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809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9809B1 KR101929809B1 KR1020170079485A KR20170079485A KR101929809B1 KR 101929809 B1 KR101929809 B1 KR 101929809B1 KR 1020170079485 A KR1020170079485 A KR 1020170079485A KR 20170079485 A KR20170079485 A KR 20170079485A KR 101929809 B1 KR101929809 B1 KR 101929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conductive pad
- conductive
- coil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2003/005—Magnetic cores for receiving several windings with perpendicular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권취되고,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는 3개의 코일을 포함하고,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전도성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이 송수신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서로 수직인 방향인 세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를 권취하고 있는 코일을 포함하고, 베이스에 전도성 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전도성 패드에 코일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 보다 간단한 연결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안테나는 전하의 흐름으로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와 전자기장으로 표현되는 전자기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 외부의 전자기장의 변화와 안테나 도선상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대기중에 떠다니는 전자기파 신호를 전자기기가 감지하고, 또 그 역도 가능하다.
그러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장치가 들어가는 전자 기기가 점차 소형화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소형화 되고 있다. 안테나 장치가 들어가는 전자 기기의 예로서, 교통카드, 신용카드, 디지털 도어락 등 작은 기기가 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pc등 많은 전자 장치들이 집적된 기기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테나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안테나와 신호 리더기와의 충분한 인식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권취되고,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는 3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전도성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이 송수신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베이스에 인-몰딩(in-m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처음에는 도금이 되지 않는 재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만 선택적으로 도금이 되는 재질로 변화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6개가 존재하고, 상기 3개의 코일 각각의 양단은 각각 서로 다른 제1 전도성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상기 제2 전도성 패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에 결합될 때 상기 베이스의 몸체를 상기 외부 장치와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부 장치와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부 장치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안테나의 연결 구조가 단순화 되고, 안테나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안테나와 신호 리더기와의 충분한 신호 인식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베이스(100), 코일(200) 및 코어(3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안테나 장치의 외형을 결정짓고, 코일(200)이 이를 권취한다. 도면에는 직육면체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다양한 다면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 부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표면에 전도성 패드를 포함한다. 전도성 패드는 코일의 양 끝단과 연결될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외부와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제2 전도성 패드(120)를 포함한다. 베이스의 구체적인 형태 및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200)은 베이스(100)를 권취할 수 있으며, 세 방향으로 베이스를 둘러싸면서 배향될 수 있다. 3개의 코일(200)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코일(200)은 베이스(100)의 상면, 하면과 접촉하면서 종단방향으로 권취하는 제1 코일(210), 베이스(100)의 상면, 하면과 접촉하면서 횡단방향으로 권취하고 있는 제2 코일(220) 및 베이스(1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둘레를 따라 권취하고 있는 제3 코일(230)을 포함한다. 코일 3개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베이스를 권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2개나 1개의 코일만 권취하여도 자기력선속(자속)의 변화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면 그것도 가능하다.
코어(300)는 베이스(1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코어(300)는 인-몰딩(in molding)의 방법으로 베이스(1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를 사출하는 주형 내부에 코어(300)를 미리 삽입시킨 후, 베이스(100)가 될 주물 재료를 주입한 후 경화시켜 코어(300)가 내부에 포함된 베이스(100)를 생성할 수 있다. 코어(300)는 코일(200)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전파 생성을 보조한다. 이를 위해서 코어(300)는 자성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라이트(ferrite)와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 및 베이스에 형성된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도성 패드는 도전성 물질로 되어 있고, 통상적인 전극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도성 패드는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패드(110)는 코일(200)의 양 끝단과 연결되고,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110)와 제2 전도성 패드(120)는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도성 패드(110)는 코일(200)의 양 끝단과 연결되므로, 코일(200) 개수의 2배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코일(200)이 3개가 형성되고,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각각 6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코일(20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고,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코일(200)을 병렬로 연결할 경우에는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의 개수를 코일(200) 개수의 2배보다 적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 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전도성 패드(111a, 111b) 각각에 종단 방향의 제1 코일(210)의 양 끝단이 연결될 수 있고, 중앙에 형성된 제1 전도성 패드(112a, 112b) 각각에는 횡단 방향의 제2 코일(220)의 양 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상면의 타측에 형성된 제1 전도성 패드(113a, 113b) 각각에는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권취되어 있는 제3 코일(230)의 양 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관통홀은 베이스(100)를 관통하면서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의 내부에는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다.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전도성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된다.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제1 전도성 패드(110)가 형성되는 베이스(100)의 한 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은 베이스(!00) 내부에서 절곡되지 않고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은 베이스(100) 내부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베이스(100)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1)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부(101)는 소정의 높이로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에 실장될 때 베이스(100)의 하면을 외부 장치의 실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돌출부(10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01)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돌출부(101) 사이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하는 돌출부(101) 사이의 공간은 코일(200)이 권취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0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하면이 모두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경우에 복수의 돌출부(101)의 하면이 모두 실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패드(120)는 돌출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도성 패드(120)는 돌출부(10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에 실장되는 경우,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외부 장치의 실장면과 맞닿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외부 장치의 실장면에 형성된 패드와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패드(120)는 외부 장치의 실장면의 패드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외부 장치의 실장면의 패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첨부한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돌출부(101)는 6개가 형성되고, 제2 전도성 패드(120)도 6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01)가 형성된 하면 부분의 반대 부분에 6개의 제1 전도성 패드(11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돌출부(101)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는 베이스(100)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성 패드(110) 및 제2 전도성 패드(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관통홀의 전도성 패턴도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금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금층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레이저 직접 구조화)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LDS 방식은 레이저에 반응하는 수지재로 베이스(100)를 형성한 후, 일부 영역에만 레이저를 조사한 후,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레이저에 반응하는 수지재는 처음에는 도금이 되지 않는 재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만 선택적으로 도금이 되는 재질로 변화되는 수지재이다. 구체적으로, 처음에는 수지재의 실질적으로 전체의 영역이 비도전성 재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되면 일부 영역이 도전성 재질로 변화되는 수지재이다. 레이저가 조사된 수지재를 도금액에 침지하면 도전성 재질로 변한 부분을 시드(seed)로 하여 도금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이저에 반응하는 수지재는, 예를 들어 0.01 내지 20 중량%의 스피넬 구조의 금속산화물이 첨가된 수지재일 수 있다. 스피넬 구조의 금속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아크롬산 구리스피넬(CuCr2O4)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코일(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3개의 코일(200)은 베이스(100)의 표면에서 겹쳐지면서 베이스(100)를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베이스(100)를 권취할 수 있다. 베이스(100)에 코일(200)을 권취하는 순서는 베이스(100)의 상면, 하면과 접촉하면서 베이스(100)를 종단방향으로 권취하는 제1 코일(210)을 먼저 권취하고, 베이스(100)의 상면, 하면과 접촉하면서 베이스(100)를 횡단방향으로 권취하고 있는 제2 코일(220)을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이스(1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둘레를 따라 권취하는 제3 코일(230)을 권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210)은 베이스(10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101) 사이의 공간을 권취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코일(200)을 권취하는 이유는 자기력선속(자속)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함이므로, 코일(200)을 권취하는 순서는 당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400)는 하면에서 베이스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1)는 소정의 높이로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에 실장될 때 베이스(400)의 몸체를 외부 장치의 실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면에서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도 지지부(401)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1)는 베이스(400)의 몸체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하면과 지지부(401)의 상면 일부가 맞닿으면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401)의 상면 중 베이스(400)의 몸체와 맞닿아 있지 않은 부분은 베이스(400)의 하면과 평행하면서 베이스(400) 몸체의 측면보다 더 측부쪽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1)의 상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그 면적의 1/4 만큼이 베이스(400)의 몸체와 결합되고, 나머지 3/4 만큼이 베이스(400) 몸체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의 측면보다 더 측부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40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01)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지지부(401) 사이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하는 지지부(401) 사이의 공간은 코일(500)이 권취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40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하면이 모두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경우에 복수의 지지부(401)의 하면이 모두 실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와 제2 전도성 패드(420)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지지부(401)의 두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도성 패드는 지지부(401)의 상면 중 베이스(400)의 몸체와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도성 패드(420)는 지지부(40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도성 패드(420)가 형성된 위치는 제1 전도성 패드가 형성된 지지부(401) 상면의 위치에 대칭되는 하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4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지지부(401)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420)는 지지부(401)의 표면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4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관통홀의 전도성 패턴도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금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금층은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레이저 직접 구조화)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 101 : 돌출부
110 : 제1 전도성 패드 120 : 제2 전도성 패드
200 : 코일 300 : 코어
401 : 지지부
110 : 제1 전도성 패드 120 : 제2 전도성 패드
200 : 코일 300 : 코어
401 : 지지부
Claims (14)
- 마그네틱 코어;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도성 패드 및 제2 전도성 패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권취되고,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는 3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전도성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이 송수신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고,
상기 베이스는 처음에는 도금이 되지 않는 재질이었다가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만 선택적으로 도금이 되는 재질로 변화되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 중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에 결합된 도금층으로 형성된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베이스에 인-몰딩(in-molding)되어 있는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진 안테나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6개가 존재하고,
상기 3개의 코일 각각의 양단은 각각 서로 다른 제1 전도성 패드와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상기 제2 전도성 패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권취된 안테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가 외부 장치에 결합될 때 상기 베이스의 몸체를 상기 외부 장치와 이격시키는 안테나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부 장치와 맞닿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패드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외부 장치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권취된 안테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485A KR101929809B1 (ko) | 2017-06-23 | 2017-06-23 | 안테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485A KR101929809B1 (ko) | 2017-06-23 | 2017-06-23 | 안테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9809B1 true KR101929809B1 (ko) | 2018-12-17 |
Family
ID=6500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485A KR101929809B1 (ko) | 2017-06-23 | 2017-06-23 | 안테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8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05651A (zh) * | 2021-11-16 | 2022-02-01 |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 电磁线圈组件及电磁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602A (ja) * | 2005-01-11 | 2006-07-27 | Shimadzu Corp | 3軸磁気センサ |
KR101638310B1 (ko) * | 2016-01-20 | 2016-07-12 | (주)에프원테크놀로지 | 3축 코일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
-
2017
- 2017-06-23 KR KR1020170079485A patent/KR1019298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94602A (ja) * | 2005-01-11 | 2006-07-27 | Shimadzu Corp | 3軸磁気センサ |
KR101638310B1 (ko) * | 2016-01-20 | 2016-07-12 | (주)에프원테크놀로지 | 3축 코일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05651A (zh) * | 2021-11-16 | 2022-02-01 |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 电磁线圈组件及电磁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2654B2 (ja) | 非接触通信用の脱着可能なカード、その使用および作製方法 | |
US10483623B2 (en)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0416638B1 (ko) | 무접점칩카드 | |
US9812766B2 (en) |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US20150097040A1 (en) | Booster antenna structure | |
WO2011001812A1 (ja) | コイル、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モジュール | |
CN107293859B (zh) | 一种天线装置以及该天线装置的制造方法 | |
KR102585264B1 (ko) | 휴대폰에 집적하기 위한 초-저-프로파일 3축 저주파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 |
KR101627128B1 (ko) | 코일 부품 | |
CN105098363A (zh) | 天线线圈及其制造方法 | |
US20170104272A1 (en) |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 |
US9640857B2 (en) | Communication module | |
US10074904B2 (en) | Antenna device and coil component used therein | |
KR101929809B1 (ko) | 안테나 장치 | |
CN205646165U (zh) | 天线装置与通信终端装置 | |
KR101079543B1 (ko) | 전자 식별 태그, 전자 식별 태그의 제조 방법 및 전자 식별 태그의 제조 금형 | |
JPWO2016166925A1 (ja) | 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CN104332275B (zh) | 片式电感器及制造该片式电感器的方法 | |
JP2018022793A (ja) | 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KR20170136354A (ko) | 칩 안테나 | |
JP2016197802A (ja) | Rfタグ用アンテナ及びrfタグ | |
KR20110064403A (ko) | 비접촉식 무선 데이터 통신의 테그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구성 및 설치구조 | |
US11456562B2 (en) |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321874B1 (ko) | Nfc 소형화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 |
CN105552545A (zh) | Nfc天线装置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