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928B1 -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928B1
KR101928928B1 KR1020170165991A KR20170165991A KR101928928B1 KR 101928928 B1 KR101928928 B1 KR 101928928B1 KR 1020170165991 A KR1020170165991 A KR 1020170165991A KR 20170165991 A KR20170165991 A KR 20170165991A KR 101928928 B1 KR101928928 B1 KR 10192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undling
carbon fiber
carbon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김규년
Original Assignee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6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01F9/133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브 롤(drive roll); 상기 드라이브 롤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롤 사이로 유입되는 탄소섬유 로빙(carbon fiber roving)을 잘라 탄소섬유 촙(carbon fiber chop)을 제조하는 쵸핑 롤(chopping roll); 및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탄소섬유 촙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탄소 필라멘트(carbon filament)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디번들링 롤을 포함하는 디번들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FILAMENT}
본 발명은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섬유 강화재의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탄소섬유 로빙을 자른 후 디번들링(de-bundling)하여 탄소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를 강화재로 플라스틱과 혼합하여 마련된 탄소섬유 강화 수지(C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은 섬유 복합재는 그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복합재료로서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탄소섬유는 복수의 카본 필라멘트(carbon filament)가 뭉쳐 마련되는 탄소섬유 로빙(carbon fiber roving) 상태로 제공되는데 이를 사용분야에 따라 쵸핑(chopping) 장치 등을 이용하여 탄소섬유 촙(carbon fiber chop) 또는 탄소섬유 토우(carbon fiber tow) 등으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된다.
최근, 탄소섬유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탄소섬유 복합재 제조시 탄소섬유를 디번들링(de-bundling)하여 투입하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탄소섬유 로빙을 탄소섬유 토우 단위로 절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탄소섬유 토우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탄소섬유 토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마련된 탄소섬유 토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탄소섬유 로빙(R)을 복수의 플랫 롤러(flat roller, 10)를 통과시켜 일정한 장력(tension)이 걸린 상태에서 누비 롤러(nubby roller, 20)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가닥으로 나누어지고, 이후 드라이브 롤러(drive roller, 30) 및 쵸핑 롤러(chopping roller, 40)를 통과하면서 탄소섬유 토우(T)가 형성된다.
그러나 탄소섬유 토우(T)는 복수의 탄소 필라멘트(carbon filament)가 뭉쳐진 형태로서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섬유 로빙(R)을 누비 롤러(20)에서 복수의 가닥으로 분리하기 위해 복수의 플랫 롤러(10)에서 탄소섬유 로빙(R)에 장력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탄소섬유 로빙(R)이 끊어지는 등 탄소섬유 로빙(R)의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속 생산이 불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JP 5700496 B2 (2015. 02. 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소섬유 로빙을 절단함과 동시에 탄소 필라멘트로 디번들링(de-bundling)할 수 있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소섬유 로빙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소섬유 로빙의 장력 유지를 위한 별도의 플랫 롤러 및 누비 롤러를 생략되어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설치 면적 및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브 롤(drive roll); 상기 드라이브 롤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롤 사이로 유입되는 탄소섬유 로빙(carbon fiber roving)을 잘라 탄소섬유 촙(carbon fiber chop)을 제조하는 쵸핑 롤(chopping roll); 및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탄소섬유 촙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탄소 필라멘트(carbon filament)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디번들링 롤을 포함하는 디번들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한 쌍의 상기 디번들링 롤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디번들링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한 쌍의 상기 디번들링 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탄소섬유 촙에 전단응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상기 디번들링 롤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탄소 필라멘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디번들링 롤에 접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는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로 유입되는 상기 탄소섬유 로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에 접촉하여 회전되는 가이드 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번들링 롤은, 쇼어 경도(Hs)가 80 ~ 100인 점탄성 소재(viscoelastic material)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번들링 롤은, 그 표면이 대전 방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섬유 로빙을 필라멘트 단위의 탄소 필라멘트로 디번들링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탄소섬유를 강화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소섬유 로빙에 일정 장력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가닥으로 분리하기 위한 플랫 롤러 및 누비 롤러를 생략할 수 있어 초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설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장력인가에 따른 탄소섬유 로빙의 손상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디번들링 롤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디번들링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탄소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탄소섬유 토우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탄소섬유 토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마련된 탄소섬유 토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촙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탄소 필라멘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는 드라이브 롤(100)과 탄소섬유 로빙(R)을 잘라 탄소섬유 촙(C)을 제조하는 쵸핑 롤(200)과 탄소섬유 촙(C)을 디번들링하여 탄소 필라멘트(F)를 제조하는 디번들링 유닛(300)을 포함한다.
쵸핑 롤(200)은 드라이브 롤(100)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드라이브 롤(100)과 쵸핑 롤(200) 사이로 유입되는 탄소섬유 로빙(R)을 잘라 탄소섬유 촙(C)을 제조하는데, 이때 드라이브 롤(100)과 쵸핑 롤(20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조된 탄소섬유 촙(C)을 하방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번들링 유닛(300)은 드라이브 롤(100) 및 쵸핑 롤(200) 하방에 설치되어 드라이브 롤(100)과 쵸핑 롤(200) 사이로 배출되는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필라멘트 단위의 탄소 필라멘트(F)로 분해하여 하방으로 배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번들링 유닛(300)은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을 포함하며,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탄소 필라멘트(F)를 제조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디번들링 롤(310)은 그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소섬유 촙(C)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을 조절하여 디번들링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디번들링 유닛(300)은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한 쌍의 디번들링 유닛(3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320)는 실린더 등 디번들링 롤(3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이동부(320)를 작동시켜 디번들링 롤(31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 사이를 통과하는 탄소섬유 촙(C)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번들링 유닛(300)은 디번들링 롤(310)의 표면에 부착된 탄소 필라멘트(F)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각각의 디번들링 롤(310)에 접촉하여 설치된 한 쌍의 스크래퍼(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제조된 탄소 필라멘트(F)는 그 무게가 가벼워 정전기 등에 의해 디번들링 롤(310)의 표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330)는 디번들링 롤(310)의 하부에 접하도록 디번들링 롤(3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스크래퍼(330)가 디번들링 롤(310)이 회전함에 따라 디번들링 롤(310)의 표면에 부착된 탄소 필라멘트(F)를 긁어 하방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번들링 롤(310)은 힘이 가해졌을 때, 액체로서의 성질과 고체로서의 성질이 동시에 발현될 수 있는 우레탄 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점탄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번들링 롤(310)은 쇼어 경도가(Hs)가 80 ~ 100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80 미만의 쇼어 경도를 갖는 경우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며, 쇼어 경도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 탄소섬유 촙(C)에 전단응력을 원활하게 가하지 못하여 제조되는 탄소 필라멘트(F)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제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디번들링 롤(310)은 그 표면이 대전 방지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에서 제조되는 탄소 필라멘트(F)는 그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정전기 등에 의해 쉽게 디번들링 롤(310)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는 드라이브 롤(100)의 상부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가이드 롤(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롤(400)이 탄소섬유 로빙(R)이 드라이브 롤(100) 및 쵸핑 롤(200) 사이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탄소섬유 촙(C)이 원활히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탄소섬유 촙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탄소 필라멘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전단응력에 따라 이동부(320)를 이용하여 디번들링 롤(310) 사이 간격 및 디번들링 롤(310)의 회전속도가 설정되면, 탄소섬유 로빙(R)이 가이드 롤(400)에 의해 드라이브 롤(100)과 쵸핑 롤(200) 사이로 가이드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 롤(100)과 쵸핑 롤(200) 사이로 유입되면, 쵸핑 롤(200)이 탄소섬유 로빙(R)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탄소섬유 촙(C)을 제조하여 하방으로 배출시킨다.
드라이브 롤(100) 및 쵸핑 롤(200)에서 배출되는 탄소섬유 촙(C)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디번들링 롤(310)을 통과하면서 전단응력이 가해져 탄소 필라멘트(F)로 분해되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디번들링 롤(310)의 표면에 부착된 탄소 필라멘트(F)는 스크래퍼(330)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마련된 탄소 필라멘트(F)는, 종래 탄소섬유 토우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탄소섬유 토우(T)에 비하여 더 미세하게 디번들링 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탄소섬유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 탄소섬유 촙 F: 탄소 필라멘트
R: 탄소섬유 로빙 T: 탄소섬유 토우
100: 드라이브 롤 200: 쵸핑 롤
300: 디번들링 유닛 310: 디번들링 롤
320: 이동부 330: 스크래퍼
400: 가이드 롤

Claims (7)

  1. 드라이브 롤(drive roll);
    상기 드라이브 롤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롤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롤 사이로 유입되는 탄소섬유 로빙(carbon fiber roving)을 잘라 탄소섬유 촙(carbon fiber chop)을 제조하는 쵸핑 롤(chopping roll); 및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탄소섬유 촙에 전단응력을 가하여 탄소 필라멘트(carbon filament)를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에 마련된 한 쌍의 디번들링 롤을 포함하는 디번들링 유닛;을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한 쌍의 상기 디번들링 롤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디번들링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한 쌍의 상기 디번들링 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탄소섬유 촙에 전단응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번들링 유닛은,
    상기 디번들링 롤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탄소 필라멘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디번들링 롤에 접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롤 및 쵸핑 롤 사이로 유입되는 상기 탄소섬유 로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에 접촉하여 회전되는 가이드 롤;을 더 포함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번들링 롤은,
    쇼어 경도(Hs)가 80 ~ 100인 점탄성 소재(viscoelastic material)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번들링 롤은,
    그 표면이 대전 방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KR1020170165991A 2017-12-05 2017-12-05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KR10192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91A KR101928928B1 (ko) 2017-12-05 2017-12-05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91A KR101928928B1 (ko) 2017-12-05 2017-12-05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28B1 true KR101928928B1 (ko) 2018-12-13

Family

ID=6467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991A KR101928928B1 (ko) 2017-12-05 2017-12-05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11B1 (ko) * 2018-12-24 2019-11-15 한화글로벌에셋(주) 하이브리드 섬유 복합재 제조용 섬유 결집장치 및 결집방법
KR102358881B1 (ko) 2021-08-25 2022-02-08 (주)케이알바트로스 탄소섬유 필라멘트 품질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153A1 (ja) 2015-10-21 2017-04-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チョップド繊維束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繊維強化樹脂成形材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炭素繊維束用切断刃、ならびに炭素繊維束用ロータリーカッ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153A1 (ja) 2015-10-21 2017-04-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チョップド繊維束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繊維強化樹脂成形材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炭素繊維束用切断刃、ならびに炭素繊維束用ロータリーカッ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11B1 (ko) * 2018-12-24 2019-11-15 한화글로벌에셋(주) 하이브리드 섬유 복합재 제조용 섬유 결집장치 및 결집방법
KR102358881B1 (ko) 2021-08-25 2022-02-08 (주)케이알바트로스 탄소섬유 필라멘트 품질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8562B (zh) 短切纖維束的製造裝置及其製造方法
CN107735433B (zh) 纤维强化树脂片材的制造方法
JP7001997B2 (ja) 部分分繊繊維束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部分分繊繊維束を用いた繊維強化樹脂成形材料とその製造方法
KR101928928B1 (ko) 탄소 필라멘트 제조장치
EP25301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moving items into a processing machine
US6148640A (en) Method for making chopped fiber
JP3114311B2 (ja) 繊維強化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方法
TW201738300A (zh) 纖維強化樹脂成形材料及其製造方法
TWI823049B (zh) 碳纖維捲裝體、片狀模壓料之製造方法、碳纖維捲裝體之用途、及碳纖維捲裝體之製造方法
CA1041005A (en) Preparation of a warp beam wound with flexible tapes
US5678774A (en) Fiberglass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3118336A (en) Fiber cutter
EP3748055A1 (en) Partially separated fiber bundle, intermediate base material,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5461204A (zh) Smc的制造方法
JP2005161797A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1809795B1 (en) A drafting assembly and method of drafting a web
JP5251118B2 (ja) ドラフトローラ
JP3456075B2 (ja) 長繊維の切断方法
CN112093585B (zh) 用于纱线连接装置的摩擦盘
EP3700848B1 (en) Unwinding of materials
JP3532629B2 (ja) 長繊維強化樹脂構造物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703275B2 (ja) 長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成形材料の製造方法
EP4129878A1 (en) Joining stra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1435363B2 (de) Vorrichtung zum Verstrecken einzelner bzw. in Scharen laufender endloser Kunstfäden
AT501519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olienbänd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