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046B1 - 좌대 겸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좌대 겸용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8046B1 KR101928046B1 KR1020180066337A KR20180066337A KR101928046B1 KR 101928046 B1 KR101928046 B1 KR 101928046B1 KR 1020180066337 A KR1020180066337 A KR 1020180066337A KR 20180066337 A KR20180066337 A KR 20180066337A KR 101928046 B1 KR101928046 B1 KR 101928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member
- support
- support member
- ground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5—Resting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도구나 물품을 싣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낚시 등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기립 또는 전도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받이부, 상기 본체부가 전도 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기립 또는 전도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받이부, 상기 본체부가 전도 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함 종류의 짐을 싣어 이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좌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휴일을 이용하여 낚시, 등산, 스포츠 등 다양한 형태의 여가를 즐기고 있다.
이 중 낚시는 즐기는 장소에 따라 양어장 또는 노지(저수지, 댐, 수로 등) 낚시로 대별되는데, 양어장 낚시인 경우에는 조사의 편의를 위해 각자가 개인용 좌대를 설치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으나, 노지 낚시는 장소에 따라 좌대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낚시꾼들은 물가에 좌대를 놓고 그 위에 앉아 장시간에 걸쳐 낚시를 즐기므로, 좌대를 중요한 낚시용구의 하나로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로 의자나 좌대의 이동 편리성이나 안착감만을 고려하여 제작 및 공급되고 있을 뿐, 실제 물가 근처의 지형을 고려한 의자나 좌대가 제공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도구나 물품을 싣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지형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낚시 등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좌대 겸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기립 또는 전도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받이부, 상기 본체부가 전도 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받이부 및 바퀴와 연결되는 제1본체부재, 상기 제1본체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2본체부재가 인입될 시 상기 제2본체부재를 홀딩시키기 위한 홀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본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출가이드가 형성된 한 쌍의 구속부, 양측에 상기 제1본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인출가이드를 따라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탄성고정부, 상기 제1본체부재가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인출가이드를 따라 인출되는 탄성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가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암 지지부재,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후방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후방지지부, 상기 제2본체부재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암 지지부재,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전방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암 지지부재,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재에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착석부, 상기 제1본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착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는, 각종 도구나 물품을 싣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낚시 등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가 절첩되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를 좌대로 사용하기 위해 전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후방지지부가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착석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홀딩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를 좌대로 사용하기 위해 전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후방지지부가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착석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홀딩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가 절첩되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를 좌대로 사용하기 위해 전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후방지지부가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착석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에 적용된 홀딩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도구나 물품을 싣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낚시 등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좌대 겸용 이송장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1)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113)를 기준으로 기립 또는 전도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받이부(20), 상기 본체부(10)가 전도 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받이부(20), 지지부(30) 등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물들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제1본체부재(11) 및 상기 제1본체부재(1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재(11)는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111) 및 상기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11)의 후방 하측에는 브라켓(1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퀴(113)는 상기 브라켓(131)에 축 고정되어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직부재(111)는 제2본체부재(12)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본체부재(11)에는 상기 수직부재(111) 및 수평부재(112)의 결합으로 인해 사각형 형상의 수용공간(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a)에는 상기 본체부(10)를 전도 시켰을 시 사용자가 착석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착석부(50)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후방에는 지지대(13)가 제1본체부재(11)의 수용공간(11a) 중앙부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착석부(50)는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저면이 지지대(13)에 지지된다.
상기 착석부(50)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방석, 스티로폼과 같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3)에는 후술되는 후방지지부(31)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동시 지면에 끌리지 않도록 슬라이딩부(70)를 통해 제1본체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70)는 상기 지지대(13)와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후면과 접촉되는 후면접촉부(71), 상기 후면접촉부(71)의 양측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측면접촉부(72)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착석부(50)는 사용자가 착석하고 있는 상태 또는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부(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수직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부(61), 일측이 어느 하나의 측면접촉부(72)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50)의 일면을 가압하며 양측면에 상기 락킹부(61)와 맞물리는 맞물림부(621)가 형성되는 가압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부재(12)는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21)는 상기 수직부재(1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부합되게 인입될 수 있으며, 양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길이조절 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21)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홀에 고정핀을 관통설치 하면 길이가 조절된 수직부재(121)를 고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직부재(121)의 상측에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1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 설명한 제2본체부재(12)는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내부공간에 인입될 시 홀딩부(40)를 통해 홀딩된다.
상기 홀딩부(40)는 구속부(41), 탄성고정부(42), 이동안내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4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본체부재(12)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21)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41)의 중앙부분에는 탄성고정부(42)가 고정되는 고정홈(41a)이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41a)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홈(41a)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고정부(42)를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곡선 형태의 인출가이드(41b)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부(42)는 탄성력이 있는 일자 형태의 금속을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42)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부재(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부(42)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422)는 제1본체부재(11)의 내부공간에 제2본체부재(12)가 인입될 시 상기 고정홈(41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부(42)의 전방 양측은 레일홈을 향해 돌출되어, 고정홈(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부(41)에 가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본체부재(12)는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내부공간에 인입 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본체부재(12)가 고정되면 좌대 겸용 이송장치(1)의 크기가 축소됨으로 차량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용이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이동안내부재(43)는 상기 제1본채부재(11)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11)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43) 중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탄성고정부(42)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홈(41a) 및 상기 인출가이드(41b)를 따라 인출되는 탄성고정부(4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가이드(43a)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구속부(41)의 고정홈(41a)에 고정 된 탄성고정부(42)를 밀면, 탄성고정부(42)가 인출가이드(41b) 및 이동가이드(43a)를 따라 이동되어 고정홈(41a)의 외부로 인출됨으로, 사용자가 제2본체부재(12)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고정부(42)는 일부분이 이동안내부재(43)의 상,하 면에 걸려 회동범위가 제한됨으로, 본체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받이부(20)는 상기 제2본체부재(12)에의 수평부재 또는 수직부재(111)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이부(20)는 상기 제1본체부재(11)에 밀착되도록 접히거나 또는, 상기 제2본체부재(12)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받이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동 시에는 각종 물건들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착석부(50)에 착석 할 시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30)는 본체부(10)가 전도되었을 시 제1본체부재(11)와 제2본체부재(12)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착석부(5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0)는 후방지지부(31), 전방지지부(32), 보조지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31)는 본체부(10)를 전도시켰을 시 본체부(10)의 후방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재(11)를 구성하는 수평부재(1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대(13)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암 지지부재(311),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후방 수 지지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는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312), 상기 수직부재(312)의 상측을 연결하는 수평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부(31)는 미사용 시 상기 제1본체부재(11) 상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지지대(13)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후면접촉부(71)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B1)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의 수평부재(313)에는 상기 볼트(B1)가 각각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B1)를 수평부재(313)의 홀에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체결하면 상기 수평부재(112)에 상기 후방지지부(31)를 고정 및 보관한 상태에서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3)의 후단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B2)가 설치된 판 형상의 브라켓(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2)를 수평부재(313)의 홀에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131)에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를 결합하면 본체부(1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B1,B2)는 수평부재(313)의 홀에 선택적으로 관통된다.
계속해서,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는 후방 수 지지부재(314)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수 지지부재(314)는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길이조절 된다.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311)와 후방 수 지지부재(314)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홀에 고정핀을 관통설치 하면 길이가 조절된 후방 수 지지부재(3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 수 지지부재(314) 중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윗부분 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70)를 통해 제1본체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될 수 있음에 따라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지면에 닿지 않으며, 후방지지부(31)를 결합하고자 할 시에는 제1본체부재(11)의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32)는 본체부(10)를 전도시켰을 시 본체부(10)의 전방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본체부재(11)의 전방에 위치된 수평부재(112)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는 전방 암 지지부재(321), 상기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전방 수 지지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는 전방 수 지지부재(322)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는 제2본체부재(12)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회동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는 제2본체부재(12)에 밀착 된 상태에서는 제1본체부재(11)에 결합된 후방 암 지지부재(311)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되지 않는다.
상기 전방 수 지지부재(322)는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와 전방 수 지지부재(322)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홀에 고정핀을 관통설치 하면 길이가 조절된 전방 수 지지부재(32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수 지지부재(322) 중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윗부분 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직부재(121)에는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가 제2본체부재(12)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321)가 수직부재(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약 90도 내지 120도 정도에서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33)는 본체부(10)를 전도시켰을 시 본체부(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3)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될 수 있는 보조 암 지지부재(331),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 수 지지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는 보조 수 지지부재(332)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 지지부재(332)는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공간에 인입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조 수 지지부재(332)의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와 보조 수 지지부재(332)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과 연결홀에 고정핀을 관통설치 하면 길이가 조절된 보조 수 지지부재(33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수 지지부재(332) 중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윗부분 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대(13)에는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가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331)가 지지대(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약 90도 내지 120도 정도에서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낚시를 하기 위해 바다나 강으로 이동하고자 할 시 제1본체부재(11)에서 제2본체부재(12)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손잡이(12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시킨 다음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받이부(20)에는 낚시 도구나 기타 물품들을 싣어도 된다.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받이부(20)에 실린 낚시 도구나 기타 물품들을 바닥에 내려 놓은 다음, 제1본체부재(11)의 후면접촉부(71)에서 후방지지부(31)를 분리한다.
이후, 도 2 및 도 3과 같이 보조지지부(33)가 제1본채부재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킨 다음 스토퍼를 통해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홈(41a)에서 탄성고정부(42)를 인출시켜 제1본체부재(11)에서 제2본체부재(12)를 일정길이로 인출시킨다.
이후에, 도 4와 같이 전방지지부(32)가 제2본체부재(12)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킨 다음, 전방 수 지지부재(322) 및 보조 수 지지부재(332)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본체부(10)를 전도시킨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부(32)는 전방 암 지지부재(321)가 수직부재(121)에 힌지 결합됨으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을 향해 회동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대(13)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본체부재(11)의 후방으로 돌출시킨 다음, 지지대(13)의 브라켓(131)에 분리해 놓았던 후방지지부(31)를 결합하여 후방 수 지지부재(314)와 전방 수 지지부재(322) 및 보조 수 지지부재(332)가 지면에 접촉되어 본체부(10)를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122)에는 공지의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장치(80)를 고정시키고, 제1본체부재(11)의 수용공간(11a)에는 고정부(60)를 통해 착석부(50)를 고정시키며, 받이부(20)는 제1본체부재(11)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키므써, 사용자는 착석부(5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받이부(20)에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122)에는 공지의 낚시대거치장치(80)를 고정시키고, 상기 낚시대거치장치(80)에는 낚시대를 거치하여 낚시를 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1)는 상기 지지대(13)의 구성적 특징을 통해 지형이나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셋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리막 경사가 있는 바위에서 낚시를 할 경우, 대부분 바위에 위험하고 불편한 자세로 앉거나 서서 낚시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좌대 겸용 이송장치(1)를 이용할 경우, 후방지지부(31)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전방지지부(32)는 물속 바닥에 접촉되도록 하며, 보조지지부(33)를 돌 틈에 고정하여 위험한 장소에서도 안정적인 자세로 낚시를 할 수 있다.
물론, 물 속의 지형이 더 낮기 때문에 전방 수 지지부재(322)와 후방 수 지지부재(314) 및 보조 수 지지부재(332)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면 제1본체부재(11)와 제2본체부재(12)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착석부(50)에 앉아 안전하게 낚시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좌대 겸용 이송장치 10 : 본체부
11 : 제1본체부재 11a : 수용공간
111,121,312 : 수직부재 112,313 : 수평부재
13 : 지지대 131 : 브라켓
12 : 제2본체부재 122 : 손잡이
20 : 받이부 30 : 지지부
31 : 후방지지부 311 : 후방 암 지지부재
314 : 후방 수 지지부재 32 : 전방지지부
321 : 전방 암 지지부재 322 : 전방 수 지지부재
33 : 보조지지부 331 : 보조 암 지지부재
332 : 보조 수 지지부재 40 : 홀딩부
41 : 구속부 42 : 탄성고정부
43 : 이동안내부재 50 : 착석부
60 : 고정부 61 : 락킹부
62 : 가압부 63 : 맞물림부
70 : 슬라이딩부 71 : 후면접촉부
72 : 측면접촉부 80 : 거치장치
B1,B2 : 볼트
11 : 제1본체부재 11a : 수용공간
111,121,312 : 수직부재 112,313 : 수평부재
13 : 지지대 131 : 브라켓
12 : 제2본체부재 122 : 손잡이
20 : 받이부 30 : 지지부
31 : 후방지지부 311 : 후방 암 지지부재
314 : 후방 수 지지부재 32 : 전방지지부
321 : 전방 암 지지부재 322 : 전방 수 지지부재
33 : 보조지지부 331 : 보조 암 지지부재
332 : 보조 수 지지부재 40 : 홀딩부
41 : 구속부 42 : 탄성고정부
43 : 이동안내부재 50 : 착석부
60 : 고정부 61 : 락킹부
62 : 가압부 63 : 맞물림부
70 : 슬라이딩부 71 : 후면접촉부
72 : 측면접촉부 80 : 거치장치
B1,B2 : 볼트
Claims (6)
-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기립 또는 전도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받이부,
상기 본체부가 전도 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받이부 및 바퀴와 연결되는 제1본체부재,
상기 제1본체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2본체부재가 인입될 시 상기 제2본체부재를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본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며,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출가이드가 형성된 한 쌍의 구속부,
양측에 상기 제1본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인출가이드를 따라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탄성고정부,
상기 제1본체부재가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인출가이드를 따라 인출되는 탄성고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가 경사지게 형성된 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암 지지부재, 상기 후방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후방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후방지지부,
상기 제2본체부재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암 지지부재, 상기 전방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전방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암 지지부재, 상기 보조 암 지지부재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돌사이에 고정되거나 또는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재에는 상기 지지대와 마주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대에 지지되는 착석부,
상기 제1본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착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이부는 상기 제1본체부재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를 제1본체부재 상에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는 후면접촉부, 상기 후면접촉부의 양측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본체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측면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부,
일측이 어느 하나의 측면접촉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착석부의 일면을 가압하며 양측면에 상기 락킹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좌대 겸용 이송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102 | 2018-05-18 | ||
KR20180057102 | 2018-05-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8046B1 true KR101928046B1 (ko) | 2018-12-11 |
Family
ID=6467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6337A KR101928046B1 (ko) | 2018-05-18 | 2018-06-08 | 좌대 겸용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80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1185A (zh) * | 2020-08-31 | 2020-12-11 | 泉州市良创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省力型建筑推车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278Y1 (ko) * | 2017-02-07 | 2018-01-18 | 강미화 | 낚시용 절첩식 의자 |
-
2018
- 2018-06-08 KR KR1020180066337A patent/KR1019280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278Y1 (ko) * | 2017-02-07 | 2018-01-18 | 강미화 | 낚시용 절첩식 의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1185A (zh) * | 2020-08-31 | 2020-12-11 | 泉州市良创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省力型建筑推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29039A (en) | Insert travel chair and method of transporting the handicapped | |
US5058912A (en) | Combination chair/walker | |
US7900575B2 (en) | Deployable seating platform | |
US20090038526A1 (en) | Watercraft seat | |
US20110285182A1 (en) | Multi-Position Beach Chair | |
US20060211506A1 (en) | Swing with support base | |
US20080007097A1 (en) | Combination child carrier | |
US6435614B1 (en) | Fishing pole harness/chair support apparatus | |
US20040262865A1 (en) | Portable adjustable sleep support device | |
US20060226635A1 (en) |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 |
WO2002069757A2 (en) | Multi-functional portable folding rocking chair | |
KR101928046B1 (ko) | 좌대 겸용 이송장치 | |
US8746802B1 (en) | Chair base with retractable foot platform | |
US20050029855A1 (en) | Dynamic seat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 | |
KR101418235B1 (ko) | 접이식 낚시용 의자 | |
US6949027B1 (en) | Garden swing | |
US20060003849A1 (en) | Garden swing | |
US6357824B1 (en) | Beach/field recliner | |
CN212165395U (zh) | 一种用于办公的坐卧沙发 | |
US20020145311A1 (en) | Transportable seat system | |
US3495868A (en) | Foldable chair | |
US6345861B1 (en) | Compact transportable folding chair | |
KR20120003573U (ko) | 다기능 낚시의자 | |
JP3928206B2 (ja) | 取外し可能な車両用シート | |
JP2010075506A (ja) | 作業用補助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