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174B1 -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0174B1 KR101930174B1 KR1020170160443A KR20170160443A KR101930174B1 KR 101930174 B1 KR101930174 B1 KR 101930174B1 KR 1020170160443 A KR1020170160443 A KR 1020170160443A KR 20170160443 A KR20170160443 A KR 20170160443A KR 101930174 B1 KR101930174 B1 KR 101930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ystem
- system component
- damage
- component
- earthquak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지진 시나리오에 대한 전력계통의 피해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로부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를 평가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전달되는 전력량에 따라 결정되는 의존도 값과 입력된 지진 시나리오와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추정되는 최대지반가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 값을 통해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 하여 최종적으로 지진 이후 전력계통의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잇따른 지진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대규모 자연재해에 대한 불안심리가 고조됨과 동시에 지진상황에서 전력의 공급 지속성 확보방안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된 네트워크적 특성을 갖고 있는 전력계통의 경우 재난 발생 이후에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실제로 지난 네팔 지진 당시 사망자 또는 붕괴된 주택 수의 경우 지진 발생 이후 수주 이내에 집계된 반면 전력계통 피해로 인한 정전 피해는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전력계통의 피해 진단을 위해서는 구조물이 얼마나 무너졌는가의 물리적 손상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의도로 했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얼마나 감소되었는가에 전력 공급 저하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전력계통에 대하여 지진으로 인한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 및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의존에 의한 연쇄피해를 평가함으로써, 지진 발생 직후 전력계통의 전력 공급 저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로부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를 평가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이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연, 월, 주, 일, 시 또는 분 단위의 평균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깊이는 km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는 진앙거리에 따라서 추정된 중력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진앙거리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이며,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상기 최대지반가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는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 이고, 은 모멘트 지진규모 이고,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은 3.556이고, 는 0.333이고, 는 -0.027이고, 는 0.00303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공통원인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는 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소인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 의 는 다음의 표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연쇄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행렬 는 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 평가이고, 상기 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이 생성 및 저장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데이터 또는 지진 시나리오를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부, 상기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평가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평가부,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상기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상기 전력계통의 데이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데이터, 상기 지진 시나리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또는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이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연, 월, 주, 일, 시 또는 분 단위의 평균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깊이는 km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 이고, 은 모멘트 지진규모 이고,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은 3.556이고, 는 0.333이고, 는 -0.027이고, 는 0.00303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공통원인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는 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소인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상기 공통원인피해 의 는 다음의 표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연쇄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행렬 는 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이고, 상기 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은 지진 규모 및 진앙지 위치에 따른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함으로써, 지진 직후 피해 지역의 전력 공급이 얼마나 저하될 것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진 이전 전력 공급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를 선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진 이전 평가 대상 전력계통에 대하여 다양한 지진 시나리오를 적용해 봄으로써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를 선정할 수 있고, 지진 직후 지진에 따른 전력 공급 저하를 즉각적으로 판단하여 피해 지역별 수급이 필요한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으며, 지진 직후 임의의 전력계통 구성요소가 심각하게 손상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진앙거리와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대지반가속도와 공통원인피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진앙거리 및 최대지반가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진앙거리와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대지반가속도와 공통원인피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진앙거리 및 최대지반가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진앙거리와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대지반가속도와 공통원인피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진앙거리 및 최대지반가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 단계(S1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S200),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S300),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S400) 및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및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지진정보 및 전력계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power plant) 및 변전소(subs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정보는 구성요소 타입, 경도, 위도,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및 구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정보는 상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와 함께 전력계통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래프는 지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성요소가 서로 의존성을 갖고 서로 연쇄작용을 하는 다양한 기반 시설 및 라이프라인 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일 평균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지진 정보기관 또는 전력 정보 기관등에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모델은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AnyLogic Personal Learning Edition 7.1 소프트웨어 또는 Java 및 C++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입력된 명령어를 통해 자동으로 수령할 수 있다. 이때 전력계통의 정보는 parameter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달성된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구현 방법, 구현 주체 및 정보 수집 주체에 제한은 없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 단계(S100)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로부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연결 유무와 전달되는 전력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의존도는 0(의존하지 않음)에서 1(매우 의존함)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전달되는 전력량 5000kWh중 구성요소 1로부터 2000kWh, 구성요소 2로부터 3000kWh를 전달받는 구성요소 5는 구성요소 1과 2에 대한 의존도가 각각 0.4와 0.6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S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의 규모, 진앙지로부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까지의 거리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 이고, 은 모멘트 지진규모 이고,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은 3.556이고, 는 0.333이고, 는 -0.027이고, 는 0.00303이고, 는 이고, 는 이고, 중력가속도는 일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는 최대지반가속도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그래프는 상기 진앙거리와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로그 등 간격 그래프 일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지진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깊이는 km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진 시나리오는 지진 발생일시가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 진앙지 경도가 128.5129, 진앙지 위도가 36.2553, 지진 규모가 6.0 모멘트 및 진원 깊이가 10km 일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로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S300)는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지진으로 인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손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재난 이전 보통의 상태일 때를 0(손상 없음)의 값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 값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추정 단계에서 도출된 값을 공통원인피해 값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공통원인피해도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공통원인피해는 상기 최대지반가속도와 함께 공통원인피해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공통원인피해 그래프는 발전소 및 변전소 별로 도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같은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하여 발전소 및 변전소의 공통원인피해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는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과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의존에 의한 2차 피해 파급을 고려하여 평가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 값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력계통 구성요소 5번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존하고 있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1번과 2번의 피해로 인하여 전달되는 전력량이 감소하여 피해가 파급되고, 전력계통 구성요소 6번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존하고 있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5번의 피해로 인해 전달되는 전력량이 감소하여 피해가 파급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연쇄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행렬 는 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이고, 상기 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S500)는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해당 전력계통이 지진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서비스공급량이 얼마나 저하되었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지진규모 및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좌표로 하는 그래프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의 기록 형태는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의 예측값을 표현할 수 있다면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임. 도 1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도 12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경우 지진 이전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송전량)이 8000kWh였으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로 인하여 5421로 감소하였고, 이는 지진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약 67% 정도의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연쇄피해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현재 서비스 공급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서비스 공급정보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에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곱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서비스 공급정보 및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정보로부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및 상기 전력계통의 제2 연결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제2 연결정보로부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의존도가 평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될 수 있다. 상기 추정된 제2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공통원인피해가 평가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의존도와 상기 제2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연쇄피해가 평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제2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상기 전력계통의 제2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가 예측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와 상기 제2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로부터 지진 이후 상기 전력계통의 여진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가 예측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적인 지진 또는 여진 발생에 의한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가 예측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선정하는 단계(S800),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하는 단계(S600) 및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7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2의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2의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참조하여 피해 지역별 수급이 필요한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하는 단계(S60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로부터 상기 비상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비상 전력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력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계통에 비상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소 개수의 비상 전력 구성요소를 추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효율적인 비상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700)는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참조하여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70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분산시키거나 의존 대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상기 우회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경로는 상기 전력계통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예비 우회 전력계통 중에서 상기 예비 우회 전력계통의 가용 전력을 참조하여 선택된 우회 전력계통과 상기 전력계통 사이에 생성 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선정하는 단계(S800)는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목표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선정하는 단계(S80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변경하여 상기 설정된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최대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결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선정하는 단계(S800)는 상기 전력계통에 인접한 전력계통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상기 인접한 전력계통 구성요소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변경하여 상기 설정된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최대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결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선정하는 단계(S800)는 최종 서비스제공가능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상기 우회경로 및 상기 비상 전력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하나 이상의 지진 시나리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진앙거리와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대지반가속도와 공통원인피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진앙거리 및 최대지반가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및 시스템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 및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600), 입력부(7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부(1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200),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평가부(3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평가부(400),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500), 출력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600)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및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지진정보 및 전력계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power plant) 및 변전소(subs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정보는 구성요소 타입, 경도, 위도,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및 구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정보는 상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와 함께 전력계통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래프는 지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성요소가 서로 의존성을 갖고 서로 연쇄작용을 하는 다양한 기반 시설 및 라이프라인 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일 평균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지진 정보기관 또는 전력 정보 기관등에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모델은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AnyLogic Personal Learning Edition 7.1 소프트웨어 또는 Java 및 C++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입력된 명령어를 통해 자동으로 수령할 수 있다. 이때 전력계통의 정보는 parameter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달성된다면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구현 방법, 구현 주체 및 정보 수집 주체에 제한은 없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부(100)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로부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연결 유무와 전달되는 전력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의존도는 0(의존하지 않음)에서 1(매우 의존함)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전달되는 전력량 5000kWh중 구성요소 1로부터 2000kWh, 구성요소 2로부터 3000kWh를 전달받는 구성요소 5는 구성요소 1과 2에 대한 의존도가 각각 0.4와 0.6일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의 규모, 진앙지로부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까지의 거리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 이고, 은 모멘트 지진규모 이고,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은 3.556이고, 는 0.333이고, 는 -0.027이고, 는 0.00303이고, 는 이고, 는 이고, 중력가속도는 일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는 최대지반가속도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그래프는 상기 진앙거리와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로그 등 간격 그래프 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700)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데이터 또는 지진 시나리오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지진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깊이는 km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진 시나리오는 지진 발생일시가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 진앙지 경도가 128.5129, 진앙지 위도가 36.2553, 지진 규모가 6.0 모멘트 및 진원 깊이가 10km 일 수 있다.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로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평가부(300)는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지진으로 인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손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재난 이전 보통의 상태일 때를 0(손상 없음)의 값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 값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는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에서 도출된 값을 공통원인피해 값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최대지반가속도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공통원인피해도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공통원인피해는 상기 최대지반가속도와 함께 공통원인피해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공통원인피해 그래프는 발전소 및 변전소 별로 도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같은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하여 발전소 및 변전소의 공통원인피해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평가부(40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는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과 전력계통 구성요소 간 의존에 의한 2차 피해 파급을 고려하여 평가될 수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 값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행렬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전력계통 구성요소 5번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존하고 있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1번과 2번의 피해로 인하여 전달되는 전력량이 감소하여 피해가 파급되고, 전력계통 구성요소 6번의 경우 지진으로 인한 1차 물리적 손상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의존하고 있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5번의 피해로 인해 전달되는 전력량이 감소하여 피해가 파급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연쇄피해는 의 행렬 로 평가되고, 상기 행렬 는 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이고, 상기 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500)는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해당 전력계통이 지진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서비스공급량이 얼마나 저하되었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평가대상 전력계통의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에 지진규모 및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좌표로 하는 그래프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의 기록 형태는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의 예측값을 표현할 수 있다면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여기서, 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상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 퍼센트로 나타낸 연쇄피해임. 도 1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도 12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경우 지진 이전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송전량)이 8000kWh였으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로 인하여 5421로 감소하였고, 이는 지진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약 67% 정도의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은 비상 전력 판단부(510), 우회경로 생성부(530),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정부(550)를 제외하고는 도 14 및 도 2 내지 도 12의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4 및 도 2 내지 도 12의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비상 전력 판단부(510)는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참조하여 피해 지역별 수급이 필요한 비상 전력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력 판단부(51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로부터 상기 비상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비상 전력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비상 전력 구성요소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력 구성요소 도출부는 상기 전력계통에 비상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소 개수의 비상 전력 구성요소를 추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효율적인 비상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우회경로 생성부(530)는 상기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참조하여 전력공급을 위한 우회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우회경로 생성부(53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분산시키거나 의존 대상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상기 우회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경로는 상기 전력계통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예비 우회 전력계통 중에서 상기 예비 우회 전력계통의 가용 전력을 참조하여 선택된 우회 전력계통과 상기 전력계통 사이에 생성 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정부(550)는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목표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정부(550)는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변경하여 상기 설정된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최대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결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정부(550)는 상기 전력계통에 인접한 전력계통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상기 인접한 전력계통 구성요소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변경하여 상기 설정된 목표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만족하는 최대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결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선정부(550)는 최종 서비스제공가능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상기 우회경로 및 상기 비상 전력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하나 이상의 지진 시나리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 단계
S2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S300: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S400: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S500: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
100: 의존도 평가부
200: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
300: 공통원인피해 평가부
400: 연쇄피해 평가부
500: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
600: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
700: 입력부
800: 출력부
S200: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S300: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S400: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S500: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
100: 의존도 평가부
200: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
300: 공통원인피해 평가부
400: 연쇄피해 평가부
500: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
600: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
700: 입력부
800: 출력부
Claims (20)
-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부가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로부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평가하는 단계;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가 사용자가 입력한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단계;
공통원인피해 평가부가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평가부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단계; 및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가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상기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 깊이는 km단위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이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연, 월, 주, 일, 시 또는 분 단위의 평균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 삭제
- 평가 대상 전력계통의 연결정보, 구성요소 위치정보, 구성요소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개별 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이 생성 및 저장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저장부;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의 데이터 또는 지진 시나리오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전력계통의 연결정보에 따라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의존도 평가부;
상기 지진 시나리오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를 추정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최대지반가속도 추정부;
상기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공통원인피해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평가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와 상기 공통원인피해 평가에 따라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연쇄피해를 평가하는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평가부;
상기 연쇄피해 평가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로부터 지진 이후 상기 전력계통의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를 예측하는 전력계통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 예측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 모델, 상기 전력계통의 데이터,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데이터, 상기 지진 시나리오,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의존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공통원인피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 연쇄피해,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 또는 상기 최종 서비스 제공 가능도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 시나리오는 진앙이 내륙에 위치한다는 전제, 발생시간, 진앙지 위치, 지진규모 및 진원 깊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간은 연, 월, 일, 시 및 분을 포함하고,
상기 진앙지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규모는 모멘트 규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원깊이는 km단위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은 가스, 상수도, 하수도, 통신, 도로, 철도 또는 교통 계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발전용량 200MW 이상의 화력 발전소 또는 보통암반에 위치한 송전전압 345kV의 변전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은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집합이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초기 서비스 공급정보는 지진 피해 전 일정 기간동안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연, 월, 주, 일, 시 또는 분 단위의 평균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일정기간은 연, 월, 주, 일, 시, 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구성요소의 최대지반가속도는 진앙거리에 따라서 추정된 중력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진앙거리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이며,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상기 최대지반가속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시스템.
여기서, 는 추정된 최대지반가속도 이고, 은 모멘트 지진규모 이고, 는 km 단위의 진앙거리이고, 은 3.556이고, 는 0.333이고, 는 -0.027이고, 는 0.00303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443A KR101930174B1 (ko) | 2017-11-28 | 2017-11-28 |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443A KR101930174B1 (ko) | 2017-11-28 | 2017-11-28 |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0174B1 true KR101930174B1 (ko) | 2018-12-17 |
Family
ID=6500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443A KR101930174B1 (ko) | 2017-11-28 | 2017-11-28 |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01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6608A (ko) | 2020-09-16 | 2022-03-23 | 한국전력공사 | 지진 조기 경보 기반 전력 설비 기능 정지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5347A (ja) * | 2005-11-30 | 2007-06-2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地震被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
-
2017
- 2017-11-28 KR KR1020170160443A patent/KR1019301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5347A (ja) * | 2005-11-30 | 2007-06-21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地震被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보고서 1* |
보고서 2*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6608A (ko) | 2020-09-16 | 2022-03-23 | 한국전력공사 | 지진 조기 경보 기반 전력 설비 기능 정지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ant et al. |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interdependent critical infrastructures: case-study for Great Britain’s rail network | |
US9230289B2 (en) | Method for estimating power outages and restoration during natural and man-made events | |
Zorn et al. | Post-disaster infrastructure restoration: A comparison of events for future planning | |
Zhu et al. | Hurricane evacuation modeling using behavior models and scenario-driven agent-based simulations | |
JP2012510607A (ja) | 地震損害予測及び回避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 |
Poulos et al. | Seismic risk assessment of spatially distributed electric power systems | |
Giovinazzi et al. | Toward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assessing, managing and mitigating seismic risk of electric power networks | |
EP3798941A1 (en) | Vacant house determination device, vacant house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Miura et al. |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determining an optimal coastal protection strategy against storm surges and sea level rise | |
CN112117700A (zh) | 水下电缆路线规划工具 | |
US11605144B1 (en) | System and methods for planning and optimizing the recovery of critical infrastructure/key resources | |
Cawthorne et al. | The role of temperature variability on seasonal electricity demand in the Southern US | |
Ghaith et al. | Digital twin: a city-scale flood imitation framework | |
Sun et al. | Comparing decision models for disaster restoration of interdependent infrastructures under uncertainty | |
US12123553B2 (en) | Methods,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and media for presetting emergency devices of smart gas | |
KR101930174B1 (ko) | 전력계통의 지진 피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
Çagnan et al. | Post-earthquake restoration modeling of electric power systems | |
Miraee-Ashtiani et al. | Performance degradation of levee-protected electric power network due to flooding in a changing climate | |
Wilkinson | The use of models in predicting the consumption of outdoor recreation | |
Giovinazzi et al. | Protec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in the event of Earthquakes: CIPCast-ES | |
Walsh et al. | Predicting outage restoration in advance of storms impact | |
Blagojević et al. | Risk-informed resilience assessment of communities using lack of resilience surfaces | |
Kang et al. | Computer‐Aided Analysis of Flow in Water Pipe Networks after a Seismic Event | |
Leandro et al. | Resilience modeling of flood induced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failures: Munich, germany | |
Morales et al. | Development of a spatial load-forecasting module for optimizing planning of electricity su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