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760B1 -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 Google Patents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760B1
KR101928760B1 KR1020180074795A KR20180074795A KR101928760B1 KR 101928760 B1 KR101928760 B1 KR 101928760B1 KR 1020180074795 A KR1020180074795 A KR 1020180074795A KR 20180074795 A KR20180074795 A KR 20180074795A KR 101928760 B1 KR101928760 B1 KR 10192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relay
unit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재섭
김준원
김재관
장은정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7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7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B64C2201/1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a drone and, more specifically, an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a dron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when a user enters an indoor shadow area, controlling a relay drone, and attaching a drone to an indoor wall or ceiling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by automatically housing a relay drone when a relay drone leaves indoors. The indoor repeater system comprises: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0001]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0002]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에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중계 드론을 제어하여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여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신호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실내를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중계 드론을 격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relay system using drones, which automatically detects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when a user enters an indoor shadow area, To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a dron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and automatically storing a relay drones when the user leaves the room,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종래에는 사용자가 건물 내부 음영지역에 중계기를 고정 설치하거나,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일정 거리별로 건물 벽면에 중계기를 부착하는 방법을 통해서 건물 내 음영지역에서의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신호세기를 증가시켰다.Conventionally,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in a shaded area in a building has been increased through a method in which a user installs a repeater in a shaded area inside a building or attaches a repeater to a building w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user moves .

하지만, 긴급상황시나 군사 작전 등 실내 공간에서 이동 진입 시에는 상기 방법을 활용하기 어려워 통신 링크가 단절되는 경우가 많아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above-mentioned method in case of emergency or moving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military operation, and the communication link is disconnected in many cases.

등록특허 10-1156131, 등록일자 2012년 06월 07일, '위성 중계기에서 간섭제거 방법 및 장치'Registration No. 10-1156131, filed on June 07, 20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nterference from satellite repeaters' 공개특허 10-2016-0082096, 공개일자 2016년 07월 08일, '간섭제거 중계기'&Quot;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82096, published on July 08,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에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중계 드론을 제어하여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여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신호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실내를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중계 드론을 격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automatically det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rength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when a user enters an indoor shadow area, Which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and automatically store a relay drones when the user leaves the room,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은, 실내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단말기장치; 및 상기 단말기장치와 타 단말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주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a drones, the indoor relay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for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over a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장치는, 상기 단말기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중계 드론이 수용되는 격납부; 및 상기 격납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중계 드론을 제어하고, 기지국과 통신하는 드론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part formed on the terminal device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elay drones; And a dr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 drone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납부는, 복수의 중계 드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중계 드론의 비행 또는 격납 시 개폐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ment unit includes: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drones are accommodated;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relay drones are in flight or in stor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론통제부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통신망 감지부; 상기 통신망 감지부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 세기 이하일 경우 실내에 중계 드론을 부착할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인식부; 및 상기 위치인식부가 탐지한 위치로 중계 드론이 비행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중계 드론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control unit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 network sensing unit periodically sensing a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base station; A location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a location where a relay drones are to be installed in a room when a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nsed by the network sensing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 dron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relay drones fly to a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중계 드론을 비행시키거나 격납해야 할 경우마다 격납부의 개폐장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storage unit to be opened or closed whenever the relay drones are to be filled or sto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일정거리에서 비행중인 중계 드론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인식부가 탐지한 위치로 비행하도록 상기 중계 드론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일정거리에서 비행중인 중계 드론이 없을 경우에는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중계 드론에 상기 위치인식부가 탐지한 위치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relay drones flying in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 drones so as to fly to a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 dron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as to fly to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when there is no dron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 드론은, 상기 드론통제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드론 무선통신부; 상기 드론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계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초음파센서부; 상기 중계 드론의 다리부분에 형성되는 흡착부; 기지국 또는 다른 중계 드론과 주파수 신호를 중계해주는 중계부; 및 중계 드론과 단말기장치와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드론 통신망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drones include: a dron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dron control unit; A drone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lay drone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drone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mage / ultrasonic sensor unit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 suction unit formed at a leg portion of the relay drones; A relay unit for relaying a frequency signal with a base station or other relay drones; And a drones network sensing unit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relay drones and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론 제어부는, 상기 드론 무선통신부가 드론통제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와 상기 영상/초음파센서부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내에 중계 드론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흡착부를 통해서 실내에 중계 드론이 부착되도록 하고 회전 날개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lay drones are installed in the room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ron control unit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 ultrasonic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lades so that the relay drones are attached to the room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blades is stopp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론 제어부는, 중계 드론이 실내에 부착된 후에 상기 드론 통신망 감지부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상기 흡착부를 제어하여 부착상태를 해지하고 회전 날개를 작동하여 이륙한 후, 상기 영상/초음파센서부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장치의 일정거리에서 상기 중계 드론이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trength detected by the drones network sensing unit increases after a relay drones are attached to a room, the dron control unit controls the adsorption unit to cancel the attachment state And controls the flying drones to f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 ultrasonic sensor unit after the rotary wing is operated and taken off.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에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중계 드론을 제어하여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여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신호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실내를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중계 드론을 격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base sta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ow area and controls the relay drones so as to attach to the wall or ceiling of the roo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when the indoor unit is out of the room, the relay drones are stored automaticall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장치의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드론과 드론통제부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을 통한 중계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통제부의 실내 음영지역 감지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드론의 제어순서도
도 8은 중계 드론 부착 후 사용자가 중계 드론에 접근 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외 이동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 실시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dron and a dr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according to an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of an indoor relay system when entering a shadow area of a user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door shadow area detection flowchart of a dr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chart of a relay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elay drones after attaching the relay drones.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moves outd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trol example of an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limited to a "directly connected" element, When " comprising ", it is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장치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단말기장치(100) 및 상기 단말기장치(100)와 타 단말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주는 기지국(20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장치(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중계 드론(10)이 수용되는 격납부(110) 및 상기 격납부(110)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중계 드론(10)을 제어하고, 기지국(200)과 통신하는 드론통제부(12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납부(110)는 복수의 중계 드론(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과 상기 중계 드론(10)의 비행 또는 격납 시 개폐되는 개폐장치(112)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장치(112)는 드론통제부(120)의 제어부(124)를 통해서 개폐가 제어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a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 base station 200 for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other terminal devices via a network, . 2,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mpartment 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relay drones 10, And a dron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200. 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111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1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lay drones 10 during flight or storag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24 of the dron controller 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드론과 드론통제부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론통제부(120)는 무선통신부(121), 통신망감지부(122), 위치인식부(123) 및 제어부(12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중계 드론(10)은 드론 무선통신부(11), 드론 제어부(12), 영상/초음파센서부(13), 흡착부(14), 중계부(15) 및 드론 통신망감지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dronon and a dro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dron control unit 1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a network sensing unit 122, a position recognition unit 123, and a control unit 124. The relay drones 10 Includes a dron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 drone control unit 12, a video / ultrasonic sensor unit 13, a suction unit 14, a relay unit 15, and a drones network sensing unit 16.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10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 단말기장치와 기지국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base station when a user enters an indoor shadow region through the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을 통한 중계 실시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은 복수의 중계 드론(10)을 통해서 단말기장치(10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함으로써 무선통신망 세기를 증가시킨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through an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a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3가지 경우가 있는데,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에 최초 진입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후 중계 드론의 복귀를 요청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후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There are three case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oor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user first enters the indoor shaded area and when the user requests return of the relay dronon after entering the indoor shaded area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ed area There is a case that it moves outdoors afterwards.

먼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는 도 5와 10a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말기장치(100)의 드론통제부(120)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 이를 감지하여 중계 드론(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00)와 상기 중계 드론(10)의 드론 제어부(12)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중계 드론(10)을 제어하는 단계(S200)로 이루어진다.First, the control procedure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ow area is as shown in FIGS. 5 and 10a.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of an indoor relay system when a user enters an indoor shad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dron control unit 120 of the terminal device 100 first senses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ow area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 drones 10 (S100) And a step S200 in which the drones 12 of the drones 10 receive the control signals and control the relay drones 10 (S200).

상기 단계(S10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통제부의 실내 음영지역 감지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00)는 먼저 드론통제부(120)의 통신망감지부(122)가 상기 무선통신부(11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S110)와 드론통제부(120)의 위치인식부(123)가 상기 통신망감지부(122)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 세기 이하일 경우 중계 드론(10)을 부착할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S120)와 드론통제부(120)의 제어부(124)가 상기 위치인식부(122)가 탐지한 위치에 중계 드론(10)을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중계 드론(10)으로 송신하는 단계(S13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110)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의 일정 세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계(130)에서 상기 제어부(124)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중계 드론(10)을 부착할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 고도정보가 포함된다.The step S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door shade area detection of a dr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n step S100, the network sensing unit 122 of the dron controller 120 periodically detects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base station 200 (S110) and detecting a position to which the relay drones 10 are to be attached when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123 of the drones control unit 120 detect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rength detected by the network sensing unit 122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S120) and the control unit 124 of the dron control unit 120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 drones 10 so as to fly the relay drones 10 to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122 (S130) Lt; / RTI > In step S110, the perio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predetermined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eans a value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4 in step 130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of a position to which the relay drones 10 are attached.

상기 단계(S200)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드론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200)는 중계 드론(10)의 드론 무선통신부(11)가 드론통제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와 중계 드론(10)의 드론 제어부(12)가 수신한 제어신호와 영상/초음파센서부(13)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내에 중계 드론(10)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확인하여 중계 드론(10)을 부착위치로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0)와 중계 드론(10)의 드론 제어부(12)가 부착위치에 흡착부(14)를 통해서 중계 드론(10)을 부착하고 회전 날개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S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된 중계 드론(10)은 중계부(15)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장치(10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함으로써 무선통신망 세기를 증가시킨다. 상기 단계(S230)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40)가 중계 드론(10)을 부착하는 방법은 흡착부(140)를 실내 벽 또는 천장과 밀착한 상태에서 흡착부(140)와 실내 벽 또는 천장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흡착부(140)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단계(S230) 이 후 사용자가 실내에서 이동 중에 다른 음영지역에 진입 시 상기 드론통제부(120)의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통신망감지부(122)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부(11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망 세기가 다시 약해짐을 감지하여 새로운 중계 드론(10)을 통해서 상기 단계(S120) ~ (S230)을 다시 수행한다.The step S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lay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step S200 includes the step S210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 controlling unit 120 of the dron radio communication unit 11 of the relaying dron 10 and the step S210 of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laying dron 10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relaying drones 10 should be attached to the room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drones control unit 12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mage / ultrasonic sensor unit 13, (S220) of the relay drones 10 and a step of attaching the relay drones 10 to the drones 12 of the relay drones 10 through the adsorption units 14 at the attachment positions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vanes S230). The attached relay drones 10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relay unit 15. [ The method of attaching the relay drones 10 to the adsorption unit 140 in the step S230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of attaching the relay drones 10 to the adsorption unit 140, So that the adsorption unit 140 is fixed. The controller 124 of the drones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detection unit 122. In this case, (S120) to (S230) through the new relay drones 1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base station 200 has weakened again.

다음으로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후 실내에서 이동하여 중계 드론의 복귀를 요청할 경우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는 도 8과 10b와 같다. 도 8은 중계 드론 부착 후 사용자가 중계 드론에 접근 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에 진입하여 중계 드론(10) 실내 부착 후 중계 드론(10)에 접근하는 단계(S300)와 중계 드론(10)의 드론 통신망 감지부(16)가 단말기장치(100)와 중계 드론(10)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드론 제어부(12)로 전송하는 단계(S400)와 드론 제어부(12)가 상기 드론 통신망 감지부(16)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세기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흡착부(14)의 부착상태를 해지하고 회전 날개를 작동하여 단말기장치(100)의 일정거리에서 중계 드론(10)을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500)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의 일정 세기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계(S500) 이 후 사용자가 다시 실내 음영지역에 진입할 경우에는 상기 드론통제부(120)의 제어부(124)는 통신망감지부(122)를 통해 실내 음영지역 진입을 인지하고, 위치인식부(123)를 통해 중계 드론(10)을 부착할 위치를 다시 탐지하여 상기 단말기장치(100)의 일정거리에서 비행하고 있는 중계 드론(10)에 위치인식부(123)가 탐지한 위치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Next,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ed area and moves in the room to request return of the relay drones, the flow chart of the control of the indoor relay system is shown in FIGS. 8 and 10B. 8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elay drones after attaching the relay drones. 8, a step S300 in which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ow region and approaches the relay drones 10 after attachment to the relay drones 10 and the step S300 of the drones network sensing unit 16 of the relay drones 10, (S400) of periodically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lay drones (10) to the drones controller (12) If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 attachment state of the adsorption unit 14 is cancele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wing is controlled to fly the relay drones 10 at a certain distan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 In step S500, a perio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a predetermined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eans a value that can be set by the user for convenience. If the user again enters the indoor shaded area after the step S500, the control unit 124 of the dron control unit 120 recognizes entry into the indoor shaded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detection unit 122, The position detection unit 123 detects again the position where the relay drones 10 are to be attached through the unit 123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relay drones 10 flying at a certain distan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후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의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는 도 9와 10c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외 이동시 실내 중계 시스템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외로 이동하는 단계(S600)와 드론통제부(120)의 제어부(124)가 이를 감지하여 중계 드론(10)에 귀환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700)와 중계 드론(10)의 드론 제어부(12)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중계 드론(10)을 단말기장치(100)의 격납루(110)로 귀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80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700)에서 상기 드론통제부(120)의 제어부(124)가 귀환을 요청하는 제어신호에는 상기 단말기장치(100)의 위치정보와 고도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단계(S800)에 있어서 중계 드론(10)이 실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드론 제어부(12)는 흡착부(14)를 제어하여 부착상태를 해지한 후 회전 날개를 작동시켜 비행하여 중계 드론(10)이 상기 단말기장치(100)의 격납부(110)로 귀환하도록 제어한다. Lastly, the flow chart of the control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moves outdoors after entering the indoor shadow area is shown in FIGS. 9 and 10c.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dure of the indoor relay system when the user moves outd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S600 of moving the user outdoors as shown in FIG. 9 and a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requesting a return to the relay drones 10 by sensing th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24 of the dron control unit 120 S700 and the drones 12 of the relay drones 10 receive the control signals and control the relaying drones 10 to return to the containment loops 110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operation S800. In step S700, the controller 124 of the drones controller 120 requests the feedback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0 that the relay drones 10 are attached to the room, the drones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adsorption unit 14 to release the attachment state, So that the drones 10 are returned to the storage unit 110 of the terminal device 10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내 음영지역 진입 시에 단말기장치(10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중계 드론(10)을 제어하여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함으로써 단말기장치(100)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망 신호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실내를 벗어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중계 드론(10)을 격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when the user enters the indoor shadow are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by attaching the relay drones 10 to the wall or ceiling of the room by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 and automatically storing the relay drones 1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중계 드론
11 : 드론 무선통신부
12 : 드론 제어부
13 : 영상/초음파센서부
14 : 흡착부
15 : 드론 통신망감지부
100 : 단말기장치
110 : 격납부
111 : 수용공간
112 : 개폐장치
120 : 드론통제부
121 : 무선통신부
122 : 통신망 감지부
123 : 위치 인식부
124 : 제어부
200 : 기지국
10: Transit Drones
11: Drone radio communication unit
12: Drone control
13: image / ultrasonic sensor part
14:
15: Drones network detection unit
100: terminal device
110:
111: accommodation space
112: Switchgear
120: Dron control unit
121:
122:
123:
124:
200: base station

Claims (9)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단말기장치(100); 및
상기 단말기장치(100)와 타 단말기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주는 기지국(200);
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장치(100)는,
상기 단말기장치(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중계 드론(10)이 수용되는 격납부(110); 및
상기 격납부(110)에 수용되는 복수의 중계 드론(10)을 제어하고, 기지국(200)과 통신하는 드론통제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In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a drone,
A terminal device (100)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200 for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100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hrough a network;
≪ / RTI >
The terminal device (100)
A storage part 110 formed o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And
A drones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1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200;
And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110)는,
복수의 중계 드론(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 및
상기 중계 드론(10)의 비행 또는 격납 시 개폐되는 개폐장치(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rtment 110 may be formed,
A receiving space 111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drones 10 are accommodated;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112 which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relay drones 10 are in flight or in storage;
And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통제부(120)는,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21);
상기 무선통신부(121)와 기지국(200)간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통신망 감지부(122);
상기 통신망 감지부(122)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 세기 이하일 경우 실내에 중계 드론(10)을 부착할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인식부(123); 및
상기 위치인식부(123)가 탐지한 위치로 중계 드론(10)이 비행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121)를 통해 제어신호를 중계 드론(10)으로 송신하는 제어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s control unit 12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A network sensing unit 122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and the base station 200;
A location recognizing unit 123 for detecting a location where the relaying drones 10 are to be installed in the room when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nsed by the network sensing unit 122 is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less; And
A control unit (124)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to the relay drones (10) so that the relay drones (10) fly to a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123);
And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4)는,
중계 드론(10)을 비행시키거나 격납해야 할 경우마다 격납부(110)의 개폐장치(1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124)
And controls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 closing device (112) of the storage part (110) whenever the relay drones (10) are to be fledged or sto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4)는,
일정거리에서 비행중인 중계 드론(10)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인식부(123)가 탐지한 위치로 비행하도록 상기 중계 드론(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일정거리에서 비행중인 중계 드론(10)이 없을 경우에는 격납부(110)에 격납되어 있는 중계 드론(10)에 상기 위치인식부(123)가 탐지한 위치로 비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124)
When there is a relaying drones 10 flying at a certain distance,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laying drones 10 so as to fly to a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zing unit 123,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elaying drones 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so as to fly to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123. In the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드론(10)은,
상기 드론통제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드론 무선통신부(11);
상기 드론 무선통신부(11)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계 드론(10)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12);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초음파센서부(13);
상기 중계 드론(10)의 다리부분에 형성되는 흡착부(14);
기지국(200) 또는 다른 중계 드론(10)과 주파수 신호를 중계해주는 중계부(15); 및
중계 드론(10)과 단말기장치(100)와의 무선통신망 세기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드론 통신망 감지부(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drones (10)
A drone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s control unit 120;
A drones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relay drones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received by the drone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n image / ultrasonic sensor part (13)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 suction unit 14 formed at a leg portion of the relay drones 10;
A relay unit 15 for relaying a frequency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200 or another relay drones 10; And
A drones network sensing unit 16 for periodically sensing the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relay drones 1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n indoor relay system using the dron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12)는,
상기 드론 무선통신부(11)가 드론통제부(1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와 상기 영상/초음파센서부(13)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내에 중계 드론(10)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흡착부(14)를 통해서 실내에 중계 드론(10)이 부착되도록 하고 회전 날개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ones control unit (12)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rones control unit 120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video / ultrasonic sensor unit 13, the dron radio communication unit 11 transmits the position to which the relay drones 10 are to be attached And controls the attachment of the relay drones (10) to the room through the suction unit (14)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rotary va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12)는,
중계 드론(10)이 실내에 부착된 후에 상기 드론 통신망 감지부(16)가 감지한 무선통신망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상기 흡착부(14)를 제어하여 부착상태를 해지하고 회전 날개를 작동하여 이륙한 후, 상기 영상/초음파센서부(13)가 획득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장치(100)의 일정거리에서 상기 중계 드론(10)이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실내 중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ones control unit (12)
When the intensity of th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ensed by the drones network sensing unit 16 increases after the attachment of the relay drones 10 to the room, And controls the flying drones (10) to fly at a certain distan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 ultrasonic sensor part (13) Indoor Relay System.
KR1020180074795A 2018-06-28 2018-06-28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KR101928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95A KR101928760B1 (en) 2018-06-28 2018-06-28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95A KR101928760B1 (en) 2018-06-28 2018-06-28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760B1 true KR101928760B1 (en) 2018-12-13

Family

ID=6467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95A KR101928760B1 (en) 2018-06-28 2018-06-28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7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1100A4 (en) * 2020-11-09 2023-12-06 Funai Electric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1100A4 (en) * 2020-11-09 2023-12-06 Funai Electric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41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obot relocalization
US106087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relaying signal
CN10476772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evice selection for wireless media devices
CN205017328U (en) Intelligence relay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of
US6633743B1 (en)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279480B1 (en) Drone wireless communication diagnosis and correction
US20170187841A1 (en) Secure Remote Actuation System with Dynamic Constraints
KR101649173B1 (en) The apparatus of home network for using aihonet module
KR102291626B1 (en) Manhole remote management system
US20110183602A1 (en) Jam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jamming a target signal
JPWO2004032086A1 (en) Robot system and autonomous robot
KR101923901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928760B1 (en) Indoor repeater system using drone
KR20110123671A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 wi-fi access point map using sensors in a wireless mobile device
US11971715B2 (en) Drone for recognizing and testing monitoring system sensors
WO2019188250A1 (en) Storage facility management device
KR200188053Y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local area network apparatus
CN110073701B (en) Method of controlling radio signal transmitted by gateway, and recording medium
CN112425268A (en) Sensor-based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wireless signal repeater
KR1017152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Buried Persons's position using unmanned moving unit
KR102355885B1 (en) Drone station and drone take-off system comprising thereof
CN113473557B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891231B1 (en) Ground control equipment checking system of UAV using ARP Spoofing
US11904716B2 (en) Base station-less drones
JP3739173B2 (en)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