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985B1 -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85B1
KR101927985B1 KR1020170127277A KR20170127277A KR101927985B1 KR 101927985 B1 KR101927985 B1 KR 101927985B1 KR 1020170127277 A KR1020170127277 A KR 1020170127277A KR 20170127277 A KR20170127277 A KR 20170127277A KR 101927985 B1 KR101927985 B1 KR 10192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nit
wireless transmission
control command
un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준우
Original Assignee
심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우 filed Critical 심준우
Priority to KR102017012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공펌프시스템의 기존 제어 방식과 병행 가능하며, 진공펌프시스템의 동작상태와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 무선으로 받고 원격에서 쉽게 제어하는데 있다.
일례로,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으로부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1 무선 전송부;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 전송부;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리모컨; 및 통신단말기에 설치되고,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PROCESS OF VACUUM PUMP SYSTEM}
본 발명은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진공펌프의 종류에는, 건식 로타리 베인 펌프(dry running rotary vane pump), 만유식 로타리 베인 펌프(oil flooded rotary vane pump), 순환 급유식 로타리베인 펌프(oil circulated injected rotary vane pump), 배출 급유식 로타리 베인 펌프(once through oil injected rotary vane pump), 로타리 피스톤 펌프(rotary piston pump), 로타리 기어 펌프(rotary gear pump), 피스톤 펌프(piston pump), 다이아후렘펌프(diaphragm pump), 루츠 펌프(roots pump), 수봉식 펌프(liquid ring pump), 터보 분자 펌프(turbo molecular pump), 확산 펌프(diffusion pump), 이젝타펌프 (steam ejector/gas ejector), 흡착 펌프 (absorption pump), 이온 펌프(ion pump), 게터 펌프 (getter pump), 승화펌프 (sublimation pump), 저온 펌프(cryo pump) 등이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진공펌프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부와 작동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함께 진공펌프시스템을 구성하여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기존 방식은, 전원부와 진공펌프을 연결한 후 제어부와 연결 또는 제어부에 설치된 스위치 혹은 조작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작동을 시키거나, 제어실에서 HMI(Human-Machine Interface)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진공펌프의 각종 동작상태와 데이터 값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어실에 상시 인원이 상주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1505호(공개일자: 2000년11월25일)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75386호(공개일자: 1997년12월1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펌프시스템의 기존 제어 방식과 병행 가능하며, 진공펌프시스템의 동작상태와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 무선으로 받고 원격에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으로부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1 무선 전송부;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 전송부;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리모컨; 및 통신단말기에 설치되고,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는,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의 제어부와 직렬통신 및 LAN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시스템 통신부; 상기 리모컨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2 무선 전송부와 연결된 제2 시스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는, 상기 제1 무선 전송부와 연결된 제3 시스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단말기와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의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 제어명령 입력부;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작동제어명령을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각각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펌프시스템의 기존 제어 방식과 병행 가능하며, 진공펌프시스템의 동작상태와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 무선으로 받고 원격에서 쉽게 제어함으로써, 진공펌프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인원이 지정된 곳에 상주할 필요가 없으며, 장소와 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진공펌프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펌프시스템(10)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100)은 제1 무선 전송부(110), 제2 무선 전송부(120),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130) 및 어플리케이션(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진공펌프시스템(10)은 진공펌프설비(11), 진공펌프설비(1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2), 및 전원부(12)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부(12)와 연결되고, 진공펌프설비(11)의 작동을 제어하며, 동작상태정보와 각종 데이터 값을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진공펌프시스템(10)을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더 많은 기기와 장비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주변 시스템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각종 통신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무선 전송부(110)와 직렬통신 및 LAN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진공펌프설비(11)를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스위치, 터치패널 및 HMI(Human-Machine Interfac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20)는 진공펌프시스템(10)의 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이 소지한 통신기기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통신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러한 통신단말기(20)에는 진공펌프시스템(10)의 작동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14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14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무선 전송부(110)는, 리모컨(130)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제2 무선 전송부(120)를 통해 통신단말기(20)로부터 우회 수신하여 진공펌프시스템(10)의 제어부(13)로 전송하고, 진공펌프시스템(10)의 제어부(13)로부터 진공펌프시스템(10)에 대한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리모컨(130)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제2 무선 전송부(120)를 통해 휴대단말통신(20)으로 우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선 전송부(110)는 제어부(13)의 내부 또는 제어실(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무선 전송부(11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무선 전송부(110)는 제1 시스템 통신부(111),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제2 시스템 통신부(113), 메시지 생성부(114) 및 무선 통신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스템 통신부(111)는 진공펌프시스템(10)의 제어부(13)와 직렬통신 및 LAN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종 작동제어명령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리모컨(130)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스템 통신부(113)는 제2 무선 전송부(12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각종 작동제어명령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1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리모컨(130)이 다수 개가 존재하면서 적어도 두 개의 리모컨(130)이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와의 연결(pairing)을 시도하는 경우, 해당 리모컨(130)으로 사용 리모컨을 선택 받기 위한 선택요청메시지(msg1)를 각각 생성하여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무선 전송부(110)와 리모컨(130)과의 무선 연결 방식에 대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통신 제어부(115)는, 선택요청메시지(msg1)를 수신한 리모컨 중 어느 하나의 리모컨으로부터 선택요청메시지(msg1)에 대한 사용응답명령(cmd)을 받을 경우, 해당 사용응답명령(cmd)을 전송한 리모컨과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112) 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연결(pairing)하고, 그 외의 리모컨과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1 무선 전송부(110)와 리모컨(130)과의 무선 연결 방식에 대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무선 전송부(120)는, 통신단말기(20)로부터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1 무선 전송부(110)를 통해 진공펌프시스템(10)의 제어부(13)로 전송하고, 제1 무선 전송부(110)로부터 진공펌프시스템(10)의 동작상태정보와 각종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통신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무선 전송부(120)는 제3 시스템 통신부(121)와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시스템 통신부(121)는 제1 무선 전송부(110)의 제2 시스템 통신부(113)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122)는 사용자(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의 통신단말기(20)와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전송부(120)는 제1 무선 전송부(110)의 주변과 진공펌프시스템(10) 주변 등 통신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무선 전송부(12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모컨(130)은, 사용자(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로부터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무선 전송부(110)로 전송하며, 제1 무선 전송부(110)로부터 진공펌프시스템(10)에 대한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130)은 제1 제어명령 입력부(131),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133), 제1 정보 표시부(133), 응답명령 입력부(134) 및 무전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명령 입력부(131)는, 사용자로부터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조작 스위치 버튼, 터치 패널, HMI(Human-Machine Interface)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133)는, 제1 무선 전송부(110)로부터 선택요청메시지(msg1)와 진공펌프시스템(10)의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제1 제어명령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작동제어명령을 제1 무선 전송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133)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표시부(133)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133)를 통해 수신된 선택요청메시지 및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수신된 각각의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답명령 입력부(134)는, 수신된 선택요청메시지(msg1)에 대한 사용응답명령(cmd)을 입력받아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답명령 입력부(134)는 별도의 선택 버튼 또는 제1 정보 표시부(133)를 통해 터치 방식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전기부(135)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132)를 통해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수신하는 경우 리모컨(13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무전기부(135)는 특정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을 기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리모컨(130) 간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채널을 갖되, 각 채널 연결 시 수동 조작을 원칙으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수신한 다른 리모컨과의 채널이 연결되어 해당 리모컨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는 제1 무선 전송부(110)와의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리모컨이 다수 개인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각 제어 파트 별로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진공펌프시스템(10)의 특정 작동 제어는 1인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적어도 2명 이상의 사용자가 각자의 리모컨을 사용하기 위해 동시에 연결시도를 한 경우 그 중 하나의 리모컨만을 연결하고 그 외의 리모컨과의 연결을 제한하기 위하여, 각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전달하고, 이를 상호 간에 직접 해결하거나 조율하기 위해 상호 간에 무선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활성화시킨 것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40)는, 사용자(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의 통신단말기(20)에 각각 설치되는 진공펌프시스템(10)의 작동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로부터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2 무선 전송부(120)로 전송하며, 제2 무선 전송부(120)로부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140)은 제2 제어명령 입력부(141),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142), 제어 히스토리 저장부(143), 제2 정보 표시부(144), 채팅 서비스부(145) 및 리모컨 사용 확인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명령 입력부(141)는, 사용자(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으로부터 진공펌프시스템(10)의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142)는, 제2 무선 전송부(120)로부터 진공펌프시스템(10)의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제2 제어명령 입력부(141)를 통해 입력된 작동제어명령을 제2 무선 전송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히스토리 저장부(143)는, 제2 제어명령 입력부(141)를 통해 입력된 작동제어명령과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142)를 통해 수신된 진공펌프시스템(10)의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에 대한 제어 히스토리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30) 별 및/또는 일자와 시간 별로 작동제어명령, 동작상태정보, 데이터 값 등의 제어 히스토리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리모컨(130) 별 및/또는 일자와 시간 별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기준에 따른 데이터 소팅(sorting)을 통하여 가공된 형태의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히스토리 정보는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들(관리자, 작업자, 기사 등)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표시부(144)는,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142)를 통해 수신된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과 제어 히스토리 저장부(143)를 통해 저장된 제어 히스토리 정보를 각각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정보를 확인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팅 서비스부(145)는, 어플리케이션(140)의 다중 접속자 간의 음성 및 문자 채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채팅 서비스부(145)는 접속자 간의 실시간 음성/문자 채팅 서비스뿐만 아니라 비접속자와 접속자 간의 전자메일, 쪽지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업무 일지 작성 및 등록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사용 확인부(146)는 제2 무선 전송부(120)로부터 리모컨(130)의 실시간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무선 전송부(110)의 제1 무선 통신 제어부(115)는 특정 리모컨(130)과 최종 연결(pairing)되면, 연결 상태 또는 연결된 리모컨 단말 고유 번호 또는 해당 고유 번호와 관련된 담당자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제2 무선 전송부(1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통신 제어부(115)는 리모콘(130)과의 아무런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도 연결 상태 없음에 해당하는 실시간 연결 상태를 어플리케이션(14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모컨 사용 확인부(146)는 현재 리모컨(130)에 의해 현장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누가 제어를 담당하고 있는지, 또는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 아닌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무선 전송부(110)와 리모컨(130)과의 무선 연결 방식에 대하 보다 상세한 설명한다.
도 4 내지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리모컨(130)이 다수 개가 존재하면서 N개의 리모컨 즉 제1 내지 제N 리모컨(130A, 130B, ... , 130N-1, 130N)이 제1 무선 전송부(110)와의 연결(pairing)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 리모컨을 선택 받기 위한 선택요청메시지(msg1)를 각각 생성하여 제1 내지 제N 리모컨(130A, 130B, ... , 130N-1, 130N)으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내지 제N 리모컨(130A, 130B, ... , 130N-1, 130N) 중 실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리모컨(도 4에서는 제1 리모컨(130_1))을 통해 선택요청메시지(msg1)를 확인한 후, 응답명령 입력부(134)를 통해 사용응답명령(cmd)을 제1 무선 전송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요청메시지(msg1)와 사용응답명령(cmd)를 주고 받는 상태는 근거리무선통신이 임시 연결된 상태로 최종적인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와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내지 제N 리모컨(130A, 130B, ... , 130N-1, 130N)와 제1 무선 전송부(110) 간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이며, 실질적으로 리모컨을 사용할 때 해당 리모컨만 선별하여 최종 연결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응답명령(cmd)을 전송하지 않은 제2 내지 제N 리모컨(130B, ... , 130N-1, 130N)은 제1 무선 전송부(110)와의 연결이 임시적으로 차단되며, 이러한 차단은 제1 리모컨(130_1)의 사용 종료가 확인되면 해제되어 모든 리모컨이 다시 임시 연결된 상태로 전환 유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소지한 리모컨으로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전송부(110)가 제1 및 제2 리모컨(130_1, 130_2)으로부터 사용응답명령(cmd)를 각각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1 무선 전송부(110)는 제1 및 제2 리모컨(130_1, 130_2)로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는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진공펌프시스템(10)을 제어함을 고지하면서 하나의 사용자 즉 리모컨을 선택하여 해당 리모컨의 연결을 재시도하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리모컨(130_1, 130_2)이 진공펌프시스템(10)에 대하여 제어 프로세스 상 중복되지 않은 조작이 가능한 경우라면, 예외적으로 각각의 리모컨과의 최종 연결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어 프로세스 상 중복되는 조작이 일어나는 경우 즉 동일한 리모컨인 경우에는 하나의 리모컨만 선택적으로 최종 연결되어 조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요청중복메시지(msg2)를 수신한 제1 및 제2 리모컨(130_1, 130_2)의 상호 무선 채널이 연결되어 무전할 수 있도록 각 무전기부(13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간에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직접 해결하거나 조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펌프시스템의 기존 제어 방식과 병행 가능하며, 진공펌프시스템의 동작상태와 각종 데이터를 실시간 무선으로 받고 원격에서 쉽게 제어함으로써, 진공펌프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인원이 지정된 곳에 상주할 필요가 없으며, 장소와 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진공펌프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진공펌프시스템 11: 진공펌프설비
12: 전원부 13: 제어부
100: 무선원격제어시스템 110: 제1 무선 전송부
111: 제1 시스템 통신부 112: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113: 제2 시스템 통신부 114: 메시지 생성부
115: 무선 통신 제어부 120: 제2 무선 전송부
121: 제3 시스템 통신부 122: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
130: 리모컨 131: 제1 제어명령 입력부
132: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133: 제1 정보 표시부
134: 응답명령 입력부 135: 무전기부
140: 어플리케이션 141: 제2 제어명령 입력부
142: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 143: 제어 히스토리 저장부
144: 제2 정보 표시부 145: 채팅 서비스부
146: 리모컨 사용 확인부 20: 통신단말기
msg1: 선택요청메시지 msg2: 사용요청중복메시지
cmd: 사용응답명령

Claims (4)

  1.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진공펌프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으로부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1 무선 전송부;
    외부로부터 작동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 전송부;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리모컨; 및
    통신단말기에 설치되고,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는,
    상기 제1 무선 전송부와 연결된 제3 시스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단말기와 무선인터넷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무선 인터넷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전송부는,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의 제어부와 직렬통신 및 LAN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시스템 통신부;
    상기 리모컨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2 무선 전송부와 연결된 제2 시스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진공펌프시스템의 작동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 제어명령 입력부;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작동제어명령을 상기 제2 무선 전송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제2 무선 인터넷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동작상태정보와 데이터 값를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KR1020170127277A 2017-09-29 2017-09-29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KR10192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77A KR101927985B1 (ko) 2017-09-29 2017-09-29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77A KR101927985B1 (ko) 2017-09-29 2017-09-29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985B1 true KR101927985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277A KR101927985B1 (ko) 2017-09-29 2017-09-29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9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386A (ko) 1996-05-21 1997-12-10 마에다 시게루 진공 펌프 제어 장치
KR20000071505A (ko) 1999-03-30 2000-11-25 다카키도시요시 통신이상검출 및/또는 대처장치 및 진공펌프원격감시제어장치
JP2005201051A (ja) * 2004-01-13 2005-07-28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ポンプ装置
KR20170017093A (ko) *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일성 진공강자흡식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5386A (ko) 1996-05-21 1997-12-10 마에다 시게루 진공 펌프 제어 장치
KR20000071505A (ko) 1999-03-30 2000-11-25 다카키도시요시 통신이상검출 및/또는 대처장치 및 진공펌프원격감시제어장치
JP2005201051A (ja) * 2004-01-13 2005-07-28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ポンプ装置
KR20170017093A (ko) *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일성 진공강자흡식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8064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для служб обще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Palaniappan et al. Home automation systems-A study
KR100477651B1 (ko) 정보기기의 im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EP3007515B1 (en) Method, terminal, client and system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
CA3040782C (en) Wireles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rom access control device to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GB2516686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9874860B2 (en) Providing user interface of a frequency converter over a wireless connection
CN101808427A (zh) 基于物联网的无线通信终端及其应用方法
EP2469367A2 (en) Wireless field devic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method
WO20120554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pairing of wireless devices
CN101378270A (zh) 一种管理短距离无线设备数据的方法、设备和系统
CN105763598A (zh) 共享控制方法及其电子装置
KR20110132507A (ko) 컴퓨터와 휴대단말기 간 영상통신을 이용한 원격 에프터 서비스방법
CN101779384A (zh) 针对家庭网络对无线设备进行网络设置的系统和方法
Manda et al. An elegant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GSM and ARM-based architecture
EP3069333B1 (en) Mobile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anel
KR101927985B1 (ko) 진공펌프시스템의 공정을 위한 무선원격제어시스템
CN106648501A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20120110693A (ko)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 가능한 통합형 원방감시제어시스템
CN104637135B (zh) 一种电力监控领域蓝牙控制半离线井盖的方法
KR20160018109A (ko)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7954A (ko) Ble를 기반으로 하는 usb저장장치 잠금시스템
CN102868766A (zh) 一种实现远程控制的方法、系统和装置
CN115622994A (zh) 一种数据传输控制方法及装置
CN108572749A (zh) 一种终端控制方法和系统、设置适配装置、及移动终端