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45B1 - Care bed - Google Patents

Care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45B1
KR101931045B1 KR1020177018304A KR20177018304A KR101931045B1 KR 101931045 B1 KR101931045 B1 KR 101931045B1 KR 1020177018304 A KR1020177018304 A KR 1020177018304A KR 20177018304 A KR20177018304 A KR 20177018304A KR 101931045 B1 KR101931045 B1 KR 10193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s
floorboard
nursing b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2640A (en
Inventor
마사오 이와부치
Original Assignee
니치이쇼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이쇼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치이쇼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84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ventilating means, e.g. mattress or cushion with ventilating holes or vent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내부 전체의 통기성을 높여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욕창을 방지하는 간호 침대를 제공한다. 간호 침대는 직방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의 각각의 저부를 상면에 접합하고,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을 대자리형상으로 배열하고, 제 1 탄성 상판(9a) 및 제 2 탄성 상판(9b)을 각각 구성하는 제 1 연결 시트 및 제 2 연결 시트와,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의 간극에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기구(20)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rsing bed in which the breathability of the entire interior is increased to efficiently dry the nursing bed and prevent the pressure ulcer of a person requiring nursing. The nursing bed is constructed by joining the bottoms of a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o the upper surface and forming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A first connection sheet and a second connection sheet each having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arrang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constituting a first elastic top plate 9a and a second elastic top plate 9b, And a blowing mechanism (20) for sending air to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divided units (9a1 to 9a10, 9b1 to 9b10).

Figure R1020177018304
Figure R1020177018304

Description

간호 침대{CARE BED}Nursing bed {CARE BED}

본 발명은 간호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rsing bed.

종래, 와병 생활이나 신체의 일부에 마비가 있는 간호를 요하는 사람은 스스로 몸의 방향과 자세를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 있는 동안, 체중에 의한 압박이 장시간 피부에 가해지고, 혈액 순환이 나빠짐으로써 피부에 욕창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욕창은 침대에 습기가 고이는 것에 의해 비위생 상태가 진행하면, 증상이 악화된다. 그 때문에, 간호를 원하는 사람의 욕창 방지 및 악화 저지의 관점에서, 통기성이 우수한 간호 침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간호를 요하는 사람이 누워 있는 에어 매트의 내부에, 통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 셀을 구비한 간호 침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 person who requires nursing with a bodily injury or a paralysis in a part of the body can not change the direction and posture of the body by himself. Therefore, while lying on the bed, the pressure due to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skin for a long time, It is known that a pressure ulcer occurs on the skin due to deterioration. The pressure sores are aggravated when the unsanitary condition progresses due to moisture accumulation in the bed. Therefore, a nursing bed excellent in breathability is require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on of a pressure ulcer and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a person who desires nursing care. For example, a nursing bed with a person requiring nursing is placed in an air mat A nursing bed provided with a configured cell has been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1-03300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033002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욕창을 방지하는데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으며, 가일층의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However,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is not necessarily sufficient to prevent a pressure ulcer of a person requiring nursing, and a technique of a further layer has been deman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a) 동일한 블록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하부에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가 마련되고, 각각 양측에 수직 단면을 갖는 복수의 분할 유닛과, (b) 복수의 분할 유닛을 대자리형상으로 배열해서 탑재하고, 수직 단면의 사이에 각각 간극을 정의하도록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는 시트형상의 간격 정의 수단과, (c)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의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를 기계적으로 현가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분할 유닛의 상면을 일정한 높이의 평면으로 설정하는 현가 기구와, (d)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한 간호 침대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한 간호 침대에 있어서는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서 구성된 대자리형상의 평면을 매트리스와 보텀을 일체화한 탄성 마루판의 표면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having the same block shape, a hollow cylindrical bottom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C)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each of which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in the form of a rectangle and joi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to the upper surface so as to define a gap between vertical sections, (D) a blowing mechanism for blowing air to each of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units, wherein the blowing mechanism blows air to each of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units by mechanically suspending each of the hollow cylindrical- It is point that it is nursing bed equipped with mechanism. In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elastic floorboard in which the mattress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is formed as a plane of a contour formed by each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본 발명에 따르면, 간호 침대의 탄성 마루판의 통기성을 높여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고,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욕창을 방지하는 간호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ursing bed in which the air permeability of the elastic floorboard of the nursing bed is increased to efficiently dry the nursing bed and prevent the pressure ulcer of the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조감도(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조감도(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내부 구조를 평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내부 송풍 배관과 외부 송풍 배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는 도 3의 B-B선에서 단면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송풍 파이프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조감도(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내부의 송풍 상태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내부의 송풍 상태를 설명하는 도 5 중의 C부분의 확대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에 있어서, 내부 송풍 배관과 분할 유닛을 수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그 1).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에 있어서, 내부 송풍 배관과 분할 유닛을 수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그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내부 구조를 평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등받이 세움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측벽부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1 is a bird's-eye view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utline of a nursing b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bird's-eye view (perspective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plan view.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nal blowing pipe and the external blowing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bird's-eye view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utline of a blowing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blowing state inside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n enlarged partial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5 for explaining a blowing state inside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side view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nternal ventilation pipe and a division unit are housed in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art 1);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No. 2)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nternal ventilation pipe and a division unit are housed in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2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n view.
1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backrest structure of a nursing b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 closing structure of the side wall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좌우」나 「상하」의 방향은 단지 설명의 편의상의 정의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지면을 90도 회전하면 「좌우」와 「상하」는 교환해서 읽어지며, 지면을 180도 회전하면 「좌」가 「우」로, 「우」가 「좌」가 되는 것은 물론이다.Next,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and the planar dimensions,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layers,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those in reality. Therefore, specific thicknesses and dimensions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rawings also include portions having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or ratios with each oth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terial, shape, It is not specific.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variously within the technical scope defined by the claims in the claims. Note that the directions of " left " and " up & down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for example, when the ground is rotated by 90 degre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re read and exchanged. When the ground is rotated 180 degrees, "left" becomes "right" and "right" becomes "left" to be.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구조--- Structure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상에 마련된 침대 본체(10)와, 침대 본체(10)의 내부에 공기를 송입하는 송풍 기구(20)를 구비한다. 침대 본체(10)는 동일한 블록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하부에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가 마련되고, 각각 양측에 수직 단면을 갖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과,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을 대자리형상으로 배열해서 탑재하고, 수직 단면의 사이에 각각 간극을 정의하도록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는 시트형상의 간격 정의 수단과,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의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를 기계적으로 현가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상면을 일정한 높이의 평면으로 설정하는 현가 기구를 구비한다. 송풍 기구(20)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한다.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서 구성된 대자리형상의 평면을 매트리스와 보텀이 일체화된 탄성 마루판의 표면으로 한다.1,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d main body 10 provided on a main body frame 11, And a blowing mechanism (20). 9b1, 9b2, 9b1, 9b2, 9a1, 9a2, 9a, ..., 9a10, 9b1, 9b2, ..., 9b2, 9b1, 9b2, 9b, ..., 9b10 are arrayed and mount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nd a plurality of divided units 9a1, 9a2, 9a, 9b1, 9b2, 9b, ..., and 9b10 to the upper surface so as to define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9a2, 9a, ..., 9a10,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by mechanically suspending the hollow cylindrical- ; 9b1, 9b2, 9b, ..., 9b10) is set to a plane having a constant height. The blowing mechanism 20 sends air to each of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Th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is formed as a surface of the elastic floorboard in which the mattress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의 「간격 정의 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집합을 제 1 군과 제 2 군으로 나누고, 제 1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제 1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에 의해서 제 1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1 연결 시트(8a)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2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b1, 9b2, 9b,……, 9b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제 2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9b1, 9b2, 9b,……, 9b10)에 의해서, 제 1 탄성 마루판에 연속된 제 2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2 연결 시트(8b)를 포함한다.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9b,……, 9b10)의 집합을 제 1 군과 제 2 군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각각 블록형상의 형상을 이룬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으로 구성되는 다리측의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머리측의 제 2 탄성 마루판(9b)으로 분할하고 있다.2 and 3, the "interval defining means" of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 and 9b10 are divided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and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and 9a10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constituting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and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9b1 and 9b2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s shown in Figure 3 are constituted by the partitioning units 9a1, 9a2, 9a ..., (9b1, 9b2, 9b, ..., 9b10) of the second group are bond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floorboards (9b1, 9b2, 9b, ..., 9b10) And a second connecting sheet 8b constituting an elastic floorboard. By dividing the group of the plurality of divided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into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Side first resilient floorboard 9a and the head-side second resilient floorboard 9b constituted by the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즉, 제 1 연결 시트(8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각각의 저부를 상면에 대자리형상으로 접합하고, 분할 유닛(9a1∼9a10)을 이 분할 유닛의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간극을 형성해서 배열하고 있다. 제 2 연결 시트(8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의 각각의 저부를 상면에 대자리형상으로 접합하고, 복수의 분할 유닛(9b1∼9b10)을 이 분할 유닛의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간극을 형성해서 배열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is formed by joining the bottom portion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to the upper surface in a juxtaposition manner and dividing units 9a1 to 9a10 ) Ar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vision unit.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nnecting sheet 8b is formed by joining the bottom portions of 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on the head side to the upper surface in a juxtaposition manner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divided units 9b1 to 9b10 And a gap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vided unit.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상에서 제 1 탄성 마루판(9a) 및 제 2 탄성 마루판(9b)의 측방에 마련된 한쌍의 측벽부(16a, 16b)와, 이 한쌍의 측벽부(16a, 16b)를 통해 제 1 탄성 마루판(9a) 및 제 2 탄성 마루판(9b)을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유지 기구(22a, 23a, 24a, 25a, 25b)를 더 구비한다. 또, 간호 침대(100)는 한쌍의 측벽부(16a, 16b)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 1 탄성 마루판(9a) 및 제 2 탄성 마루판(9b)을 탑재하는 한쌍의 레일(6a, 6b)과, 한쌍의 레일(6a, 6b)의 제 1 탄성 마루판(9a)측에 마련되고 제 1 탄성 마루판(9a)을 수납하는 수납상자(18)를 더 구비한다.1,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mprise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16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s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s 9b on the main body frame 11, Holding mechanisms 22a, 23a, 24a, 25a and 25b for hold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s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s 9b at a constant height through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 The nursing bed 1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6a and 6b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nd on which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re mounted, And a storage box 18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s 9a of the pair of rails 6a and 6b for accommodat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s 9a.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에는 도 1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 본체(10)의 머리측의 단부 및 수납 상자(18)의 위쪽에 간호용의 선반 등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 프레임(11)은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장방형)형상으로 종이 파이프로 구성되며, 제 1 탄성 마루판(9a) 및 제 2 탄성 마루판(9b)을 끼워 넣어 지지하는 프레임체를 이루고 있다.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nursing shelf or the like attached to the head end side of the bed main body 10 and above the storage box 18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It is also possible. The main body frame 11 is formed of a paper pipe in a rect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top, and forms a frame body for support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제 1 탄성 마루판(9a)은 1군을 이루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집합해서 형성된 띠형상 연결체(제 1 띠형상 연결체)이고, 제 2 탄성 마루판(9b)은 1군을 이루는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이 집합해서 형성된 띠형상 연결체(제 2 띠형상 연결체)이다.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은 띠형상 연결체를 분할해서 구성하는 부재의 기본 단위이다. 제 1 탄성 마루판(9a)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각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가 기대(3a1,…)와, 현가 기대(3a1,…)의 위에 마련한 중간 완충재층(4a1,…)과, 중간 완충재층(4a1,…)의 위에 마련한 상부 완충재층(5a1,…)의 3층 구조를 세트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is a band-shaped connecting body (first band-shaped connecting body) formed by collecting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constituting one group,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is a group And 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are formed as a group. The division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are basic units of a member constituted by dividing the band-shaped connector.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is composed of an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 (not shown) provided on the suspension stands 3a1, Layered structure of the upper buffer layers 5a1, ...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 and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 as a set.

10개의 현가 기대(3a1,…)의 각각에는 원통형상의 심부(1a1, 1a2,…1a5,…)가 마련되어 있다. 10개의 현가 기대(3a1,…)의 각각은 심부(1a1, 1a2,…1a5,…)를 덮도록 고분자 발포체 등의 재료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직방체의 긴쪽 방향을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으로 정렬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분자 발포체는 경량이고, 일정한 강도와 탄성(쿠션성)을 가지므로, 이동하는 현가 기대(3a1,…)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고분자 발포체는 저렴하며, 비용성이 높다. 원통형상의 심부(1a1, 1a2,…1a5,…)를 두께 7㎜∼8㎜ 정도의 종이의 원통으로 만드는 것에 의해, 강도와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다. 현가 기대(3a1,…)를 각각 구성하는 직방체의 레일이 연장하는 방향의 1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정도, 또,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의 1변의 길이는 100㎝ 정도, 두께로 되는 상하 방향의 1변의 길이는 10㎝ 정도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ten suspension stands 3a1, ... is provided with cylindrical deep portions 1a1, 1a2, ... 1a5, .... Each of the ten suspension stands 3a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uch as a polymer foam so as to cover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1a5, ...,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ince the polymer foam is light in weight and has constant strength and elasticity (cushioning), i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for the moving suspension bases 3a1, .... In addition, the polymer foam is inexpensive and highly cost-effective. By making the cylindrical deep portions 1a1, 1a2, ..., 1a5, ... into a cylinder of pap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7 mm to 8 mm, strength and light weight can be maintained. The length of on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s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stituting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respectively form is about 10 cm and the length of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And the length of one s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ch is a thickness, may be about 10 cm.

또, 10개의 현가 기대(3a1,…)의 각각은 서로 인접해서 직접 대향하는 복수개의 직방체의 단면의 상호간에 약간의 간극을 등간격으로 비우도록, 띠형상 연결체의 연결 방향을 따라 서로 밀하게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인접하는 현가 기대(3a1,…)끼리의 간격 w1은 예를 들면 8∼10㎜ 정도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ten suspension stands 3a1, ... is pushed down along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connecting bodies so that a slight gap is equally spaced between the cross sections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s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interval w1 between the adjacent suspension supports 3a1, ... may be, for example, about 8 to 10 mm.

10개의 중간 완충재층(4a1,…)의 각각은 현가 기대(3a1,…)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의 긴쪽 방향을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으로 정렬해서, 현가 기대(3a1,…)의 각각의 위에 마련되어 있다. 중간 완충재층(4a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이 복수층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로서는 내부에 파형의 종이제의 플루트를 중심으로서 포함하고, 이 중심을 상하로부터 시트형상의 종이제의 라이너로 끼운 중공 구조의 골판지 등이 경량의 탄성 구조물로서 최적이다. 중간 완충재층(4a1,…)을 상면에서 본 평면 패턴의 치수는 현가 기대(3a1,…)의 상면에서 본 평면 패턴의 치수에 비해, 레일이 연장하는 방향의 길이가 약간 긴 동시에, 폭이 대략 동일하다. 즉, 인접하는 중간 완충재층(4a1,…)끼리의 간격은 현가 기대(3a1,…)끼리의 간격보다 짧고, 예를 들면 4∼6㎜ 정도의 등간격으로 구성되어 있다.Each of the ten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like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defined as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 on the suspension stands 3a1, ...,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intermediate shock-absorbing material layers 4a1, ... are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heet-like shock absorbing structures. As the cushioning structure of a sheet shape, a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having a hollow structure including a corrugated paper flute as its center and sandwiched by a liner made of paper in the form of a sheet from the top and bottom is optimum as a lightweight elastic structure. The dimension of the planar patter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hock-absorbing material layers 4a1, ... is slightly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planar pattern see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s extend, same. That is,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is shor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uspension stands 3a1, ..., and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of, for example, about 4 to 6 mm.

중간 완충재층(4a1,…)은 간호 침대(100)에 올라간 간호를 요하는 사람으로부터의 가중을 흡수하는 탄성(쿠션성)을 갖고, 간호를 요하는 사람에의 반발을 저감시킨다. 중간 완충재층(4a1,…)에 의해, 분할 유닛(9a1∼9a10)의 쿠션성이 높아지고, 잠자리가 향상한다. 또, 중간 완충재층(4a1,…)의 완충 구조물로서 골판지를 이용하면, 골판지는 경량이기 때문에, 이동하는 분할 유닛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성이 우수하다. 적층되는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의 층 수는 도 8에 예시한 3층에 한정되지 않으며, 2층이라도 4층 이상이라도 좋다. 또, 중간 완충재층(4a1,…)의 두께(높이)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have elasticity (cushioning) for absorbing the weight from the person who needs nursing to the nursing bed 100, and reduce the repulsion to the person who needs nursing care. 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increase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improve the sleeping position. When corrugated cardboard is used as the cushion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the corrugated cardboard is lightweight, and therefore can be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of the moving partitioning unit, and is inexpensive.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cushioning structures is not limited to three as shown in Fig. 8, and may be two or more. The thickness (height) of the intermediate shock-absorbing material layers 4a1, ...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10개의 상부 완충재층(5a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완충재층(4a1,…)과 마찬가지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직방체의 긴쪽 방향을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으로 정렬해서, 중간 완충재층(4a1,…)의 각각의 위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완충재층(5a1,…)은 발포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발포체를 직방체의 형상으로 성형한 다공질의 탄성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발포체는 경량이고, 일정한 강도와 탄성(쿠션성)을 가지므로, 이동하는 분할 유닛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10개의 상부 완충재층(5a1,…)의 상면에 표면 통기성, 통수성 및 쿠션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제의 메시를 부가해서 마련하면, 간호 침대로서의 쾌적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en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imilar to the middl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and the long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the deep portions 1a1, 1a2, ...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dunnage layers 4a1, ..., respectively. The upper shock-absorbing material layers 5a1, ... are made of a porous elastic structure in which a polymer foam such as a foamed plastic is mold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ince the polymer foam is lightweight and has a constant strength and elasticity (cushioning), i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for a moving partitioning unit, and is inexpensive because it is inexpensive. Further, by providing a polyester or polyethylene mesh having superior surface breathability, water permeability and cushioning property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ten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the comfort as a nursing bed can be further enhanced.

상부 완충재층(5a1,…)을 상면에서 본 평면 패턴의 치수도 중간 완충재층(4a1,…)의 상면에서 본 평면 패턴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하면 좋다. 즉, 도 1에 나타낸 인접하는 상부 완충재층(5a1,…)끼리의 간격 w2는 중간 완충재층(4a1,…)과 마찬가지로 4∼6㎜ 정도로 구성되며, 현가 기대(3a1,…)끼리의 간격보다 짧다. 또한, 상부 완충재층(5a1,…)의 두께(높이)는 탄성(쿠션성)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 상부 완충재층(5a1,…)의 10개의 상면이 대자리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이용되는 것에 의해, 제 1 탄성 마루판(9a)의 대자리형상의 상면을 형성하고, 매트리스에 등가의 쿠션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탄성 마루판(9a)은 보텀과 매트리스가 일체화된 구조를 달성하고 있다.The dimensions of the planar pattern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uffer layers 5a1, ...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planar patterns seen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 That is, the interval w2 between the adjacent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shown in FIG. 1 is set to about 4 to 6 mm like the middl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short. The thickness (height) of the upper buffer layers 5a1, ...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elasticity (cushioning) and the like.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are integrally used in a substantially flat shape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9a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and equivalent cushioning properties to the mattress can be realized. As a result,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chieve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and the mattress are integrated.

다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 시트(8a)의 일단측(도 4 중의 우측)의 상면에, 각각의 하면이 접합해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 1 연결 시트(8a)는 비닐제이고, 폭은 분할 유닛(9a1∼9a10)과 대략 동일하며, 두께는 수백 ㎛ 정도이다. 제 1 연결 시트(8a)에 의해,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일체화되는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며, 상면이 일체화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side (the right side in Fig. 4)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made of vinyl, and its width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at of the division units 9a1 to 9a10,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llows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to be unified, to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nd to stably form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s are integrated.

현가 기대(3a1,…)의 각각의 심부(종이관)(1a1, 1a2,…1a5,…)는 종이를 휘감아 형성된 중공 통형상의 부재이며,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750㎜∼900㎜ 정도, 또 내경은 28㎜∼30㎜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심부(1a1, 1a2,…1a5,…)는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성이 우수하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 유닛은 발밑측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심플한 구조이고 또한 경량인 심부(1a1,1a2, …1a5,…)는 현가 기대(3a1,…)의 심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Each of the deep portions (paper tubes) 1a1, 1a2, ... 1a5, ... of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formed by winding paper, The length in the direction may be, for example, about 750 mm to 900 mm, and the inner diameter may be about 28 mm to 30 mm. Since the core portions 1a1, 1a2, ... 1a5, ...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they are excellent in cost. As described later, since the divided unit can be moved toward the foot side,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being lightweight can be preferably used as core members of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또, 심부(1a1, 1a2,…1a5,…)는 2∼3개의 위에 평균적인 어른이 앉아도 절곡되지 않도록, 강도(전단 강도)가 예를 들면 80kgf∼100kgf 정도로 높게 되어 있다. 전단 강도를 더욱 높게 할 필요가 있으면, 심부(1a1, 1a2,…1a5,…)의 외주 또는 내주의 적어도 한쪽에, 폴리우레아 수지의 심리스 코팅을 하면 좋다. 폴리우레아 수지는 이소시네이트와 아미노기의 화학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는 우레아 결합이 주체로 된 화합물이다. 폴리우레아 수지의 코팅은 미 국방부(펜타곤)의 마루, 기둥, 벽 이외에, 고속도로나 철도의 교각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군 병사용 방탄 조끼의 방탄 패널에도 채용되고 있다.The strength (shear strength)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is as high as about 80 kgf to 100 kgf, for example, so that an average adult sitting on two or three of them is not bent. If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shear strength, the polyurea resin may be seamlessly coat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re portions 1a1, 1a2, ..., 1a5,. The polyurea resin is a compound mainly composed of a urea bond formed by a chemical reaction between an isocyanate and an amino group. Polyurea resin coatings are used not only on the floor, pillars and walls of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Pentagon), but also on highway and railway bridge piers, and are also used in bulletproof panels of armored vests.

10개의 심부(1a1, 1a2,…1a5,…)의 각각의 내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의 상부의 일부가 심부(1a1, 1a2,…1a5,…)의 상부의 내주면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원통형상의 10개의 차축(7a1, 7a2,…7a5,…)이 심부(1a1, 1a2,…1a5,…)의 축과 평행하게 꽂아 넣어져 있다. 차축(7a1, 7a2,…7a5,…)의 외경은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실현하도록 심부(1a1, 1a2,…1a5,…)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즉,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은 10개의 현가 기대(3a1,…)를 통해, 10개의 차축(7a1, 7a2,…7a5,…)에 현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core parts 1a1, 1a2, ..., 1a5, ... on the inside of each of the ten core parts 1a1, 1a2, ... 1a5,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axes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respectively. The outer diameters of the axles 7a1, 7a2, ... 7a5, ... are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s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so as to realize a constant clearance. That is,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re suspended on the ten axles 7a1, 7a2, ..., 7a5, ... through the ten suspension stands 3a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개의 차축(7a1, 7a2,…7a5,…)의 제 1 측벽부(16a)측의 단부(도 3에 있어서 하측의 단부)에는 각각 제 1 차륜(2a1∼2a10)이 연결되어 있다. 또, 10개의 차축(7a1, 7a2,…7a5,…)의 제 2 측벽부(16b)측의 단부(도 3에 있어서 상측의 단부)에는 각각 제 2 차륜(2b1∼2b10)이 연결되어 있다. 차축(7a1, 7a2,…7a5,…)이 심부(1a1, 1a2,…1a5,…)의 내측에서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므로, 제 1 차륜(2a1∼2a10) 및 제 2 차륜(2b1∼2b10)은 차축(7a1, 7a2,…7a5,…)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한다. 제 1 차륜(2a1∼2a10)의 각각 및 대응하는 제 2 차륜(2b1∼2b10)의 각각에서 전부 10쌍의 차륜(2a1∼2a10, 2b1∼2b10)을 구성한다. 또한, 차륜은 플라스틱 등을 이용해서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3,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ten axles 7a1, 7a2, ... 7a5, ... on th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 (lower end in Fig. 3) Is connected. Second wheels 2b1 to 2b10 are connected to end portions of the ten axles 7a1, 7a2, ... 7a5, ... on the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upper end in Fig. 3).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and the second wheels 2b1 to 2b10 can be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inside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so that the axles 7a1, 7a2, ... 7a5,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xles 7a1, 7a2, ... 7a5, .... Each of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wheels 2b1 to 2b10 constitute ten pairs of wheels 2a1 to 2a10 and 2b1 to 2b10 in total. Further, the wheel can be made lightweight by using plastic or the like.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의 「현가 기구」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의 심부(1a1, 1a2,…1a5,…)의 각각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차륜군(2a1, 2a2, 2a,…, 2a10; 2b1, 2b2, 2b,……, 2b10)과, 차륜군(2a1, 2a2, 2a,…, 2a10; 2b1, 2b2, 2b,……, 2b10)을 구성하는 한쌍의 차륜의 각각을 탑재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레일(6a, 6b)을 포함한다. 제 1 군에 속하는 복수개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을 이동시켜,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탄성 마루판의 사이에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spension mechanism" of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re portions 1a1 and 1a2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2b1, 2b2, 2b, ..., 2b10,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wheel groups 2a1, ... 1a5, And a pair of rails 6a and 6b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ount each of a pair of wheels constituting the wheels 2a1, 2a2, 2a, ..., 2a10; 2b1, 2b2, 2b, ..., 2b10. A plurality of divided units 9a1, 9a2, 9a, ..., 9a10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moved to form an ope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floor boards 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have.

제 1 레일(6a) 및 제 2 레일(6b)은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제이고, 레일이 연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사다리꼴형상이고, 하부에서 상부를 향함에 따라 단면의 좌우 방향으로 나타나는 폭이 짧아진다. 도 5의 단면도에서는 제 1 차륜(2a1∼2a10)은 이 사다리꼴의 윗변측의 형상을 사이에 두도록, 폭 방향의 중앙부가 움푹패인 오목부를 갖고, 이 오목부에서 제 1 레일(6a)의 상부를 끼우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1 레일(6a)상을 벗어나는 일 없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차륜(2b1∼2b10)은 제 1 차륜(2a1∼2a10)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의 윗변측의 형상을 사이에 두도록, 폭 방향의 중앙부가 움푹 패인 오목부를 갖고, 이 오목부에서 제 2 레일(6b)의 상부를 끼우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 2 레일(6b)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rail 6a and the second rail 6b are made of, for example, hard plastic.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s extend, the upper portion is trapezoidal, The width appear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shorter.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5,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have recesses whose central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cessed so that the shap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pezoids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rails 6a And is configured so as to be mova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first rail 6a. Similarly to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the second wheels 2b1 to 2b10 have concave portions whose center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dented so as to interpose the shap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pezoid, And is configured so as to be movable without coming off the second rail 6b by rotating the rail 6b while sandwi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6b.

제 1 차륜(2a1∼2a10) 및 제 2 차륜(2b1∼2b10)이 회전하여 레일상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양단의 차륜에 연결된 차축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또한 이동하는 차축의 외주면에 현가 기대(3a1,…)의 각각의 내주면이 일정한 클리어런스로 접해 있으므로, 분할 유닛(9a1∼9a10)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As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and the second wheels 2b1 to 2b10 rotate and move freely in the rail, the axles connected to the wheels at both ends move while rotating,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divided units 3a1, ... are in contact with a constant clearance, the divided units 9a1 to 9a10 are freely movable.

한쌍의 측벽부(16a, 16b)는 제 1 탄성 마루판(9a)을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사이에 각각 끼우도록 제 1 측벽부(16a)와 제 2 측벽부(16b)를 구비한다. 한쌍의 측벽부(16a, 16b)는 골판지 등의 내부에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부(16a)의 내측에는 제 1 레일(6a)이 탑재되는 동시에, 제 2 측벽부(16b)의 내측에는 제 2 레일(6b)이 탑재된다. 또한, 한쌍의 측벽부(16a, 16b)는 제 2 탄성 마루판(9b)(제 2 띠형상 연결체)을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탄성 마루판(9a)측으로부터 제 2 탄성 마루판(9b)의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반대측의 단부측의 위치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re formed so as to sandwich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so as to sandwich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s 1a1, 1a2, ..., And a side wall portion 16b.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re made of a sheet-shaped cushioning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structure in a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ail 6a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 and the second rail 6b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The pair of sidewall portions 16a and 16b extend from the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to the side of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so as to sandwich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nd extends toward the position on the side of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부(16a)는 외경측이 대략 직방체를 이루는 C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직방체의 긴쪽 방향을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연결 방향에 정렬해서 마련되어 있다. 단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제 1 측벽부(16a)는 제 1 레일(6a)이 탑재되는 제 1 측벽 하부와, 이 제 1 측벽 하부의 위의 일부에 L자를 이루어 마련된 제 1 측벽 중간 완충재층과, 제 1 측벽 중간 완충재층의 위에 제 1 레일(6a)을 덮고 차양형상으로 마련된 제 1 측벽 상부 완충재층을 구비한다. 제 1 측벽 중간 완충재층은 분할 유닛(9a1∼9a10)의 중간 완충재층(4a1,…)과 마찬가지로, 3층의 완충 구조물을 복수개 중첩해서, 분할 유닛(9a1∼9a10)의 중간 완충재층(4a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측벽 상부 완충재층은 분할 유닛(9a1∼9a10)의 상부 완충재층(5a1,…)과 마찬가지로, 고분자 발포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분할 유닛(9a1∼9a10)의 상부 완충재층(5a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 is formed in a C-shape whose outer diameter side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have. The first sidewall portion 16a has a first sidewall lower portion on which the first rail 6a is mounted and a first sidewall intermediate cushioning portion 16b provided in an L- And a first sidewall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 covering the first rail 6a on the first sidewall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 and provided in an oblong shape. The first sidewall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buffer structures of three layers on the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s 4a1 to 4a10 of the divided units 9a1 to 9a10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s 4a1, ...) on the upper surface. Like the upper shock-absorbing layers 5a1, ... of the dividing units 9a1 to 9a10, the first sidewall upper shock absorber layer is made of a polymer foam and the upper shock-absorbing layers 5a1, ...,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또, 제 2 측벽부(16b)는 제 1 측벽부(16a)와 마찬가지로 외경측이 C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직방체의 긴쪽 방향을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연결 방향에 정렬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 2 측벽부(16b)는 제 2 레일(6b)이 탑재되는 제 2 측벽 하부와, 이 제 2 측벽 하부의 일부의 위에 L자를 이루어 마련된 제 2 측벽 중간 완충재층과, 제 2 측벽 중간 완충재층의 위에 제 2 레일(6b)을 덮도록 마련된 제 2 측벽 상부 완충재층을 구비한다. 제 2 측벽 중간 완충재층은 분할 유닛(9a1∼9a10)의 중간 완충재층(4a1,…)과 마찬가지로, 3층의 완충 구조물을 복수개 중첩해서, 분할 유닛(9a1∼9a10)의 중간 완충재층(4a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벽 상부 완충재층은 분할 유닛(9a1∼9a10)의 상부 완충재층(5a1,…)과 마찬가지로, 고분자 발포체로 구성되는 동시에, 분할 유닛(9a1∼9a10)의 상부 완충재층(5a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is formed in a C-shape on the outer diameter s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 and is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aligned with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have.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6b includes a second sidewall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 provided in an L shape on a lower portion of a second sidewall on which the second rail 6b is mounted, a portion of the lower sidewall lower portion, And a second side wall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rail 6b. The second sidewall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buffer structures of three layers on the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s 4a1 to 4a10 of the partitioning units 9a1 to 9a10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s 4a1, ...)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sidewall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 polymer foam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of the dividing units 9a1 to 9a10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s 5a1, ...,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즉, 침대 본체(10)의 다리측에 있어서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중간 완충재층(4a1,…)의 두께와,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좌우의 제 1 측벽 중간 완충재층 및 제 2 측벽 중간 완충재층의 두께는 모두 동일한 두께이다. 또,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상부 완충재층(5a1,…)의 두께와,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좌우의 제 1 측벽 상부 완충재층 및 제 2 측벽 상부 완충재층의 두께는 모두 동일한 두께이다. 그 때문에,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과,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측벽부(16a, 16b)를 일체적으로 이용해서 누운 경우에도 쿠션성이 대략 균일하며, 잠자리가 향상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상면과, 한쌍의 측벽부(16a, 16b)의 상면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침대 본체(10)의 다리측에서는 평면 패턴상,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상면의 폭에, 또한 한쌍의 측벽부(16a, 16b)의 상면의 폭을 횡방향(폭 방향)으로 넓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s 4a1, ...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of the bed main body 10 and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first side wall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The thicknesses of the buffer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sidewall intermediate buffer material layer are all the same. The thickness of the upper buffer layers 5a1, ...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 upper buffer layers 9a1 to 9a10, The thicknesses are all the same. Therefore, even when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re integrally used, And sleeping is improved. 1, the upper surface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re arrang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 space in which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re wid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n the plane pattern can be used.

또, 도시를 생략하겠지만, 한쌍의 측벽부(16a, 16b)에는 제 1 차륜(2a1∼2a10) 및 제 2 차륜(2b1∼2b10)의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전환 장치는 예를 들면, 한쌍의 측벽부(16a, 16b)의 벽면을 관통해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축과, 이 축의 차륜측의 일단에, 차륜의 위쪽부터 차륜에 끼워 맞춰지는 바와 같은 형상의 내면을 갖는 훅 등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일체적으로 상면을 정렬해서 이용될 때에는 전환 장치에 의해 차륜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상면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이동할 때에는 전환 장치에 의한 차륜의 고정을 해방하면 좋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wheels 2a1 to 2a10 and the second wheels 2b1 to 2b10 are fixed is set i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 device can be provided. The switching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shaft which is rotatably attached through a wall surface of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and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a hook having a hook-and-hook structure. When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re us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s aligne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can be used stably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by the switching device. When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move, it is sufficient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wheel by the switching device.

또한, 제 2 탄성 마루판(9b)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은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마찬가지로, 현가 기대와, 중간 완충재층과, 상부 완충재층의 3층의 중첩에 의해서 탄성(쿠션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보텀과 매트리스가 일체화된 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현가 기대의 심부에는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마찬가지의 구조인 차축이 각각 꽂아 넣어져 있다. 또, 머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은 제 2 연결 시트(8b)의 상면에,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하면이 접합해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면이 일체화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 시트(8b)는 제 1 연결 시트(8a)와 마찬가지로 비닐제이다.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of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re resiliently deformed by the superposition of the suspension base, 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 and the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Cushioning),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and the mattress are integrated is realized. In the deep portion of the suspension base, the axle, which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is inserted. 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on the head side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sheet 8b in such a manner that their lower surfaces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State is stably formed. The second connection sheet 8b is made of vinyl like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머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은 다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심부에 꽂아 넣어진 차축을 통해, 한쌍의 레일(6a, 6b)상에 탑재되어 있다. 머리측의 분할 유닛(9b1∼9b10)에 꽂아 넣어진 차축의 양단에는 분할 유닛의 위치를 한쌍의 레일(6a, 6b)상에서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머리측의 심부, 차축 및 한쌍의 고정부의 부호의 부기는 생략한다. 머리측의 한쌍의 고정부는 다리측의 한쌍의 차륜과 달리 회전하지 않고,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형상을 나타내도록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부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레일에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분할 유닛의 이동을 억제한다. 또, 훅 등의 다른 고정 장치를 한쌍의 측벽부(16a, 16b)에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고정시켜도 좋다.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on the head side are mounted on the pair of rails 6a and 6b through the axle inserted in the respective deep porti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 At both ends of an axle inserted into the head side partitioning units 9b1 to 9b10, a pair of fixing portio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ing unit on the pair of rails 6a and 6b is provid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of the sign of the head portion of the head side, the axle, and the pair of fixing portions is omitted. The pair of fixing portions on the head side do not rotate unlike a pair of wheels on the leg side, and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so as to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rmed into a flat surface, The area is enlarged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divided unit. Alternatively, another fixing device such as a hook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to fix them.

즉, 제 2 탄성 마루판(9b)의 구조는 한쌍의 레일(6a, 6b)상을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는 점 이외는 제 1 탄성 마루판(9a)과 공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탄성 마루판(9b)을 이루는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의 상면은 다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That i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is common to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except that it is fixed so as not to move on the pair of rails 6a and 6b. The upper surfaces of the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constituting the second elastic floor board 9b are attached so as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유지 기구(22a∼25a, 22b∼25b)는 간호 침대(100)의 한쌍의 레일(6a, 6b)의 각각의 양단부 및 중앙부의 근방에 마련되고, 본체 프레임(11)에 부착된 종이 파이프제의 다리부 본체와, 이 다리부의 본체 프레임(11)과 반대측의 단부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고무제 등의 다리부 차륜을 각각 구비한다. 다리부 본체는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신축 자유롭게 구성되고, 한쌍의 레일(6a, 6b)의 각각의 양단부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간접적으로 들어올려져 있다. 또한, 유지 기구(22a∼25a, 22b∼25b)는 한쌍의 레일(6a, 6b)의 각각의 양단부 및 중앙부의 근방의 위치를 직접 지지하는 바와 같은 구조라도 상관없다.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and 22b to 25b are provided in the vicinities of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rails 6a and 6b of the nursing bed 100, And a leg portion wheel such as rubber which is rotatably attached to an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opposite to the body frame 11, respectively. The leg portion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freely stretchable so as to be easily adjustable in height, and is lifted indirectly so that both ends of each pair of rails 6a and 6b are at the same height. 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and 22b to 25b may be structured so as to directly support the positions near both ends and the center of each of the pair of rails 6a and 6b.

수납 상자(18)는 한쌍의 레일(6a, 6b)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연결 방향의 일단측(도 2 중의 좌측)에 마련되고, 복수개의 현가 기대(3a1,…)(제 1 군에 속하는 현가 기대(3a1,…))를 수납한다. 수납 상자(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방향을 따른 한쌍의 레일(6a, 6b)의 일단측에, 유지 기구(22a∼25a, 22b∼25b)의 높이분의 깊이로 되도록, L자형의 형상을 갖고 한쌍의 레일(6a, 6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 중에서는 설명을 위해, 심부(1a1, 1a2, …1a5,…)의 각각의 내측의 차축(7a1, 7a2,…7a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The storage box 18 is provided at one end side (left side in Fig. 2) of the connection direction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f the pair of rails 6a and 6b and has a plurality of suspension stands 3a1 The suspension suspensions 3a1, ...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4, the storage box 18 is provided at one end of a pair of rails 6a and 6b along the connection direction so as to have a depth L of 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and 22b to 25b, And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ir of rails 6a and 6b. In Fig. 4, the axes 7a1, 7a2, ... 7a5, ... of the inner portions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are omit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상자(18)는 주면이 마루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저판(18e)과, 이 저판(18e)의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주면을 연직으로 해서 마련된 입판(18d)과, 이 입판(18d)의 상부의 제 1 탄성 마루판(9a)측의 면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된 천판(18c)과, 저판(18e)과 입판(18d)과 천판(18c)에 측방으로부터 동시에 접합하도록 부착된 한쌍의 측판(18a, 18b)을 갖는다. 저판(18e)과 입판(18d)과 천판(18c)과 한쌍의 측판(18a, 18b)에 의해서 내부 공간을 갖는 상자형상의 용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 상자(18)에는 이 용기의 내측에 제 1 롤러(31)와, 이 제 1 롤러(31)의 아래쪽에 마련된 제 2 롤러(32)와, 제 1 롤러(31) 및 제 2 롤러(32)의 사이에 마련된 권취 롤러(33)를 갖는 권취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의 단면도 중에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제 2 측판(18b)이 나타나 있다. 상자형상의 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모두 골판지 등의 완충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 용기의 내측에서, 입판(18d)과 천판(18c)의 접합부 근방에는 수납 상자(18)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현가 기대(3a1,…)에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광 촉매 작용을 이용해서 살균 및 탈취 처리하는 살균등(40)이 마련되어 있다.4, the storage box 18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18e whose main surface is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bottom plate 18b which is upwardly raised from the end of the bottom plate 18e opposite to the first elastic floor plate 9a A top plate 18c attached horizontally so as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first elastic floor plate 9a side of the top plate 18d and a top plate 18c and a bottom plate 18e, 18d and a pair of side plates 18a, 18b attached to the top plate 18c so as to be simultaneously joined from the side. Shaped container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by a bottom plate 18e and a top plate 18d and a top plate 18c and a pair of side plates 18a and 18b is formed in the storage box 18, 1 roller 31 and a second roller 32 provided below the first roller 31 and a winding roller 33 provided between the first roller 31 and the second roller 32 And a winding mechanism is provided. 4 shows a second side plate 18b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box-shaped container is made of a cushioning structure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In the vicinity of the junction between the inlet plate 18d and the top plate 18c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ltraviolet rays or the like are irradiated to the suspension bases 3a1, ...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torage box 18, A sterilizing lamp 40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the sterilizing lamp 40 is provided.

제 1 연결 시트(8a)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평행하게 배열된 일단 측(도 4 중의 우측)은 수납 상자(18)의 외측에 위치하지만, 분할 유닛(9a1∼9a10)이 배열되어 있지 않은 타단측(도 4 중의 좌측)은 수납 상자(18)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 1 롤러(31)의 외주면 및 제 2 롤러(3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동시에, 타단은 권취 롤러(33)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다.One side (the right side in Fig. 4) where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re arranged in parallel is located outside the storage box 18, but the divided units 9a1 to 9a10 The other end side (left side in FIG. 4) which is not arranged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box 18 and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 (33).

제 1 롤러(31)는 종이제이고 중공 통형상이며, 10개의 현가 기대(3a1,…)의 심부(1a1, 1a2, …1a5,…)와 마찬가지로, 경량이고 또한 강도가 높아진 부재이다. 제 1 롤러(3)는 최상부의 외주면의 높이가 띠형상 연결체를 형성하는 상태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하면이 접합하고 있는 제 1 연결 시트(8a)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롤러(31)의 폭은 제 1 연결 시트(8a)의 폭과 대략 동일하며, 제 1 롤러(31)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 중 가장 수납 상자(18) 가까이에 위치하는 10번째의 분할 유닛(9a10)의 근방에, 수납 상자(18)의 좌우의 한쌍의 측판(18a, 18b)에 현가되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한쌍의 측판(18a, 18b)과 각각 구름 베어링 등을 통해 부착되고, 한쌍의 측판(18a, 18b)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roller 31 is made of paper and is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and is a lightweight and high strength member similar to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etc. of the ten suspension stands 3a1. The height of the uppermos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to which the lower surfaces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in the state of forming the band- As shown in Fig. The width of the first roller 3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nd the first roller 31 is located nearest to the storage box 18 among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18b of the storage box 18 in the vicinity of the tenth divided unit 9a10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8a, 18b via a rolling bearing or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ide plates 18a, 18b.

또, 제 1 롤러(31)는 상단부와 수납 상자(18)의 천판(18c)의 사이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두께와 1개의 분할 유닛의 높이의 합의 길이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천판(18c)에서 이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롤러(31)는 수평 방향의 수납 상자(18)측의 단부와 수납 상자(18)의 입판(18d)의 사이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두께와 1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높이의 합의 길이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입판(18d)에서 이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roller 3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top plate 18c of the storage box 18 such that a gap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the height of one division unit is forme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plate 18c. The first roller 31 is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storage box 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let plate 18d of the storage box 18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the thickness of the one division unit 9a1 to 9a10 ar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oor plate 18d so as to form a gap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door plates 9a1 to 9a10.

제 1 롤러(31)의 상측의 외주면 중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반대측의 영역(도면 중의 좌측상부의 약 4분의 1의 면적을 이루는 영역)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내측면이 휘감기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 시트(8a)가 제 1 롤러(31)의 우측에서의 수평인 상태로부터 제 1 롤러(31)의 좌측에서 아래쪽으로 처지는 상태가 형성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is formed i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This winding caus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sags from the left side of the first roller 31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state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oller 31. [

제 2 롤러(32)는 제 1 롤러(31)와 마찬가지로, 종이제로 중공 통형상이고, 경량이고 또한 강도가 높아진 부재이다. 제 2 롤러(32)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 1 연결 시트(8a)와 대략 동일 폭이고, 제 2 롤러(32)는 수납 상자(18)의 좌우의 한쌍의 측판(18a, 18b)에 현가되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한쌍의 측판(18a, 18b)과 각각 구름 베어링 등을 통해 부착되고, 한쌍의 측판(18a, 18b)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roller 32, like the first roller 31, is a paper-zero hollow cylinder-shaped member, lightweight, and has increased strength. The length of the second roller 32 in the axi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the second roller 32 is connect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18a and 18b of the storage box 18, And is attached to a pair of side plates 18a and 18b through rolling bearings or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ide plates 18a and 18b.

또, 제 2 롤러(32)는 수평 방향의 수납 상자(18)측의 단부와 수납 상자(18)의 입판(18d)의 사이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두께와 1개의 분할 유닛의 높이의 합의 길이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입판(18d)에서 이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롤러(32)는 하단부와 수납 상자(18)의 저판(18e)의 사이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두께와 1개의 분할 유닛의 높이의 합의 길이 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저판(18e)에서 이간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roller 32 is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storage box 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let plate 18d of the storage box 18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a gap larger than the sum of the height is formed. The second roller 32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orage box 18 and the bottom plate 18e of the storage box 18 so that a gap of a length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the height of one division unit is forme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18e.

제 2 롤러(32)의 상측의 외주면 중 약 하반부의 영역에 제 1 연결 시트(8a)의 내측면이 휘감기는 것에 의해, 제 1 연결 시트(8a)가 제 2 롤러(32)의 좌측에서 위쪽의 제 1 롤러(31)측으로부터 처진 상태에 연속해서, 제 2 롤러(32)의 우측에서, 권취 롤러(33)를 향해 재차 매달아 올려진 상태가 형성된다.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wound around the upper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moved from the left side of the second roller 32 to the upper side A state in which the roller is suspended again from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roller 32 toward the winding roller 33 is formed successively from the side of the first roller 31 of the first roller 31. [

권취 롤러(33)는 종이제이고 중공 통형상이며, 현가 기대(3a1,…)(제 1 군에 속하는 현가 기대(3a1,…))의 심부(1a1, 1a2,…1a5,…)와 마찬가지로, 경량이고 또한 강도가 높아진 부재이다. 권취 롤러(33)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 1 연결 시트(8a)와 대략 동일한 폭이고, 제 1 롤러(31)와 제 2 롤러(32)의 사이에, 수납 상자(18)의 좌우의 한쌍의 측판(18a, 18b)에 현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권취 롤러(33)는 긴쪽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한쌍의 측판(18a, 18b)과 각각, 구름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권취 롤러(33)의 외주면에는 제 1 연결 시트(8a)의 타단이 부착되어 있다.The winding roller 33 is made of paper and is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ore portions 1a1, 1a2, ..., 1a5, ... of the suspension supports 3a1, ... (suspension supports 3a1, It is a lightweight and high strength member. The length of the take-up roller 33 in the axi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between the first roller 31 and the second roller 32, The side plates 18a and 18b of the side plates 18a and 18b. The winding roller 33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pair of side plates 18a and 18b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rolling bearings or the like.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ke-up roller 33. [

수납 상자(18)의 제 2 측판(18b)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롤러(33)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서, 권취 롤러(33)를 회전시키는 핸들(34)이 마련되어 있다. 권취 롤러(33)와 핸들(34)의 연결은 예를 들면 외주면이 권취 롤러(33)의 내주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형성된 원주형상의 단부를 한쪽에 갖는 동시에, 다른쪽에는 권취 롤러(33)의 축과 동축으로 부착된 봉형상의 축부를 갖는 연결부를 이용한다. 이 연결 부분을 권취 롤러(33)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 원주형상의 단부를 이용해서 부착하는 동시에, 축부의 수납 상자(18)측의 단부에 핸들(34)을 부착하면, 핸들(34)의 회전 동작에 의해 권취 롤러(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권취 롤러(33)의 회전에 수반해서, 제 1 연결 시트(8a)가 권취 롤러(33)에 권취되고,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마련된 측이 수납상자(18)의 내부에 인입되게 된다.The second side plate 18b of the storage box 18 is provided with a handle 34 for rotating the take-up roller 33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ake-up roller 33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nding roller 33 and the handle 34 is achieved by, for example, having a circumferential end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ller 33, And a bar-shaped shaft portion attached coaxially with the shaft portion. This connecting portion is attached to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inding roller 33 by using the cylindrical end portion and the handle 34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aft side on the storage box 18 side, The winding roller 33 can be rotated.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is wound around the take-up roller 33 and the side provided with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is drawn into the storage box 18 .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에 있어서는 한쌍의 레일(6a, 6b)의 일단측(수납 상자(18)측)에서 제 1 롤러(31)까지 이동하는 수평인 경로와, 제 1 롤러(31)에서 제 2 롤러(32)까지 하강하는 연직의 경로와, 제 2 롤러(32)의 외주면을 절반 주회한 후, 제 2 롤러(32)의 수납 상자(18)와 반대측의 공간에 있어서, 제 2 롤러(32)와 권취 롤러(33)까지 상승하는 연직의 경로가 제 1 군의 분할 유닛(9a1∼9a10)의 이동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horizontal path for moving from the one end side (the storage box 18 side) of the pair of rails 6a and 6b to the first roller 31, In the sp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orage box 18 of the second roller 32 after a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vertical path of descending from the first roller 31 to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vertical path ascending to the second roller 32 and the winding roller 33 constitute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group of division units 9a1 to 9a10.

또한, 폴리우레아 수지의 심리스 코팅을 한쌍의 측벽부(16a, 16b), 유지 기구(22a∼25a, 22b∼25b), 본체 프레임(11), 수납 상자(18) 등에 실시하는 것에 의해, 종이 재료의 대충격 내성이나 구조 역학적 강도가 높아지므로, 전체의 구조가 모두 종이 및 고분자 발포체로 구성된 경량이고 또한 견고한 간호 침대(100)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조 역학적 강도는 폴리우레아 수지의 코팅의 두께로 조정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seamless coating of the polyurea resin o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6a and 16b, 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and 22b to 25b, the main body frame 11 and the storage box 18,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ightweight and robust nursing bed 100 composed entirely of paper and a polymer foam. The structural mechanical strength can be adjusted by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of the polyurea resin.

송풍 기구(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가스 공급 장치(71)와, 이 가스 공급 장치(71)에 접속된 외부 송풍 배관 Pb와, 이 외부 송풍 배관 Pb에 연결된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과, 부호의 부기를 생략하는 머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을 구비한다. 또, 가스 공급 장치(71)는 도시를 생략하는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가스 공급 장치(71) 및 외부 송풍 배관 Pb의 경로 도중에는 주 전원 스위치, 가스 압송의 조작의 온 오프의 전환 스위치, 온풍/ 냉풍의 전환 스위치 및 서모스탯이 조립되어 있는 타이머 설정 다이얼 등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반(72)으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3, the blowing mechanism 20 includes a gas supply device 71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an external blowing pipe Pb connected to the gas supply device 71, a leg connected to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Side internal blowing pipes P1 to P67 and an internal blowing pipe on the head side where the sign is omitted. In addition, the gas supply device 71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not shown), and at the same time,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main power switch, gas pressure feeding operation, / Cold wind changeover switch and a timer setting dial in which the thermostat is assembled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72. [

가스 공급 장치(71)는 침대 본체(10)에 가스를 공급하여 압송하는 것이며, 고압 가스 봄베로부터 공급해도 좋고, 유량 제어나 온풍/냉풍의 전환이 가능한 에어 컴프레서나 송풍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스의 종류로서는 비용 및 취급성의 용이로부터 압축한 건조 공기가 이용되고 있지만, 간호 침대(100)를 건조시키는 한, 공기의 조성에 가까운 산소(O2)와 질소(N2)의 혼합 가스 등 다른 가스라도 적절히 선택되어도 좋다.The gas supply device 71 supplies gas to the bed main body 10 and press-feeds the gas. The gas supply device 71 may be supplied from a high-pressure gas cylinder or an air compressor or an air blow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low rate and switching between hot air and cold air . As the kind of gas, dry compressed air is used because of ease of cost and ease of handling. However, as long as the nursing bed 100 is dried, a mixed gas of oxygen (O 2 ) and nitrogen (N 2 ) Ga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외부 송풍 배관 Pb는 예를 들면 가요성 호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가스 공급 장치(71)에서 공급된 가스를 침대 본체(10)의 내부에 이동시키는 외부 경로를 이룬다. 외부 송풍 배관 Pb는 가스 공급 장치(71)와 침대 본체(10)의 사이의 분기점에서, 다리측의 단부(Pb1)와 머리측의 단부(Pb2)로 2갈래로 분기하고 있다. 다리측의 단부(Pb1)는 침대 본체(10)의 제 2 측벽부의 다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 중, 가장 머리측에 위치하는 1번째의 분할 유닛(9a1)의 근방에 부착된 외부 연결구(17b)를 통해 연결된다. 또, 머리측의 단부(Pb2)는 제 2 측벽부의 머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 중, 가장 다리측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1번째의 분할 유닛(9b1)의 근방에 부착된 외부 연결구를 통해 연결된다. 머리측의 외부 연결구의 부호의 부기는 생략하겠지만, 다리측의 외부 연결구(17b)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The external blowing pipe Pb is made of, for example, a flexible hose or the like, and forms an external path for mov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ing device 71 into the bed main body 10.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is branched into two branches at an end Pb1 on the leg side and an end Pb2 on the head side at the branch point between the gas supply device 71 and the bed main body 10. [ The end Pb1 of the leg side is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first divided unit 9a1 located at the head side among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on the leg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of the bed body 10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7b. The head side end portion Pb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ng portion 9b1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first division unit 9b1 which is located at the most distance from the leg side among the ten division units 9b1 to 9b10 on the head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Lt; / RTI > Although nota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on the head side will be omitte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7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7b on the leg side.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연접하는 간극끼리에서 역방향으로 송풍되도록 사행하여 배관된 파이프이고, 파이프의 구멍 혹은 간극부를 통해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의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은 제 1 연결 시트(8a)상에 마련된 67개의 송풍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송풍 배관(P1∼P67)을 이루는 송풍 파이프에는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와,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의 사이에 배치되는 U자형상의 복수개의 U자 파이프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 중, 제 2 측벽부(16b)를 통해 외부 송풍 배관의 다리측의 단부와 대향하는 단관 파이프는 내부 연결 파이프(Pa1)를 이루고, 일단측이 제 2 측벽부의 내벽에 내부 연결구를 통해 연결된다. 침대 본체(10)의 내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와, U자 파이프가 등 폭의 간극을 두고 모두 동축으로 배치되고 일체화되어 이용되는 것에 의해, 제 1 탄성 마루판(9a)의 머리측의 일단에서 수납 상자(18)측의 타단까지 걸치는 1개의 송풍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internal ventilation pipes P1 to P67 on the leg side are pipes which are piped in such a manner as to be blown in opposite directions from each other by gap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ir can be delivered. That is, the internal ventilation pipes P1 to P67 on the leg side of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composed of 67 ventilation pipes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The air blowing pipe constituting the internal blowing pipes P1 to P67 includes a plurality of single pipe pipes extending linearly and a plurality of U-shaped pipes arranged between the plural single pipe pipes. As shown in Fig. 5, among the plurality of single pipe pipes, the single pipe pipe facing the end portion of the external blowing pipe through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constitutes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portion through an internal connector. As shown in Fig. 3, the inner connecting pipe Pa1, the plurality of single pipe pipes, and the U pipe are coaxially arranged and used integrally with a gap of equal width in the interior of the bed body 10 And one blowing lin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ead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to the other end of the side of the storage box 18 is formed.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는 모두 스틸 등의 금속제의 원통이다. 단관 파이프는 도 6에 예시한 단관 파이프(P11, P12, P14, P15)와 같이, 내측은 6∼8㎜ 정도, 두께는 0.8∼1.2㎜ 정도, 또 축 방향의 길이 wp는 120∼14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단관 파이프(P14, P15)끼리의 사이에는 4∼32㎜ 정도의 길이 ws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를 금속제 이외의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구성하면, 간호 침대(100)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The single pipe and the U pipe are all made of metal such as steel. 6, the inner diameter is about 6 to 8 mm, the thickness is about 0.8 to 1.2 mm, and the axial length wp is about 120 to 140 mm. can do. A gap of a length ws of about 4 to 32 mm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ingle pipe pipes P14 and P15. When the single pipe and the U pipe are made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such as plastic, the nursing bed 100 can be made lighter.

단관 파이프(P11, P12, P14, P15)의 긴쪽 방향의 양단의 내주면상에는 각각 공기의 송출 및 인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류부(P12a, P14b)가 마련되어 있다. 정류부(P12a, P14b)는 단관 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의 복수개의 홈이 일정한 동일 길이로 내주면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새겨넣어져, 내주면상에서 밀하게 병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rectifying portions P12a and P14b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ngle-ended pipes P11, P12, P14 and P15 for facilitating delivery and introduction of air, respectively. The rectifying sections P12a and P14b ar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ngle pip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constant intervals and are tightly juxta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U자 파이프는 도 6에 예시한 U자 파이프(P13)와 같이, 단관 파이프의 내경 및 두께와 대략 동일한 내경 및 두께이다. 또, U자의 2개의 직선부의 축 방향의 길이는 단관 파이프의 길이 wp와 동일 정도의 120∼140㎜ 정도이며, 2개의 직선부의 사이의 간격은 현가 기대(3a1,…)의 배열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긴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 U자 파이프(P13)와, 양단에서 각각 인접하는 단관 파이프(P12, P14)의 사이에는 단관 파이프끼리의 간극과 대략 동일한 길이 ws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U자 파이프(P13)의 양단에도 단관 파이프(P11, P12, P14, P15)와 마찬가지로, 각각 정류부(P13a, P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U자 파이프는 반드시 엄밀한 U자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V자형상에 가까운 형상 등 다른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또,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의 각 부의 치수나, 내부 송풍 배관을 구성하는 개수 등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좋다.The U-shaped pipe, like the U-shaped pipe P13 shown in Fig. 6, has an inner diameter and a thickness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single pipe.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wo rectilinear portions of the U-shape is about 120 to 140 mm, which is about the same as the length wp of the single-pipe pip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ectilinear portions is equal to the length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spension stands 3a1, The same or slightly longer. A gap of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ws is formed between the U-shaped pipe P13 and the adjacent single pipe pipes P12 and P14 at both ends, respectively. Similarly to the single-pipe pipes P11, P12, P14 and P15, rectifying sections P13a and P13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shaped pipe P13. The U-shaped pi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rigid U-shape, and may be a different shape such as a V-shape or the like. The dimensions of each of the single pipe and the U pipe, the number of the internal blow pipe,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벽부(16b)에는 심부(1a1, 1a2,…1a5,…)의 축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부(15)가 마련되고, 이 구멍부(15)를 통해 외부 연결구(17b) 및 내부 연결구(17a)가 연결되어 있다. 외부 연결구(17b)의 내측에는 외부 송풍 배관 Pb의 다리측의 단부(Pb1)가 끼워 맞춰져 있다. 외부 연결구(17b) 및 내부 연결구(17a)는 모두 중공 통형상이다. 외부 연결구(17b)는 일단 측에는 칼라부를 갖는 동시에, 내부 연결구(17a)도 타단측에 칼라부를 갖는다. 외부 연결구(17b) 및 내부 연결구(17a)는 각각의 칼라부에서 제 2 측벽부를 사이에 두도록, 각각의 칼라부측의 단부를 제 2 측벽부의 구멍부에 끼워 맞춰 부착되어 있다.5,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is provided with a hole portion 15 horizontally penetrat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s 1a1, 1a2, ..., 1a5, And an external connection port 17b and an internal connection port 17a are connected. An end Pb1 of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connecting port 17b. Both the outer connection port 17b and the inner connection port 17a are hollow cylinders. The outer connection port 17b has a collar at one end, and the inner connection port 17a also has a collar at the other end. The outer connecting port 17b and the inner connecting port 17a are fitted to the hole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end portion of each collar portion is fitted to the hole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respective collar portions.

외부 연결구(17b)와 내부 연결구(17a)의 각각의 칼라부측의 단부에는 모두 자성 재료가 포함되는 동시에. 자성이 서로 이극으로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2개의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져 일정한 흡인력으로 접합한다. 또한, 2개의 단부간의 흡인력은 어느 정도의 힘을 외부로부터 부가하여 외부 연결구(17b)와 내부 연결구(17a)를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어긋나는 정도의 크기로 되도록, 자력이 조정되어 있다.The magnetic material is included in both end portions of the collar portion of the outer connector 17b and the inner connector 17a. The magnetic forces are configured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ends are attracted to each other and bonded with a constant attraction force. In addition,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two end portions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magnetic forc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externally applied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7b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ort 17a are pulled out, so that the attraction force is easily deviated.

내부 연결 파이프(Pa1)는 제 1 연결 시트(8a)의 상면과 평행하게 수평이 되도록, 제 2 측벽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축(7a1)의 외주면의 상부가 심부(1a1)의 상부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정지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개의 단관 파이프(P1∼P6)가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동축으로 되도록 제 1 연결 시트(8a)의 상면상에서 동일 직선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6개의 단관 파이프(P1∼P6)는 제 1 연결 시트(8a)상의 1번째의 분할 유닛(9a1)과, 제 2 연결 시트(8b)상의 머리측의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 중 가장 다리측(도 3 중의 좌측)에 위치하는 10번째의 분할 유닛(9b10)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The inner connecting pipe Pa1 is attached 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7a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eep portion 1a1 and stops, Is fixed in the same straight li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so as to be coaxial with the inner connecting pipe Pa1. The six single pipe pipes P1 to P6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on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nd to the top 10 divided units 9b1 to 9b10 on the second connecting sheet 8b on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nd the tenth divided unit 9b10 located on the leg side (left side in Fig. 3).

6개의 단관 파이프(P1∼P6) 중 내부 연결 파이프(Pa1)의 가장 반대측에 위치하는 6번째의 파이프를 이루는 단관 파이프(P6)의 제 1 차륜(2a1)측의 단부에 대향해서, 2개의 직선부 중 한쪽의 직선부가 직선형상의 6개의 단관 파이프(P1∼P6)와 동축으로 되도록, 간극을 통해 U자 파이프(P7)(7번째의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이 U자 파이프(P7)의 다른쪽의 직선부는 1번째의 분할 유닛(9a1)과, 1번째의 분할 유닛(9a1)의 수납 상자(18)측(도 3 중의 좌측)이 인접하는 2번째의 분할 유닛(9a2)의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A pair of straight pipe pipes P6 and P6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first wheel 2a1 side of the single pipe P6 constituting the sixth pipe located on the most opposite side of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among the six single pipe pipes P1- And a U-shaped pipe P7 (seventh pipe) is disposed through the gap so that one of the straight portions is coaxial with the six single-ended pipes P1 to P6 in a straight line. The other linear portion of the U-shaped pipe P7 is connected to the first dividing unit 9a1 and the second dividing unit 9a1 on the side of the storage box 18 (left side in Fig. 3) And is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division units 9a2.

이 U자 파이프(P7)의 다른쪽의 직선부측의 단부에는 또한 5개의 단관 파이프(P8∼P12)가 U자 파이프(P7)의 다른쪽의 직선부와 동축으로 되도록 제 1 연결 시트(8a)의 상면상에서 동일 직선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1번째의 분할 유닛(9a1)과 2번째의 분할 유닛(9a2)의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5개의 단관 파이프(P8∼P12)의 제 2 차륜(2b1)측의 단부에는 2개의 직선부 중 한쪽의 직선부가 직선형상의 5개의 단관 파이프(P8∼P12)와 동축으로 되도록, 간극을 통해 U자 파이프(P13)(13번째의 파이프)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 중에서 소정의 피치로 U자 파이프가 개재하도록 각각의 배치가 반복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측의 1개의 송풍 라인의 종단을 이루는 마지막의 단관 파이프(P67)(67번째의 파이프)은 제 1 연결 시트(8a)상의 10번째의 분할 유닛(9a10)의 제 1 차륜(2a1)측의 단부 부근 위치에서, 수납 상자(18)측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is so formed that the five single-ended pipes P8 to P12 are coaxial with the other linear portion of the U-shaped pipe P7 at the end of the other linear portion of the U- As shown in Fig. An end portion of the five single-ended pipes P8 to P12 on the side of the second wheel 2b1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first division unit 9a1 and the second division unit 9a2 is provided with two straight lines And a U-shaped pipe P13 (thirteenth pipe) is arranged through a gap so that one of the straight portions is coaxial with the five single-ended pipes P8 to P12 in a straight line shape. , A plurality of single pipe pipes are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nd the respective arrangements are repeated such that a U pipe is interposed at a predetermined pitch among a plurality of single pipe pipes. The last single pipe P67 (the 67th pipe) constituting the end of one blowing line on the leg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wheel 2a1 of the tenth splitting unit 9a10 on the first connecting seat 8a, At a position near the end of the housing box 18 side.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은 전체적으로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약 180°의 되꺾음 각도의 헤어핀 커브를 갖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라인을 형성하고, 내측을 흐르는 가스가 분할 유닛(9a1∼9a10)의 긴쪽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이동과, 반대로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이동을 반복하는 왕복 이동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ternal blowing pipes P1 to P67 on the leg side form a line which is bent in a zigzag shape so as to have a hairpin curve having a bending angle of about 180 degrees from one end side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s a whole , The gas flowing in the inside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which the gas is mov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vision units 9a1 to 9a10 and vice versa.

또한, 제 2 탄성 마루판(9b)의 내부에는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를 이용해서, 머리측의 1번째의 분할 유닛(9b1)측에서 10번째의 분할 유닛(9b10)측을 향해, 약 180°의 되꺾음 각도의 헤어핀 커브를 갖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라인을 이루는 머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이 마련되어 있다. 머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Pa2)가 내부 연결구 및 외부 연결구를 통해, 외부 송풍 배관 Pb의 머리측의 단부(Pb2)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공급 장치(71)로부터 압송된 공기가 간호 침대(100)의 내부에서 다리측과 머리측에 동시에 송입되고, 효율적으로 침대 본체(10)의 내부를 건조시킨다. 또한, 머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을 이루는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와 내부 연결구 및 외부 연결구에 대해서는 부호의 부기를 생략한다.Similarly to the internal ventilation pipes P1 to P67 on the leg side, a plurality of single-pipe pipes and U-shaped pipes ar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nd the first partitioning unit 9b1 side Side internal blowing pipe which is a line bent in a zigzag shape so as to have a hairpin curve of a turning angle of about 180 degrees toward the tenth divided unit 9b10 side. The head connecting pipe Pa2 is connected to the head end Pb2 of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through the internal connecting port and the external connecting port. Therefore, the air fed from the gas supply device 71 is simultaneously fed to the leg side and the head side inside the nursing bed 100, and efficiently dries the inside of the bed body 10. Further, for the single pipe and the U-pipe constituting the internal air blowing pipe on the head sid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for the inner connecting port and the outer connecting port.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동작--- Operation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송풍 동작><Ventilation Operation>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의 침대 본체(10)의 내부에서, 한쌍의 레일(6a, 6b)을 따라 밀하게 평행하게 배열된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의 각각의 상면을 연결하여,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상면을 형성한다. 또, 머리측에 있어서도 제 1 탄성 마루판(9a)과 마찬가지로, 10개의 분할 유닛(9b1∼9b10)을 평행하게 배열하고, 각각의 상면을 연결하여 제 2 탄성 마루판(9b)의 상면을 형성한다. 제 1 탄성 마루판(9a)과 제 2 탄성 마루판(9b)을 일체적으로 이용하여, 간호를 요하는 사람이 누울 수 있는 평탄하고 완충 작용이 있는 간호 침대의 상면이 형성된다.4, in the interior of the bed main body 10 of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en divided units (not shown) arranged in parallel in a row along a pair of rails 6a and 6b, (9a1 to 9a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Similarly to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ten divided units 9b1 to 9b10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head side,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divided elastic units 9b1 to 9b10 are connected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floor board 9b.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re integrally used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nursing bed having a flat and buffering action capable of laying a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다음에, 조작반(72)을 이용해서, 송풍 기구(20)의 주 전원을 온으로 하는 동시에, 가스 압송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공급 장치(71)로부터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침대 본체(10)측으로 송출한다. 송출된 공기는 외부 송풍 배관 Pb를 지나 2방향으로 나뉘고, 다리측의 단부(Pb1)을 통해 다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머리측의 단부(Pb2)를 통해 머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Pa2)에 이른다.Next,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blowing mechanism 20 is turned on by using the operation panel 72, the gas pressure feeding switch is turned on, and as shown in Fig. 7, To the bed body 10 side. The outgoing air is divided in two directions through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and flows through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on the leg side and the end connecting pipe Pb2 on the head side through the leg side Pb1, (Pa2).

다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Pa1)에 이른 가스의 일부는 내부 연결 파이프(Pa1)에 대향해서 인접하는 제 1 연결 시트(8a)상의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내부 연결 파이프(Pa1)의 단부와.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의 단부에 마련된 각각의 정류부에 의해, 파이프간에서의 가스의 수수가 촉진된다. 또, 수수된 가스 이외의 가스는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1번째의 단관 파이프(P1)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침대 본체(10)의 내부에서 단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이동한다.A part of the gas that has reached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on the leg side moves inside the single pipe P1 (first pipe) on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djacent to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connecting pipe Pa1 and the end portion of the inner connecting pipe Pa1. The passage of the gas between the pipes is promoted by the respective rectifying portion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ngle-pipe P1 (first pipe). The gas other than the delivered gas moves from the gap between the inner connection pipe Pa1 and the first short pipe P1 to the outside of the short pipe inside the bed main body 10. [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에 간극을 통해 인접하는 단관 파이프(P2)(2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에서도,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의 사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스의 일부가 이동하여 수수되는 동시에, 수수된 가스 이외의 가스는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2)(2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단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이동한다.Between the single pipe pipe P1 (the first pipe) and the single pipe pipe P1 (the first pipe) and the adjacent single pipe pipe P2 (the second pipe) via the gap, A part of the gas is transferred and received and at the same time the gas other than the delivered gas flows between the single pipe P1 (the first pipe) and the single pipe P2 (the second pipe) To the outside of the single pipe.

단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이동한 가스의 일부는 도 8 중의 단관 파이프(P12, P14, P24, P26)의 각각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화살표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현가 기대(3a1∼3a5)끼리의 대향하는 면의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한다. 간극으로 이동한 가스의 일부는 현가 기대(3a1∼3a5)의 측면, 현가 기대(3a1∼3a5)와 제 1 연결 시트(8a)의 상면의 근원부 등의 개소에 접촉하는 동시에, 접촉 부분의 내부에도 침투하여, 접촉 부분 및 접촉 부분의 내부를 건조시킨다.A part of the gas that ha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ingle-pip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ingle-pipe pipes P12, P14, P24, and P26 as shown by the arrows point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each of the single- As shown in Fig. A part of the gas moved to the gap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suspension supports 3a1 to 3a5, the suspension supports 3a1 to 3a5 and the roo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To dry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또, 간극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한 가스는 현가 기대(3a1∼3a5)의 위쪽의 중간 완충재층(4a1∼4a5)끼리의 대향하는 면의 사이의 간극, 또한 중간 완충재층(4a1∼4a5)의 위쪽의 상부 완충재층(5a1∼5a5)끼리의 대향하는 면의 사이의 간극을 이동한다. 이동한 가스는 중간 완충재층(4a1∼4a5) 및 상부 완충재층(5a1∼5a5)의 측면에도 접촉하는 동시에, 접촉 부분의 내부에도 침투하여, 접촉 부분 및 접촉 부분의 내부를 건조시킨다. 위쪽으로 이동한 가스의 일부는 상부 완충재층(5a1∼5a5)끼리의 간극을 빠져, 재차 위쪽으로 이동하고, 분할 유닛(9a1∼9a5)의 상면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가스는 상면측에 깔린 시트 등을 통해 누워 있는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의류 등에 접촉하여 건조시킨다.The gas that has moved upward from the gap has a gap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to 4a5 above the suspension supports 3a1 to 3a5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to 4a5 The gap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upper buffer layers 5a1 to 5a5 moves. The moved gas makes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to 4a5 and the upper buffer layers 5a1 to 5a5 and also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to dry the inside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 part of the gas that has moved upward moves away from the gap between the upper buffer layers 5a1 to 5a5 and moves upward again to move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vided units 9a1 to 9a5. The moved ga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othing of a person who needs nursing lying down through a seat or the lik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side and dries it.

그리고, 단관 파이프(P2)(2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2)(2번째의 파이프)에 간극을 통해 인접하는 단관 파이프(P3)(3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에서도,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와의 사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스의 일부가 이동하여 수수되는 동시에, 수수된 가스 이외의 가스는 단관 파이프(P2)(2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3)(3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단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간극으로부터 단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이동한 가스의 일부는 현가 기대(3a1∼3a5), 제 1 연결 시트(8a), 중간 완충재층(4a1∼4a5), 상부 완충재층(5a1,…) 등, 가스가 접촉하는 부위의 건조를 촉진한다. 이후, 단관 파이프(P3)(3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4)(4번째의 파이프)의 사이, 단관 파이프(P4)(4번째의 파이프)와 단관 파이프(P5)(5번째의 파이프)의 사이, 또한 단관 파이프(P5)(5번째의 파이프)와 U자 파이프(P7)(7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의 순으로 마지막의 단관 파이프(P67)(67번째의 파이프)까지 순차 파이프간에서 가스를 수수하는 동시에, 각각의 간극으로부터 가스를 이동시킨다.Also between the single pipe pipe P2 (second pipe) and the single pipe pipe P3 (third pipe) adjacent to the single pipe pipe P2 (second pipe) through the gap, A part of the gas is transferred and received and the gas other than the delivered gas is passed through the single pipe P 2 (the second pipe) and the single pipe P 3 (the first pipe) 3 &lt; th &gt; pipe) of the single pipe. And. A part of the gas that has moved from the gap to the outside of the single pipe is introduced into the single pipe through the gas suspension such as the suspension supports 3a1 to 3a5,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s 4a1 to 4a5, the upper buffer layers 5a1, Promotes drying of contact areas. Thereafter, between the single pipe P3 (the third pipe) and the single pipe P4 (the fourth pipe), the single pipe P4 (the fourth pipe) and the single pipe P5 , And between the single pipe P5 (the fifth pipe) and the U pipe P7 (the seventh pipe) in this order from the upstream end to the final single pipe P67 (the 67th pipe) The gas is transferred from the liver and the gas is moved from each gap.

그리고. 제 1 탄성 마루판(9a)의 가장 머리측의 1번째의 분할 유닛(9a1)에서 10번째의 분할 유닛(9a10)까지의 사이에 걸쳐, 제 1 연결 시트(8a)의 상면상에서 상면에 평행한 면내 방향의 가스의 이동과, 상면에서 위쪽으로 수직인 방향의 가스의 이동을 동시에 실행한다. 즉, 가스를 침대 본체(10)의 내부에서 3차원적으로 통기시킨다.And.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and the tenth divided unit 9a10 from the first divisional unit 9a1 to the tenth divisional unit 9a10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in the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nd the movement of the ga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gas is three-dimensionally ventilated inside the bed body 10.

또, 머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에도, 다리측의 내부 송풍 배관(P1∼P6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 송풍 배관 Pb의 머리측의 단부(Pb2)에 연결된 내부 연결 파이프(Pa2)로부터 가스가 송입된다. 머리측에 있어서도 다리측과 마찬가지로, 제 2 탄성 마루판(9b)의 1번째의 분할 유닛(9b1)에서, 가장 다리측에 위치하는 10번째의 분할 유닛(9b10)까지의 사이에서, 제 2 연결 시트(8b)의 상면상에서 3차원적으로 통기시킨다.As in the case of the internal air blowing pipes P1 to P67 on the leg side, the internal blowing pipe Pa2 connected to the head end Pb2 of the external blowing pipe Pb is also supplied with gas do. Like the leg side, between the first splitting unit 9b1 of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nd the tenth splitting unit 9b10 located at the most leg side, Dimension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8b.

<제 1 탄성 마루판의 이동 동작><Movement of the First Elastic Flooring>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의 제 1 탄성 마루판(9a)을 이루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대 본체(10)에는 제 1 탄성 마루판(9a) 및 제 2 탄성 마루판(9b)을 이용해서 일체적으로 평탄한 상면이 형성되고, 이 상면상에 간호를 요하는 사람 M이 누워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침대 본체(10)의 아래쪽에는 간호를 요하는 사람 M이 용변을 보기 위한 용변통(50)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Next, an operation of moving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constitut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of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 the bed main body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lat upper surface by us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and on this upper face, Suppose that person M is lying. It should be noted that a drinking body 50 for the purpose of nursing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d main body 10.

다음에, 간호 침대(100)의 수납 상자(18)의 핸들(34)을 권취 롤러(33)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연결 시트(8a)를 수납 상자(18)의 내부에 인입한다. 제 1 연결 시트(8a)의 권취 동작에 수반해서, 제 1 연결 시트(8a)에 부착된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에, 수납 상자(18)측으로 잡아당겨지는 힘이 부하된다. 그리고, 현가 기대(3a1,…)의 심부(1a1, 1a2…1a5,…)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한쌍의 차륜(2a1∼2a10, 2b1∼2b10)이 회전하고,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한쌍의 레일(6a, 6b)을 따라 수납 상자(18)측으로 이동시킨다.Next, the handle 34 of the storage box 18 of the nursing bed 1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ing roller 33 is wound, and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drawn into the storage box 18 do.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toward the storage box 18 along with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 pair of wheels 2a1 to 2a10 and 2b1 to 2b10 rotatably attached to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of the suspension bases 3a1, ... are rotated, and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 To the storage box 18 side along the pair of rails 6a, 6b.

제 1 연결 시트(8a)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연결 시트(8a)상의 내부 송풍 배관(P1∼P67)도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과 함께 수납 상자(18)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2 측벽부(16b)에 부착된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내부 송풍 배관의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는 간극을 통해 인접하고 있으므로, 단관 파이프(P1)(1번째의 파이프)에서 단관 파이프(P67)(67번째의 파이프)의 사이의 모든 파이프가 일체적으로 수납 상자(18)측으로 이동해도, 내부 연결 파이프(Pa1)와 간섭하지 않는다.The internal air supply pipes P1 to P67 on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re moved to the storage box 18 side together with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connection pipe Pa1 attached 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6b and the short pipe P1 (first pipe) of the inner blowing pipe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gap, the short pipe P1 Even if all pipes between the single pipe P67 (first pipe) and the single pipe P67 (the 67th pipe) move integrally to the storage box 18 sid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internal connecting pipe Pa1.

또한, 권취 롤러(33)로 제 1 연결 시트(8a)를 권취하기 전에, 간호 침대(100)의 위에 누워 있는 간호를 요하는 사람 M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제 2 탄성 마루판(9b)에 걸터앉는 등 체중을 이동시켜 두면, 권취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권취 동작을 또한 계속해서, 제 1 연결 시트(8a)상의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 및 1번째∼67번째의 파이프 모두가 수납 상자(18)의 내부로 이동한다.10, before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is wound up by the winding roller 33, the person M who needs nursing lying on the nursing bed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 It is not disturbed by the winding operation. The ten winding units 9a1 to 9a10 and the first to seventh pipes on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are all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x 18.

도 10 중에는 5개의 분할 유닛(9a6∼9a10) 및 내부 송풍 배관(P1∼P67)의 일부가 수납 상자(18)의 내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5개의 분할 유닛(9a1∼9a5) 및 내부 송풍 배관(P1∼P67)의 일부가 한쌍의 레일(6a, 6b)간에 남아,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일부가 개구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 때, 수납상자(18)의 내부의 5개의 분할 유닛(9a6∼9a10) 및 1번째∼67번째의 파이프의 일부에 살균등(40)을 조사해서 소독하면, 위생상의 관점에서 유효하게 된다.10, a part of the five divided units 9a6 to 9a10 and the internal air blowing pipes P1 to P67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8 and the five divided units 9a1 to 9a5 and the internal air blowing pipes P1 to P67 remain between the pair of rails 6a, 6b, and a part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9a is opened. At this time, if the sterilizing lamp 40 is irradiated to a part of the five divided units 9a6 to 9a10 and the first to seventh pipes in the storage box 18, it becomes effective from the viewpoint of hygiene.

다음에, 핸들(34)을 또한 회전시키고, 제 1 연결 시트(8a)를 수납 상자(18)내부에 인입하고, 한쌍의 레일(6a, 6b)간에 남은 5개의 분할 유닛(9a1∼9a5) 및 내부 송풍 배관(P1∼P67)의 일부를 한쌍의 레일(6a, 6b)을 따라 수납 상자(18)측으로 이동시킨다.Next, the handle 34 is further rotated,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is drawn into the storage box 18, and the remaining five divided units 9a1 to 9a5 between the pair of rails 6a, A part of the internal air supply pipes P1 to P67 is moved to the storage box 18 side along the pair of rails 6a and 6b.

이 때, 살균등(40)을 계속해서, 수납 상자(18)의 내부에서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 및 1번째∼67번째의 파이프에 대해 조사한다.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 및 1번째∼67번째의 파이프의 수납이 완료된 후, 핸들(34)의 위치를 고정시켜 권취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1 중에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과, 1번째∼67번째의 파이프가 모두 일체적으로 수납 상자(18)의 내부에 수납되고,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전체가 개구된 개방 공간 S가 형성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개방 공간 S를 형성한 후에는 제 2 탄성 마루판(9b)상에서 대기하고 있던 간호를 요하는 사람 M은 개방 공간 S에 내려 이동하고, 개방 공간 S에서 용변통(50)을 이용해서 용변을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amp 40 is continuously irradiated on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first to seventh pipes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x 18. After the storage of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the first to seventh pipes is completed, the position of the handle 34 is fixed and the winding operation is stopped. 11,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nd first to seventh pipes are housed integrally in the storage box 18, and the entir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is opened A state in which the space S is formed is illustrated. After the open space S is formed, the person M who is waiting on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moves down to the open space S, and uses the dragon bar 50 in the open space S .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내부에서 다리측 및 머리측의 각각의 공간에 있어서, 보텀의 배열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송풍 기구(20)를 이용해서 가스를 3차원적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통기시킨다. 따라서, 간호를 요하는 사람과 간호 침대(100)의 사이에 열이나 습기가 차도 간호 침대(100)를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paces on the leg side and the head side in the interior, the gas is three-dimensionally To the outside. Therefore, even when heat or moisture is generated between the person requiring nursing and the nursing bed 100, the nursing bed 100 can be efficiently dried to prevent the pressure ulcer of the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송풍 기구(20)를 이용해서, 간호 침대(100)를 내부로부터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므로, 간호 침대(100)의 하부에 습기를 조장하는 용변통(50) 등의 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이동시켜 배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간호 침대(100)의 내부에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태와, 제 1 탄성 마루판(9a)이 존재하지 않고 위쪽과 아래쪽이 연통한 개방 공간 S를 형성하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개방 공간 S에 용변통(50)을 배치하여 용변을 보도록 사용하면,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이동이 극히 편하게 된다.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fficiently uses the air blowing mechanism 20 to dry the nursing bed 100 from the inside thereof, It is possible to dispose a mechanism such as the motor 50 and the like.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9a is formed in the nursing bed 100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9a is formed in the nursing bed 100 is obtained by moving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state of forming the open space 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out being present. For example, if the use case 50 is disposed in the open space S so as to see the toilet, It becomes extremely comfortable.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에 의하면, 제 1 탄성 마루판(9a)을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으로 분할한 구조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곡률 반경이 작은 커브를 마련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제 1 탄성 마루판(9a)을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곡률 반경이 작은 커브를 조합한 경로를 내포하도록 수납 상자(18)를 구성하고, 수납 상자(18)의 내부에서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공간 절약으로 이동시키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 침대(100)의 발밑 부분에 잉여 공간이 그다지 없고, 한정된 장소라도, 통기성이 우수한 간호 침대(100)를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ursing bed 100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can be moved by using the structure obtained by divid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into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A moving path provided with a small curve is formed, and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can be moved.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torage box 18 so as to contain a path in which curves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re contained and to move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in the storage box 18 in a space saving manner,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nursing bed 100 hav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even if there is not a surplus space in the foot portion of the nursing bed 100 and a limited space.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심부(1a1, 1a2,…1a5,…), 골판지 등의 내부에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을 많이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거의 모든 부재를 종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경량이고, 제 1 연결 시트(8a)의 권취 작업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심플하고 또한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재료가 많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코스트성이 우수하다.Since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by using a large number of sheet-like shock absorbing structures including a hollow structure in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corrugated cardboard, etc.,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all members by paper. Therefore,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lightweight, and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8a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simple and inexpensive materials are available, they are easy to manufacture and excellent in cost.

또,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9a10, 9b1∼9b10)이 각각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1a1, 1a2,…1a5,…)를 포함하므로, 송풍 기구(20)로부터 송출된 가스가 내부를 이동할 때,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는 심부(1a1, 1a2,…1a5,…)의 내측을 통과함으로써, 분할 유닛의 내부를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In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to 9a10 and 9b1 to 9b10 include the hollow cylindrical-shaped deep portions 1a1, 1a2, ..., 1a5,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deep portions 1a1, 1a2, ... 1a5, ... so that the inside of the divided unit can be dried more efficiently .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도 1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블록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하부에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가 마련되고, 각각 양측에 수직 단면을 갖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과,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을 대자리형상으로 배열해서 탑재하고, 수직 단면의 사이에 각각 간극을 정의하도록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는 시트형상의 간격 정의 수단과,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의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를 기계적으로 현가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상면을 일정한 높이의 평면으로 설정하는 현가 기구와,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기구(20z)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has the same block shape as shown in Fig. 1, and has a hollow cylinder-like deep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9b10, 9b10, 9b1, 9b2, 9b, ..., 9b10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Shaped spacing defining means for joining to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mechanically suspend the hollow cylindrical- 9b1, 9b2, 9b, ..., 9b10) is set to a plane of a constant height by means of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And is basic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nursing bed 10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int having an air blowing device (20z) for sending air to the respective gap.

즉,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서 구성된 대자리형상의 평면을 매트리스와 보텀이 일체화된 탄성 마루판의 표면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간격 정의 수단」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 9b1, 9b2, 9b,……, 9b10)의 집합을 제 1 군과 제 2 군으로 나누고, 제 1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제 1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에 의해서 제 1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1 연결 시트(8a)와, 제 2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b1, 9b2, 9b,……, 9b10)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제 2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9b1, 9b2, 9b,……, 9b10)에 의해서, 제 1 탄성 마루판에 연속된 제 2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2 연결 시트(8b)를 포함한다. 제 1 탄성 마루판 및 제 2 탄성 마루판의 상면의 높이는 유지 기구(22a∼25a, 22b∼25b)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된다.Namely, similarly to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 9b10 The flat surface of the formed contour is formed as the surface of the elastic floor board in which the mattress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And. As shown in Fig. 12, the "interval defining means"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9b1, 9b2, 9b, 9a1, ..., 9a10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a1, 9a2, 9a, ..., 9a10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9b1, 9b2, 9b, ..., 9b10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first connecting sheet 8a constituting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by the first connecting sheet 9a2, 9a ... 9a10, And a second connecting sheet 8b constituting a second resilient floorboard continuous to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s by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9b1, 9b2, 9b, ..., 9b10 of the second group, .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and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is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by the holding mechanisms 22a through 25a and 22b through 25b.

그러나, 단관 파이프 및 U자 파이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내부 송풍 배관(P1∼P67)의 가스의 개구부로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1개의 긴 파이프(Pz)를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해서 송풍 라인을 형성하고, 이 파이프(Pz)의 양단간에 파이프(Pz)의 벽면을 관통하는 구멍부(h1, h2, h3,…)를 마련하여, 가스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특징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와는 다르다. 다른 특징, 즉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의 「현가 기구」가 제 1 군에 속하는 복수의 분할 유닛(9a1, 9a2, 9a,…, 9a10)의 심부(1a1, 1a2…1a5,…)의 각각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차륜군(2a1, 2a2, 2a,…, 2a10; 2b1, 2b2, 2b,……, 2b10)과, 차륜군(2a1, 2a2, 2a,…, 2a10; 2b1, 2b2, 2b,……, 2b10)을 구성하는 한쌍의 차륜의 각각을 탑재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레일(6a, 6b)을 포함하는 구성, 혹은 한쌍의 레일(6a, 6b)의 일단측에, 유지 기구(22a∼25a, 22b∼25b)의 높이분의 깊이로 되도록, 한쌍의 레일(6a, 6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마련되고, 제 1 연결 시트(8a)의 권취 기구를 갖고, 제 1 탄성 마루판(9a)에 속하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수납하는 수납상자(18)를 구비하는 특징 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However, instead of forming a gap between the single pipe and the U pipe and using it as an opening of the gas of the internal blowing pipes P1 to P67, one long pipe Pz is initially bent in a zigzag shape, And the holes h1, h2, h3, ...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pipe Pz are provided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pipe Pz to form openings of the gas. Is different from the nursing bed (100).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nose portion 2b1, 2b2, 2b, ..., 2b10,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a pair of wheels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wheel groups 2a1, 2a2, 2a, A pair of rails 6a and 6b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ount each of the pair of wheels constituting the pair of wheels 6a and 6b, 6b are provided on the one end side of the pair of rails 6a, 6b in such a manner as to hav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22b to 25b,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orage box 18 having the winding mechanism of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and the storage box 18 for storing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belonging to the first elastic floor board 9a Basically It is the same.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도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100)와 마찬가지로, 제 1 탄성 마루판(9a)에 속하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을 수납 상자(18)에 이동시켜 제 1 측벽부(16a)와 제 2 측벽부(16b)의 사이에 개방 공간 S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에 있어서도 폴리우레아 수지의 심리스 코팅 등을 필요에 따라 유지 기구(22a∼25a, 22b∼25b), 본체 프레임(11) 등이나 빔 등에 실시하는 것에 의해, 종이 재료의 충격 내성이나 구조 역학적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간호 침대에 의하면, 전체의 구조가 모두 종이 및 고분자 발포체로 구성된 경량이고 또한 견고한 간호 침대를 실현할 수 있다.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nursing be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belonging to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re arranged in the storage box 18 So that the open space S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portion 16a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6b. Also in the nursing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amless coating of the polyurea resin or the like is carried out by the holding mechanisms 22a to 25a, 22b to 25b, the body frame 1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mpact resistance and structural mechanical strength of the materi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nursing bed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nursing bed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strong, which is made up entirely of paper and polymer foam.

(기타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의해서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하게 된다고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constituting a part of this disclosure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a variety of alternative embodiments, embodiments and operating techniqu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도 13 중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본체 프레임(11)의 제 2 탄성 마루판(9b)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 1 탄성 마루판(9a)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분할해서 구성한다. 그리고. 분할한 제 2 탄성 마루판(9b)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11)에,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등받이를 세우는 기립 보조 장치(60)를 부착한 침대 본체(10a)를 갖는 간호 침대를 구성해도 좋다. 기립 보조 장치(60)는 본체의 통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이용해서 신축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로드(61)를 갖고, 이 로드(61)의 선단에 일단이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샤프트(62)를 갖고, 샤프트(62)의 타단이 본체 프레임(11)의 제 2 탄성 마루판(9b)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금속제의 지지 금구를 이용해서 부착되어 있다. 구동 장치나 지지 금구 등의 도시는 설명을 위해 생략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3, a portion located below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of the main body frame 11 and a portion located below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are divided . And. A nursing bed having a bed main body 10a having a standing auxiliary device 60 for standing a back of a person requiring nursing is attached to a main body frame 11 located under the divided second elastic floor board 9b Maybe. The standing up assistance device 60 has a rod 61 that is adjustable in a freely expandable and retractable manner using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and is protruded from the barrel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shaft 62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body frame 11 located under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9b by using a metal support bracket. The illustration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support bracket is omit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제 1 탄성 마루판(9a)을 이루는 10개의 분할 유닛(9a1∼9a10)이 이동한 후, 로드(61)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하도록 기립 보조 장치(60)를 조작함으로써, 로드(61)와 샤프트(62)의 부착 위치를 후퇴시킨다. 그리고. 부착 위치를 중심으로 샤프트(62)를 회전시키고, 샤프트(62)의 타단에 부착된 본체 프레임(11)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제 2 탄성 마루판(9b)이 상면이 마루면을 따른 수평의 상태로부터 경사지도록 기립한다. 이와 같이, 간호 침대를,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등받이를 세우는 동작을 보조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By operating the standing up auxiliary device 60 so as to shorten the projection length of the rod 61 after the ten divided units 9a1 to 9a10 constituting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have moved, 62 are retracted. And. The shaft 62 is rotated around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body frame 11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62 is lift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floor board 9b is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In this manner, the nursing bed may be configured so as to assist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back of a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부를 다리측의 제 1 측벽부(16a1)와 머리측의 제 1 측벽부(16a2)로 2분할하는 동시에, 또한 다리측의 제 1 측벽부(16a1)를 수납 상자(18)측에 마련된 고정 측벽부(26)와, 이 고정 측벽부(26)와의 사이를 힌지(28) 등의 부재로 연결된 가동 측벽부(27)로 분할한 제 1 측벽부(16a1, 16a2)를 갖는 침대 본체(10b)를 구비하도록, 간호 침대를 구성해도 좋다. 힌지(28)는 고정 측벽부(26)의 외면과 가동 측벽부(27)의 외면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겠지만, 제 1 레일(6a)은 침대 본체(10b)의 내부에서, 고정 레일부와 가동 레일부로 2분할되고, 고정 레일부는 고정 측벽부(26)의 내측의 저면상에 탑재되는 동시에, 가동 레일부는 가동 측벽부(27)의 내측의 저면상에 탑재되어 있다.14, the first sidewall portion is divided into two by the first sidewall portion 16a1 on the leg side and the first sidewall portion 16a2 on the head side, and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1 Is divided into a fixed side wall portion 26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box 18 and a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connected by a member such as a hinge 28 between the fixed side wall portion 26, The nursing bed may be constituted so as to include the bed main body 10b having the bed portions 16a1 and 16a2. The hinge 28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ide wall portion 2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The first rail 6a is divided into a fixed rail portion and a movable rail portion in the interior of the bed main body 10b and the fixed rail portion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xed side wall portion 26, And the movable rail portion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그 때문에, 다리측의 제 1 측벽부(16a1)와 머리측의 제 1 측벽부(16a2)가 제 1 탄성 마루판의 측방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때에는 제 1 레일의 고정 레일부와 가동 레일부도 직선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직선형상의 레일을 이용해서 분할 유닛이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리측의 제 1 측벽부(16a1)는 가동 측벽부(27)가 힌지(28)의 축을 중심으로 고정 측벽부(26)에 대해 제 1 탄성 마루판(9a)의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일 때에는 제 1 레일의 가동 레일부도 가동 측벽부(27)에 수반해서 외측으로 회전한다. 즉, 레일의 일부의 영역이 제 1 탄성 마루판(9a)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1 on the leg side and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2 on the head side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the fixed rail portion of the first rail and the movable rail portion And the divided unit can be moved using a straight rail.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1 of the leg side is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hinge 28 to the outside of the first elastic floor plate 9a with respect to the fixed side wall portion 26 The movable rail portion of the first rail also rotates outwardly along with the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That is, a part of the rail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9a.

분할 유닛이 수납상자(18)에 수납되고, 한쌍의 레일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방 공간 S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가동 측벽부(27)가 회전하여, 다리측의 제 1 측벽부(16a1)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개방 공간 S와 침대 본체(10b)의 외측이 연통한다. 그리고. 간호를 요하는 사람이 간호 침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공간 S에 휠체어(80)를 배치하여, 간호를 요하는 사람의 휠체어(80)에의 탑승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partitioning unit is housed in the storage box 18 and the open space S is form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ails, the movable side wall portion 27 rotates and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a1 By forming the opening, the open space S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ed main body 10b. And. It becomes possible for a person requiring nursing to easily mo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nursing bed. As shown in Fig. 14, the wheelchair 80 may be disposed in the open space S to make it easier for the person requiring nursing to ride and move on the wheelchair 80. Fi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embodiment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inventive particulars of the relevant claims from the above description.

1a1∼1a5; 심부
2a1∼2a10; 제 1 차륜
2b1∼2b10; 제 2 차륜
3a1∼3a5; 현가 기대
4a1∼4a5; 중간 완충재층
5a1∼5a5; 상부 완충재층
6a; 제 1 레일
6b; 제 2 레일
7a1∼7a5; 차축
8a; 제 1 연결 시트
8b; 제 2 연결 시트
9a; 제 1 탄성 마루판(제 1 띠형상 연결체)
9a1∼9a10; 분할 유닛
9b; 제 2 탄성 마루판(제 2 띠형상 연결체)
9b1∼9b10; 분할 유닛
10; 침대 본체
11; 본체 프레임
16a; 제 1 측벽부
16b; 제 2 측벽부
17a; 다리측의 내부 연결구
17b; 다리측의 외부 연결구
18; 수납상자
18a; 제 1 측판
18b; 제 2 측판
18c; 천판
18d; 입판
18e; 저판
20; 송풍 기구
21; 본체 프레임
22a∼25a, 22b∼25b; 유지 기구
31; 제 1 롤러
32; 제 2 롤러
33; 권취 롤러
34; 핸들
40; 살균등
50; 용변통
71; 가스 공급 장치
72; 조작반
100; 간호 침대
wp; 단관 파이프의 길이
ws; 간극의 길이
M; 간호를 요하는 사람
P1∼P67; 파이프(내부 송풍 배관)
P12a, P13a, P13b, P14b; 정류부
Pa1; 다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
Pa2; 머리측의 내부 연결 파이프
Pb; 외부 송풍 배관
Pb1; 다리측의 단부
Pb2; 머리측의 단부
S; 개방 공간
1a1 to 1a5; Deep
2a1 to 2a10; First wheel
2b1 to 2b10; Second wheel
3a1 to 3a5; Suspicion expectation
4a1 to 4a5; The middle dunnage layer
5a1 to 5a5; The upper buffer layer
6a; The first rail
6b; Second rail
7a1 to 7a5; axle
8a; The first connecting sheet
8b; The second connecting sheet
9a; The first elastic floorboard (first strip-shaped connecting body)
9a1 to 9a10; Split unit
9b; The second elastic floorboard (second strip-shaped connecting body)
9b1 to 9b10; Split unit
10; Bed body
11; Body frame
16a;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b;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7a; Inner end of bridge
17b; Outer end of foot side
18; Storage box
18a; The first shroud
18b; The second shroud
18c; Top plate
18d; Entry
18e; Bottom plate
20; Blowing mechanism
21; Body frame
22a to 25a, 22b to 25b; Retention mechanism
31; The first roller
32; The second roller
33; Up roller
34; handle
40; Sterilization light
50; Dobby
71; Gas supply device
72; Operator panel
100; Nursing bed
wp; The length of single pipe pipe
ws; Length of gap
M; A person who needs nursing
P1 to P67; Pipe (internal blowing pipe)
P12a, P13a, P13b, P14b; Rectifying part
Pa1; Internal connecting pipe on the bridge side
Pa2; Internal connecting pipe at the head side
Pb; External blowing pipe
Pb1; End of the leg side
Pb2; End of the head side
S; Open space

Claims (9)

동일한 블록형상을 이루고, 각각의 하부에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가 마련되고, 각각 양측에 수직 단면을 갖는 복수의 분할 유닛과,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을 대자리형상으로 배열해서 탑재하고, 상기 수직 단면의 사이에 각각 간극을 정의하도록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는 시트형상의 간격 정의 수단과,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의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를 기계적으로 현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상면을 일정한 높이의 평면으로 설정하는 현가 기구와,
상기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서 구성된 대자리형상의 상기 평면을 탄성 마루판의 표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A plurality of division units each of which has the same block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hollow cylindrical bottom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 sheet-shaped gap defining means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arranged in a juxtaposed shape and joi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to an upper surface so as to define gaps between the vertical cross sections,
A suspension mechanism mechanically suspending the hollow cylindrically-shaped dee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to set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at a plane of constant height,
And a blowing mechanism for blowing air to each of the gaps,
Wherein the flat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is formed as a surface of an elastic floor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기구는 서로 연접하는 상기 간극끼리에서 역방향으로 송풍되도록 사행해서 배관된 파이프의 구멍 혹은 간극부를 통해, 상기 간극의 각각에 공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blowing mechanism feeds air to each of the gaps through a hole or a gap portion of a piped pipe that meanders the gaps so that the gaps are mutually blown in opposite dir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은 상기 중공 원통형상의 심부를 마련한 직방체형상의 현가 기대를 베이스로 한 적층 구조에 의해서, 상기 동일한 블록 형상을 실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realizes the same block shape by a laminated structure based on a suspension bas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provided with a hollow cylindrical hollow.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은 각각의 내부에 시트형상의 완충 구조물을 복수개 중첩시킨 중간 완충재층을 상기 현가 기대의 위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said plurality of division units further comprises a middle dunnage materia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like cushioning structure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on the suspension bas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은 상기 중간 완충재층의 위에 다공질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상부 완충재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further comprises an upper cushioning material layer made of a porous structure on the intermediate cushioning material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정의 수단은,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집합을 제 1 군과 제 2 군으로 나누고, 상기 제 1 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상기 제 1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에 의해서 제 1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1 연결 시트와,
상기 제 2 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각각을 상면에 접합하고, 상기 제 2 군의 복수의 분할 유닛에 의해서, 상기 제 1 탄성 마루판에 연속된 제 2 탄성 마루판을 구성하는 제 2 연결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erval defining means comprises:
Wherein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are divided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is bond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connecting sheet constituting an elastic floorboard,
And a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r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sheet constituting the second resilient floorboard continuous to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s, Wherein the nursing bed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기구는,
상기 제 1 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의 상기 심부의 각각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차륜군과,
상기 차륜군을 구성하는 상기 한쌍의 차륜의 각각을 탑재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을 이동해서 상기 제 1 탄성 마루판과 상기 제 2 탄성 마루판의 사이에 개방 공간을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spension mechanism includes:
A wheel group including a pair of wheels provided rotatably at both ends of each of the deep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nd a pair of rail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mount each of the pair of wheels constituting the wheel group,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unit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moved to form an open space between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and the second resilient floorbo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공간이 형성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마루판의 레벨의 아래쪽에 용변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nursing bed further comprises a lower portion of the level of the first resilient floorboard at a position where the open space is formed.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일의 일단측에 상기 제 1 연결 시트의 권취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연결 시트를 권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군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유닛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침대.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Characterized in that a winding mechanism of the first connection sheet is provided on one end side of the pair of rails and the plurality of division unit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re wound by winding the first connection sheet .
KR1020177018304A 2015-02-02 2015-12-22 Care bed KR1019310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8538A JP5846665B1 (en) 2015-02-02 2015-02-02 Nursing bed
JPJP-P-2015-018538 2015-02-02
PCT/JP2015/006409 WO2016125224A1 (en) 2015-02-02 2015-12-22 Care b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640A KR20170092640A (en) 2017-08-11
KR101931045B1 true KR101931045B1 (en) 2018-12-19

Family

ID=5516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304A KR101931045B1 (en) 2015-02-02 2015-12-22 Care be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46665B1 (en)
KR (1) KR101931045B1 (en)
PH (1) PH12017501333B1 (en)
TW (1) TWI605811B (en)
WO (1) WO201612522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558B1 (en) * 2020-06-30 2023-04-04 고영지 Bed robot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444A (en) 1999-08-10 2001-02-20 Berusante:Kk Nursing bed
US7945979B1 (en) 2010-10-19 2011-05-24 Chao-Liang Lin Mattress with airflow-circulating function
JP2013022408A (en) 2011-07-26 2013-02-04 Makoto Koshihata Be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933Y2 (en) * 1990-11-27 1993-07-16
JPH11197194A (en) * 1998-01-08 1999-07-27 Junichi Yoshimori Nursing bed used for both matching and toilet to which hydraulic elevating and lowering machine is attached
JP3069858B1 (en) * 1999-03-08 2000-07-24 雄作 神原 Nursing bed
CN203898607U (en) * 2014-01-27 2014-10-29 徐香玉 Support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JP5835720B1 (en) * 2014-12-24 2015-12-24 有限会社日医商事 Structure and object mounting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444A (en) 1999-08-10 2001-02-20 Berusante:Kk Nursing bed
US7945979B1 (en) 2010-10-19 2011-05-24 Chao-Liang Lin Mattress with airflow-circulating function
JP2013022408A (en) 2011-07-26 2013-02-04 Makoto Koshihata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5811B (en) 2017-11-21
WO2016125224A1 (en) 2016-08-11
TW201700081A (en) 2017-01-01
PH12017501333A1 (en) 2017-12-18
JP2016140562A (en) 2016-08-08
PH12017501333B1 (en) 2017-12-18
JP5846665B1 (en) 2016-01-20
KR20170092640A (en)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8093B2 (en) Adjustable bed apparatus and methods incorporating lumbar and neck supports
CN102795136A (en) Ventilation device
US11026516B2 (en) Adjustable bed apparatus and methods incorporating a rail system
KR101931045B1 (en) Care bed
CA2592181A1 (en) Integrated aircraft structural floor
AU1322992A (en) Air chamber type patient mover
ES2735641T3 (en) Modular Adaptive Hosting Architecture
US9782311B2 (en) Patient/invalid support with pressure reducing system
US7559106B1 (en) Dynamic pressure relieving mattresses
JP2008534077A (en) Body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11751697B2 (en) Air distribution for mattresses
JP5192287B2 (en) Bed mattress
ES2273801T3 (en) SUSPENSION OF COUPLED WAVED SHEETS FOR LITER AND SEAT UNITS
US20110041254A1 (en) Fluidized bed
DE59400186D1 (en) Flat cushion body made of foam, especially mattress
WO2016103691A1 (en) Structure and object placement platform
FI90196B (en) Mattress
JPH08164167A (en) Air mat for medical treatment
US7370842B2 (en) Support structure with self-adapting support surface for receiving any type of body
CZ23875U1 (en) Multilayer spring mattress
CN102619344B (en) Framework structure of movable type villa
KR20210136663A (en) bed system for patients
JP4947363B2 (en) Cushion, air cell displacement regulation band, and air cell displacement regulation method
JP3156046B2 (en) Spring structure for mattress
CN218536460U (en) Ai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