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29B1 - 선박용 돛 구조체 - Google Patents

선박용 돛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29B1
KR101931029B1 KR1020170140952A KR20170140952A KR101931029B1 KR 101931029 B1 KR101931029 B1 KR 101931029B1 KR 1020170140952 A KR1020170140952 A KR 1020170140952A KR 20170140952 A KR20170140952 A KR 20170140952A KR 101931029 B1 KR101931029 B1 KR 10193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il
barb
deck
hoisting
fixedly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기
Original Assignee
이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기 filed Critical 이중기
Priority to KR102017014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7Sai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anufacturing process
    • B63H9/065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 Y02T70/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갑판에 고정되고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갑판고정구; 갑판고정구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활대; 상부활대; 하부활대에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고 상부활대에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부활대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것을 통해 하측부까지 펼쳐지는 돛 어셈블리; 돛 어셈블리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활대의 양측단부와 하부활대의 양측단부를 연결하여 돛 어셈블리가 후드 형상을 가지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용 로프; 및 상부활대로부터 하부활대 또는 갑판의 갑판고정구 일측부까지 길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활대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게양용 로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돛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돛 구조체{Sail structur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돛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갑판에 마스트를 구성하지 않고도 돛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후드(hood) 형상을 가지는 돛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돛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돛은 예로부터 바람을 이용하여 항해를 위한 동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다. 현재,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각종 선박에서는 돛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요트라던가 특수한 경우에는 돛을 함께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등록특허 10-1636333호 등에, 선박에 설치되는 돛 구조체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선박용 돛 구조체는, 선박의 갑판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마스트와, 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돛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돛 어셈블리는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마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활대와, 상기 마스트와 평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상부활대와,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제1돛과, 상단은 상기 상부활대에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활대 중 다른 하나에 결속되는 제2돛 등을 포함하는 것을 통하여, 순풍을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용 돛 구조체는, 반드시 선박의 갑판에 일정한 높이로 마스트가 수직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또한, 돛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활대들이 상기 마스트에 대하여 회동 및 게양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 조립 및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박의 갑판에 마스트와 활대들이 구성되는 경우 마스트와 활대의 무게 등을 반영하여 선박의 전체 중량과 균형 등을 설계해야 하므로, 설계 단계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갑판에 마스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돛이 연(kite)처럼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통해 후드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설계 단계의 비용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돛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갑판에 고정되고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갑판고정구; 갑판고정구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활대; 상부활대; 하부활대에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고 상부활대에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부활대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것을 통해 하측부까지 펼쳐지는 돛 어셈블리; 돛 어셈블리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활대의 양측단부와 하부활대의 양측단부를 연결하여 돛 어셈블리가 후드 형상을 가지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용 로프; 및 상부활대로부터 하부활대 또는 갑판의 갑판고정구 일측부까지 길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활대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게양용 로프를 포함하는 선박용 돛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돛 어셈블리는, 상측부에 해당되고 상부활대와 함께 바람을 따라 연처럼 날려지는 게양용 돛과; 하측부에 해당되고 게양용 돛이 연처럼 플라잉시 펼쳐져 바람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항해용 돛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돛 어셈블리는, 돛이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소정 면적의 직사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돛의 상측부가 소정 길이로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단부가 상부활대에 고정 지지되고 돛의 포개진 부분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의 기능을 가지고, 돛의 하측단이 하부활대에 고정 지지되고 돛의 하측단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활대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부활대의 양측단까지 연장되는 펼침용 로프에 고정 지지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을 제외한 부분이 항해용 돛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갑판에 마스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돛이 연처럼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통해 후드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돛 구조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돛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박용 돛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박용 돛 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선박용 돛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5는 도 1의 선박용 돛 구조체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돛 구조체는, 갑판에 고정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갑판고정구(110),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갑판고정구(110)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활대(120),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상부활대(130), 전체적으로 후드 형상을 가지고 하부활대(120)에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고 상부활대(130)에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부활대(130)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것을 통해 하측부까지 펼쳐져 바람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돛 어셈블리(140), 돛 어셈블리(140)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활대(130)의 양측단부와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를 연결하여 돛 어셈블리(140)가 전체적으로 후드 형상을 가지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용 로프(150) 및 상부활대(130)의 양측단부나 중심부로부터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나 중심부 또는 갑판의 갑판고정구(110) 일측부까지 길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활대(130)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게양용 로프(160) 등을 포함한다.
갑판고정구(110)는, 갑판에 하부활대(1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돛 어셈블리(140)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거나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일예로, 판넬 형상의 갑판고정패널과, 상기 갑판고정패널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부활대(120)의 중앙부위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구 등으로 구성된다.
하부활대(120)는, 갑판고정구(110)의 연결구에 중앙부위가 고정된 상태에서 돛 어셈블리(140)의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수단으로서, 돛 어셈블리(140)와 상부활대(130)의 무게와 이들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 등에 대항할 수 있는 항력을 가지는 금속이나 카본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과 소정의 직경과 무게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상부활대(130)는, 돛 어셈블리(140)의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도록 하여 바람과 함께 돛 어셈블리(140)의 상측부가 연처럼 플라잉되도록 하여 돛 어셈블리(140)가 게양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3m/s 이상의 속도로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을 타고 돛 어셈블리(140)의 상측부가 연처럼 플라잉되도록 하는 양력을 가지는 금속이나 카본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과 소정의 직경과 무게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여기서, 상부활대(130)는 하부활대(12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돛 어셈블리(140)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돛 어셈블리(140)는, 전체적으로 후드 형상을 가지고 하부활대(120)에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고 상부활대(130)에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부활대(130)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것을 통해 하측부까지 펼쳐져 바람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세일링 수단으로서, 상측부에 해당되고 상부활대(130)와 함께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게양용 돛(141)과, 하측부에 해당되고 게양용 돛(141)이 연처럼 플라잉시 펼쳐져 바람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항해용 돛(142)으로 구분된다.
돛 어셈블리(140)는, 일예로, 공지의 재질을 가지는 돛이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소정 면적의 직사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돛의 상측부가 소정 길이로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단부가 상부활대(130)에 롤링 또는 고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 지지되고, 이때, 돛의 포개진 부분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접합, 재봉 및 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141)의 기능을 가지고, 돛의 하측단이 하부활대(120)에 롤링 또는 고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 지지되고, 이때, 돛의 하측단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활대(130)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부활대(120)의 양측단까지 연장되는 후술된 펼침용 로프(150)에 롤링 또는 고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 지지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141)을 제외한 부분이 항해용 돛(142)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돛 어셈블리(140)는, 상부활대(130)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양력과 상부활대(130)의 무게와 바람의 힘 등에 대항할 수 있는 항력을 가지는 재질과 무게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펼침용 로프(150)는, 돛 어셈블리(140)의 양측단 가장자리 즉, 항해용 돛(142)의 양측단이 상부활대(130)의 양측단부와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돛 어셈블리(140)가 전체적으로 후드 형상을 가지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펼침용 로프(150)는, 항해용 돛(142)의 양측단을 통하여 바람이 새거나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항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양용 로프(160)는, 상부활대(130)의 양측단부나 중심부로부터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나 중심부 또는 갑판의 갑판고정구(110) 일측부까지 길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활대(130)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에 공지의 권취수단에 의해 권취 및 권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게양용 로프(160)는, 게양용 돛(141)의 플라잉에 따라 항해용 돛(142)이 펼쳐질 때 바람의 세기에 따라 항해용 돛(142)이 위로 펼쳐지지 않고 바람을 따라 눕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선박용 돛 구조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다의 경우 일반적으로 항상 3m/s 이상의 바람이 존재하는 환경을 이용한 것으로서, 먼저, 바람이 소정의 속도로 부는 상태에서, 게양용 로프(160)가 권해되어 상부활대(130)와 함께 돛 어셈블리(140)의 게양용 돛(141) 부분이 연처럼 바람을 따라 플라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게양용 로프(160)가 계속 권해되면, 상부활대(130)와 게양용 돛(141) 부분이 바람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계속 플라잉되고, 이에, 돛 어셈블리(140)의 항해용 돛(142)이 소정의 높이로 펼쳐지게 된다.
이후, 게양용 로프(160)의 길이가 권해 또는 권취 동작에 의해 조절되면, 상부활대(130)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면서 돛 어셈블리(140)가 전체적으로 후드와 같은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어, 순풍을 동력으로 활용한 항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선박의 갑판에 마스트를 설치하지 않고도 돛 어셈블리(140)가 연(kite)처럼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통해 후드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마스트 설치에 따른 제조, 조립, 설계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갑판에 고정되고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는 갑판고정구(110);
    갑판고정구(110)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활대(120);
    상부활대(130);
    하부활대(120)에 하측단이 고정 지지되고 상부활대(130)에 상측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부활대(130)와 함께 상측부가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것을 통해 하측부까지 펼쳐지는 돛 어셈블리(140);
    돛 어셈블리(140)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활대(130)의 양측단부와 하부활대(120)의 양측단부를 연결하여 돛 어셈블리(140)가 후드 형상을 가지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펼침용 로프(150); 및
    상부활대(130)로부터 하부활대(120) 또는 갑판의 갑판고정구(110) 일측부까지 길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활대(130)의 게양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게양용 로프(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돛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돛 어셈블리(140)는,
    상측부에 해당되고 상부활대(130)와 함께 바람을 따라 연(Kite)처럼 날려지는 게양용 돛(141)과;
    하측부에 해당되고 게양용 돛(141)이 연처럼 플라잉시 펼쳐져 바람을 이용한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항해용 돛(142)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돛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돛 어셈블리(140)는,
    돛이 가로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긴 소정 면적의 직사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돛의 상측부가 소정 길이로 포개진 상태에서 포개진 단부가 상부활대(130)에 고정 지지되고 돛의 포개진 부분의 양측단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141)의 기능을 가지고,
    돛의 하측단이 하부활대(120)에 고정 지지되고 돛의 하측단 양측 가장자리가 상부활대(130)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부활대(120)의 양측단까지 연장되는 펼침용 로프(150)에 고정 지지되는 것을 통하여 게양용 돛(141)을 제외한 부분이 항해용 돛(142)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돛 구조체.
KR1020170140952A 2017-10-27 2017-10-27 선박용 돛 구조체 KR10193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52A KR101931029B1 (ko) 2017-10-27 2017-10-27 선박용 돛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52A KR101931029B1 (ko) 2017-10-27 2017-10-27 선박용 돛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029B1 true KR101931029B1 (ko) 2018-12-19

Family

ID=6500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952A KR101931029B1 (ko) 2017-10-27 2017-10-27 선박용 돛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02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4624A (en) Collapsible vertical wind mill
US8975771B2 (en) Wind power device with dynamic sail, streamlined cable or enhanced ground mechanism
US9080550B2 (en) Airborn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fast motion transfer
US20150008678A1 (en) Airborn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endless bel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690405A (zh) 漂浮式风力涡轮机组件及用于系泊该漂浮式风力涡轮机组件的方法
KR101131748B1 (ko) 부양체의 하부 계류장치
US9239041B2 (en) Airborn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ground generator and unorthodox power capture or transfer
CN104176222B (zh) 一种船舶用多桅杆回转式层叠风帆
US70938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dynamic wing
GB2098946A (en) A tethered sail assembly for marine or other uses
EP3294967B1 (en) Shade sail
WO2000066424A1 (en) Balloon lifting system
KR101931029B1 (ko) 선박용 돛 구조체
WO2021002749A1 (en) Hoisting arrangement for assembly of wind turbines
US6588702B2 (en) Lighter-than-air device having a flexible usable surface
KR20120002056A (ko) 거주구를 이용한 선박용 돛 장치
JP2012011998A (ja) セール
KR20240057758A (ko) 돛 구조체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70000647U (ko) 격납고용 접철식 플랫폼
GB2368829A (en) Folding spar and membrane
KR102039678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CN2887741Y (zh) 便携式帆船装备
WO2016113657A1 (en) Triangular sail for a boat, having a swivelling winglet
CA1244776A (en) Collapsible vertical wind mill
KR20240061089A (ko) 선박의 크레인을 활용한 윙 세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