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70B1 -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 Google Patents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70B1
KR101930370B1 KR1020160151149A KR20160151149A KR101930370B1 KR 101930370 B1 KR101930370 B1 KR 101930370B1 KR 1020160151149 A KR1020160151149 A KR 1020160151149A KR 20160151149 A KR20160151149 A KR 20160151149A KR 101930370 B1 KR101930370 B1 KR 10193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ice
rice cak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955A (ko
Inventor
신혜경
Original Assignee
신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혜경 filed Critical 신혜경
Priority to KR102016015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시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떡시루를 뒤집지 않고 완숙된 떡을 떡시루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떡시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Rice cake steamer}
본 발명은 떡시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떡시루를 뒤집지 않고 완숙된 떡을 떡시루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떡시루에 관한 것이다.
떡은 쌀가루 및 기타 다양한 곡식의 가루를 빻아 그대로 시루에서 찌거나, 물과 교반한 뒤에 특정형상으로 빚어 삶거나 찌는 음식이다. 이러한 떡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 전통 음식 중의 하나로써, 재료와 제작방법에 따라 많은 종류의 떡이 존재하고 있다.
떡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종래의 떡시루 경우, 완전히 쪄낸 떡을 떡시루에서 분리하기 위해 떡시루를 뒤집어 떡을 빼내야 하는데, 이 때 떡의 점성으로 인해 떡시루로부터 떡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떡의 형태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떡시루(100)는 떡이 완숙된 다음 뒤집어야만 그 떡이 떡시루로부터 꺼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떡이 완숙될 때마다 작업자는 일일이 떡시루의 손잡이를 잡고 일정높이로 들어 올려 뒤집는 분리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수반되었다.
아울러, 떡시루가 뒤집혀질 때 떡의 상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떡의 일부분에 편중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떡의 모양이 목적했던 바와는 다르게 일그러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떡시루(100)는 떡을 떡시루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떡시루를 청소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떡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내부의 단턱면(120)과 벽체(110) 내면의 연결부위는 직각구조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이 부위에 떡 재료의 잔존물이 남게 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함으로써, 추후에 새롭게 찌는 떡에 이물질로 개입되거나 떡의 맛을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완전히 쪄낸 떡을 떡시루에서 형태를 보존하여 분리하고, 떡시루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발명되고 있다.
한편, 떡시루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62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떡시루에 재료를 투입하여 쪄낸 떡을 떡시루의 뒤집힘이 없이 떡을 떡시루에서 분리하고, 떡시루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면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벽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떡시루본체; 상기 떡시루본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면적을 갖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떡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 안쪽 면에 다수의 지지핀이 일체로 형성된 통공판지지대;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통공판지지대가 상기 측면벽체의 구멍에 맞춰 상기 지지핀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통공판지지대 및 상기 떡시루본체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핀 상단에 상기 통공판이 놓여 상기 지지핀이 상기 통공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떡시루본체의 측면벽체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떡시루본체의 상단에는 상단지지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단받침대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 및 하단받침대가 서로 맞춰 끼워짐에 따라 다수의 떡시루본체가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통공판지지대 바깥쪽 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떡시루로부터 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본체 내부에서 떡의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을 떡시루본체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통공판지지대가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떡시루를 뒤집지 않아도 통공판지지대를 떡시루본체에서 결합해제 하면 통공판을 떡시루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완숙된 떡을 떡시루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둘째, 완숙된 떡의 형태가 보존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를 뒤집지 않더라도 떡시루로부터 완숙된 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떡이 파손되지 않고 생산자가 의도대로 떡의 형태를 보존하면서 떡을 떡시루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성이 높다.
셋째, 떡시루의 세척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떡의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을 종래와 같이 떡시루본체에 형성된 단턱이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지지대를 떡시루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떡시루본체와 지지대를 분리하면 떡시루본체 내부에는 어떠한 구조물 없이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가 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떡시루본체의 측면 모서리는 직각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다.
넷째, 떡시루의 적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가 하단의 받침판에 맞춰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떡시루를 서로 적층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떡시루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시루의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떡시루에서 제2통공판지지대의 사시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떡시루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떡시루에서 통공판을 제거하고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떡이 완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에서 떡시루본체가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떡시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시루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떡시루에서 제2통공판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떡시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5는 도2에 도시된 떡시루에서 통공판을 제거하고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6은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떡이 완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에서 떡시루본체가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이하 '떡시루'라 함)는 떡시루본체(10), 통공판지지대(20, 30) 및 통공판(40)을 포함한다.
떡시루본체(10)는 철제 재질로 투입된 떡(60) 재료를 가두어두고 찌기 위한 틀로써, 측면벽체(11), 상단지지부(13) 및 하단받침대(14)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벽체(11)는 소정 길이의 벽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윗면과 아랫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벽체(11)의 각각의 모서리(11) 부분은 직각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면벽체(11)에서 마주보는 면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지지핀삽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떡시루본체(10)와 통공판지지대(20, 30)는 지지핀삽입구(12)로 통공판지지대(20, 30)의 지지핀(22, 32)이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13)는 측면벽체(11)의 상단에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상단지지부(13)는 측면벽체(11)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고 지면과 수평으로 뻗어 형성된다.
하단받침대(14)는 특정 면에 대하여 떡시루본체(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떡시루본체(10)가 적층될 수 있는데, 이는 상단지지부(13)가 하단받침대(14)에 끼워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받침대(14)는 상단지지부(13)보다 바깥쪽으로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단지지부(13)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하단받침대(14)의 윗면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통공판지지대(20, 30)는 떡시루본체(10)의 측면에서 떡시루본체(10)와 결합하여 떡시루본체(10) 내부로 진입하는 통공판(40)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본체(10) 측면의 마주보는 면으로 2개가 결합된다.
여기서 2개의 통공판지지대(20, 30)는 각각 제1통공판지지대(20)와 제2통공판지지대(30)로 칭한다. 제1통공판지지대(20)와 제2통공판지지대(30)는 개수에 따라 구분 짓기 위한 명칭의 차이가 있을 뿐, 통공판(40)을 지지하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 형상이 동일하다. 이는 통공판지지대(20, 30)의 하위 구성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통공판지지대(20, 30)에는 손잡이판(21, 31), 지지핀(22, 32), 상단판(23, 33) 및 하단판(24, 3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판(21, 31)은 양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는 손잡이(21a, 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판(21, 31)은 떡시루본체(10)와 결합 시 측면벽체(11)와 맞닿게 된다. 생산자는 손잡이(21a, 31b)를 이용하여 손잡이판(21, 31)을 운반시킬 수 있고, 손잡이판(21, 31)이 운반됨에 따라 통공판지지대(20, 30) 전체가 운반될 수 있다.
지지핀(22, 32)은 손잡이판(21, 31)에서 손잡이(21a, 31b) 반대면에 일체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핀(22, 32)은 지지판삽입구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지지핀(22, 32)은 지지핀삽입구(12)를 관통하여 떡시루본체(10) 내부로 삽입되고, 떡시루본체(10) 내부로 진입한 통공판(40)이 안착되었을 때 통공판(40)을 지지하게 된다.
상단판(23, 33)은 손잡이판(21, 31)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단판(23, 33)은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소정 면적의 철제 조각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부착시킴으로써 각각의 면을 서로 연결시킨다. 상단판(23, 33)은 통공판지지대(20, 30)가 떡시루본체(10)에 결합될 때 상단지지부(13)의 하단과 맞닿게 된다. 상단판(23, 33)은 떡시루본체(10)와 통공판지지대(20, 30)가 결합되어 함께 운반될 때 떡시루본체(1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 상단지지부(13)와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하단판(24, 34)은 손잡이판(21, 31) 하단에서 상단판(23, 33)과 동일하게 방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하단판(24, 34)은 통공판지지대(20, 30)가 떡시루본체(10)에 결합될 때 하단받침대(14)의 상단과 맞닿게 된다.
통공판(40)은 철제 재질로 구성되어 떡(60) 재료가 올려지는 얇은 사각형의 판으로써,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떡시루를 찜통에 넣고 찔 때 떡시루본체(10) 내부에서 지지핀(22, 32) 위에 안착된 통공판(40)에 증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를 사용하여 떡(60)을 생산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본체(10)의 측면벽체(11)에서 마주보는 면에 각각 3개의 지지핀삽입구(12)가 형성되고, 3개의 지지핀삽입구(12)로 제1통공판지지대(20) 및 제2통공판지지대(30)에 형성된 3개의 지지핀(22, 32)이 각각 삽입되어 제1통공판지지대(20) 및 제2통공판지지대(30)가 떡시루본체(10)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공판(40)을 떡시루본체(10) 내부의 지지핀(22, 32) 위에 안착시키고, 통공판(40)에는 윗면에 떡(60) 재료와 통공판(40)을 격리시키기 위한 격리용 종이(50)를 덮고 떡(60) 재료를 격리용 종이(50)에 투입하여 통공판(40) 위에 올리게 되면 떡(60)을 찌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도6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떡(60)이 완숙된 모습을 단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측면면벽체(11)로 삽입된 지지핀(22, 32) 위에 통공판(40)이 안착되어 있고, 통공판(40)의 윗면에는 완숙된 떡(60)이 통공판(40)과 잘 분리될 수 있도록 격리용 종이(50)가 위치하고 있으며, 격리용 종이(50) 위로 완숙된 떡(60)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떡(60)이 완숙된 이후 생산자가 떡시루를 뒤집지 않고 측면벽체(11)에 결합된 제1통공판지지대(20) 및 제2통공판지지대(30)를 결합해제시킴으로써, 완숙된 떡(60)은 통공판(40)과 함께 그대로 떡시루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완숙된 떡(60)이 떡시루로부터 분리된 다음에는 추후 떡(60)을 쪄내기 위해 떡시루를 세척해야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각진 부분이 최소화 되어 있고, 떡시루본체(10)와 통공판지지대(20, 30)가 서로 결합해제 될 수 있기 때문에 떡시루의 모서리(11)에 이물질이나 잔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한대로 떡시루본체(10), 통공판지지대(20, 30) 및 통공판(40)은 서로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떡시루본체(10)에는 측면벽체(11)의 안쪽에 아무런 구조물이 없고, 안쪽 면이 각진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또한 측면벽체(11)의 안쪽 모서리(11) 부분은 직각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11) 부분 또한 세척이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떡시루본체(10) 내부에 각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떡(60)이 완숙되고 나서 떡시루본체(10) 내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통공판지지대(20), 제2통공판지지대(30) 및 통공판(40) 또한 분리 후 세척을 실시하면 각 부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가 다수 구비되어 있을 때 적층시켜 보관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본체(10)의 상단지지부(13)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고 측면벽체(11)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받침대(14)는 상단지지부(13)보다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고, 끝은 상단지지부(13)의 두께만큼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떡시루본체(10)를 적층할 시 하단받침대(14)는 상단지지부(13)를 감싸 끼워질 수 있고, 이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다수의 떡시루본체(10)를 적층할 수 있다. 이는 떡시루본체(10)에 통공판지지대(20, 3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상단지지부(13)가 소정의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은 장점이 있다. 먼저 상단지지부(13)가 소정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단지지부(13)의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수의 떡시루본체(10)가 적층될 시 단단히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단지지부(1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자가 떡시루본체(10)만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떡시루로부터 떡(6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본체(10) 내부에서 떡(60)의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40)을 떡시루본체(10)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통공판지지대(20, 30)가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떡시루를 뒤집지 않아도 통공판지지대(20, 30)를 떡시루본체(10)에서 결합해제 하면 통공판(40)을 떡시루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완숙된 떡(60)을 떡시루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완숙된 떡(60)의 형태가 보존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떡시루를 뒤집지 않더라도 떡시루로부터 완숙된 떡(6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떡(60)이 파손되지 않고 생산자가 의도대로 떡(60)의 형태를 보존하면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성이 높다.
아울러, 떡시루의 세척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떡(60)의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40)을 떡시루본체(10)의 단턱이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지지대를 떡시루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떡시루본체와 지지대를 분리하면 떡시루본체 내부에는 어떠한 구조물 없이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가 되어 떡시루를 분리하여 부분별로 세척이 용이하고, 떡시루본체(10)의 측면은 직각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다.
또, 떡시루의 적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떡시루는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가 하단의 받침판에 맞춰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떡시루를 서로 적층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떡시루본체
11 : 측면벽체
11a : 모서리
12 : 지지핀삽입구
13 : 상단지지부
14 : 하단받침대
20 : 제1통공판지지대
21 : 손잡이판
22 : 지지핀
23 : 상단판
24 : 하단판
30 : 제2통공판지지대
31 : 손잡이판
31a : 손잡이
32 : 지지핀
33 : 상단판
34 : 하단판
40 : 통공판
50 : 격리용 종이
60 : 떡

Claims (4)

  1.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면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벽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떡시루본체;
    상기 떡시루본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면적을 갖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떡 재료가 올려지는 통공판; 및
    안쪽 면에 다수의 지지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판 및 하단판이 형성된 한쌍의 통공판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떡시루본체의 상단에는 상단지지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단받침대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받침대가 서로 맞춰 끼워짐에 따라 다수의 떡시루본체가 적층될 수 있고,
    다수의 상기 통공판지지대의 상기 지지핀이 상기 측면벽체의 구멍에 맞춰 끼워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통공판지지대의 상기 상단판 및 상기 하단판이 상기 떡시루본체의 상기 상단지지부의 하단 및 상기 하단받침대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한 쌍의 통공판지지대가 상기 떡시루본체 측면의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통공판지지대의 상기 상단판은 상기 떡시루본체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떡시루본체의 상기 상단지지부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지지핀 상단에 상기 통공판이 놓여 상기 지지핀이 상기 통공판을 지지하고,
    상기 떡시루본체의 측면벽체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형성되어 세척이 용이하며,
    상기 통공판지지대 바깥쪽 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51149A 2016-11-14 2016-11-14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KR10193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49A KR101930370B1 (ko) 2016-11-14 2016-11-14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49A KR101930370B1 (ko) 2016-11-14 2016-11-14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55A KR20180053955A (ko) 2018-05-24
KR101930370B1 true KR101930370B1 (ko) 2018-12-18

Family

ID=6229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149A KR101930370B1 (ko) 2016-11-14 2016-11-14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225A (ko) 2020-06-19 2021-12-28 강기현 식물 관찰 카메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87Y1 (ko) * 2004-02-24 2004-05-14 이호태 떡시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87Y1 (ko) * 2004-02-24 2004-05-14 이호태 떡시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55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KR101930370B1 (ko) 떡의 분리가 용이한 떡시루
US20110179954A1 (en) Multi-purpose basket
US8327757B1 (en) Waffle baker
TWI584765B (zh) 可翻掀式蒸盤
KR200421341Y1 (ko) 와플과 와플성형틀
JP2006262887A (ja) 湯葉の製造方法、湯葉、湯葉の取り上げ具、及び湯葉製造キット
CN211961761U (zh) 一种大闸蟹蒸笼
KR100618151B1 (ko) 떡 시루
KR20160002041U (ko) 찜 용기 기능을 갖는 채반
KR100902135B1 (ko) 다용도 찜기
JP3865302B2 (ja) 味付け油揚げの製造方法
KR101745096B1 (ko) 팥 앙금 수분 제거장치
KR101776388B1 (ko) 한과 성형틀
KR20090002564U (ko) 다용도 찜기
CN214387178U (zh) 一种易清洗的蒸笼
CN209090802U (zh) 一种带有蒸饪结构的汤锅
CN218186308U (zh) 一种易取的多层蒸锅
CN105411372A (zh) 插板升降锅
JP6074772B2 (ja) 使い捨て容器型のまな板
CA2244943C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KR200475914Y1 (ko) 찜 용기 기능을 갖는 채반
TWM558777U (zh) 食材置放盤之結構改良
KR200417943Y1 (ko) 금속제 타공용기
KR101649278B1 (ko) 식품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