전 잡음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터치스크린 패널에 설치된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구동라인 및 상기 구동라인과 일정한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감지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의 차이 값인 델타값을 생성하는 차동센싱부 및 상기 차동센싱회로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터치스크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잡음들을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단에서 미리 제거함으로써 후속하는 디지털 프로세서의 부담을 감소시키며 터치가 발생한 부분을 컨트롤러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330)의 중요 노드에 대한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경로교환기를 추가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터치스크린에 유입되는 각종 잡음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응답특성을 모의실험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2개의 리드아웃회로의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에 인가되는 제2감지라인의 경로에 따른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감지라인에 대한 리드아웃회로의 적분부의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100)는, 터치스크린 패널(10)에 설치된 구동전압(Tx)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구동라인 및 상기 구동라인과 일정한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감지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동센싱부(110) 및 적분부(120)를 포함한다.
차동센싱부(110)는 터치스크린 패널(10)의 인접한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의 차이 값인 델타값을 생성하며, 적분부(120)는 차동센싱회로(110)의 출력을 적분한다.
차동센싱부(110)는, 델타값 생성기(111) 및 4개의 스위치(S1~S4)로 구현된다. 제1스위치(S1)는 리드신호(Φ1)에 응답하여 제1감지라인(d1)에 충전된 전하(Q1)를 델타값 생성기(111)의 제1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제2스위치(S2)는 리드신호(Φ1)에 응답하여 제2감지라인(d2)에 충전된 전하(Q2)를 델타값 생성기(111)의 제2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제3스위치(S3)는 리드신호(Φ1)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되는 역리드신호(Φ2)에 응답하여 접지전압(GND)을 델타값 생성기(111)의 제1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제4스위치(S4)는 역리드신호(Φ2)에 응답하여 접지전압을 델타값 생성기(111)의 제2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델타값 생성기(111)는 2개의 입력단자(+, -)로 인가되는 전하의 차이 값(Q1-Q2)에 대응되는 델타값을 생성한다.
적분부(120)는 차동증폭기(121), 기준전압원(122), 피드백 커패시터(Cf) 및 3개의 스위치(S5~S7)로 구현된다. 제5스위치(S5)는 리드신호(ㄵㅥ1)에 응답하여 델타값을 차동증폭기(121)의 네거티브 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제6스위치(S6)는 역리드신호(Φ2)에 응답하여 기준전압원에서 생성된 기준전압(Vref)을 차동증폭기(121)의 포지티브 입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차동증폭기(121)의 포지티브 입력단자(+)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된다. 피드백 커패시터(Cf)는 일 단자가 차동증폭기(121)의 네거티브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차동증폭기(12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7스위치(S7)는 리셋신호(Φ3)에 응답하여 차동증폭기(121)의 네거티브 단자(-)와 차동증폭기(121)의 출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리드신호(Φ1) 및 역리드신호(Φ2)는 논 오버랩 투 페이즈(Non overlap two phase)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전압(Tx)을 리드신호(Φ1)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10)의 등가회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구동전압(Tx)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구동라인과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감지라인 사이에 존재하는 절연물질에 의한 커패시터를 Cm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구동라인의 라인저항과감지라인의 라인저항을 각각 Rd 및 Rs로, 그리고 구동라인과 접지전압 사이 및 감지라인과 접지전압 사이의 기생 커패시터를 Cd 및 Cs로 각각 표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리드아웃회로의 특징 중 하나는, 인접한 두 개의 라인(d1, d2)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LCD 디스플레이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두 라인(d1, d2)에 충전된 전하(Q1, Q2)의 차이인 델타값(△=Q1-Q2)을 센싱하는 것으로 차동센싱부(110)에서 이를 수행한다.
나머지 하나의 특징은, 차동센싱부(110)에서 출력되는 델타값(△=Q1-Q2)을 적분부(120)에서 적분함으로써 주기성을 가지는 잡음을 이동평균(Moving average) 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1개의 감지라인이 아니라 2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2개의 전하(Q1, Q2)의 차이를 적분하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의 기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안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LCD 디스플레이 잡음과 같이 2개의 감지라인에 공통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인데,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LCD 디스플레이 잡음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삼파장 램프 잡음, 60Hz 잡음 및 배터리 충전 잡음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300)는 터치스크린 패널(30)에 설치된 구동전압(Tx)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구동라인 및 구동라인과 일정한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감지라인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패널(30)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동센싱부(310) 및 적분부(320)를 포함한다.
차동센싱부(310)는 제1필터부(311), 제2필터부(313), 차동센싱기(315) 및 경로교환기(316)를 포함한다.
제1필터부(311)는 제1감지라인(d1)으로 인가되는 잡음을 제거한다. 제2필터부(313)는 제2감지라인(d2)으로 인가되는 잡음을 제거한다. 차동센싱기(315)는 제1필터부(311) 및 제2필터부(31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전하의 차이(Q1-Q2)에 대응되는 델타값을 생성한다. 경로교환기(316)는 제1필터부(311) 및 제2필터부(313)의 출력을 크로스 시킨 후 차동센싱기(315)의 두 개의 입력단자로 인가되도록 한다.
제1필터부(311)는, 네거티브 입력단자(-)가 제1감지라인(d1)에 연결되고 포지티브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1증폭기(312), 일 단자가 제1증폭기(312)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가 제1증폭기(3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피드백 저항(Rf1) 및 일 단자가 제1증폭기(312)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가 제1증폭기(3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피드백 커패시터(Cf1)를 포함한다.
제2필터부(313)는, 네거티브 입력단자(-)가 제2감지라인(d2)에 연결되고 포지티브 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는 제2증폭기(314), 일 단자가 제2증폭기(314)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가 제2증폭기(31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피드백 저항(Rf2) 및 일 단자가 제2증폭기(314)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가 제2증폭기(31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피드백 커패시터(Cf2)를포함한다.
차동센싱부(310)로부터 출력되는 델타값을 적분하는 적분부(320)는, 포지티브 입력단자(+)가 기준전압(Vref)에 연결되고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델타값이 인가되는 차동증폭기(321), 일 단자가 차동증폭기(321)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입력단자가 차동증폭기(321)의출력단자에 연결된 피드백 커패시터(Cf) 및 리셋신호(ΦR)에 응답하여 차동증폭기(321)의 출력단자와 네거티브 입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셋스위치(S8)를 포함한다.
차동센싱기(315)는 포지티브 입력단자(+)가 제1필터부(31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네거티브 입력단자(-)가 제2필터부(313)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출력단자로 델타값을 출력하는 OTA(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를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330)의 중요 노드에 대한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제1필터부(311)의 출력신호, 4b는 제2필터부(313)의 출력신호, 4c는 차동센싱기(315)의 출력신호이고 4d는 적분부(320)의 출력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2개의 감지라인(d1, d2)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전압들(4a, 4b)의 차이전압들이 차동센싱기(315)로 출력되며(4c), 차이전압 즉 델타전압들은 적분부(320)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신호(4d)로 복원된다.
도 3에는 하나의 경로교환기(3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간략화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경로교환기를 추가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상부를 참조하면, 차동센싱기(315)와 2개의 필터부(311, 313) 사이에 하나의 경로교환기(511)를 더 추가하고 다른 하나의 경로교환기(512)를 차동센싱기(315)의 내부에도 추가하는 것이다. 또한 적분부(320)를 구성하는 증폭기(321)의 2개의 입력단자 앞에 경로교환기(513)를 추가하고 증폭기(321)의 내부에도 경로교환기(514)를 추가한다. 이 경우 타원에 포함된 기존의 경로교환기(316)와 추가된 하나의 경로교환기(511)는 서로 상쇄될 것이다. 도 5의 하부를 참조하면, 2개의 경로교환기(316, 511)는 제거되어, 결국 3개의 경로교환기(512, 513, 514)만 설치되는 구성이 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응답특성 중 일반 터치 신호에 대한 것을 나타내었는데, 이하에서는 잡음에 대한 응답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터치스크린에 유입되는 각종 잡음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응답특성을 모의실험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였을 때 손가락을 통해 인가되는 60Hz 잡음, 40kHz의 삼파장 잡음과 LCD 패널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잡음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가 장착된 패널에 인가되었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도 6에 기재된 회로는 도 3에 기재된 회로와 일치하며, 상기 각종 잡음의 특성 및 유입 경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잡음을 유입한 경우, 도 7의 최하부에 도시된 제1필터부(311)의 출력신호(V1) 및 제2필터부(313)의 출력신호(V2)의 차이(V2-V1)는 중간에 도시된 차동센싱기(315)의 출력신호로부터 알 수 있다. 최상부에 도시되며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적분부(320)의 출력신호(Vo)를 참조하면, 각종 잡음이 유입된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출력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분부(320)의 출력신호(Vo)에는 잡음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2개의 리드아웃회로의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8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100)의 응답특성 결과를 나타내었고,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300)의 응답특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4V 피크 투 피크 전압의 60Hz 잡음과 10V 피크 투 피크 전압 삼파장 40kHz 잡음은 전구간에서 유입되었고, 디스플레이 잡음은 초반 및 후반부에만 유입되었다.
디스플레이 잡음에 중점을 둔 도 1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100)의 응답특성에 비해 각종 잡음 모두를 고려한 도 3에 도시된 리드아웃회로(300)의 응답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감지라인의 전하의 차이에 대한 델타값을 적분하는 방식(제1실시예)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감지라인에 대하여 각각 필터링하고, 필터링 한 전하의 차이에 대한 델타값을 적분하는 방식(제2실시예)을 제안하였는데, 도 8로부터 알 수 있지만,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에 비해 응답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제2실시예는 필터부가 더 추가되어야 하므로, 회로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필요한 실시예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에 인가되는 제2감지라인의 경로에 따른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감지라인에 대한 리드아웃회로의 적분부의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감지라인(V2)과 리드아웃회로와의 거리가 최단인 경우(V2-best)와 제2감지라인(V2)과 리드아웃회로와의 거리가 최장인 경우(V2-worst), 차동센싱부 앞단에서의 응답 파형의 크기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감지라인을 비교하기 때문인데, 이는 서로 인접하는 감지라인의 경로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차에 따른 제2감지라인(V2)의 응답특성에는 차이가 있어도, 차동센싱부 및 적분부를 통과하기만 하면 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할 때 유입되는 잡음은 도 3에 도시된 2개의 대역통과필터의 특성을 가지는 필터부에서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잡음은 차동센싱부에서 제거하며, 차동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델타값을 적분함으로써 신호대 잡음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의 적분은 구동전압(Tx)의 라이징 에지뿐만 아니라 폴링 에지에서도 이루어지므로 무빙 에버리지(Moving average) 효과가 종래에 비해 더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310: 차동센싱부 120, 320: 적분부
311: 제1필터부 313: 제2필터부
316, 511, 512, 513, 514: 경로교환기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인접한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의 차이 값인 델타값을 생성하는 차동센싱부; 및
    상기 구동 전압의 에지에 대응하여 상기 차동센싱부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센싱부는,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한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들을 전달하거나 상기 리드 신호와 크기는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되는 역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하들의 전달을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두 개의 감지라인에 충전된 전하들을 차동 센싱하여 상기 델타값을 출력하는 델타값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분부는,
    포지티브 입력단자와 네가티브 입력단자를 갖는 차동 증폭기;
    기준전압원;
    일 단자가 상기 차동증폭기의 상기 네거티브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차동증폭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피드백 커패시터;
    상기 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값을 상기 차동 증폭기의 상기 네거티브 입력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치;
    상기 역리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원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을 상기 차동 증폭기의 상기 포지티브 입력 단자에 전달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치; 및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증폭기의 네거티브 입력단자와 상기 차동 증폭기의 출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5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회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부는 상기 델타값을 적분하여 주기성을 갖는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회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부는 상기 구동 전압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 대응하여 상기 적분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의 리드아웃회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043165A 2012-04-25 2012-04-25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KR10193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65A KR101931077B1 (ko) 2012-04-25 2012-04-25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US13/869,784 US20130300690A1 (en) 2012-04-25 2013-04-24 Control circuit of touch screen and noise remov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65A KR101931077B1 (ko) 2012-04-25 2012-04-25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34A KR20130120134A (ko) 2013-11-04
KR101931077B1 true KR101931077B1 (ko) 2018-12-20

Family

ID=4985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165A KR101931077B1 (ko) 2012-04-25 2012-04-25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733B1 (ko) * 2014-03-01 2017-01-18 주식회사 센트론 용량방식의 터치입력 감지회로
KR102302139B1 (ko) 2015-01-27 2021-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650687B1 (ko) * 2016-08-12 202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및 터치 구동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JP6703794B2 (ja) 2018-06-29 2020-06-03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駆動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駆動方法
CN112528585A (zh) * 2020-12-17 2021-03-19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噪声检测方法及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007A1 (en) * 2010-04-22 2011-10-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Noise cancellation technique for capacitive touchscreen controller using differential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007A1 (en) * 2010-04-22 2011-10-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Noise cancellation technique for capacitive touchscreen controller using differential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34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725B2 (en) Configurable analog front-end for mutual capacitance sensing and self capacitance sensing
US10296137B2 (en) Control circuit and noise removing method for touch screen
KR101931077B1 (ko) 잡음을 제거하는 터치스크린 리드아웃회로
US9354758B2 (en) Mutual capacitive touch panel
US20130300690A1 (en) Control circuit of touch screen and noise removing method
CN110286787B (zh) 用于触控面板的控制晶片及其运作方法
KR101169253B1 (ko) 반전 적분회로 및 비반전 적분회로가 결합된 적분회로
CN109564485A (zh) 具有多电源域芯片配置的触摸传感器面板
US20150331535A1 (en) Simultaneous self- and mutual capacitance sensing
KR101394159B1 (ko) 수신 주파수 밴드를 조절할 수 있는 터치감지회로 및 상기 터치감지회로를 구비하는 터치감지시스템
KR102087332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10090173A1 (en) Sensing circuit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EP3640779A1 (en)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touch chip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300692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of touch screen
KR102244215B1 (ko) 터치 감지 장치
KR102087370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KR101677194B1 (ko) 두 개의 피드백 커패시터 간의 피드백 연결 전환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20050219A1 (en) Capacitive touch apparatus, touch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75304B1 (ko) 터치스크린의 신호 처리 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15630B1 (ko) 두 개의 피드백 커패시터 간의 피드백 연결 전환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72537A (ko) 터치신호 처리회로 및 상기 터치신호 처리회로를 구비하는 터치신호 감지시스템
JP2012037439A (ja) 静電容量検出回路
KR101544115B1 (ko) 적분회로의 입력-오프셋 보상방법
KR101844848B1 (ko) 터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검출 장치
JP5642847B2 (ja) 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